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은 2004년 뉴질랜드 내셔널 풋볼 리그를 대체하여 창설된 뉴질랜드의 최상위 축구 리그였다. ASB 프리미어십, 스터링 스포츠 프리미어십, ISPS 한다 프리미어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2021년 뉴질랜드 내셔널 리그로 대체되었다. 8개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고 상위 팀들이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팀을 결정했으며, OFC 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을 부여했다. 오클랜드 시티 FC가 최다 우승팀이며, 골든 부트, 스티브 섬너 트로피 등 개인 수상도 있었다. 또한 OFC 챔피언스리그, ASB 채리티 컵, 내셔널 유스 리그 등의 부속 대회가 함께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세아니아의 축구 1부 리그 - 사모아 내셔널 리그
사모아 내셔널 리그는 사모아의 최상위 축구 리그로, 1979년 아마추어 리그로 시작하여 1996년부터 사모아 축구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다양한 클럽들이 경쟁하고 있고, 바이바세-타이와 키위 FC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리그 최다 골 기록이 나오기도 했다. - 오세아니아의 축구 1부 리그 - 파푸아뉴기니 내셔널 사커 리그
파푸아뉴기니 내셔널 사커 리그는 12개 팀이 참가하여 지구별로 나뉘어 진행되는 파푸아뉴기니 최상위 축구 리그로, 우승팀은 OFC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을 얻으며 헤카리 유나이티드는 FIFA 클럽 월드컵에 오세아니아 클럽 최초로 진출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2021년 해체된 스포츠 리그 - 세군다 디비시온 B
세군다 디비시온 B는 스페인의 4부 축구 리그로, 1977년 3부 리그로 재출범하여 2021-22 시즌 리그 시스템 개편으로 4부 리그로 강등되면서 세군다 디비시온 RFEF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80개 팀이 4개 그룹으로 나뉘어 경쟁하여 상위 팀은 승격, 하위 팀은 강등된다. - 2021년 해체된 스포츠 리그 - 노스 디비전 (NHL)
노스 디비전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2020-21 NHL 시즌에 한시적으로 운영된 캐나다 연고 7개 팀으로 구성된 디비전으로, 토론토 메이플리프스가 우승했으며 리그 재편으로 해체되었다. - 뉴질랜드의 프로 스포츠 리그 - 내셔널 럭비 리그
내셔널 럭비 리그(NRL)는 1907년 시작된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 럭비 리그 대회로, 17개 팀이 참가하여 3월에 시작해 24경기를 치르고 9월부터 플레이오프를 거쳐 10월 그랜드 파이널에서 우승팀을 결정하며, 호주 럭비 리그 위원회(ARLC)가 운영한다. - 뉴질랜드의 프로 스포츠 리그 - 내셔널 농구 리그 (오스트레일리아)
내셔널 농구 리그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프로 농구 리그로, 1979년 출범하여 현재 9개 팀이 참가하고 있으며, 2010년대 이후 리그 지분 인수 후 성장세를 보이며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 | |
---|---|
기본 정보 | |
리그 이름 |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 (NZFC) |
마오리어 이름 | Te Whakataetae Whutupaoro a Aotearoa |
국가 | 뉴질랜드 |
창립일 | 2004년 |
첫 시즌 | 2004-05 |
해체일 | 2021년 |
참가 팀 수 | 8개 팀 |
리그 수준 | 1부 리그 |
국내 컵 대회 | 화이트 리본 컵 |
대륙 컵 대회 | OFC 챔피언스리그 |
최근 시즌 우승팀 | 팀 웰링턴 (챔피언십, 3회 우승) |
최근 시즌 프리미어 | 오클랜드 시티 (12회 우승) |
최근 시즌 | 2020-21 |
최다 챔피언십 우승 | 오클랜드 시티 (8회 우승) |
최다 프리미어 우승 | 오클랜드 시티 (12회 우승) |
최다 출장 선수 | 제이크 버틀러 (257경기 출장) |
최다 득점 선수 | 에밀리아노 타데 (80골) |
TV 중계 | Sky Sports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현재 | 종료됨 |
기타 정보 | |
대륙 연맹 | OFC |
2. 역사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은 1970년부터 2004년까지 개최된 뉴질랜드 내셔널 풋볼 리그의 후신으로 2004년에 창설되었다. 2010-11 시즌부터 2015-16 시즌까지 ASB 은행이 후원하여 '''ASB 프리미어십'''으로 불렸으나, 2016-17 시즌부터 스털링 스포츠가 후원하면서 '''스터링 스포츠 프리미어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3] 2017-18 시즌부터는 국제스포츠진흥협회가 후원하여 '''ISPS 한다 프리미어십'''으로 다시 한번 명칭이 변경되었다.[34]
2015년 12월, 이스턴 서버브스 AFC, 해밀턴 원더러스 AFC, 타스만 유나이티드 3팀이 2016-17 시즌부터 리그에 참가하는 것이 발표되었다.[35] 리그는 총 8팀이 참가하여 2라운드 정규 시즌을 치른 후, 상위 4팀이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렸다. 정규 시즌 1위 팀과 플레이오프 우승팀에게는 OFC 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이 주어졌으며, 동일 팀이 두 타이틀을 모두 획득할 경우 정규 시즌 2위 팀에게 출전권이 돌아갔다.
2021 시즌부터 뉴질랜드 내셔널 리그로 대체되었다.[36]
2. 1. 창설 배경 (2004년 이전)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은 초기에 각 팀이 다른 모든 팀과 세 번씩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하지만 일부 클럽들이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으면서 2008년부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변경되어 각 팀이 다른 팀과 두 번씩(홈에서 한 번, 원정에서 한 번)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2. 2.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 시대 (2004년 ~ 2021년)
2004년,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NZFC)은 이전의 뉴질랜드 내셔널 사커 리그를 대체하며 창설되었다. 새로운 리그는 지역 축구 협회 소속 클럽이 아닌, 새롭게 만들어진 클럽들이 참가하는 여름 리그로 운영되었다. 내피어 시티 로버스만이 예외였는데, 두 번째 시즌에 호크스 베이 유나이티드로 브랜드를 변경하여 호크스 베이 지역의 다른 클럽들과 공동 운영하게 되었다.[3]11개 그룹이 프랜차이즈 입찰에 참여했고, 오클랜드 시티, 캔터베리 유나이티드, 내피어 시티 로버스, 오타고 유나이티드, 팀 웰링턴, 와이카토 FC, 웨이타케레 유나이티드, 영하트 마나와투가 선정되었다. 올레 마드리드, 이스트 오클랜드, 팀 베이 오브 플렌티는 제외되었다.[3] 올레 마드리드는 뉴질랜드 축구 협회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개막 직전 취하했다.[3]
대회 첫 경기는 2004년 10월 15일에 열렸으며, 오클랜드 시티가 내피어 시티 로버스를 3-1로 이겼다. 오클랜드 시티는 결승전에서 웨이타케레 유나이티드를 3-2로 꺾고 초대 우승팀이 되었다.
두 번째 시즌에는 내피어 시티 로버스가 호크스 베이 유나이티드로 재편되었고, 오클랜드 시티가 O-리그에서 우승했다.
2006-07 시즌 후, 뉴질랜드 축구 협회는 8개 프랜차이즈 중 7개 팀에게 3시즌 라이선스 연장을 승인했다. 영하트 마나와투는 재정 문제로 재신청해야 했지만, 결국 복귀했다.[7]
2010년 9월 2일, 뉴질랜드 축구 협회는 ASB 은행과 5년간의 후원 계약을 발표하여 대회 명칭을 ASB 프리미어십으로 변경했다.[8]
2013년, 영하트 마나와투가 대회에서 제외되고, 2015 FIFA U-20 월드컵 준비를 위해 원더러스 SC가 2시즌 동안 참가했다.[9]
2014-15 시즌에는 웰링턴 피닉스 FC 리저브가 추가되어 처음으로 9개 팀이 참가했다. 또한, 모든 클럽은 경기당 최소 50%의 뉴질랜드 선수 출전 제한을 받았다.[11]
11시즌 동안 오클랜드 시티와 웨이타케레 유나이티드만 프리미어 또는 챔피언을 차지했지만, 12번째 시즌에 팀 웰링턴이 결승전에서 오클랜드 시티를 꺾고 우승했다.[12] 2018-19 시즌에는 이스트 써번스가 최초로 챔피언에 등극했다.
2015년 12월, 이스턴 서버브스 AFC, 해밀턴 원더러스 AFC, 타스만 유나이티드 3팀이 2016-17 시즌부터 리그에 참가하는 것이 발표되었다.[35]
2010-11 시즌부터 2015-16 시즌까지는 '''ASB 프리미어십'''으로 불렸으나, 2016-17 시즌부터 '''스터링 스포츠 프리미어십'''으로,[33] 2017-18 시즌부터는 '''ISPS 한다 프리미어십'''으로 변경되었다.[34]
2021 시즌부터는 뉴질랜드 내셔널 리그로 대체되었다.[36]
2. 3. 뉴질랜드 내셔널 리그로 전환 (2021년 ~ 현재)
2021 시즌부터 뉴질랜드 내셔널 리그로 대체되었다.[36]3. 구성
2019년까지 뉴질랜드 축구 선수권 대회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의 리그와 마찬가지로 승격 또는 강등이 없었다. 2020/2021 시즌 내셔널 리그에 승격 및 강등 시스템이 슬롯 보호 모델 형태로 도입될 예정이었다. 이 모델은 전국의 주요 지역마다 내셔널 리그 슬롯 하나를 보호하여 지역 대표성을 유지하고, 모든 클럽이 ISPS 한다 프리미어십으로 진출할 수 있는 경로를 유지하는 방식이었다. 웰링턴 피닉스 FC 리저브팀을 위한 슬롯도 보호될 예정이었으며, 승격 및 강등은 4년마다 결정될 예정이었다.
3. 1. 리그 형식
ASB 프리미어십은 정규 시즌과 그랜드 파이널로 구분되는데, 총 참가하는 8개 팀이 다른 팀과 각각 2번씩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펼쳐 순위를 가렸다. 정규 시즌이 끝난 후, 상위 4개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정규 시즌 1위와 4위, 2위와 3위가 각각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준결승전을 치르고, 준결승전의 승자끼리 '''그랜드 파이널'''이라는 이름으로 단판 결승전을 치렀다.[2]OFC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은 기본적으로 정규 시즌 우승팀 (마이너 프리미어)과 그랜드 파이널 우승팀 (챔피언십)이 가지지만, 정규 시즌 우승팀이 그랜드 파이널에서도 우승할 경우 그 진출권은 정규 시즌 2위팀에게 갔다.
초대 시즌에는 세 팀이 플레이오프에 참가했다. 마이너 프리미어(정규 시즌 우승팀)는 자동으로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하고 홈 경기 개최권을 획득했으며, 2위와 3위 팀은 단판 예선 결승전을 치러 그랜드 파이널 진출팀을 결정했다. 2005-06 시즌에 5팀 플레이오프 방식을 시험적으로 도입했지만, 이는 중단되었고 리그는 2006-07 시즌과 2007-08 시즌에 3팀 플레이오프 시스템으로 되돌아갔다. 리그는 2009-10 시즌에 4팀 플레이오프 시스템으로 변경되었다.[2]
시즌 | 총 참가 팀 수 | 팀당 경기 수 | 특정 팀과의 맞대결 횟수 | 그랜드 파이널 방식 | OFC 챔피언스리그 진출권 |
---|---|---|---|---|---|
2004-05 | 8 | 21 | 3 | 정규 시즌 2위와 3위가 단판으로 엘리미네이션 파이널(EF) → 승자와 정규 시즌 1위가 단판으로 그랜드 파이널(이하 GF) | 1장 / 정규 시즌 1위팀 |
2005-06 | 1라운드 → 정규 시즌 2위와 3위(게임 1), 4위와 5위가 단판으로 경기한다(게임 2). 게임 2의 패자는 탈락한다. 2라운드 → 게임 1 승자와 정규 시즌 1위 (게임 3), 게임 1 패자와 게임 2 승자가 단판으로 경기하고(게임 4) 패자는 탈락한다. 3라운드 → 게임 3의 패자와 게임 4의 승자가 경기한다(게임 5). GF → 정규 시즌 1위와 게임 5 승자가 경기한다. | 2장 / 정규 시즌 1위팀 & GF 우승팀 | |||
2006-07 | 정규 시즌 2-3위 간 EF → EF 승자와 정규 시즌 1위가 GF | ||||
2007-08 | |||||
2008-09 | 14 | 2 | 정규 시즌 1-4위, 2-3위 간 준결승전 (SF) → SF 승자끼리 GF | ||
2009-10 | |||||
2010-11 | |||||
2011-12 | |||||
2012-13 | |||||
2013-14 | |||||
2014-15 | 9 | 16 |
2015년 12월, 리그가 2016-17 시즌에 10개 팀으로 확장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오클랜드의 이스트른 서버브스, 해밀턴의 해밀턴 원더러스, 그리고 넬슨의 넬슨의 태즈먼 유나이티드가 리그에 합류하는 반면, 와이보프 유나이티드는 리그에서 탈퇴하게 되었다.[13]
2021 시즌부터는 뉴질랜드 내셔널 리그로 대체되었다.[36]
3. 2. OFC 챔피언스리그 진출권
OFC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은 기본적으로 정규 시즌 우승팀(마이너 프리미어)과 그랜드 파이널 우승팀(챔피언십)에게 주어졌다. 만약 정규 시즌 우승팀이 그랜드 파이널에서도 우승하면, 그 진출권은 정규 시즌 2위 팀에게 돌아갔다.시즌 | OFC 챔피언스리그 진출권 |
---|---|
2004-05 | 1장 / 정규 시즌 1위팀 |
2005-06 | 2장 / 정규 시즌 1위팀 & GF 우승팀 |
2006-07 | |
2007-08 | |
2008-09 | |
2009-10 | |
2010-11 | |
2011-12 | |
2012-13 | |
2013-14 | |
2014-15 |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NZFC)에서 매 시즌 두 팀이 OFC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했다. 정규 시즌 1위와 플레이오프 우승팀에게 OFC 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이 주어졌으며, 동일 팀이 우승할 경우 정규 시즌 2위 팀에게 자격이 주어졌다.
3. 3. 구성의 변화
ASB 프리미어십은 정규 시즌과 그랜드 파이널로 나뉘었다. 8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각 팀당 2번씩 경기를 치러 순위를 정했다. 정규 시즌 상위 4개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정규 시즌 1위와 4위, 2위와 3위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준결승전을 치르고, 승자끼리 단판 결승전인 '''그랜드 파이널'''을 치렀다.[2]OFC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은 정규 시즌 우승팀(마이너 프리미어)과 그랜드 파이널 우승팀(챔피언십)에게 주어졌지만, 정규 시즌 우승팀이 그랜드 파이널도 우승하면 정규 시즌 2위 팀에게 진출권이 돌아갔다.
시즌 | 총 참가 팀 수 | 팀당 경기 수 | 특정 팀과의 맞대결 횟수 | 그랜드 파이널 방식 | OFC 챔피언스리그 진출권 |
---|---|---|---|---|---|
2004-05 | 8 | 21 | 3 | 정규 시즌 2위와 3위가 단판으로 엘리미네이션 파이널(EF) → 승자와 정규 시즌 1위가 단판으로 그랜드 파이널(이하 GF) | 1장 / 정규 시즌 1위팀 |
2005-06 | 1라운드 → 정규 시즌 2위와 3위(게임 1), 4위와 5위가 단판으로 경기한다(게임 2). 게임 2의 패자는 탈락한다. 2라운드 → 게임 1 승자와 정규 시즌 1위 (게임 3), 게임 1 패자와 게임 2 승자가 단판으로 경기하고(게임 4) 패자는 탈락한다. 3라운드 → 게임 3의 패자와 게임 4의 승자가 경기한다(게임 5). GF → 정규 시즌 1위와 게임 5 승자가 경기한다. | 2장 / 정규 시즌 1위팀 & GF 우승팀 | |||
2006-07 | 정규 시즌 2-3위 간 EF → EF 승자와 정규 시즌 1위가 GF | ||||
2007-08 | |||||
2008-09 | 14 | 2 | 정규 시즌 1-4위, 2-3위 간 준결승전 (SF) → SF 승자끼리 GF | ||
2009-10 | |||||
2010-11 | |||||
2011-12 | |||||
2012-13 | |||||
2013-14 | |||||
2014-15 | 9 | 16 | |||
초대 시즌에는 3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참가했다. 정규 시즌 우승팀은 자동 그랜드 파이널 진출 및 홈 경기 개최권을 얻었고, 2위와 3위 팀은 단판 예선 결승전을 치렀다. 2005-06 시즌에는 5팀 플레이오프 방식을 시범 도입했지만, 2006-07 시즌과 2007-08 시즌에는 다시 3팀 플레이오프 시스템으로 돌아갔다. 2009-10 시즌부터는 4팀 플레이오프 시스템으로 변경되었다.
2015년 12월, 이스턴 서버브스 AFC, 해밀턴 원더러스 AFC, 타스만 유나이티드 3팀이 2016-17 시즌부터 리그에 참가하는 것이 발표되었다.[35]
2021년 3월, 뉴질랜드 축구 협회는 전국 프리미어리그와 상위 지역 리그 구조 변경을 발표했다. 상위 4개 지역 리그는 노던 리그, 센트럴 리그, 사우던 리그로 재편되었다. 이 리그들은 지역 클럽들이 프리미어십 시즌(현재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으로 알려짐)에 진출할 수 있도록 했다. 노던 리그 상위 4팀, 센트럴 리그 상위 3팀, 사우던 리그 상위 2팀과 웰링턴 피닉스 FC 리저브팀이 참가한다. 자격을 갖춘 팀들과 피닉스 리저브팀은 9월부터 12월까지 단판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1] 2021 시즌부터는 뉴질랜드 내셔널 리그로 대체되었다.[36]
4. 참가팀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은 유럽 축구와 달리 승강제가 없어 오스트레일리아의 A리그나 미국의 메이저 리그 사커와 비슷한 체계로 운영되었다.
2014-15 시즌에는 다음 9개 팀이 참가했다.
팀 | 영문명 | 연고지 | 홈 경기장 | 참가 연도 | 감독 |
---|---|---|---|---|---|
오클랜드 시티 FC | Auckland City FC | 오클랜드 | 키위티아 스트리트 | 2004 | 라몬 트리불리에츠|Ramon Tribulietxes |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 | Waitakere United | 와이타케레 | 프레드 테일러 파크 | 2004 | 브라이언 셸레이|Brian Shelley영어 |
와이비오피 유나이티드 | WaiBOP United | 해밀턴 | 존 케르코프 파크 | 2004 | 피터 스미스|Peter Smith영어 |
캔터베리 유나이티드 | Canterbury United | 크라이스트처치 | 잉글리시 파크 | 2004 | 션 디바인|Sean Devine영어 |
호크스베이 유나이티드 | Hawke's Bay United | 네이피어 | 파크 아일랜드 | 2004 | 브렛 엔젤|Brett Angell영어 |
팀 웰링턴 | Team Wellington | 웰링턴 | 데이비드 패링턴 파크 | 2004 | 맷 캘컷|Matt Calcott영어 |
서던 유나이티드 | Southern United | 더니딘 | 포사이스 바 스타디움 | 2004 | 마이크 프릿지|Mike Fridge영어 |
원더러스 SC | Wanderers SC | 오클랜드 노스 하버 | 노스 하버 스타디움 | 2013 | 대런 베이즐리|Darren Bazeley영어 |
웰링턴 피닉스 FC 리저브 팀 | Wellington Phoenix FC Reserves | 웰링턴 | 뉴타운 파크 | 2014 | 앤디 헤지|Andy Hedge영어 |
2019년까지는 승격 또는 강등이 없었으나, 2020/2021 시즌부터 내셔널 리그에 슬롯 보호 모델 형태의 승강 및 강등 시스템이 도입될 예정이었다.
4. 1. 2020-21 시즌 참가팀
구단명 | 연고지 |
---|---|
![]() | 오클랜드 |
![]() | 크라이스트처치 |
![]() | 오클랜드 |
![]() | 해밀턴 |
![]() | 네이피어 |
![]() | 웰링턴 |
![]() | 와이타케레 |
![]() | 웰링턴 |
4. 2. 과거 참가팀
팀 | 도시, 지역 | 가입 | 탈퇴 |
---|---|---|---|
![]() | 팔머스턴노스, 마나와투왕가누이 | 2004 | 2013 |
![]() | 노스쇼어, 오클랜드 | 2013 | 2015 |
![]() | 케임브리지, 와이카토 | 2004 | 2016 |
![]() | 더니든, 오타고 | 2004 | 2020 |
![]() | 넬슨, 넬슨 | 2016 | 2020 |
4. 3. 구단명 변경
- 네이피어 시티 로버스 → '''호크스 베이 유나이티드'''
- 오타고 유나이티드 → '''서던 유나이티드'''
- 와이카토 FC → '''와이비오피 유나이티드'''
5. 역대 우승팀
(승부차기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