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주군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성산가야로 발전했다. 신라 시대에는 신안현, 고려 시대에는 경산부, 성주목 등으로 불리다가 조선 시대에 성주목으로 승격, 폐지, 강등을 반복했다. 1895년 성주군으로 개칭되었고, 1895년 대구부에, 1896년 경상북도에 편입되었다.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지형으로는 가야산, 성밖숲 등이 있다. 참외 생산지로 유명하며, 야간 관광 특화 도시로 선정되어 다양한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심산 김창숙 선생의 고향이며, 성주 이씨, 벽진 이씨 등 여러 성씨의 본관이 있는 '성씨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주군 - 성주읍
성주읍은 경상북도 성주군의 중앙에 위치하며 군청, 교육기관, 시장, 터미널 등이 있는 행정, 경제, 교통의 중심지이자 참외 주산지이며 성밖숲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는 읍이다. - 성주군 - 성주FM
성주FM은 2022년 2월 22일에 개국한 대한민국의 라디오 방송국이다. - 경상북도의 군 - 칠곡군
칠곡군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낙동강을 경계로 충적평야가 발달했으며, 1640년 칠곡도호부 설치 후 여러 번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3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섬유, 전자 관련 산업이 발달하였으며, 가산산성, 칠곡호국평화기념관 등의 관광지와 경부선, 중앙고속도로를 갖추고 있다. - 경상북도의 군 - 의성군
의성군은 경상북도 중부에 위치하며, 신라 시대 조문국으로 불렸고 고려 시대에 의성이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백악기 지질과 국가지질공원이 존재하고, 1914년 비안군과 용궁군 일부가 통합되었고, 대륙성 기후와 한지형 마늘 주산지, 그리고 대한민국 컬링의 중심지로 컬링훈련원이 있는 군이다. - 1895년 설치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895년 설치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을 접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임례국이 있었고, 곽재우 의병의 기원이자,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출신지이다.
성주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성주군 |
한자 표기 | 星州郡 |
로마자 표기 | Seongju-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Sŏngju-gun |
지역 | 영남 |
방언 | 경상 방언 |
면적 | 616.28 km² |
인구 (2024년 9월) | 41,591명 |
인구 밀도 | 82.8명/km² |
행정 구역 | 1읍 9면 |
군청 소재지 | 성주읍 성주로 3200 |
군수 | 이병환 (국민의힘) |
국회의원 | 정희용 (국민의힘, 고령군·성주군·칠곡군) |
홈페이지 | 성주군 |
상징 | |
군목 | 은행나무 |
군화 | 개나리 |
군조 | 비둘기 |
![]() | |
![]() | |
역사 | |
주요 사건 | 사드 배치 결정 (2016년) https://www.stripes.com/news/thaad-s-new-home-will-be-golf-course-in-south-korean-mountains-1.431721#.WMoKt8CGPos https://www.koreatimes.co.kr/www/news/nation/2016/07/116_209328.html |
특산물 | |
주요 특산물 | 참외 http://www.atcenter.or.jp/item/list/chame.php |
2. 역사
성주군은 석기 시대부터 현생 인류가 거주했던 지역으로, 백천 및 이천 연변에 지석묘가 군집해 있는 등 일찍부터 정치 세력이 등장하였다.
1895년(조선 고종 32년) 칙령 제101호에 의해 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를 실시하면서 '''성주군'''이라 개칭하고 군수를 두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대구부 성주군으로 개편하였다.
- 1896년 8월 4일 : 경상북도 성주군으로 개편하였다.
- 1906년 : 인곡면, 운라면, 흑수면, 도장면, 소야면, 가현면, 덕곡면, 노다면, 다산면을 고령군에, 노장면을 대구부에 편입하고, 젠산면이 김천군에 편입되었다.
- 1914년 4월 1일 : 신곡면을 김천군으로, 증산면 고방리를 금수면으로 편입하였다. 군면병합으로 신곡면이 김천군에 편입되고, 김천군 젠산면의 일부가 성주군 김수면에 편입되었다. 성주군에 성주면·선남면·용두면·성암면·사사면·청파면·가천면·김수면·대가면·벽진면·초전면·월항면이 설치됨.(12면)[6][12]
- 1934년 2월 1일 : 지사면·청파면을 수륜면으로, 용두면·성암면을 용암면으로 합면하였다. (10면)[14]
- 1973년 7월 1일 : 대가면 중산동을 가천면으로 편입하였다.
- 1979년 5월 1일 : 성주면을 성주읍으로 승격하였다.(1읍 9면)
- 1983년 2월 15일 : 선남면 노석동을 칠곡군 기산면으로, 용암면 유서동을 선남면으로, 고령군 덕곡면 성동을 수륜면으로 이관하였다.
- 1989년 1월 1일 : 월항면 어산리가 초전면으로, 용암면 명포리·장학리가 선남면으로 편입되었다.
- 2017년 - 주한미군에 의해 사드 배치 시작. 특산물인 참외가 전자파로 오염되었다고 하는 가짜뉴스가 확산됨.[9]
- 2024년 8월 1일 : 금수면을 금수강산면으로 개칭하였다.
2. 1. 고대
성주읍 예산리에서 철기 시대 초기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유물이 출토되었다. 기원 후 약 400년 성산가야로 발전하였다.[11]757년(신라 경덕왕 16년) 본피현을 신안현으로 개명하였고, 신라 시대 말기 벽진군으로 승격했다. 고려 태조 23년에는 경산부로 승격하였다. 충렬왕 34년 '''성주'''라는 지명을 처음 사용하여 성주목으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1310년 충선왕 2년 다시 경산부로 환원하였다.
2. 2. 고려 시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본피현을 신안현으로 개명하였고, 신라 시대 말기 벽진군으로 승격했다.고려 태조 23년에는 경산부로 승격하였다. 충렬왕 34년 '''성주'''라는 지명을 처음 사용하여 성주목으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1310년 충선왕 2년 다시 경산부로 환원하였다.
2. 3. 조선 시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본피현을 신안현으로 개명하였고, 신라 말기 벽진군으로 승격했다. 고려 태조 23년에는 경산부로 승격하였다. 충렬왕 34년 '''성주'''라는 지명을 처음 사용하여 성주목으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1310년 충선왕 2년 다시 경산부로 환원하였다.1400년(조선 태종 즉위년)에 성주목으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1614년 광해군 7년 성주 사람 김창록이 왕의 비행과 조정을 비방한 사건으로 인해 성주목이 폐지되고 고령현에 합속되었다. 이 때 이 지역 사람 전체가 금고형에 처해졌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다시 성주목으로 환원되었지만 1631년 인조 9년에는 성산현으로 강등되었다.[11]
2. 4. 근현대
성주군은 석기 시대부터 현생 인류가 거주했던 지역으로, 백천 및 이천 연변에 지석묘가 군집해 있는 등 일찍부터 정치 세력이 등장하였다. 성주읍 예산리에서는 철기 시대 초기의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기원 후 약 400년 성산가야로 발전하였다.[11]757년(신라 경덕왕 16년) 본피현을 신안현으로 개명하였고, 신라 시대 말기 벽진군으로 승격했다. 고려 태조 23년에는 경산부로 승격하였다. 충렬왕 34년 '''성주'''라는 지명을 처음 사용하여 성주목으로 승격하였으나, 1310년 충선왕 2년 다시 경산부로 환원하였다.
1400년(조선 태종 즉위년)에 성주목으로 승격하였으나, 1614년 광해군 7년 성주 사람 김창록이 왕의 비행과 조정을 비방한 사건으로 인해 성주목이 폐지되고 고령현에 합속되었다. 이 때 이 지역 사람 전체가 금고형에 처해졌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다시 성주목으로 환원되지만 1631년 인조 9년에는 성산현으로 강등된다.
1895년(조선 고종 32년) 칙령 제101호에 의해 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를 실시하면서 '''성주군'''이라 개칭하고 군수를 두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대구부 성주군으로 개편하였다.
- 1896년 8월 4일 : 경상북도 성주군으로 개편하였다.
- 1906년 : 인곡면, 운라면, 흑수면, 도장면, 소야면, 가현면, 덕곡면, 노다면, 다산면을 고령군에 노장면을 대구부에 편입하였다.
- 1914년 4월 1일 : 신곡면을 김천군으로, 증산면 고방리를 금수면으로 편입하였다. (12면)[12]
- 1934년 2월 1일 : 지사면·청파면을 수륜면으로, 용두면·성암면을 용암면으로 합면하였다. (10면)[14]
- 1973년 7월 1일 : 대가면 중산동을 가천면으로 편입하였다.
- 1979년 5월 1일 : 성주면을 성주읍으로 승격하였다.(1읍 9면)
- 1983년 2월 15일 : 선남면 노석동을 칠곡군 기산면으로, 용암면 유서동을 선남면으로, 고령군 덕곡면 성동을 수륜면으로 이관하였다.
- 1989년 1월 1일 : 월항면 어산리가 초전면으로, 용암면 명포리·장학리가 선남면으로 편입되었다.
- 2024년 8월 1일 : 금수면을 금수강산면으로 개칭하였다.
- 1906년 - 젠산면이 김천군에 편입되었다.
- 1914년 4월 1일 - 군면병합으로 신곡면이 김천군에 편입되고, 김천군 젠산면의 일부가 성주군 김수면에 편입되었다. 성주군에 성주면·선남면·용두면·성암면·사사면·청파면·가천면·김수면·대가면·벽진면·초전면·월항면이 설치됨.(12면) [6]
- 1934년 2월 1일 : 사사면·청파면이 합쳐져 수륜면이 설치되고, 용두면·성암면이 합쳐져 용암면이 설치됨. (10면) [8]
- 1973년 7월 1일 - 대가면 중산동이 가천면에 편입됨. (1읍 9면)
- 1979년 5월 1일 - 성주면이 성주읍으로 승격됨. (1읍 9면)
- 1983년 2월 15일 (1읍 9면)
- * 선남면 노석동이 칠곡군 기산면에 편입됨.
- * 용암면 유서동이 선남면에 편입됨.
- * 고령군 덕곡면 성동이 수륜면에 편입됨.
- 1989년 1월 1일 (1읍 9면)
- * 용암면의 일부(장학동·명포동)가 선남면에 편입됨.
- * 월항면 어산리가 초전면에 편입됨.
- 2017년 - 주한미군에 의해 사드 배치 시작. 특산물인 참외가 전자파로 오염되었다고 하는 가짜뉴스가 확산됨.[9]
- 2024년 8월 1일 - 김수면이 김수강산면으로 개칭됨.(1읍 9면)[10]
3. 지리
197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가야산은 소백산맥의 명산으로 조선팔경 중 하나이다. 청량사와 해인사 등의 사찰이 있으며, 특히 청량사는 최치원이 짓거나 즐겨 찾은 절로 유명하다. 해인사에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 문화 유산인 팔만대장경이 있다.[20]
가야산은 물이 맑고 풍부하며, 웅장한 경관과 어우러진 계곡은 옛 성주 선비들이 심신을 닦고 학문을 수양하던 곳이었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당대 최고 선비였던 이원조 선생이 세운 만귀정이라는 정자가 있으며, 해마다 많은 관광객과 피서객이 찾는다.[20]
성주군은 경상북도 서남부에 위치하며, 온대 계절풍 기후 지역이나 분지형 지형과 내륙에 위치하고 있어 한서의 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는 곳이다. 연평균 기온은 15°C이며, 연강수량은 850mm~1300mm 정도이나 6∼9월에 집중된다.[15]
3. 1. 위치
성주군은 경상북도 서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과 경상북도 칠곡군, 서쪽으로는 경상북도 김천시와 경상남도 거창군, 북쪽으로는 김천시, 칠곡군과 접하고 있다.
3. 2. 기후
온대 계절풍 기후 지역이나 분지형 지형과 내륙에 위치하고 있어 한서의 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는 곳이다. 연평균 기온은 15°C이며, 연강수량은 850mm~1300mm 정도이나 6∼9월에 집중된다.[15]3. 3. 주요 지형
197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가야산은 소백산맥의 명산으로 조선팔경의 하나였다. 청량사와 해인사 등의 사찰들이 자리잡고 있다. 특히, 청량사는 최치원이 지었거나 즐겨찾은 절로 유명하며, 해인사에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된 팔만대장경이 있다.가야산의 명소는 물이 맑고 풍부하다. 가야산의 웅장한 정경과 어우러진 계곡으로, 옛 성주 선비들이 심신을 닦고 학문을 수양하는 장소였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당대 최고 선비였던 이원조 선생이 세운 만귀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해마다 수많은 관광객이나 피서객들이 즐겨 찾는다.
1999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성밖숲은 풍수지리설에 따라 조성된 숲이다. 경산지(京山誌)와 성산지(星山誌)에 따르면, 조선 중엽에 아이들이 아무런 까닭 없이 죽는 등 흉사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이유가 마을의 족두리바위와 탕건바위가 서로 마주보기 때문이라 중간 지점에 숲을 조성하면 그러한 재앙을 막을 수 있다는 지관의 말에 따라 토성인 성주읍성 서문 밖의 이천 강가에 밤나무 숲을 조성했다고 한다. 임진왜란 후 마을의 기강이 해이해지고 민심이 흉흉해지자 밤나무를 베어내고 왕버들로 다시 조성했다고 한다.
4. 정치·행정
경상북도의 다른 지역과 함께 새누리당 초강세 지역이었으나, 2016년 7월 대한민국 국방부가 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를 성주군에 배치하기로 결정하면서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등의 지지세가 늘어났다.[16] 이와 관련하여 성주군의회 소속 의원 4명이 새누리당을 탈당하기도 했다.[17]
성주경찰서
성주소방서
4. 1. 성주군수
국민의힘 소속 이병환이 현재 성주군수이다.4. 2. 성주군의회
4. 3. 국회의원
경상북도의 다른 지역과 함께 새누리당 초강세 지역이었다. 그렇지만 2016년 7월에 대한민국 국방부가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를 경상북도 성주군에 배치하기로 결정하면서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과 정의당 등의 지지세가 늘어났다.[16] 이와 관련하여 성주군의회 소속 의원 4명이 새누리당을 탈당하기도 했다.[17]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정희용 의원(국민의힘)이 현재 성주군의 국회의원이다.
4. 4. 도의원
성주·선남·월항수륜·가천·금수·대가
벽진·초전·용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