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6년 OFC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6년 OFC 네이션스컵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이 주최한 OFC 네이션스컵의 제3회 대회이다. 예선은 1994년 멜라네시아컵과 폴리네시아컵으로 진행되었으며, 솔로몬 제도와 타히티가 각각 우승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에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가 자동 진출하여 총 4개 팀이 참가했다. 결승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타히티를 1, 2차전 합계 1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크리스 트라야노프스키는 7골로 득점왕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5월 - 소칼 사건
    소칼 사건은 앨런 소칼이 포스트모더니즘 철학 비판을 위해 엉터리 논문을 《소셜 텍스트》에 투고, 게재되게 하여 학문적 엄밀성보다 이념적 편향에 따라 게재되는 현실을 폭로하고 학문적 윤리와 과학 객관성에 대한 논쟁을 촉발한 사건이다.
  • 1996년 5월 - 1996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1996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1996년 5월 22일 로마에서 AFC 아약스와 유벤투스 FC가 맞붙어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유벤투스가 4-2로 승리하며 우승했으나, 이후 도핑 혐의 논란이 있었다.
  • 1995년 11월 - 데이턴 협정
    데이턴 협정은 보스니아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1995년 체결된 평화 협정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 스릅스카 공화국이라는 두 주체로 구성하여 현재까지 정치적 구조와 영토 구성을 규정한다.
  • 1995년 11월 - 제8회 유럽 영화상
    제8회 유럽 영화상은 1995년에 개최되었으며, 켄 로치 감독의 《대지와 자유》가 작품상을, 마르셀 카르네가 평생공로상을 수상했다.
  • OFC 네이션스컵 - 1980년 오세아니아컵
    1980년 오세아니아컵은 뉴칼레도니아 누메아에서 8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를 거쳐 오스트레일리아가 타히티를 4-2로 꺾고 우승했으며 최다 득점 팀이 되었다.
  • OFC 네이션스컵 - 1973년 오세아니아컵
    1973년 오세아니아컵은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뉴질랜드가 타히티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 OFC 네이션스컵
1996년 OFC 네이션스컵
기본 정보
대회 이름1996년 OFC 네이션스컵
연도1996
개최국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솔로몬 제도
타히티
개최 기간1995년 11월 10일 – 1996년 11월 1일
참가 팀 수4
경기장 수6
결과
우승팀오스트레일리아 (2번째 우승)
준우승팀타히티
공동 3위솔로몬 제도
뉴질랜드
대회 통계
총 경기 수6
총 득점18
총 관중 수46858
최다 득점 선수크리스 트라야노프스키 (7골)
대회 연혁
이전 대회1980
다음 대회1998

2. 예선

2. 1. 1994년 멜라네시아컵

1994년 멜라네시아컵은 솔로몬 제도에서 개최되었다. 솔로몬 제도, 피지, 파푸아뉴기니, 누벨칼레도니, 바누아투가 참가하였다. 경기는 1994년 7월 3일부터 7월 8일까지 호니아라에서 진행되었다.

승점경기
솔로몬 제도/Solomon Islands영어124400101+9
피지/Fiji영어9430184+4
파푸아뉴기니/Papua New Guinea영어4411224-2
누벨칼레도니/Nouvelle-Calédonie프랑스어3410359-4
바누아투/Vanuatu영어14013512-6



'''솔로몬 제도'''가 4승 0무 0패, 10득점 1실점으로 우승하여 본선에 진출하였다.

2. 2. 1994년 폴리네시아컵

1994년 폴리네시아컵은 서사모아(현 사모아)에서 개최되었다. 타히티, 통가, 서사모아, 아메리칸사모아가 참가하였다. 경기는 1994년 11월 24일부터 11월 28일까지 아피아에서 열렸다.

승점경기
타히티/Tahiti프랑스어93300101+9
통가/Tonga통가어43111440
서사모아/Samoa사모아어43111510-5
아메리칸사모아/Sāmoa Amelika사모아어0300337-4



'''타히티/Tahiti프랑스어'''가 우승하여 1996년 OFC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3. 본선

본선에는 예선을 통과한 솔로몬 제도, 타히티와 자동 진출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가 참가하였다. 준결승전과 결승전 모두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준결승전'''

1995년 11월 10일,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의 퀸 엘리자베스 II 공원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의 준결승 1차전은 0-0 무승부로 끝났다. 배리 태스커 (뉴질랜드)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1995년 11월 15일, 오스트레일리아 뉴캐슬의 브레이커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모리 (페널티골), 웨이드, 스피테리의 연속골로 3-0 대승을 거두었다. 사이먼 미칼레프 (오스트레일리아)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두 경기의 합계 점수 3-0으로 오스트레일리아가 결승에 진출했다. 이 경기는 1995년 트랜스태즈먼컵(Trans-Tasman Cup)을 겸하여 치러졌다.

1995년 11월 17일, 솔로몬 제도 호니아라의 로슨 타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솔로몬 제도타히티의 준결승 1차전은 루소의 골로 타히티가 1-0으로 승리했다. 인타즈 샤 (피지)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1996년 5월 11일, 타히티 파페에테의 스타드 파테르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타히티가 루소와 자티엔의 골로 솔로몬 제도의 세니가 한 골을 만회했으나 2-1로 승리했다. 데릭 러그 (뉴질랜드)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두 경기 합계 점수 3-1로 타히티가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

1996년 OFC 네이션스컵 결승전은 1996년 10월 27일 타히티 파페에테의 올림픽 경기장과 1996년 11월 1일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의 브루스 경기장에서 열렸다. 1차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타파이의 득점과 트림벌리의 득점, 트라야노프스키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타히티를 6-0으로 대파했다. 2차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후커의 득점과 트라야노프스키의 멀티골, 타히티 로마티의 자책골을 묶어 5-0으로 승리했다.

1, 2차전 합계 11-0으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우승을 차지했다.

3. 1. 준결승전

1995년 11월 10일,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의 퀸 엘리자베스 II 공원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의 준결승 1차전은 0-0 무승부로 끝났다. 배리 태스커 (뉴질랜드)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1995년 11월 15일, 오스트레일리아 뉴캐슬의 브레이커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모리 (페널티골), 웨이드, 스피테리의 연속골로 3-0 대승을 거두었다. 사이먼 미칼레프 (오스트레일리아)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두 경기의 합계 점수 3-0으로 오스트레일리아가 결승에 진출했다. 이 경기는 1995년 트랜스태즈먼컵(Trans-Tasman Cup)을 겸하여 치러졌다.

1995년 11월 17일, 솔로몬 제도 호니아라의 로슨 타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솔로몬 제도와 타히티의 준결승 1차전은 루소의 골로 타히티가 1-0으로 승리했다. 인타즈 샤 (피지)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1996년 5월 11일, 타히티 파페에테의 스타드 파테르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타히티가 루소와 자티엔의 골로 솔로몬 제도의 세니가 한 골을 만회했으나 2-1로 승리했다. 데릭 러그 (뉴질랜드)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두 경기 합계 점수 3-1로 타히티가 결승전에 진출했다.

3. 2. 결승전

1996년 OFC 네이션스컵 결승전은 1996년 10월 27일 타히티 파페에테의 올림픽 경기장과 1996년 11월 1일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의 브루스 경기장에서 열렸다. 1차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타파이의 득점과 트림벌리의 득점, 트라야노프스키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타히티를 6-0으로 대파했다. 2차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후커의 득점과 트라야노프스키의 멀티골, 타히티 로마티의 자책골을 묶어 5-0으로 승리했다.

1, 2차전 합계 11-0으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우승을 차지했다.

4. 우승 팀

오스트레일리아
2번째 우승



1996년 10월 27일 파페에테에서 열린 경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타히티를 6-0으로 이겼다. 1996년 11월 1일 캔버라에서 열린 경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타히티를 5-0으로 이겼다.

OFC 네이션스컵 1996
오스트레일리아
2회 연속 2번째 우승


5. 득점 선수



장룹 루소가 2골을 기록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로비 후커, 대미언 모리, 조 스피테리, 어니 타파이, 폴 트림벌리, 폴 웨이드, 타히티의 마샤 자티엔, 솔로몬 제도의 로버트 세니가 1골을 기록했다.

루페나 로마티/Rupena Raumati프랑스어오스트레일리아와의 경기에서 자책골을 기록했다.

5. 1. 7골

5. 2. 2골

장룹 루소가 2골을 기록하였다.

5. 3. 1골

오스트레일리아의 로비 후커, 대미언 모리, 조 스피테리, 어니 타파이, 폴 트림벌리, 폴 웨이드, 타히티의 마샤 자티엔, 솔로몬 제도의 로버트 세니가 1골을 기록했다.

5. 4. 자책골

루페나 로마티/Rupena Raumati프랑스어오스트레일리아와의 경기에서 자책골을 기록했다.

6. 팀 득점 기록

'''14골'''



'''3골'''

'''1골'''

'''0골'''

6. 1. 14골

크리스 트라야노프스키(오스트레일리아)가 7골로 1996년 OFC 네이션스컵 최다 득점자에 올랐다. 장-루프 루소(타히티)는 2골을 기록했다. 다미안 모리, 어니 타파이, 조 스피테리, 폴 트림볼리, 폴 웨이드, 로비 후커(이상 오스트레일리아), 로버트 세니(솔로몬 제도), 마샤 가티엔(타히티)은 각각 1골을 기록했다. 루페나 라우마티(타히티)는 오스트레일리아와의 경기에서 자책골을 기록했다.

6. 2. 3골

마샤 가티엔

6. 3. 1골

6. 4. 0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