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구효자정려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박구 효자정려비(博矩孝子旌閭碑)는 조선시대 사람인 박구(朴矩, ? ~ 1425)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입니다.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도성리에 위치해 있으며, 1999년 3월 11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1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박구의 효행:


  • 어머니가 병환이 들자 천지신명께 빌어 얼음 위로 뛰어오르는 잉어를 구하고, 눈 속에서 복숭아를 얻어 병을 구환했습니다.
  •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3년간 묘 곁을 지키면서 한 번도 집에 돌아가지 않았다고 합니다.

정려비와 비각:

  • 정려비는 높이 110cm, 폭 43cm(혹은 49cm), 두께 16cm(혹은 14cm)의 화강암 재질로, 앞면에 '효자가정총제박구지려(孝子嘉靖總制朴矩之閭)'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습니다.
  • 비를 보호하기 위한 비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지붕 형태입니다.
  • 비각 앞면 윗부분에는 '삼년거려일부도가(三年居廬一不到家)'라는 현판이 걸려 있고, 그 아래에는 비의 내력을 적은 상량문, 왼쪽 윗부분에는 명종이 하사한 치제문이 새겨진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건립 및 이전 역사:

  • 정려비와 비각은 모두 1535년(중종 30년)에 건립되었습니다.
  • 원래 어머니 묘소 근처인 백천(百川)가에 있었으나, 홍수로 인해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가 1818년(순조 18년) 현재 위치로 옮겨졌습니다.

가치:

  • 정려 조사가 엄격하던 시대에 정표가 내려져 후세에 본보기가 될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 당시 풍속 등을 고려할 때 역사적, 향토적으로도 큰 가치를 지닙니다.


박구효자정려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박구 효자 정려비
이름박구효자정려비
한자 표기博矩孝子旌閭碑
유형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
지정 번호116
지정일1999년 3월 11일
주소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도성리 산83번지
시대조선시대
수량1기
지도 꼬리표성주 도성리
좌표35°53′19″N 128°21′37″E
문화재청 ID24,01160000,3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