서식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식지는 생물이 살고 성장하는 자연 환경을 의미하며, 생물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환경 요인에 따라 육상, 담수, 해양, 도시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된다. 서식지는 생물의 적합도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서식지 파괴, 단편화,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변화하고 멸종 위협을 받기도 한다. 이러한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법률 제정, 국제 협약 체결, 서식지 보전 노력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위적으로 생물 서식 환경을 재현하는 비오토프 조성, 야생 동물에게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는 와일드라이프 가든 조성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스템 생태학 - 경관생태학
경관생태학은 이질적인 토지 영역에서 상호작용하는 생태계 집합을 연구하며 공간 패턴이 생태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학문으로, 패치, 주변, 생태축, 서식지 단편화 등의 개념을 포함하고 인간의 영향 또한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한다. - 시스템 생태학 - 생태통로
생태통로는 서식지 단편화로 고립된 야생 동물의 개체군을 연결하고 생태계 건강성을 증진하며 동물의 이동, 식물의 종자 확산, 유전자 교환을 촉진하여 생물 다양성 보전에 기여하는 통로로, 육교형, 터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건설된다. - 서식지 - 서식지 단편화
서식지 단편화는 서식지 면적 감소, 내부 면적 감소 및 주변 효과 증가, 서식지 격리, 패치 분할, 평균 패치 크기 감소를 포함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생물종 이동 제한, 생물 다양성 감소, 개체군 유지 어려움 등 생태계 건강성을 위협하며, 주요 원인은 개발, 벌목, 농업 확장과 같은 인간 활동이다. - 서식지 - 운무림
운무림은 고지대에서 지속적인 안개로 형성되어 안개 물방울로 수분을 공급받는 독특한 숲으로, 생물다양성이 높지만 개발과 기후변화로 인해 감소하고 있으며, 일부 온대 지역의 숲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 생태학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생태학 - 먹이 그물
먹이 그물은 생태계 내 생물 간의 복잡한 먹이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망으로, 생태학자들은 이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에너지와 영양소 흐름을 추적하며, 먹이사슬과 영양 단계, 생태 피라미드 개념과 관련되어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식지 | |
---|---|
개요 | |
정의 | 생물이나 개체군이 살아가는 환경 |
예시 | 남극의 바다빙하 아래 |
관련 용어 | 생태, 서식지 파괴 |
상세 정보 | |
설명 | 특정 종이나 개체군이 생존하고 번식하는 데 필요한 자원과 조건을 제공하는 특정 유형의 환경 |
조건 | 온도 습도 빛 흙 |
중요성 | 생물의 생존과 번식에 필수적 |
특성 | 먹이 가용성 포식자 존재 여부 경쟁 정도 |
예시 | 초원 습지 삼림 강어귀 |
인간과의 관계 | 홍역 바이러스의 서식지는 인간 |
2. 정의 및 어원
서식지의 선택은 개체군의 적합도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서식지는 생태적 지위, 행동권, 영역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특히 행동권과 영역은 개체군뿐만 아니라 개체 수준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
생물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 요인으로는 온도, 습도, 기후, 토양, 광도 등이 있으며, 생물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모든 요구 사항의 유무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동물 군집은 특정 유형의 식물 군집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서식지는 개체군의 적합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생물이 살아가는 공간은 단순히 물리적 장소를 넘어, 생태학적으로 니치(생태적 지위), 행동권, 영역 등 다양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행동권과 영역은 개체군뿐만 아니라 개체 수준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서식지는 환경적 특성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육상, 담수, 해양 서식지 등으로 구분된다.
"서식지"라는 단어는 1755년경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거주하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habitārelat에서 유래했다. 이는 다시 '가지다' 또는 '소유하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habērelat에서 파생된 단어이다. 서식지는 생물이 자연스럽게 살아가고 성장하는 자연 환경의 유형으로 정의될 수 있다.[4] 이는 특정 식물과 동물의 군집과 관련된 균일한 환경 조건을 가진 지역을 의미하는 생물군집과 유사한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서식지는 특정 생물이 원래 살던 지역을 가리킨다. 이는 해당 생물이 그 지역 환경에 잘 적응해 있으며, 번식하기에도 적합한 자연 환경임을 의미한다.
3. 환경 요인
생물에 따라 서식지 요구 사항은 매우 다르다. 어떤 종들은 광범위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다. 예를 들어, 흰나비의 일종인 배추흰나비는 남극을 제외한 세계 모든 대륙에서 발견된다. 이 나비의 유충은 다양한 배추속 식물과 다른 여러 식물 종을 먹이로 삼으며, 다양한 식물 군락이 있는 거의 모든 열린 공간에서 번성할 수 있다. 반면, 큰유리창나비의 일종인 파란 큰유리창나비는 훨씬 특정한 환경을 요구한다. 이 나비는 백악질 초원 지역에서만 서식하며, 유충은 특정 백리향 종만을 먹는다. 또한 복잡한 생활사 때문에 특정 ''Myrmica'' 속 개미가 서식하는 지역에서만 생존할 수 있다.
환경의 교란은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서식지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교란이 없다면, 특정 식물 군집이 우세해지는 극상 식생이 발달하여 다른 종들이 정착하기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야생화 초원은 때때로 인위적으로 조성되지만, 사용되는 꽃 식물 대부분이 한해살이 식물이나 두해살이 식물이어서, 묘목이 자랄 수 있는 맨땅이 계속 공급되지 않으면 몇 년 안에 사라지게 된다. 열대 우림에서는 번개나 쓰러진 나무로 인해 생긴 빈 공간(틈새)에 개척자 종들이 정착하면서 종의 풍부함이 유지될 수 있다. 해안 서식지에서도 마찬가지로, 폭풍으로 해저가 뒤집히거나 퇴적물이 이동하면서 해조류가 쓸려나가고 새로운 군집화 지역이 드러나기 전까지는 켈프와 같은 특정 해조류가 우점할 수 있다. 또한, 침입종이 새로운 서식지에 유입되어 천적의 통제 없이 번성하면서 기존 생태계를 압도하는 것 역시 교란의 한 형태이다.[5]
생물은 수천 년에서 수만 년 이상 특정 지역에서 살아가며 그 환경에 적응해왔다. 그러나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면, 특히 세대 교체가 느린 생물들은 적자생존이나 진화를 통한 적응 속도가 느려 큰 시련을 겪게 된다. 인간의 활동 등으로 인해 수십 년에서 수백 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환경이 극적으로 변하면, 해당 지역 생물들은 마치 전혀 다른 환경에 내던져진 것과 같아 절멸의 위험에 처할 수도 있다.
반대로, 흔한 환경에 살거나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범위가 넓은 생물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가능성이 커 종으로서 서식지를 넓히는 데 유리하다. 이러한 확산은 번식이나 이동 능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인간에 의해 인위적으로 운반된 외래종처럼 새로운 환경에 지나치게 잘 적응하여 토착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4. 유형
4. 1. 육상 서식지
육상 서식지 유형에는 숲, 초원, 습지, 사막 등이 있다. 이러한 넓은 생물군계 안에는 다양한 기후, 온도, 토양, 고도, 식생 조건에 따라 더 구체적인 서식지 유형들이 존재한다. 이 서식지 유형들은 서로 명확히 구분되기보다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많으며, 각기 고유한 식물 및 동물 군집을 가진다. 어떤 서식지가 특정 종에게 적합하더라도, 실제로 그 종이 특정 장소에 존재할지 여부는 우연성, 퍼져나가는 능력(분산 능력), 그리고 새로운 곳에 자리 잡는 능력(정착 효율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4. 1. 1. 건조 서식지
건조 서식지는 물을 거의 구할 수 없는 곳을 말한다. 가장 극심한 건조 서식지는 사막이다. 사막 동물들은 건조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다. 일부 개구리는 사막에서 살면서 지하에 습한 서식지를 만들고, 환경이 악화될 때는 겨울잠을 잔다. 코치의 삽발두꺼비(Scaphiopus couchii)는 폭우가 쏟아질 때 굴에서 나와 형성된 일시적인 웅덩이에 알을 낳는다. 올챙이는 매우 빠르게, 때로는 불과 9일 만에 발달하여 변태를 거치고, 자신만의 굴을 파기 전에 왕성하게 먹이를 먹는다.[6]
4. 1. 2. 습지 및 강가 서식지
습지는 숲, 초원, 사막과 함께 주요 육상 서식지 유형 중 하나이다. 습지 내에서도 다양한 기후, 온도, 토양, 고도, 식생 조건에 따라 더 구체적인 서식지 유형으로 나뉜다. 이러한 서식지들은 종종 서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며, 각기 독특한 식물과 동물 군집을 지닌다. 특정 종이 특정 서식지에 살 수 있을지는 그 종의 분산 능력, 정착 효율성, 그리고 어느 정도의 우연성에 따라 달라진다.
일부 습지 서식지는 물이 마르는 극단적인 환경 변화를 겪기도 한다. 예를 들어, 봄 웅덩이는 우기에 물이 고였다가 건기에 마르는 일시적인 연못이다. 이곳에는 가뭄에 강한 씨앗을 가진 한해살이 식물이나 독특하게 적응한 여러해살이 식물 등 특별한 식물군이 서식한다.[7] 동물 중에서도 이러한 환경에 적응한 종들이 있다. 요정 새우는 건조 상태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겨울 알"을 낳는데, 이 알은 먼지와 함께 바람에 날려 새로운 웅덩이로 옮겨가기도 하며, 최대 15년 동안 휴면 상태로 생존할 수 있다.[8] 일부 킬리피시 역시 비슷한 생존 전략을 사용한다. 알은 물이 있을 때 부화하여 빠르게 성장하지만, 연못이 마르면 물고기 개체군은 진흙 속에서 휴면 상태의 알로 다음 우기를 기다린다.[9]
습지 및 강가와 관련된 서식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
비오토프는 생물이 살아가는 환경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시도이다. 이는 단순히 동물과 식물뿐 아니라 미생물까지 포함하는 전체 생태계를 목표로 한다. 비오토프 조성 활동은 예를 들어 파괴된 생태계를 복원하거나, 개발로 인해 사라진 생태계를 대신하여 지역 생물들에게 쉘터(피난처)를 제공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특히 물가 생태계를 재현하려는 노력이 알려져 있지만, 비오토프 개념 자체가 물가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펌프 같은 기계 장치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자연스러운 상태를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곤충이나 작은 새 같은 작은 동물들이 자유롭게 드나들며 포식하거나 포식당하는 자연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비오토프의 규모나 재현하는 환경의 수준은 다양하며, 보통 수년에 걸쳐 안정화된다. 이러한 활동은 바이오스피어 2 프로젝트처럼 미래의 우주 개발을 염두에 두고 지구 외 환경에서 지구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연구의 기초가 되기도 한다.
4. 1. 3. 산림 서식지
산림 서식지는 다양한 기후와 환경 조건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주요 산림 서식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
4. 2. 담수 서식지
담수 서식지에는 강, 시내, 호수, 연못, 늪, 습지 등이 있다. 이러한 서식지들은 크게 흐르는 물(강, 시내)과 고인 물(호수, 연못, 늪, 습지)로 나눌 수 있다.[10] 일부 생물은 여러 유형의 담수 서식지에서 발견되지만, 대부분의 생물은 자신에게 맞는 특정한 환경 조건을 필요로 한다. 물의 속도, 온도, 산소 포화도 등이 중요한 환경 요인이다. 특히 강 시스템은 물살이 빠르거나 느린 구간, 깊은 웅덩이, 비우, 역류 등 다양한 형태의 서식지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수생 식물도 물 위에 떠 있거나, 반쯤 잠겨 있거나, 완전히 물속에 잠겨 자라거나, 물가 주변의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물에 잠긴 흙에서 자라는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물가 가장자리에 자라는 식물은 무척추 동물과 척추 동물 모두에게 중요한 서식 공간을 제공하며, 물속에 잠겨 자라는 식물은 물에 산소를 공급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며 오염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4. 3. 해양 서식지
해양 서식지는 기수, 강어귀, 만, 공해, 조간대, 해저, 암초, 그리고 깊거나 얕은 수역 등 다양한 바닷물 환경을 포함한다. 또한 조수웅덩이, 사주, 갯벌, 기수호, 모래 및 자갈 해변, 해초 군락과 같은 환경도 해양 서식지의 일부로, 각각 고유한 동식물이 서식한다.
저서 생태계, 즉 해저는 바닥의 기질에 고정되어 사는 생물과 표면을 기어 다니거나 파고드는 생물 모두에게 중요한 생활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일부 생물은 물 표면의 파도 사이를 떠다니거나 떠다니는 부유물에 붙어 살아가기도 한다. 다른 생물들은 저서 지역의 해저 가까이를 포함하여 다양한 수심에서 헤엄치며 살아가고, 수많은 생물들은 해류를 따라 떠다니며 플랑크톤을 형성한다.
해양 서식지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4. 4. 도시 서식지
도시 환경에는 많은 동물과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이들은 적응력이 뛰어나고 다재다능하며 도시의 특징을 활용하여 보금자리를 만든다. 쥐와 생쥐는 인간을 따라 전 세계로 퍼져나갔고, 비둘기, 매, 참새, 제비와 집제비는 건물을 둥지로 사용한다. 또한 박쥐는 지붕 공간을 서식지로 삼고, 여우는 쓰레기통을 뒤지며, 다람쥐, 코요테, 너구리, 스컹크 등은 거리를 돌아다닌다. 미국 시카고와 그 주변에는 약 2,000마리의 코요테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세기 북유럽 도시의 주택 조사를 통해 다양한 무척추동물이 발견되었다. 조사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한편, 더 따뜻한 기후에서는 흰개미가 도시 서식지에서 심각한 해충으로 간주된다. 183종의 흰개미가 건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83종은 심각한 구조적 피해를 입힌다.
5. 미세 서식지
미세 서식지는 특정 생물이나 개체군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작은 규모의 물리적 환경을 의미한다. 모든 서식지는 빛, 습도, 온도, 공기의 흐름 등 여러 요인이 미묘하게 다른 수많은 미세 서식지들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바위의 북쪽 면에 자라는 지의류는 남쪽 면, 평평한 꼭대기, 주변 땅, 홈이나 솟아오른 표면, 석영 맥 등 위치에 따라 종류가 다를 수 있다. 이렇게 작은 환경("미니어처 숲") 안에도 저마다 다른 서식 조건을 필요로 하는 미소동물군, 즉 작은 무척추동물들이 살고 있다.[11]
숲 속에도 침엽수림, 활엽수림, 나무가 드문 곳, 숲 가장자리, 빈터, 풀밭 등 다양한 환경이 존재하며, 나무 한 그루만 보더라도 줄기, 가지, 싹, 잎, 꽃, 열매는 물론이고 거친 껍질, 매끄러운 껍질, 상처 난 껍질, 썩은 부위, 구멍 등 매우 다양한 미세 서식지를 제공한다. 또한 나무의 윗부분(수관), 키 작은 나무들(관목층), 땅바닥의 풀과 식물(초본층), 쌓인 낙엽, 토양, 나무뿌리, 그루터기, 쓰러진 나무, 풀 더미, 곰팡이, 고사리, 이끼 등도 모두 미세 서식지가 된다. 숲의 구조가 복잡할수록 더 많은 종류의 미세 서식지가 만들어진다. 다양한 종류와 크기, 나이의 나무들이 있고, 개울, 평지, 경사면, 길, 빈터, 벌목된 곳 등 지형적 특징이 다양하면 훨씬 다채로운 식물과 동물이 살 수 있는 환경이 된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여러 종류의 썩은 나무가 1,700종 이상의 무척추동물에게 서식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생 생물에게 미세 서식지는 숙주 몸의 특정 부위(외부 또는 내부)가 된다. 어떤 기생충들은 생활사 동안 여러 다른 종류의 숙주를 거치거나 숙주 없이 자유롭게 생활하는 단계를 가지는데, 이때 각각 매우 다른 미세 서식지에서 살아가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 남동부 기수 습지에 사는 흡충류(납작한 벌레의 일종)인 ''Microphallus turgidus''는 첫 번째 중간 숙주로 복족류(달팽이류)를, 두 번째 중간 숙주로 새우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 새우를 잡아먹는 조류나 포유류가 최종 숙주가 된다.
6. 극한 서식지
지구상 생명체의 대다수는 중온성 생물(온화한) 환경에서 살고 있지만, 일부 유기체, 특히 미생물은 더 복잡한 생명체에게는 부적합한 극한 환경에 적응하여 서식지를 개척해 왔다. 예를 들어, 남극 대륙 얼음 아래 800m 깊이의 윌런스 호수에 사는 세균이 있다. 햇빛이 없는 환경에서 이들은 다른 곳에서 온 유기 물질, 아마도 빙하 녹은 물이나 밑에 있는 암석의 광물질에 의존해야 한다.[12] 다른 세균들은 해양에서 가장 깊은 곳인 마리아나 해구에서도 풍부하게 발견된다. 마린 스노우가 바다 표면에서 떠다니다 이 해저 계곡에 축적되어 광범위한 세균 군집에 영양을 공급한다.[13]
다른 미생물들은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살며, 광합성 이외의 화학 반응에 의존한다. 300m 깊이로 암석 해저에 시추된 시추공에서는 물과 암석 성분 간의 반응 산물을 기반으로 하는 미생물 군집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군집은 아직 많이 연구되지 않았지만, 전 세계 탄소 순환의 중요한 부분일 수 있다.[14] 약 3.2km 깊이의 광산 암석에도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이들은 암석 내부에서 일어나는 느린 산화 반응에서 생성되는 미세한 수소 흔적을 이용해 살아간다. 이러한 신진대사 반응은 산소나 빛이 없는, 이전에는 생명체가 살 수 없다고 여겨졌던 환경에서도 생명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15]
조간대와 바다의 광합성대는 비교적 익숙한 서식지 유형이다. 그러나 바다의 광대한 부분은 공기를 호흡하는 인간에게 적대적인 환경이며, 스쿠버 다이빙은 상부 50m 정도에 국한된다. 광합성의 하한선은 약 100m에서 200m 사이이며, 그 이하의 깊이에서는 완전한 어둠, 높은 압력, 적은 산소(일부 지역), 부족한 식량 자원, 극심한 추위 등의 조건이 지배적이다. 이 서식지는 연구하기 매우 어렵고 아직 연구가 부족하지만, 지구 생물권의 79%가 1000m보다 깊은 곳에 위치해 있어 매우 광대하다. 식물이 없는 이 구역의 동물들은 표층에서 떠내려오는 유기물에 의존하는 유기물 섭취자이거나 서로를 잡아먹는 포식자이다. 일부 유기체는 원양대에서 헤엄치거나 표류하며, 다른 유기체는 저서생물로서 해저 또는 그 근처에 산다. 이들의 성장 속도와 신진대사는 느린 경향이 있으며, 빛이 거의 없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눈이 매우 크거나, 시각 대신 다른 감각에 의존하기도 한다. 많은 심해 생물들은 생물 발광을 하는데, 이는 포식, 보호, 사회적 인식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심해에 사는 동물들의 몸은 고압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내압성 생체 분자와 압력 평형 물질로 알려진 작은 유기 분자를 세포 내에 가지고 있어 단백질의 유연성을 유지한다. 또한 세포막에는 낮은 온도에서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불포화 지방이 있다.[16]
열수구는 1977년에 처음 해저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해수가 해저의 갈라진 틈을 통해 스며들어 뜨거운 마그마에 의해 가열되면서 형성된다. 수중 온천은 340°C 이상의 온도에서 솟아오르며, 그 주변에 독특한 유기체 군집을 지원한다. 이 풍부한 생명의 근본은 화학 합성으로, 미생물이 황화 수소나 암모니아와 같은 물질을 유기 분자로 전환하는 과정이다.[17] 이러한 세균과 고세균은 이 생태계의 주요 생산자이며 다양한 생명체를 지탱한다. 20세기 말까지 약 350종의 유기체가 열수구 주변에서 발견되었으며, 주로 연체동물, 다모류 및 갑각류가 지배적이었고, 이들 대부분은 과학적으로 새로운 종이며 해당 서식지 유형에만 존재하는 고유종이었다.
대기는 날개 달린 동물의 이동 기회를 제공하고 꽃가루, 포자 및 종자의 분산을 위한 통로가 되는 것 외에도 그 자체로 서식지 유형으로 간주될 수 있다. 대기 중에는 대사적으로 활성인 미생물이 존재하며, 이들은 적극적으로 번식하고 평생을 공중에서 보낼 수 있다. 공기 1 입방 미터당 수십만 개의 개별 유기체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공중 미생물 군집은 토양이나 다른 육상 환경에서 발견되는 것만큼 다양할 수 있지만, 이러한 유기체는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으며 고도와 환경 조건에 따라 밀도가 공간적으로 변한다. 항공생물학은 아직 많이 연구되지 않았지만, 구름에서 질소 고정의 증거가 있으며, 미생물 활동에 의해 촉진되는 탄소 순환에 대한 증거도 일부 존재한다.
특별히 적응된 생명체가 존재하는 극한 서식지 유형의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 미생물 생명체로 가득한 타르 구덩이.
- 석유 파리의 유충이 서식하는 자연 발생적인 원유 웅덩이.[18]
- 온도가 71°C까지 올라갈 수 있고 시아노박테리아가 미생물 매트를 생성하는 온천.[19]
- 차가운 침전물: 바다 바닥에서 메탄과 황화수소가 방출되어 혐기성 유기체와 홍합과 같은 고등 동물이 지원하는 공생 관계를 형성하는 곳.[20]
- 염전: 내염성 세균, 고세균 및 흑색 효모 ''Hortaea werneckii''와 담자균류 ''Wallemia ichthyophaga''와 같은 곰팡이가 서식.
- 남극 대륙의 빙상: 곰팡이 ''Thelebolus'' spp.를 지원.
- 빙하 얼음: 다양한 세균과 곰팡이가 존재.
- 설원: 조류가 자람.[21]
7. 서식지 변화
서식지는 개체군의 적합도와 깊은 관련이 있어 생물의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서식지 환경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자연적인 과정이나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자연적인 변화 요인으로는 지각 융기나 침강과 같은 지형학적 변화, 그리고 지진, 산사태, 폭풍, 홍수, 산불, 해안 침식 등이 있다. 반면,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변화는 더욱 빠르고 광범위하게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주요 요인으로는 삼림 벌채, 토지 이용 변화, 농업 방식의 변화, 관광, 오염, 단편화, 기후 변화 등이 있다.
이러한 서식지 환경의 변화는 오랜 시간 동안 특정 환경에 적응해 온 생물들에게 큰 시련이 된다. 특히 세대 교체가 느린 생물은 적자생존이나 진화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어렵다. 인간 활동에 의한 급격한 환경 변화는 생물이 적응할 시간을 주지 않아 절멸의 위험을 높인다.
한편,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범위가 넓거나 비교적 흔한 환경에서 사는 생물은 변화된 환경 속에서 오히려 서식지를 넓혀갈 기회를 얻기도 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인위적으로 옮겨진 외래종이 새로운 환경에 지나치게 잘 적응하여 토착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서식지를 벗어나 새로운 곳으로 이동하는 것은 생물에게 매우 위험한 행동이지만, 환경 변화에 따라 필수적인 선택이 되기도 한다.
7. 1. 단편화
서식지 손실은 모든 종에게 가장 큰 위협 요인 중 하나이다. 특정 서식지가 여러 작은 조각으로 나뉘는 것을 서식지 단편화라고 한다. 예를 들어, 벌목으로 인해 숲이 여러 구역으로 나뉘고 그 사이가 개간지로 바뀌면, 남은 숲 조각들 사이의 거리가 특정 동물이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게 된다. 이 경우 해당 종은 서식지 단편화에 특히 취약해진다.이렇게 고립된 작은 개체군은 일반적으로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하며, 포식 및 경쟁 증가, 질병, 예상치 못한 재앙 등에 더 쉽게 노출된다. 또한, 각 숲 조각의 가장자리 지역은 햇빛 노출이 증가하여 빠르게 자라는 식물들이 우세해지는 2차 성장이 촉진된다. 기존의 오래된 숲 나무들은 접근성이 높아져 벌목에 더 취약해진다. 나무 구멍에 둥지를 트는 새, 나뭇가지에 붙어사는 착생식물, 낙엽 속 무척추동물 등 다양한 생물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 결국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게 된다.
서식지 단편화의 부정적 영향은 단절된 서식지 조각들을 연결하는 야생 동물 통로를 만들어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다. 이러한 통로는 강, 도랑, 좁고 길게 이어진 나무 지대, 생울타리 또는 고속도로 아래의 동물 이동 통로 등이 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연결 통로가 없다면, 식물의 씨앗이 퍼지기 어렵고 동물, 특히 작은 동물들은 단절된 서식지 사이의 위험한 지역을 건너기 어려워진다. 이는 결국 해당 개체군이 지역 멸종에 이를 위험을 높인다.
동물이나 식물이 살아가는 서식지 환경이 기후 변화, 수질 오염, 어업 등 천연자원 착취, 트롤 어선 등에 의한 해저 파괴, 개발 등으로 인해 변화하면 해당 생물종이 멸종에 이를 수도 있다.
- 대책
- *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 (CITES)
- * 이동성 야생 동물종의 보전에 관한 협약 (CMS)
- * 서식지 보전
- * 어획 가능량 설정, 수렵 기간 제한 - 특정 시기나 금지 기간을 설정하여 자원량을 유지한다.
- * 환경영향평가 - 도시화, 광산 개발, 수변 개발 등을 진행하기 전에 생물종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확인하는 절차.
- * 종 재도입
7. 2. 파괴

서식지는 자연적인 과정이나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한다. 지형학적 변화는 지각 융기나 침강 같은 지질 과정과 관련되며, 때로는 지진, 산사태, 폭풍, 홍수, 산불, 해안 침식, 삼림 벌채, 토지 이용 변화 등 더 빠른 변화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농업 방식의 변화, 관광, 오염, 단편화, 기후 변화와 같은 인간 활동에 의해 서식지 유형이 변화하기도 한다. 이러한 인위적인 요인들은 자연적인 변화보다 훨씬 빠르고 광범위하게 진행되어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서식지 손실은 모든 종에게 가장 큰 위협으로 작용한다. 만약 특정 지역에만 서식하는 고유종이 사는 서식지가 파괴되면, 해당 종은 멸종에 이르게 된다. 다른 환경으로 둘러싸인 모든 서식지는 마치 섬과 같은 상황에 놓이게 된다. 예를 들어, 벌목으로 인해 숲이 여러 조각으로 나뉘고 남은 숲 조각 사이의 거리가 동물이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면, 해당 서식지에 사는 종들은 특히 취약해진다. 작은 개체군은 일반적으로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하며, 포식 증가, 경쟁 증가, 질병 및 예상치 못한 재앙에 더 쉽게 노출된다.
서식지 단편화는 가장자리 효과를 유발하기도 한다. 숲 조각의 가장자리는 내부보다 빛이 많이 들어와 빠르게 자라는 식물들이 우세하게 되고, 오래된 숲의 나무들은 벌목에 더 취약해진다. 나무 구멍에 둥지를 트는 새, 나뭇가지에 매달려 사는 착생식물, 낙엽 속 무척추동물 등 많은 생물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 생물 다양성이 감소한다. 서식지 단편화의 부정적 영향은 단편화된 서식지들을 연결하는 야생 동물 통로를 만들어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다. 이러한 통로는 강, 도랑, 나무 띠, 생울타리 또는 고속도로 아래의 생태통로 등이 될 수 있다. 통로가 없으면 씨앗이 퍼지기 어렵고, 동물, 특히 작은 동물들은 적대적인 환경을 통과하여 이동하기 어려워 지역 멸종의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된다.
서식지 교란은 환경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 유래한 풀인 ''Bromus tectorum''은 미국에 도입되어 침입종이 되었다. 이 풀은 불에 잘 적응하여 많은 양의 마른 식물 부스러기를 만들고, 이는 산불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 풀이 자리 잡은 지역에서는 토종 식물들이 잦은 화재에서 살아남기 어려워져, 결국 침입종이 더욱 우세하게 된다. 해양 생태계에서는 성게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주변의 모든 거대 조류를 먹어 치우는 경우가 있다. 이전에는 다시마 숲이었던 곳이 성게만 무성한 성게 황무지로 변해 수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이는 먹이 사슬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반대로 질병 등으로 성게가 제거되면 다시마가 빠르게 다시 자라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식지는 특정 생물이 원래 살던 지역을 의미하며, 그 생물이 해당 환경에 잘 적응하여 번식하기에 적합한 자연 환경이 있음을 뜻한다. 생물은 수천 년에서 수만 년 이상 오랜 기간에 걸쳐 특정 지역 환경에 적응해 왔지만, 이러한 환경은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경우가 많다. 어떤 영향으로 환경이 변화하면 그곳에 의존해 살아가던 생물에게 큰 시련이 된다.
특히 세대 교체가 느린 생물은 적자생존이나 진화를 통한 환경 적응 속도도 느린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인간 활동에 의한 개발이나 오염처럼 수십 년에서 수백 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급격한 환경 변화가 발생하면, 원래 서식지와 전혀 다른 환경에 놓이는 것과 같아 적응하지 못하고 절멸할 위험에 처한다.
반면에, 비교적 흔한 환경에서 살거나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범위가 넓은 생물은 넓은 범위에 적응할 가능성을 가지므로, 종으로서 유리하게 서식지를 넓혀갈 수 있다. 이는 번식과 운동 능력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확산되는 경우도 있지만, 인위적으로 운반된 외래종처럼 옮겨진 곳에 너무 잘 적응하여 토착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는 경우도 있다.
동물이 가진 서식지, 식물이 생육하는 자생지는 해당 동물·식물에게 가장 생활·생육하기 좋은 장소·환경이므로, 기후 변화, 수질 오염, 어업 등 천연자원 착취, 트롤 어선 등에 의한 해저 파괴, 서식지 환경이 개발 등으로 변화하면 동물·식물이 멸종할 수도 있다.
- 멸종 위기종
- 서식지 파괴, 서식지 분단화, 생물 다양성 손실, 핫스팟
- 지역 멸종, 근친 약세, 멸종의 소용돌이
'''대책'''
-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 (CITES)
- 이동성 야생 동물종의 보전에 관한 협약 (CMS)
- 서식지 보전
- 어획 가능량 설정, 수렵 기간 제한 - 시기나 금지 기간을 설정하여 자원량을 유지한다.
- 환경영향평가 - 도시화·광산 개발·수변 개발 등을 하기 전에 생물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절차.
- 종 재도입
8. 서식지 보호
서식지 유형의 보호는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단계이다. 서식지 파괴가 발생하면 해당 서식지에 의존하는 동식물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기 때문이다. 많은 국가에서는 자국의 야생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법률을 제정했다. 이러한 법률은 국립공원, 산림 보호 구역, 야생 동물 보호 구역 등을 지정하거나, 야생 동물의 이익을 위해 인간의 활동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특정 종이나 종 그룹을 보호하기 위해 조류 알 수집, 동물 사냥, 식물 채취 등을 금지하는 법률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서식지 유형 보호에 대한 일반적인 법률은 특정 장소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 사항보다 시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1973년 미국에서 도입된 멸종 위기 종의 핵심 서식지를 보호하는 개념은 일부 호주 법률에도 반영되었다.
해양 보호 구역 설정과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제 조약이 필요할 수 있다. 또 다른 국제 협약인 야생 동물의 이동성 종의 보존에 관한 협약은 전 세계를 이동하며 여러 국가의 보호가 필요한 동물을 보호하는 데 목적을 둔다.[22] 그러나 환경 보호 법률이 존재하더라도, 실질적인 집행이 부족하여 효과적인 보호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서식지 보호는 식량, 연료 등 자원에 대한 지역 주민의 필요를 고려해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생계가 어려운 농부는 특정 지역이 샌 킨틴 캥거루 쥐와 같은 멸종 위기 종의 마지막 남은 서식지라 할지라도 경작을 위해 땅을 갈아엎거나 동물을 해충으로 간주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사회가 생태 관광 등을 통해 지역 동식물의 가치를 인식하고 보전에 참여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물의 서식지나 식물의 자생지는 해당 생물에게 가장 적합한 생활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후 변화, 수질 오염, 어업 등 천연자원 착취, 트롤 어선 등에 의한 해저 파괴, 개발 등으로 서식지 환경이 변화하면 해당 동식물은 멸종 위기에 처할 수 있다.
'''관련 개념'''
- 멸종 위기종
- 서식지 파괴, 서식지 분단화, 생물 다양성 손실, 핫스팟
- 국소 멸종, 근친 약세, 멸종의 소용돌이
'''대책'''
-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 (CITES)
- 이동성 야생 동물종의 보전에 관한 협약 (CMS)
- 서식지 보전
- 어획 가능량 설정, 수렵 기간 제한 - 특정 시기나 금지 기간을 설정하여 자원량을 유지한다.
- 환경영향평가 - 도시화, 광산 개발, 수변 개발 등을 시행하기 전에 생물종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평가하는 절차이다.
- 종의 재도입
9. 단형 서식지
단형 서식지 유형은 특정 서식지에서 한 종의 동물 또는 식물만이 해당 유형의 유일한 종이며 단일 경작을 형성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때때로 보전 생물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이러한 서식지 유형은 다형 서식지 유형에 비해 생물 다양성이 빈약해 보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외래 식물 ''Hydrilla''의 단일 경작은 더 다양한 서식지와 유사하게 풍부한 무척추동물 군집을 지원하기도 한다.
단형 서식지는 식물학적 및 동물학적 맥락 모두에서 발생한다. 일부 침입종은 다른 종이 자라는 것을 방지하는 단일 경작지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우세한 식민지화는 침입종이 배출하는 성장 억제 화학 물질, 영양 독점 또는 자생 서식지 유형과의 균형을 유지하는 초식 동물이나 기후와 같은 자연적 통제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식물학적 단형 서식지의 예로는 노란색 별 엉겅퀴, ''Centaurea solstitialis''가 있으며, 이 종은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만 15000000acre 이상을 지배하고 있다.[23] 동물학적 단형 서식지의 예로는 북미 대호수와 미시시피 강 유역의 지역에 식민지를 형성하는 외래 담수 얼룩무늬 홍합, ''Dreissena polymorpha''이 있다. 이는 러시아의 원산지에서 이 홍합을 제어하는 포식자나 기생충이 북미에는 부재하기 때문이다.[24]
10.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
서식지는 특정 생물이 살아가는 자연 환경을 의미하며, 생물의 생존과 번식 성공률(적합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하다. 서식지는 생태적 니치, 행동권, 영역 등 다양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생물의 분포는 온도, 습도, 기후, 토양, 광도 등 다양한 환경 요인과 생존에 필요한 자원의 유무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동물 군집은 특정 유형의 식물 군락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생물마다 요구하는 서식지 조건은 매우 다양하다. 어떤 종은 배추흰나비처럼 남극을 제외한 거의 모든 대륙에서 발견될 정도로 넓은 범위의 환경에 적응할 수 있지만, 파란 큰유리창나비처럼 특정 식물(백리향)과 특정 개미(Myrmica) 종이 함께 존재하는 매우 제한적인 환경에서만 살아가는 종도 있다.
서식지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자연적인 교란이나 인간 활동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한다. 자연적인 교란(번개, 태풍, 쓰러진 나무 등)은 때로는 극상 군집의 우점을 막고 새로운 종이 정착할 기회를 제공하여 생물 다양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급격한 환경 변화, 특히 수십 년에서 수백 년 미만의 짧은 기간 동안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극적인 변화는 해당 지역에 적응해 온 생물에게 큰 위협이 되며, 심각할 경우 절멸로 이어질 수도 있다. 또한, 침입종이 새로운 환경에 유입되어 기존 생태계를 교란하고 토착 생물의 서식지를 위협하는 문제도 발생한다.[5]
생물은 때때로 더 나은 환경을 찾아 서식지를 이동해야 하지만, 이는 포식자에게 노출되거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할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매우 위험한 행동이다.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범위가 넓거나 이동 능력이 뛰어난 생물은 서식지를 넓혀나갈 가능성이 크지만, 인간에 의해 인위적으로 옮겨진 외래종처럼 지나치게 잘 적응하여 토착 생태계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10. 1. 동물의 서식지
서식지 선택은 개체군의 생존과 번식 성공률(적합도)과 깊은 관련이 있어 매우 중요하다. 서식지는 니치, 행동권, 영역으로 구분해 볼 수 있으며, 특히 행동권과 영역은 개체군뿐만 아니라 개체 수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때로는 서식지를 이동하는 것이 매우 위험한 행동이지만,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경우가 많다.동물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 요인으로는 온도, 습도, 기후, 토양, 광도 등이 있으며, 생물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모든 자원의 유무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동물 군집은 특정 유형의 식물 군락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어떤 동물들은 매우 넓은 범위의 서식지 요구 조건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배추흰나비는 남극을 제외한 세계 모든 대륙에서 발견된다. 이 나비의 유충은 다양한 ''배추''속 식물과 여러 다른 식물 종을 먹고 살며, 다양한 식물 군락이 있는 거의 모든 열린 공간에서 번성할 수 있다. 반면, 어떤 동물들은 매우 특정한 서식지 요구 조건을 가진다. 파란 큰유리창나비는 백악질 초원 지역에서만 발견되며, 유충은 ''백리향''속 식물만을 먹고, 복잡한 생활사 때문에 특정 개미 종(Myrmica)이 서식하는 지역에서만 살 수 있다.
자연적인 교란은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서식지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란이 없다면, 소수의 극상 식생이 발달하여 다른 종들의 정착을 방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생화 초원은 때때로 보존 노력의 일환으로 만들어지지만, 사용되는 꽃 식물 대부분이 한해살이 식물 또는 두해살이 식물이어서, 묘목이 자랄 수 있는 맨땅이 유지되지 않으면 몇 년 안에 사라지게 된다. 열대 우림에서는 번개나 쓰러진 나무가 숲에 빈틈(틈새)을 만들고, 이곳에 개척자 종이 들어와 자리를 잡으면서 전체적인 종 풍부도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이와 유사하게, 해안 서식지에서는 폭풍이 해저를 뒤흔들어 해조류를 쓸어내거나 퇴적물을 이동시켜 새로운 군집화 지역을 드러낼 때까지 켈프가 우점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침입종이 새로운 환경에 도입되어 천적의 통제를 받지 않고 번성하면서 기존 생태계를 압도하고 서식지를 변화시키는 것도 중요한 교란 요인 중 하나이다.[5]
미세 서식지는 특정 유기체 또는 개체군이 필요로 하는 더 작은 규모의 물리적 환경을 의미한다. 모든 서식지는 빛, 습도, 온도, 공기의 움직임 및 기타 요인들이 미묘하게 다른 수많은 미세 서식지 유형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바위의 북쪽 면에서 자라는 지의류는 남쪽 면, 평평한 꼭대기, 주변 땅, 바위의 홈이나 솟아오른 표면, 또는 석영맥에서 자라는 지의류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아주 작은 "숲"과 같은 환경에는 각각 고유한 서식지 요구 사항을 가진 미소동물군(주로 무척추동물) 종들이 숨어 산다.[11]
숲은 특히 다양한 미세 서식지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침엽수림, 활엽수림, 개방된 숲, 흩어져 있는 나무, 숲 가장자리, 빈터 및 풀밭 등 큰 규모의 환경 차이뿐만 아니라, 나무 줄기, 가지, 잔가지, 싹, 잎, 꽃, 열매, 거친 껍질, 매끄러운 껍질, 손상된 껍질, 썩은 나무, 구멍, 홈, 수관(나무갓), 관목층, 식물층, 낙엽, 토양, 부벽 뿌리, 그루터기, 쓰러진 통나무, 풀 덩이, 곰팡이, 고사리, 이끼 등 무수히 많은 작은 구조물과 환경이 미세 서식지가 된다. 숲의 구조적 다양성이 클수록, 즉 다양한 종류와 크기, 나이의 나무가 있고 시냇물, 평지, 경사면, 길, 빈터 등 다양한 지형적 특징이 존재할수록 더 많은 미세 서식지 유형이 만들어진다. 이는 엄청나게 다양한 식물과 동물에게 적합한 생활 조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썩은 나무가 1,700종 이상의 무척추동물의 서식지가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기생 유기체의 경우, 서식지는 그들이 적응하여 살아가는 숙주의 몸 외부 또는 내부의 특정 부분이다. 일부 기생충의 생활사는 여러 다른 숙주 종을 거치거나 자유 생활 단계를 포함하며, 때로는 매우 다른 미세 서식지 유형 내에서 진행된다. 이러한 예로 미국 남동부의 기수 습지에 서식하는 흡충(편형동물) ''Microphallus turgidus''를 들 수 있다. 이 기생충의 첫 번째 중간 숙주는 복족류이고, 두 번째 중간 숙주는 새우이다. 최종 숙주는 이 새우를 먹는 조류 또는 포유류이다.
다음은 몇몇 동물의 주요 서식지 예시이다.
동물 | 주요 서식지 |
---|---|
펭귄 | 남극 (황제펭귄, 아델리펭귄), 남아메리카 (마젤란펭귄, 훔볼트펭귄, 마카로니펭귄), 갈라파고스 제도 (갈라파고스펭귄), 남아프리카 (아프리카펭귄), 호주 남부 (작은펭귄, 왕펭귄, 쇠푸른펭귄), 뉴질랜드 (푸른펭귄, 바위뛰기펭귄, 검은머리펭귄, 노란눈펭귄, 흰날개펭귄), 오클랜드 제도 (슐라터펭귄, 피오르드랜드펭귄). 남극뿐 아니라 온대 지역에도 다수 서식한다. |
아프리카코끼리 | 아프리카. 현존하는 가장 큰 육상 동물이다. |
아시아코끼리 | 인도, 수마트라 섬. |
오가사와라큰박쥐 |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
북극곰 | 북극. 가장 큰 곰 종류 중 하나이다. |
얀바루산병아리 | 일본 오키나와 섬 북부의 얀바루 지역. |
10. 2. 식물의 자생지
특정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식물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식물 이름 | 자생지 | 비고 |
---|---|---|
삼나무 | 일본 | 일본 특산종으로, 다른 지역에서는 자생하지 않는다. |
오사바구사 | 일본 | 일본 특산종으로, 다른 지역에서는 자생하지 않는다. |
레분우스유키소우 | 일본 레분섬 등 | 고산 식물이다. |
리시리히나게시 | 일본 리시리섬 등 | 고산 식물이다. |
히말라야의 블루 포피 | 히말라야 | 메코노프시스속 중 푸른 꽃잎을 가진 히말라야 특산 양귀비이다. 부탄의 국화이지만, 다른 히말라야 주변 지역에서는 가시가 있는 잡초로 취급받기도 한다. |
플룸 포피 | 일본, 중국 대륙 | 일본 특산의 타케니구사(케나시찬파기쿠, 마루바타케니구사 포함)와 중국 대륙 원산의 소과박락회 2종만으로 이루어진 속으로, 좁은 범위에 자생지가 있다. 일본에서는 잡초 취급을 받는 경우도 있다. |
11. 비오토프
비오토프는 생물의 서식 환경을 인위적으로 재현하여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시도를 말한다. 이는 동물과 식물뿐만 아니라 미생물까지 포함하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비오토프 조성을 통해 파괴된 생태계를 복구하거나, 주변 개발로 인해 사라진 생태계를 보존하여 그 지역에 살던 생물들에게 쉘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물가 생태계를 재구축하려는 시도가 잘 알려져 있지만, 비오토프는 물가 환경에만 국한되는 개념은 아니다.
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펌프와 같은 기계 장치를 사용하기도 하지만(하천에서 지류를 만드는 방식 등), 기본적으로는 자연스러운 상태를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곤충이나 작은 새 같은 작은 동물들이 자유롭게 살아가고, 때로는 서로 포식하거나 포식당하는 자연스러운 생태 관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비오토프의 규모나 재현하는 환경의 수준은 설치 및 운영 주체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수년에 걸쳐 안정적인 생태계로 자리 잡도록 관리한다. 이러한 활동은 바이오스피어 2 프로젝트처럼, 미래의 우주 개발을 염두에 두고 지구 외 환경에서 지구의 자연 환경을 재현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가 되기도 한다.
12. 와일드라이프 가든
와일드라이프 가든(eng)은 주변 야생 동물에게 지속 가능한 피난처를 제공하기 위해 정원사가 의도적으로 조성한 서식지이다.
12. 1. 하비타트
개체군의 적합도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서식지는 매우 중요하다. 서식지는 니치, 행동권, 영역(territory)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특히 행동권(eng)과 영역(eng)은 개체군뿐만 아니라 개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한편 서식지의 이동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지만 필수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와일드라이프 가든와일드라이프 가든(eng)은 주변의 야생 동물이 정원사에 의해 만들어진 서식지로, 지속 가능성 있는 피난처로 기능한다. 와일드라이프 가든은 자생종 식물, 조류, 양서류, 파충류, 곤충, 포유류 등 다양한 종의 서식지가 된다는 생각에 기반한다. 주거지가 건설되기 전의 환경을 본뜬 정원을 만들거나, 인접한 손대지 않은 야생지에 가깝게(재야생화) 함으로써, 생태계·자연 시스템이 전이대로서 상호 작용을 일으켜 항상성을 확립하고, 최종적으로는 정원사의 유지나 개입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와일드라이프 가든은 생물학적인 해충 방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물 다양성, 자생 식물을 촉진하고, 전반적으로 생물권, 더 넓은 생태 환경에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
정원사 사이에서는 "와일드 가든"이라는 단어가 아일랜드의 유력한 조경가이자 작가인 윌리엄 로빈슨의 저서 『The Wild Gardeneng』(1870년)에 의해 널리 알려졌다. 이 책의 영향으로 형식화되지 않은 정원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아졌고, 우드랜드 가든은 그 유산 중 하나가 되었다. 다만 야생 생물 자체는 로빈슨의 주된 관심사는 아니었다.
다양한 야생 동물에게 적합한 정원을 조성하려면 동물이 둥지를 틀거나 숨을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갖춘 여러 입체적인 서식지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야생 동물을 위한 정원에는 다음과 같은 서식지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 '''통나무 더미''': 그늘진 곳에 두는 것이 좋다. 통나무 더미는 곤충 및 기타 무척추동물, 파충류, 양서류에게 성역이 된다. 유기적인 구조는 보호와 번식 모두를 위한 쉼터를 제공한다. 통나무 외에도 정원의 잔재물을 주변에 추가하여 자연적인 멀칭, 비료, 잡초 방지, 토양 개량, 절지동물 포식자의 서식지로 활용할 수 있다[25].
- '''새 먹이통 및 새집''': 새 먹이통과 쉼터는 생물학적 해충 방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원 새의 수를 증가시킨다. 먹이와 쉼터는 새의 생존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번식기를 성공적으로 보내기 위한 충분한 건강 상태를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준다[26].
- '''곤충집과 벌집''': 속이 빈 줄기 묶음(엘더베리 열매, Eutrochium|조 파이 위드eng, 대나무)을 걸어두면 유익한 곤충, 예를 들어 Mason Bee|맵시벌eng과 같은 귀중한 수분 매개체에게 대체 쉼터나 번식 장소가 될 수 있다[27].
- '''수원''': 연못과 같은 물가는 많은 생물 다양성을 가진 야생 동물을 지원할 수 있다. 야생 동물을 최대한 끌어들이려면 다양한 깊이의 물가를 구성해야 한다. 얕은 곳은 새가 물을 마시고 곤충과 양서류가 알을 낳기 위해 이용하며, 깊은 곳은 수생 곤충의 서식지가 되고 양서류 또는 물고기가 헤엄치는 장소가 된다[28].
- '''꽃가루 매개자'''(화분 매개자): 꿀이 풍부한 꽃은 벌과 나비를 정원으로 끌어들인다 (꽃가루 매개 정원). 이는 미국, 유럽 및 기타 지역에서 꽃가루 매개체의 수가 급감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특히 중요하다[29]. 야생초 초원은 정원의 잔디를 대체할 수 있는 선택지이며, 매개체의 성역으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수분 식물을 나비의 번식에 적합한 식물(기주 식물)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30][31].
- '''식물의 다양성''': 정원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포함하여 다양한 서식지로 기능하게 해야 한다. 그라운드 커버, 관목, 하층 식물, 수관 종의 균형을 맞추면 야생 동물의 개별적인 요구에 맞는 크기의 쉼터를 만들 수 있다. 특히 해당 지역이나 주의 자생종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생종 식물은 많은 비자생종 식물보다 곤충 및 기타 무척추 동물에게 더 적합하다.
12. 2. 식물 선택

야생 동물을 위한 서식지로서 정원을 조성하는 와일드라이프 가든(Wildlife Garden)에서는 식물 선택이 중요하다. 이러한 정원은 주변 야생 동물에게 지속 가능성 있는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자생종 식물, 조류, 양서류, 파충류, 곤충, 포유류 등 다양한 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중점을 둔다. 주거지가 들어서기 전의 환경을 모방하거나, 인접한 자연 상태의 야생지에 가깝게 조성함으로써 생태계가 항상성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이는 생물 다양성을 증진하고 생물권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야생 정원을 만들 때 외래종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양한 자생종을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권장된다. 자생종은 해당 지역의 자연 생태계에 이미 적응되어 있기 때문에 외래종보다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생 식물을 선택하는 것은 식물뿐만 아니라 그 지역 고유의 곤충이나 균류 같은 다른 생물들의 다양성을 함께 지원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반면, 시중에서 흔히 판매되는 관상 식물 중 일부는 특정 해충에 강하도록 개량되어 "해충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32] 이는 자생 곤충들이 해당 식물에 적응하기 어렵게 만들며, 결과적으로 곤충을 먹이로 삼는 동물의 먹이 자원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특정 지역에서 관상용 식물의 과도한 식재는 곤충 개체 수를 줄이고, 이는 다시 해당 지역에 서식하는 조류의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33]
네덜란드에는 "헤무튜넨(heemtuinen)"이라 불리는 야생 동물 정원이 있다. 1925년 하를렘 근교 블루멘달에 문을 연 타이세즈 호프(:en:Thijsse's Hof)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야생 동물원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이곳은 설립자인 야코프스 페트뤼스 테이서(Jac. P. Thijsse)의 6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만들어졌다. 이 정원은 사우스 케네머랜드 사구 지대에 자생하는 약 800종의 식물을 전시하며 자생종 중심의 정원 조성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네덜란드 전역에는 약 25개의 와일드 라이프 가든이 운영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Fishes beneath Antarctic ice
https://media.austra[...]
Australian Museum
2021-07-19
[2]
간행물
Another plea for standard terminology: Editor's Message
2016-07-26
[3]
서적
Problem-based Microbiology
https://books.google[...]
Saunders
2021-04-24
[4]
웹사이트
Habitat
[5]
웹사이트
Invasive species
https://www.nwf.org/[...]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2016-05-24
[6]
웹사이트
Couch's spadefoot (''Scaphiopus couchi'')
http://www.desertmus[...]
Arizona–Sonora Desert Museum
2016-05-16
[7]
서적
Ecolog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Vernal Pool Ecosystems
California Native Plant Society
[8]
웹사이트
Fairy shrimp
http://www.vernalpoo[...]
The Vernal Pool Association
2016-05-17
[9]
뉴스
The most extreme fish on Earth
https://www.bbc.co.u[...]
2016-05-17
[10]
웹사이트
UK Terrestrial & Freshwater Habitat Types: Freshwater Habitat descriptions
https://data.jncc.go[...]
Joint Nature Conservation Committee
2024-05-16
[11]
웹사이트
Microhabitat types
https://www.anbg.gov[...]
Government of the Commonwealth of Australia
2016-05-18
[12]
뉴스
Bacteria Found Deep Under Antarctic Ice, Scientists Say
https://www.nytimes.[...]
2016-05-18
[13]
웹사이트
Microbes Thrive in Deepest Spot on Earth
http://www.livescien[...]
LiveScience
2016-05-18
[14]
웹사이트
Intraterrestrials: Life Thrives in Ocean Floor
http://www.livescien[...]
LiveScience
2016-05-18
[15]
웹사이트
Two miles underground
http://www.princeton[...]
Princeton Weekly Bulletin
1999-12-13
[16]
웹사이트
What does it take to live at the bottom of the ocean?
https://www.bbc.co.u[...]
BBC Earth
2016-05-19
[17]
웹사이트
Hydrothermal Vent Creatures
http://ocean.si.edu/[...]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6-05-20
[18]
백과사전
Petroleum fly
The Gale Group
[19]
간행물
Cyanobacterial composition of microbial mats from an Australian thermal spring: a polyphasic evaluation
[20]
웹사이트
Gas-powered Circle of Life: Succession in a Deep-sea Ecosystem
http://oceanexplorer[...]
NOAA
2016-05-22
[21]
웹사이트
Snow algae on Alaskan glaciers
http://www-es.s.chib[...]
2016-05-22
[22]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Migratory Species of Wild Animals
http://www.cms.int/
UNEP/CMS Secretariat
2016-07-07
[23]
웹사이트
1970 distribution of yellow starthistle in the U.S.
http://wric.ucdavis.[...]
UCD
[24]
웹사이트
Invasive Mussels
https://www.nwf.org/[...]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2016-06-29
[25]
서적
Bringing Nature Home
Timber Press
2007
[26]
웹사이트
Gardening for Wildlife
http://www.bbowt.org[...]
2018-01-01
[27]
웹사이트
Bring Back the Pollinators
http://xerces.org/20[...]
2018-01-01
[28]
웹사이트
How to build a pond for wildlife
http://www.bbowt.org[...]
2018-01-01
[29]
웹사이트
Bring Back the Pollinators Campaign
https://xerces.org/b[...]
2018-01-01
[30]
서적
Bringing Nature Home
Timber Press
2007
[31]
서적
Bringing Nature Home
Timber Press
Douglas
[32]
서적
Bringing Nature Home
Timber Press
2007
[33]
웹사이트
Plants for Birds
http://www.audubon.o[...]
2018-01-01
[34]
웹인용
Habitat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Dictionary
2012-06-15
[35]
서적
A Dictionary of Biology
Penguin Reference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