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티메르 샤이미예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티메르 샤이미예프는 러시아 타타르스탄 공화국의 정치인이다. 1937년생으로, 카잔 농업 대학을 졸업하고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다. 타타르 공화국 각료회의 부의장, 의장 등을 거쳐 1989년 타타르 공산당 제1비서가 되었으며, 이듬해 타타르스탄 최고 소비에트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991년 타타르스탄 공화국 대통령에 당선되어 2010년까지 재임했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러시아 연방 정부와 권한 분할 조약을 체결하고, 타타르스탄의 경제 발전을 이끌었다. 퇴임 후에는 국가 고문으로 활동하며 유네스코 친선대사로 임명되어 문화 간 대화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민티메르 샤이미예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적타타르족
출생일1937년 1월 20일
출생지아냑, 악타니시스키 구, 타타르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배우자사키나 샤키로브나 샤이미예바
자녀2명
직책
타타르스탄 공화국 대통령역대
임기 시작1991년 6월 12일
임기 종료2010년 3월 25일
전임사무실 신설
후임루스탐 민니하노프
총리무함마트 사비로프
파리트 무하메트신 (자신)
루스탐 민니하노프
타타르스탄 공화국 총리 (대행)역대
임기 시작1998년 5월 27일
임기 종료1998년 7월 10일
전임파리트 무하메트신
후임루스탐 민니하노프
소속 정당
정당통합 러시아

2. 생애

민티메르 샤이미예프는 소련 타타르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재의 타타르스탄 공화국) 출신으로, 카잔 농업 대학을 졸업하고 소련 공산당에서 활동했다. 1960년대 후반부터 타타르 공화국에서 농업 및 수자원 관련 요직을 거쳤으며, 1980년대에는 타타르 공화국 공산당 제1서기, 최고 소비에트 의장 등을 역임했다.

1990년 타타르스탄의 주권 선언에 참여했고, 1991년부터 2010년까지 타타르스탄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했다. 보리스 옐친, 블라디미르 푸틴 등 러시아 연방 정부와의 관계에서 타타르스탄의 자치권과 특권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며, 카잔 지하철 건설, 카잔 크렘린 재건 등 여러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2010년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후 타타르스탄 공화국의 국가 고문으로 활동하며, 유네스코 문화 간 대화 분야 친선대사를 역임하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경력

소련 타타르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재의 러시아 타타르스탄 공화국) 아냐코보에서 콜호스 의장의 가정에서 태어났다. 1959년 카잔 농업 대학(카잔 농업 연구소)을 졸업하고 1963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다.

연도내용
1967년소련 공산당 타타르 주 위원회 농업과 강사, 부주임
1969년타타르 공화국 토지 개량·수리 사업 장관
1983년타타르 각료회의 제1부의장(제1부수상), 소련 공산당 타타르 주 위원회 서기
1985년타타르 각료회의 의장(총리)
1989년소련 인민 대의원, 소련 공산당 타타르 주 위원회 제1서기
1990년소련 공산당 중앙 위원, 타타르스탄 공화국 최고 회의 의장, 주권 선언
1991년타타르스탄 공화국 대통령, 소련 8월 쿠데타 당시 국가 비상 사태 위원회 지지


2. 2. 정치 경력

민티메르 샤이미예프는 1959년 카잔 농업 대학을 졸업하고 1963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다. 1967년 타타르 공화국 지방당 조직의 농업부 차장 및 강사로 임명되었고, 1969년에는 타타르 공화국의 물 개량 및 개선 담당자로, 1983년에는 타타르족 각료 회의 부의장으로 임명되었다.[1]

1989년 타타르 공화국 공산당 제1비서로 임명됨과 동시에 소련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90년 4월에는 타타르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1990년 8월 31일 타타르 공화국의 주권 선언에 참여했다. 1991년 6월 12일 타타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1991년 8월 모스크바 쿠데타 당시 국가 비상 사태 위원회를 지지하는 선언을 발표했다.[1] 1992년 3월에는 타타르스탄의 주권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62%의 찬성표를 얻었다.[1]

1994년 2월 15일, 샤이미예프는 다른 러시아 연방 구성 주체에 앞서 중앙 정부와 권한 분할 조약을 조인했다. 1996년 공화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단독 후보로 출마하여 9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1999년 하원 국가 회의 선거에서는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전 총리, 유리 루시코프 모스크바 시장과 함께 정치 블록 "조국-전 러시아"를 결성해 옐친에게 도전했지만, 블라디미르 푸틴의 돌풍으로 여당 "통일"이 승리하자 "조국-전 러시아"와 "통일"을 통합하여 "통일 러시아"를 결성하고 루시코프, 세르게이 쇼이구와 함께 당 최고 회의 공동 의장(당수)에 취임했다.[9]

2000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취임 이후, 푸틴의 중앙 집권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샤이미예프는 푸틴과 정면 충돌을 피하며 타타르스탄의 특권 유지를 꾀했다. 러시아 연방 및 타타르스탄 공화국 헌법상 지방 대통령·지사 등의 3선은 금지되었지만, 푸틴은 타타르스탄에 특례를 인정하여 2001년 3월 타타르스탄 대통령 선거에서 3선에 성공했다. 샤이미예프 하에서 타타르스탄은 종합 경제 지표에서 모스크바에 이어 2위의 러시아 연방 주체가 되었다. 2005년 3월에는 4선에 성공했다.

2010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 취임과 함께, 샤이미예프는 차세대 지도자에게 지위를 양보한다며 루스탐 민니하노프를 메드베데프에게 추천하고 타타르스탄 대통령 직을 사임하고 국가 고문에 취임했다.[10][11]

2. 3. 타타르스탄 대통령

1991년 6월 12일, 샤이미예프는 타타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1991년 8월 모스크바 쿠데타 시도 당시 국가 비상 사태 위원회의 입장을 지지하는 선언을 발표했다.[1] 1992년 3월에는 타타르스탄의 주권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했는데, 유권자의 62%가 주권에 찬성표를 던졌다. 같은 해 샤이미예프의 첫 국빈 방문카자흐스탄이었고,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으로부터 환영을 받았다.[1]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후 1992년 타타르스탄을 주권 국가로 정의하는 신헌법 제정에 관한 국민 투표에서 약 62%가 찬성했다. 그러나 이 국민 투표와 헌법은 러시아 법원에 의해 위헌으로 판결났고, 샤이미예프는 타타르스탄의 분리 독립을 지향하는 급진적인 민족주의를 억제하면서 옐친 대통령이 이끄는 러시아 연방 정부와 교섭하여 타협을 이끌어냈다. 1994년 2월 15일에는 다른 러시아 연방 구성 주체에 앞서 중앙 정부와 권한 분할 조약을 체결했다. 타타르스탄에 러시아 이슬람교도의 약 48%가 집중되어 있었던 것도 샤이미예프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1996년 공화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샤이미예프에 대한 대항 후보는 없었고, 9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1999년 하원 국가 회의 선거에서는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전 총리, 유리 루시코프 모스크바 시장과 정치 블록 "조국-전 러시아"를 결성해 옐친에게 도전했지만, 푸틴 돌풍으로 여당 "통일"이 승리하자, "조국-전 러시아"와 "통일"을 통합하여 "통일 러시아"를 결성하고 루시코프, 세르게이 쇼이구와 함께 당 최고 회의 공동 의장(당수)에 취임했다.

2000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취임 후, 푸틴은 중앙 집권화 정책을 실행했지만, 샤이미예프는 푸틴과 정면 충돌을 피하고 타타르스탄의 특권 유지를 꾀했다. 러시아 연방 및 타타르스탄 공화국 헌법에는 지방 대통령·지사 등의 3선이 금지되어 있었지만, 푸틴은 타타르스탄에 특례를 인정하여 2001년 3월 타타르스탄 대통령 선거에서 3선했다. 샤이미예프 하에서 타타르스탄은 종합 경제 지표에서 모스크바에 이어 2위의 러시아 연방 주체가 되었다. 카잔 지하철 건설, 세계 유산으로 추진한 카잔 크렘린 재건 등도 성공하여 샤이미예프는 절대적인 지지를 얻어 2005년 3월에 4선했다.

2010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 취임과 함께, 샤이미예프는 차세대 지도자에게 지위를 양보한다며 루스탐 민니하노프를 추천하고 타타르스탄 대통령 직을 사임, 국가 고문에 취임했다. 2010년 1월, 메드베데프에게 타타르스탄 대통령으로 연임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고, 루스탐 민니하노프 타타르스탄 총리가 자신이 선호하는 후임자라고 말했다.[2] 이후 메드베데프는 2010년 1월 27일 샤이미예프의 후임으로 민니하노프를 지명했다.[3]

2. 4. 대통령 퇴임 이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샤이미예프는 새로운 세대에게 길을 터주기 위해 2010년 1월 메드베데프에게 타타르스탄 대통령직 연임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루스탐 민니하노프 타타르스탄 총리가 자신의 후임자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2] 이후 메드베데프는 2010년 1월 27일 샤이미예프의 후임으로 민니하노프를 지명했다.[3]

2001년, 샤이미예프는 모스크바 시장 유리 루시코프와 함께 통일 러시아당을 창당했다.[4] 그는 대통령직 사임 직후 타타르스탄 공화국의 국가 고문이 되었으며, "야나리쉬" 재단의 의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5]

2017년, 샤이미예프는 유네스코 친선대사로 임명되어 문화 간 대화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6]

3. 평가

민티메르 샤이미예프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여러 상을 받았고, 국제기구와 종교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3. 1. 긍정적 평가

러시아 연방 기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전 세계 기사단 연맹 국제 의회 간부회 명예 의원, 국제 정보화 아카데미 명예 회원, 모스크바 국립 국제 관계 대학교 명예 교수이다.

노동 적기 훈장, 10월 혁명 훈장, 인민 우호 훈장, 2등 "조국에 대한 공헌에 대한" 훈장, "러시아 국가 올림픽"상 "명예와 헌신에 대한" 훈장을 수상했다.

2005년, 모스크바 총대주교 알렉세이 2세는 샤이미예프에게 라도네시의 성 세르기 훈장을 수여했다. 2007년에는 다년간의 이슬람 활동에 대해 킹 파이잘 국제상 이슬람 봉사 부문을 수상했다.

1998년, 케임브리지 국제 전기 센터는 샤이미예프를 "올해의 인물"로 선정했다. 2001년, 유네스코는 문화·역사 재산 보호에 대한 큰 공헌으로 아비센나 은메달을 수여했다. 2005년, 국제 자선 재단 "세기의 후원자"로부터 루비 십자 훈장, 러시아 연방과 유네스코 간의 협력에 대한 공헌으로 "러시아-유네스코" 기념 메달을 수상했다.

4. 기타 활동

2001년, 유리 루시코프 모스크바 시장과 함께 통일 러시아 당을 창당했다.[4] 그는 사임 직후 타타르스탄 공화국의 국가 고문이 되었으며, "야나리쉬" 재단의 의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5]

2017년에는 유네스코 친선대사로 임명되어 문화 간 대화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6]

5. 수상 내역

수상 연도훈장 및 상 이름비고
1966년레닌 훈장
1971년노동 적기 훈장
1976년10월 혁명 훈장
1987년민족 우호 훈장
1997년Орден «За заслуги перед Отечеством»|조국 훈장ru 2급러시아 국가 건설, 민족 간의 우호와 협력 강화에 대한 개인적 공헌
1997년성 다닐 모스크바 공작 훈장 1급 (러시아 정교회)
1997년러시아 연방 정부 표창
2001년유네스코 아비센나 은메달문화·역사 재산의 보호에 대한 큰 공헌[3]
2002년PM 권총상
2003년"명예와 영광" 훈장 2급 (압하스)코카서스 지역의 평화와 우호 관계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압하스를 적극적으로 지원한 공로
2005년Орден Преподобного Сергия Радонежского|성 세르기우스 훈장ru 1급 (러시아 정교회)
2005년카자흐스탄 공화국 초대 대통령 평화 및 진보 국가상
2005년카잔 명예 시민
2005년 6월명예 훈장 "알 파르" 1급
2005년국제 자선 재단 "세기의 후원자" 루비 십자 훈장
2005년"러시아-유네스코" 기념 메달러시아 연방과 유네스코 간의 협력에 대한 공헌[3]
2007년Орден «За заслуги перед Отечеством»|조국 훈장ru 1급러시아 국가 건설 강화 및 사회 경제적 발전에 대한 탁월한 공헌
2007년러시아 외무부 흉장 "국제 협력에 대한 기여"
2007년킹 파이살 국제상(사우디 아라비아)"이슬람 문화 부흥에 대한 공헌"
2008년러시아 연방 대통령 표창헌법 초안 작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러시아 연방의 민주적 기초에 크게 기여한 공로
2008년올림픽 훈장"올림픽 운동 발전에 대한 탁월한 공헌."
2010년Орден «За заслуги перед Отечеством»|조국 훈장ru 3급사회 경제적 발전에 대한 탁월한 공헌과 장기간의 근면한 노력
2010년Орден Дружбы|우호 훈장ru 1급 (카자흐스탄)
2010년타타르스탄 공화국 공로 훈장
2014년Орден «За заслуги перед Отечеством»|조국 훈장ru 4급
"동방" 명문 검16세기 이란의 검 "샴시르"의 복제품
러시아 예술원 명예 회원


참조

[1] 웹사이트 Nursultan Nazarbayev: Looking Back at a Legac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with Tatarstan https://astanatimes.[...] 2020-07-02
[2] 뉴스 Tatarstan President Quits As Kremlin Revamps Regions http://www.times.spb[...] The St. Petersburg Times 2010-01-26
[3] 뉴스 Medvedev nominates Minnikhanov as new president of Tatarstan http://www.itar-tass[...] ITAR-TASS 2010-01-27
[4] 뉴스 'United Russia: Nine years later' http://english.pravd[...] Pravda.Ru 2001-12-02
[5] 웹사이트 Состав Попечительского и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го Советов http://yanarysh.tata[...]
[6] 웹사이트 Mintimer SHAIMIEV https://en.unesco.or[...] UNESCO 2023-09-12
[7]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Республики Татарстан : Республика Татарстан https://web.archive.[...] 2006-09-25
[8] 웹사이트 Заявились в Россию :: Общество :: Газета РБК http://www.rbcdaily.[...] 2014-03-17
[9] 뉴스 'ПОЛИТ.РУ \ НОВОСТИ \ Съезд центристов избрал Генеральный совет «Единства и Отечества» и призвал россиян вступать в ряды новой партии' http://www.polit.ru/[...]
[10] 뉴스 Tatarstan President Quits As Kremlin Revamps Regions http://www.times.spb[...] The St. Petersburg Times 2010-01-26
[11] 웹사이트 BIOGRAPHY https://shaimiev.t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