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누아투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누아투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누아투를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1980년 바누아투 공화국으로 독립하기 전에는 뉴헤브리디스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OFC 네이션스컵에서 2024년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1973년, 2000년, 2002년, 2008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아직 없지만, 2010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에서 최종 예선까지 진출했다. 멜라네시아컵에서는 1990년 우승, 1998년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2023년 MSG 총리컵에서 3위를 차지했다. 주요 선수로는 켄시 탕기스, 브라이언 칼탁, 봉 칼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세아니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 통가 축구 국가대표팀
통가 축구 국가대표팀은 통가를 대표하며, 1993년 폴리네시아컵 우승이 최고 성과이나, 2019년 이후 경기 미개최로 FIFA 랭킹에서 제외되었고,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다. - 오세아니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 사모아 축구 국가대표팀
사모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사모아를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사모아 축구 협회에서 관리하며, FIFA 월드컵 예선과 OFC 네이션스컵, 퍼시픽 게임 등에 참가했으나 뚜렷한 성적은 없다. - OFC에 관한 - 통가 축구 국가대표팀
통가 축구 국가대표팀은 통가를 대표하며, 1993년 폴리네시아컵 우승이 최고 성과이나, 2019년 이후 경기 미개최로 FIFA 랭킹에서 제외되었고,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다. - OFC에 관한 -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은 2004년 뉴질랜드 내셔널 사커 리그를 대체하여 창설된 뉴질랜드 축구 클럽 대회로, 정규 시즌과 플레이오프로 진행되었으며, 참가팀 수와 경기 방식의 변화, 리그 명칭 변경을 거쳐 2021년 뉴질랜드 내셔널 리그로 대체되기 전까지 운영되었다.
| 바누아투 축구 국가대표팀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정식 명칭 | 바누아투 축구 국가대표팀 |
| 별칭 | 검은색과 금색의 사나이들 |
| 협회 | 바누아투 축구 연맹 |
| 연맹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 |
| 감독 | 줄리아노 슈멜링 |
| 주장 | 브라이언 칼탁 |
| 최다 출전 선수 | 켄시 탕기스 (39회) |
| 최다 득점 선수 | 리처드 이와이 (20골) |
| 홈 경기장 | 포트빌라 무니시팔 스타디움 |
| FIFA 코드 | VAN |
| FIFA 최고 랭킹 | 131위 |
| FIFA 최고 랭킹 기록일 | 2007년 10월 |
| FIFA 최저 랭킹 | 201위 |
| FIFA 최저 랭킹 기록일 | 2015년 10월~11월 |
| Elo 최고 랭킹 | 129위 |
| Elo 최고 랭킹 기록일 | 2004년 6월 2일 |
| Elo 최저 랭킹 | 191위 |
| Elo 최저 랭킹 기록일 | 1994년 7월 |
| 첫 국제 경기 | 뉴질랜드 9–0 뉴헤브리디스 (누메아, 누벨칼레도니, 1951년 10월 4일) |
| 최대 점수차 승리 | 키리바시 0–18 바누아투 (라우토카, 피지, 2003년 7월 7일) |
| 최대 점수차 패배 | 뉴질랜드 9–0 뉴헤브리디스 (누메아, 누벨칼레도니, 1951년 10월 4일) |
| 지역 대회 정보 | |
| 지역 대회 이름 | OFC 네이션스컵 |
|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10회 |
| 첫 지역 대회 출전 | 1973년 |
| 지역 대회 최고 성적 | 준우승 (2024년) |
| 두 번째 지역 대회 이름 | 퍼시픽 게임 |
| 두 번째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15회 |
| 첫 두 번째 지역 대회 출전 | 1963년 |
| 두 번째 지역 대회 최고 성적 | 준우승 (1971년) |
| 세 번째 지역 대회 이름 | 멜라네시아 컵/MSG 총리 컵 |
| 세 번째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9회 |
| 첫 세 번째 지역 대회 출전 | 1988년 |
| 세 번째 지역 대회 최고 성적 | 멜라네시아 컵: 우승 (1990년) MSG 총리 컵: 3위 (2023년) |
| 네 번째 지역 대회 이름 | 완톡 컵 |
| 네 번째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3회 |
| 첫 네 번째 지역 대회 출전 | 2008년 |
| 네 번째 지역 대회 최고 성적 | 우승 (2011년) |
2. 역사
바누아투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0년 독립 이전에는 뉴헤브리디스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알려져 있었다. OFC 네이션스컵에 7회 출전하여 4번이나 4위를 차지했다. 특히 2004년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에서는 강호 뉴질랜드를 4-2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18]
2015년 7월 7일에 개최된 태평양 게임 축구 경기에서는 미크로네시아 연방(FIFA 비회원국)을 상대로 46-0이라는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비록 U-23 대표팀 경기였기 때문에 기네스 기록으로 인정받지는 못했지만, 국가 대표팀급 경기에서는 세계 최대 점수 차 승리 경기이다.[18]
2. 1. 초기 (1951년–2022년)
1980년 바누아투 공화국이 되기 전까지는 '''뉴헤브리디스'''로 알려져 있었다. 뉴헤브리디스는 1973년, 2000년, 2002년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에서 4위를 차지했다. 2004년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에서는 바누아투가 뉴질랜드를 4-2로 이겨 지역 강호가 결승에 진출하지 못하게 했고, 결과적으로 2006년 FIFA 월드컵 진출 경쟁에서 탈락하게 만들었다.바누아투는 2007년 남태평양 게임에서 솔로몬 제도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하는 또 다른 이변을 일으켰으며,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 예선 2단계에 진출하여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10년 FIFA 월드컵 플레이오프 진출 기회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솔로몬 제도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 것은 1998년으로, 그 이후로는 한 번의 무승부를 제외하고는 계속 패배를 거듭했다. 2008년 7월, 바누아투는 초대 완톡컵에서 솔로몬 제도의 두 국가대표팀과 맞붙었다. 바누아투는 솔로몬 제도 A팀에 1-2로 패했지만, B팀을 2-1로 이겼다.
2. 2. 팀의 발전과 인정 (2023년–현재)
2023년, 바누아투는 인도에서 열린 2023 인터컨티넨탈컵 대회에 초청받았는데, 이는 바누아투 대표팀이 오세아니아 대륙 밖에서 참가한 첫 번째 대회였다. 6월 9일 첫 경기에서 레바논과 맞붙었지만 3-1로 패했다. 다음 경기에서는 후반 막판 실점하며 개최국 인도에 1-0으로 아쉽게 패했다. 6월 15일, 바누아투는 몽골을 1-0으로 승리하며 3점을 획득, 최종 3위를 기록했다.3. 국제 대회 경력
바누아투는 1980년 독립 이전에는 뉴헤브리디스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 OFC 네이션스컵에 7회 출전하여 4위를 4번 차지했다. 특히 2004년에는 강호 뉴질랜드를 4-2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
2015년 7월 7일에 개최된 태평양 게임 축구 경기에서는 미크로네시아 연방(FIFA 비회원국)을 상대로 46-0이라는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는 U-23 대표팀 경기였기 때문에 기네스 기록으로 인정받지는 못하지만, 국가 대표팀급 경기에서는 세계 최대 점수 차 승리 경기이다.[18]
3. 1. FIFA 월드컵
바누아투의 FIFA 월드컵 본선 기록은 현재까지 없다. 다만 2007년 남태평양 게임과 2008년 OFC 네이션스컵을 겸한 2010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에서 최종 예선까지 진출하며 바누아투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1]| FIFA 월드컵 기록 | width="1" rowspan="12" |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 연도 | 개최국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30년 ~ 1986년 | FIFA 회원국이 아님 | FIFA 회원국이 아님 | |||||||||||||
| 1990년 | 참가하지 않음 | 참가하지 않음 | |||||||||||||
| 1994년 | 예선 탈락 | 4 | 0 | 0 | 4 | 1 | 18 | ||||||||
| 1998년 | 2 | 0 | 1 | 1 | 2 | 3 | |||||||||
| 2002년 | 4 | 1 | 0 | 3 | 11 | 21 | |||||||||
| 2006년 | 9 | 4 | 1 | 4 | 21 | 11 | |||||||||
| 2010년 | 12 | 5 | 1 | 6 | 30 | 19 | |||||||||
| 2014년 | 3 | 1 | 0 | 2 | 8 | 9 | |||||||||
| 2018년 | 3 | 1 | 0 | 2 | 3 | 8 | |||||||||
| 2022년 | 기권 | 기권 | |||||||||||||
| 2026년 | 미정 | 미정 | |||||||||||||
| 총계 | 0회 | 37 | 12 | 3 | 22 | 76 | 89 | ||||||||
3. 2. OFC 네이션스컵
바누아투는 OFC 네이션스컵 본선에 10번의 대회 중 1996년 대회를 제외하고 모두 출전했다. 이 중 2024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월드컵과 OFC 네이션스컵을 통틀어 역대 메이저 대회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4][5] 2024년 OFC 네이션스컵 결승전에서 뉴질랜드에 0-3으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개최년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1973 | 4위 | 5 | 1 | 1 | 3 | 5 | 10 |
| 1980 | 조별리그 탈락 | 3 | 0 | 0 | 3 | 6 | 9 |
| 1996 | 예선 탈락 | ||||||
| 1998 | 조별리그 탈락 | 2 | 0 | 0 | 2 | 2 | 13 |
| 2000 | 4위 | 4 | 1 | 0 | 3 | 5 | 8 |
| 2002 | 4위 | 5 | 2 | 0 | 3 | 2 | 6 |
| 2004 | 조별리그 탈락 | 5 | 1 | 0 | 4 | 5 | 9 |
| 2008 | 4위 | 6 | 1 | 1 | 4 | 5 | 13 |
| 2012 | 조별리그 탈락 | 3 | 1 | 0 | 2 | 8 | 9 |
| 2016 | 조별리그 탈락 | 3 | 1 | 0 | 2 | 3 | 8 |
| 2024 | 준우승 | 4 | 2 | 0 | 2 | 3 | 8 |
| 총계 | 10회 진출(10/11) | 40 | 10 | 2 | 28 | 44 | 93 |
3. 3. 퍼시픽 게임
바누아투는 1963년 초대 대회에 처음 출전한 이후 은메달 1개(1971년), 동메달 3개(1966년, 2003년, 2007년)를 획득했다. 2015년 대회에서는 U-23 대표팀으로 참가하여 2016년 하계 올림픽 오세아니아 지역 최종 예선에 진출했으나, 최종 예선 결승에서 피지와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패하며 첫 올림픽 본선 진출이 좌절되었다.[1]| 태평양 게임 기록 |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뉴헤브리디스(New Hebrides) 시절 | ||||||||
| 1963년 | 조별 리그 | 6위 | 1 | 0 | 0 | 1 | 3 | 6 |
| 1966년 | 3위 결정전 | 3위 | 4 | 1 | 2 | 1 | 9 | 14 |
| 1969년 | 조별 리그 | 5위 | 5 | 1 | 1 | 3 | 13 | 13 |
| 1971년 | 준우승 | 2위 | 4 | 2 | 1 | 1 | 9 | 12 |
| 1975년 | 조별 리그 | 5위 | 2 | 0 | 0 | 2 | 1 | 6 |
| 1979년 | 5위 | 5위 | 6 | 4 | 0 | 2 | 19 | 6 |
| 바누아투(Vanuatu) 시절 | ||||||||
| 1983년 | 조별 리그 | 6위 | 1 | 0 | 0 | 1 | 0 | 6 |
| 1987년 | 4위 | 4위 | 6 | 2 | 1 | 3 | 16 | 13 |
| 1991년 | 4위 | 4위 | 5 | 2 | 0 | 3 | 9 | 8 |
| 1995년 | 4위 | 4위 | 5 | 2 | 0 | 3 | 10 | 9 |
| 2003년 | 3위 | 3위 | 6 | 3 | 3 | 0 | 23 | 3 |
| 2007년 | 3위 | 3위 | 6 | 4 | 0 | 2 | 25 | 6 |
| 2011년 | 조별 리그 | 6위 | 5 | 4 | 0 | 1 | 18 | 7 |
| 2015년 | 바누아투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참조 | |||||||
| 2019년 | 조별 리그 | 5위 | 4 | 2 | 1 | 1 | 25 | 2 |
| 2023년 | 준결승 | 4위 | 4 | 1 | 1 | 2 | 9 | 6 |
| 합계 | 15/15 | 우승 0회 | 64 | 28 | 10 | 26 | 189 | 117 |
4. 기타 국제 대회 경력
멜라네시아컵에는 7번 출전하여 이 중 2번의 대회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각각 1번씩 차지했고 2017년 퍼시픽 미니 게임에서도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1]
| 멜라네시아컵 기록 |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88 | 3위 | 3rd | 4 | 1 | 0 | 3 | 2 | 19 |
| 1989 | 5위 | 5th | 4 | 0 | 0 | 4 | 2 | 12 |
| 1990 | 우승 | 1st | 4 | 2 | 2 | 0 | 4 | 2 |
| 1992 | 4위 | 4th | 3 | 0 | 0 | 3 | 1 | 6 |
| 1994 | 5위 | 5th | 4 | 0 | 1 | 3 | 5 | 12 |
| 1998 | 준우승 | 2nd | 4 | 2 | 1 | 1 | 8 | 6 |
| 2000 | 3위 | 3rd | 4 | 2 | 0 | 2 | 12 | 7 |
| MSG 총리컵 | ||||||||
| 2022 | 조별리그 | 5th | 2 | 0 | 1 | 1 | 2 | 3 |
| 2023 | 3위 | 3rd | 3 | 1 | 0 | 2 | 1 | 5 |
| 합계 | 9/9 | 우승 1회 | 32 | 8 | 5 | 19 | 37 | 72 |
| 완톡컵 기록 |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08년 | 준우승 | 2위 | 2 | 1 | 0 | 1 | 3 | 3 |
| 2011년 (비공식) | 준우승 | 2위 | 2 | 0 | 1 | 1 | 1 | 2 |
| 2011년 (비공식) | 우승 | 1위 | 2 | 1 | 1 | 0 | 2 | 0 |
| 총계 | 3/3 | 우승 1회 | 6 | 2 | 2 | 2 | 6 | 5 |
5. 팀 이미지
바누아투 축구 국가대표팀은 다양한 디자인의 유니폼을 사용해왔다. 1987년 홈 유니폼은 검은색 상의와 노란색 하의, 검은색 양말로 구성되었다.[10] 1992년 홈 유니폼은 노란색 상하의와 양말,[11] 원정 유니폼은 빨간색 상의, 검은색 하의, 녹색 양말로 구성되었다.[12] 2000년 홈 유니폼은 노란색 상의, 녹색 하의, 주황색 양말,[13] 2002년과 2004년 홈 유니폼은 노란색 상하의와 양말,[14][15] 2004년 원정 유니폼은 녹색 상하의와 양말로 구성되었다.[16]
| 연도 | 홈 유니폼 | 원정 유니폼 |
|---|---|---|
| 1987 | 검은색 상의, 노란색 하의, 검은색 양말 | |
| 1992 | 노란색 상하의, 노란색 양말 | 빨간색 상의, 검은색 하의, 녹색 양말 |
| 2000 | 노란색 상의, 녹색 하의, 주황색 양말 | |
| 2002 | 노란색 상하의, 노란색 양말 | |
| 2004 | 노란색 상하의, 노란색 양말 | 녹색 상하의, 녹색 양말 |
| 2007 | 빨간색 상하의, 빨간색 양말 | |
| 2009 | 빨간색 상의, 검은색 하의, 검은색 양말 | |
| 2011 | 노란색 상의, 검은색 하의, 노란색 양말 | 녹색 상의, 녹색 하의, 녹색 양말 |
| 2012 | 노란색 상의, 검은색 하의, 노란색 양말 | 녹색 상의, 검은색 하의, 검은색 양말 |
| 2016 | 노란색 상하의, 노란색 양말 | |
| 2017 | 노란색 상의, 검은색 하의, 노란색 양말 | 녹색 상하의, 녹색 양말 |
| 2019 | 노란색 상의, 검은색 하의, 노란색 양말 | |
| 2022 | 노란색 상의, 검은색 하의, 노란색 양말 | 녹색 상하의, 녹색 양말 |
| 2024 | 노란색 상의, 검은색 하의, 노란색 양말 | 녹색 상하의, 녹색 양말 |
유니폼 후원사는 롯토(2004년–2011년, 2022년–현재), 나이키(2012년), 베토(2013년–2016년), 파시피카(2017년), 고릴라 스포츠(2018년–2020년), KPI 스포츠(2020년–2022년), 마크론(2022년–2023년) 이다.[6]
5. 1. 유니폼 후원
| 용품 공급업체 | 기간 |
|---|---|
| 롯토 | 2004년–2011년 |
| 나이키 | 2012년 |
| 베토 | 2013년–2016년 |
| 파시피카 | 2017년 |
| 고릴라 스포츠 | 2018년–2020년 |
| KPI 스포츠 | 2020년–2022년 |
| 마크론 | 2022년–2023년 |
| 롯토 | 2022년–현재 |
6. 선수
리차드 이와이는 2000년부터 2007년까지 바누아투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선수이다.[9]
6.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6월 30일 뉴질랜드와의 OFC 네이션스컵 결승전 이후 업데이트된 선수 명단이다.[8]| 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클럽 |
|---|---|---|---|---|---|
| GK | 마싱 칼로탕 (Massing Kalotang) | 8 | 0 | Erakor Golden Star|에라코르 골든 스타|에라코르 골든 스타비슐라마어 | |
| GK | 앤서니 콰이 (Anthony Quai) | 0 | 0 | Penama|페나마|페나마비슐라마어 | |
| GK | 딕 사블란 (Dick Sablan) | 0 | 0 | Ifira Black Bird|이피라 블랙 버드|이피라 블랙 버드비슐라마어 | |
| DF | 미셸 쿨롱 | 17 | 1 | Mauriki|마우리키|마우리키비슐라마어 | |
| DF | 티모시 불레 (Timothy Boulet) | 15 | 0 | Ifira Black Bird|이피라 블랙 버드|이피라 블랙 버드비슐라마어 | |
| DF | 셀윔 바투 (Selwym Vatu) | 13 | 0 | ABM Galaxy|ABM 갤럭시|ABM 갤럭시비슐라마어 | |
| DF | 타소 제프리 (Tasso Jeffrey) | 12 | 0 | 웨스턴 스트라이커스 | |
| DF | 자크 와네무트 (Jacques Wanemut) | 4 | 0 | Ifira Black Bird|이피라 블랙 버드|이피라 블랙 버드비슐라마어 | |
| DF | 지단 마게콘 (Zidane Maguekon) | 1 | 0 | Classic|클래식|클래식비슐라마어 | |
| DF | 토마스 살레무 (Thomas Salemu) | 0 | 0 | Ifira Black Bird|이피라 블랙 버드|이피라 블랙 버드비슐라마어 | |
| DF | 조슈아 토키오 (Joshua Tokio) | 0 | 0 | Ifira Black Bird|이피라 블랙 버드|이피라 블랙 버드비슐라마어 | |
| MF | 존 얼릭 (John Alick) | 25 | 0 | 솔로몬 워리어스 | |
| MF | 존 워할레 (John Wohale) | 17 | 1 | Ifira Black Bird|이피라 블랙 버드|이피라 블랙 버드비슐라마어 | |
| MF | 자레드 클락 (Jared Clark) | 8 | 0 | FK 베오그라드 | |
| MF | 해리 노먼 (Harry Norman) | 8 | 1 | Exe Green Rovers|엑스 그린 로버스|엑스 그린 로버스비슐라마어 | |
| MF | 얼릭 워워부 (Alick Worworbu) | 4 | 0 | Yatel|야텔|야텔비슐라마어 | |
| FW | 알렉스 사니엘 (Alex Saniel) | 23 | 1 | 노던 디먼스 | |
| FW | 조나단 스포키잭 (Johnathan Spokeyjack) | 16 | 2 | Ifira Black Bird|이피라 블랙 버드|이피라 블랙 버드비슐라마어 | |
| FW | 고딘 테네네 (Godine Tenene) | 16 | 3 | Ifira Black Bird|이피라 블랙 버드|이피라 블랙 버드비슐라마어 | |
| FW | 토니 칼탁 (Tony Kaltak) | 16 | 15 | Erakor Golden Star|에라코르 골든 스타|에라코르 골든 스타비슐라마어 | |
| FW | 장 칼탁 (Jean Kaltak) | 8 | 9 | Erakor Golden Star|에라코르 골든 스타|에라코르 골든 스타비슐라마어 | |
| FW | 토니 칼로탕 (Tonly Kalotang) | 2 | 0 | Ifira Black Bird|이피라 블랙 버드|이피라 블랙 버드비슐라마어 | |
| FW | 조디 타십 (Jordy Tasip) | 0 | 0 | Ifira Black Bird|이피라 블랙 버드|이피라 블랙 버드비슐라마어 |
6. 2. 주요 선수
2024년 6월 30일 뉴질랜드와의 경기 후 기록을 기준으로, 현재 바누아투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는 주요 선수는 다음과 같다.[8]| 포지션 | 선수 이름 | 출전 경기 수 | 득점 | 소속 클럽 |
|---|---|---|---|---|
| GK | 마싱 칼로탕 (Massing Kalotang) | 8 | 0 | 에라코르 골든 스타 |
| GK | 앤서니 콰이 (Anthony Quai) | 0 | 0 | 페나마 |
| GK | 딕 사블란 (Dick Sablan) | 0 | 0 | 이피라 블랙 버드 |
| DF | 미셸 쿨롱 | 17 | 1 | 마우리키 |
| DF | 티모시 불레 (Timothy Boulet) | 15 | 0 | 이피라 블랙 버드 |
| DF | 셀윔 바투 (Selwym Vatu) | 13 | 0 | ABM 갤럭시 |
| DF | 타소 제프리 (Tasso Jeffrey) | 12 | 0 | 웨스턴 스트라이커스 |
| DF | 자크 와네무트 (Jacques Wanemut) | 4 | 0 | 이피라 블랙 버드 |
| DF | 지단 마게콘 (Zidane Maguekon) | 1 | 0 | 클래식 |
| DF | 토마스 살레무 (Thomas Salemu) | 0 | 0 | 이피라 블랙 버드 |
| DF | 조슈아 토키오 (Joshua Tokio) | 0 | 0 | 이피라 블랙 버드 |
| MF | 존 얼릭 (John Alick) | 25 | 0 | 솔로몬 워리어스 |
| MF | 존 워할레 (John Wohale) | 17 | 1 | 이피라 블랙 버드 |
| MF | 자레드 클락 (Jared Clark) | 8 | 0 | FK 베오그라드 |
| MF | 해리 노먼 (Harry Norman) | 8 | 1 | 엑스 그린 로버스 |
| MF | 얼릭 워워부 (Alick Worworbu) | 4 | 0 | 야텔 |
| FW | 알렉스 사니엘 (Alex Saniel) | 23 | 1 | 노던 디먼스 |
| FW | 조나단 스포키잭 (Johnathan Spokeyjack) | 16 | 2 | 이피라 블랙 버드 |
| FW | 고딘 테네네 (Godine Tenene) | 16 | 3 | 이피라 블랙 버드 |
| FW | 토니 칼탁 (Tony Kaltak) | 16 | 15 | 에라코르 골든 스타 |
| FW | 장 칼탁 (Jean Kaltak) | 8 | 9 | 에라코르 골든 스타 |
| FW | 토니 칼로탕 (Tonly Kalotang) | 2 | 0 | 이피라 블랙 버드 |
| FW | 조디 타십 (Jordy Tasip) | 0 | 0 | 이피라 블랙 버드 |
지난 12개월 동안 국가대표팀에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 포지션 | 선수 이름 | 출전 경기 수 | 득점 | 소속 클럽 | 최근 차출 |
|---|---|---|---|---|---|
| GK | 제임스 이아마르(James Iamar) | 4 | 0 | 타페아 | 2024 OFC 네이션스컵 |
| GK | 디젠 레오(Dgen Leo) | 3 | 0 | 클래식 | 2024 OFC 네이션스컵 |
| GK | 조슈아 윌리(Joshua Willie) | 2 | 0 | ABM 갤럭시 | 2024 FIFA 시리즈 |
| GK | 앤서니 타이위아(Anthony Taiwia) | 0 | 0 | 이피라 블랙 버드 | 2023 태평양 게임 |
| DF | 브라이언 칼탁(Brian Kaltak) | 30 | 5 | 센트럴 코스트 마리너스 | 2024 OFC 네이션스컵 |
| DF | 제이슨 토마스(Jason Thomas (footballer)) | 27 | 1 | 에라코르 골든 스타 | 2024 OFC 네이션스컵 |
| DF | 렌시 필립(Lency Philip) | 12 | 0 | 클래식 | 2024 OFC 네이션스컵 |
| DF | 케리 이아왁(Kerry Iawak) | 5 | 0 | 이피라 블랙 버드 | 2024 OFC 네이션스컵 |
| DF | 사무엘 칼로로스(Samuel Kaloros) | 4 | 0 | 이피라 블랙 버드 | 2024 FIFA 시리즈 |
| DF | 조셉 칼로티티(Joseph Kalotiti) | 1 | 0 | 팡고 그린 버드 | 2024 FIFA 시리즈 |
| DF | 베수엘 올리(Bethuel Ollie) | 2 | 0 | 노스 에파이트 유나이티드 | 2023 태평양 게임 |
| MF | 봉 칼로(Bong Kalo) | 27 | 4 | ABM 갤럭시 | 2024 OFC 네이션스컵 |
| MF | 클로드 아루(Claude Aru) | 14 | 1 | 노스 에파이트 유나이티드 | 2024 OFC 네이션스컵 |
| MF | 배리 맨살레(Barry Mansale) | 11 | 1 | 야텔 | 2024 OFC 네이션스컵 |
| MF | 라울 쿨롱(Raoul Coulon) | 3 | 0 | 야텔 | 2023 태평양 게임 |
| MF | 장 타우시(Jean Taussi) | 3 | 0 | 이피라 블랙 버드 | 2023 태평양 게임 |
| MF | 리 타이위아(Lee Taiwia) | 0 | 0 | 이피라 블랙 버드 | 2023 태평양 게임 |
| FW | 켄시 탕기스(Kensi Tangis) | 36 | 9 | ABM 갤럭시 | 2024 OFC 네이션스컵 |
| FW | 조 모세스(Joe Moses (footballer)) | 9 | 2 | ABM 갤럭시 | 2024 OFC 네이션스컵 |
| FW | 말리완 토마스(Maliwan Thomas) | 1 | 0 | 타페아 | 2024 FIFA 시리즈 |
| FW | 케쉴리 조셉(Keshly Joseph) | 0 | 0 | 2024 FIFA 시리즈 | |
| FW | 아자리아 소로몬(Azariah Soromon) | 17 | 7 | 웨스턴 스트라이커스 | 2023 태평양 게임 |
| 순위 | 선수명 | 출전 경기 수 | 득점 | 활동 기간 |
|---|---|---|---|---|
| 1 | 켄시 탕기스 | 39 | 9 | 2011년–현재 |
| 2 | 리차드 이와이 | 34 | 20 | 2000년–2011년 |
| 3 | 에티엔 머머 | 33 | 15 | 1998년–2008년 |
| 브라이언 칼탁 | 33 | 5 | 2011년–현재 | |
| 5 | 페디 바바 | 30 | 2 | 2000년–2012년 |
| 봉 칼로 | 30 | 4 | 2015년–현재 | |
| 7 | 렉사 비비 (Lexa Bibi) | 29 | 2 | 2000년–2004년 |
| 세이마타 칠리아 | 29 | 9 | 2000년–2011년 | |
| 9 | 피타 데이비드 마키 (Pita David Maki) | 28 | 2 | 2000년–2008년 |
| 존 얼릭 | 28 | 0 | 2017년–현재 |
'''득점 기준'''
| 순위 | 선수명 | 득점 | 출전 | 활동 기간 |
|---|---|---|---|---|
| 1 | 리차드 이와이 | 20 | 34 | 2000–2011 |
| 2 | 토니 칼택 | 15 | 16 | 2016–2019 |
| 에티엔 머머 | 15 | 33 | 1998–2008 | |
| 4 | 세울레 소로몬 | 10 | 10 | 2007–2011 |
| 아자리아 소로몬 | 10 | 26 | 2017–현재 | |
| 6 | 장 칼택 | 9 | 8 | 2011–현재 |
| 세이마타 칠리아 | 9 | 29 | 2000–2011 | |
| 켄시 탕기스 | 9 | 39 | 2011–현재 | |
| 9 | 빌 니콜스 | 6 | 8 | 2015–2019 |
| 프랑수아 사카마 | 6 | 12 | 2007–2015 | |
| 로버트 타소 | 6 | 12 | 2011–2016 |
7. 역대 감독
| 순서 | 이름 | 국적 | 재임 기간 |
|---|---|---|---|
| 1 | P. 라이히히트 | 1973년 ~ 1987년 | |
| 2 | 테리 오도넬 | Terry O'Donnell영어 | 1987년 ~ 1993년 |
| 3 | 사비 나통가 | 1996년 | |
| 4 | 알윈 잡 | 1998년 | |
| 5 | 후안 카를로스 부제티 | Juan Carlos Buzzetties | 2000년 ~ 2004년 |
| 6 | 조 스제케레스 | Joe Szekeres영어 | 2004년 ~ 2007년 |
| 7 | 로베르트 칼보 | 2007년 ~ 2008년 | |
| 8 | 윌리엄 말라스 | 2008년 | |
| 9 | 호르헤 아뇬 | 2009년 | |
| 10 | 사비 나통가 | 2011년 ~ 2012년 | |
| 11 | 퍼시 에복 | 2012년 ~ 2015년 | |
| 12 | 무아즈 포이다 | 2015년 ~ 2017년 | |
| 13 | 에티엔 메르메르 | 2017년 ~ 2018년 | |
| 14 | 폴 문스터 | Paul Munster영어 | 2019년 |
| 15 | 에티엔 메르메르 | 2019년 ~ 2022년 | |
| 16 | 조지 아모스 | 2022년 | |
| 17 | 후안 카를로스 부제티 | Juan Carlos Buzzetties | 2022년 |
| 18 | 엠머슨 알칸타라 | Emerson Alcântarapt | 2022년 |
| 19 | 에티엔 메르메르 | 2022년 ~ 2023년 | |
| 20 | 엠머슨 알칸타라 | Emerson Alcântarapt | 2023년 ~ 2024년 |
| 21 | 줄리아누 슈멜링 | Juliano Schmelingpt | 2024년 ~ |
참조
[1]
웹사이트
Players with 100+ Caps and 30+ International Goals
https://www.rsssf.or[...]
2011-08-22
[2]
웹사이트
Vanuatu (New Hebrides) – List of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2015-07-10
[3]
웹사이트
Hero Intercontinental Cup Rival Watch: Vanuatu
https://khelnow.com/[...]
Khel Now India
2023-06-04
[4]
웹사이트
New Zealand vs Vanuatu: live 29 june 2024. Team News, Preview, Lineups, Streaming, Sopcast Soccer365
https://soccer365.me[...]
2024-07-08
[5]
웹사이트
New Zealand win record sixth OFC Nations Cup title
https://www.fifa.com[...]
2024-07-08
[6]
웹사이트
Antigo(a) Vanuatu camisas de futebol
https://www.oldfootb[...]
2020-04-04
[7]
뉴스
La Fédération se résout à la "NON-PARTICIPATION" des cagous
https://www.wmaker.n[...]
New Caledonian Football Federation
2024-06-05
[8]
웹사이트
Head Coach Juliano Schmeling 23-man squad for the PacificAus Sports Football Series.
https://x.com/vff_fo[...]
Vanuatu Football Federation
2024-08-28
[9]
웹사이트
Vanuatu
https://www.national[...]
[10]
웹사이트
ANOTANDO FÚTBOL - VANUATU
https://anotandofutb[...]
2023
[11]
웹사이트
2007
https://www.photospo[...]
[12]
웹사이트
2011
https://www.photospo[...]
[13]
웹사이트
2012
https://www.youtube.[...]
2012-06-05
[14]
웹사이트
2017
https://www.loopvanu[...]
[15]
웹사이트
2019
https://oceaniafootb[...]
2020-03-06
[16]
웹사이트
2024
https://inside.fifa.[...]
[17]
웹사이트
Players with 100+ Caps and 30+ International Goals
http://www.rsssf.com[...]
RSSSF
2011-08-22
[18]
뉴스
史上最弱!? 3試合で114失点を喫したミクロネシア代表(動画付)
http://www.theworldm[...]
theWORLD
2015-07-08
[19]
문서
뉴헤브리디스 제도로 참가
[20]
문서
뉴헤브리디스 제도로 참가
[21]
문서
본선에 오른 4개국이 풀리그로 경기를 했고, 그 중에 꼴찌를 기록했으므로 조별리그 탈락과 같은 색깔을 적용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