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성주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성주군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성산가야로 발전했다. 신라 시대에는 신안현, 고려 시대에는 경산부, 성주목 등으로 불리다가 조선 시대에 성주목으로 승격, 폐지, 강등을 반복했다. 1895년 성주군으로 개칭되었고, 1895년 대구부에, 1896년 경상북도에 편입되었다.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지형으로는 가야산, 성밖숲 등이 있다. 참외 생산지로 유명하며, 야간 관광 특화 도시로 선정되어 다양한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심산 김창숙 선생의 고향이며, 성주 이씨, 벽진 이씨 등 여러 성씨의 본관이 있는 '성씨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주군 - 성주읍
    성주읍은 경상북도 성주군의 중앙에 위치하며 군청, 교육기관, 시장, 터미널 등이 있는 행정, 경제, 교통의 중심지이자 참외 주산지이며 성밖숲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는 읍이다.
  • 성주군 - 성주FM
    성주FM은 2022년 2월 22일에 개국한 대한민국의 라디오 방송국이다.
  • 경상북도의 군 - 칠곡군
    칠곡군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낙동강을 경계로 충적평야가 발달했으며, 1640년 칠곡도호부 설치 후 여러 번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3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섬유, 전자 관련 산업이 발달하였으며, 가산산성, 칠곡호국평화기념관 등의 관광지와 경부선, 중앙고속도로를 갖추고 있다.
  • 경상북도의 군 - 의성군
    의성군은 경상북도 중부에 위치하며, 신라 시대 조문국으로 불렸고 고려 시대에 의성이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백악기 지질과 국가지질공원이 존재하고, 1914년 비안군과 용궁군 일부가 통합되었고, 대륙성 기후와 한지형 마늘 주산지, 그리고 대한민국 컬링의 중심지로 컬링훈련원이 있는 군이다.
  • 1895년 설치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895년 설치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을 접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임례국이 있었고, 곽재우 의병의 기원이자,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출신지이다.
성주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경상북도 내 성주군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성주군
한자 표기星州郡
로마자 표기Seongju-gun
맥큔-라이샤워 표기Sŏngju-gun
지역영남
방언경상 방언
면적616.28 km²
인구 (2024년 9월)41,591명
인구 밀도82.8명/km²
행정 구역1읍 9면
군청 소재지성주읍 성주로 3200
군수이병환 (국민의힘)
국회의원정희용 (국민의힘, 고령군·성주군·칠곡군)
홈페이지성주군
상징
군목은행나무
군화개나리
군조비둘기
성주군 엠블럼
성주군 엠블럼
성주군 기
성주군 기
역사
주요 사건사드 배치 결정 (2016년) https://www.stripes.com/news/thaad-s-new-home-will-be-golf-course-in-south-korean-mountains-1.431721#.WMoKt8CGPos https://www.koreatimes.co.kr/www/news/nation/2016/07/116_209328.html
특산물
주요 특산물참외 http://www.atcenter.or.jp/item/list/chame.php

2. 역사

성주군은 석기 시대부터 현생 인류가 거주했던 지역으로, 백천 및 이천 연변에 지석묘가 군집해 있는 등 일찍부터 정치 세력이 등장하였다.

1895년(조선 고종 32년) 칙령 제101호에 의해 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를 실시하면서 '''성주군'''이라 개칭하고 군수를 두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대구부 성주군으로 개편하였다.
  • 1896년 8월 4일 : 경상북도 성주군으로 개편하였다.
  • 1906년 : 인곡면, 운라면, 흑수면, 도장면, 소야면, 가현면, 덕곡면, 노다면, 다산면을 고령군에, 노장면을 대구부에 편입하고, 젠산면이 김천군에 편입되었다.
  • 1914년 4월 1일 : 신곡면을 김천군으로, 증산면 고방리를 금수면으로 편입하였다. 군면병합으로 신곡면이 김천군에 편입되고, 김천군 젠산면의 일부가 성주군 김수면에 편입되었다. 성주군에 성주면·선남면·용두면·성암면·사사면·청파면·가천면·김수면·대가면·벽진면·초전면·월항면이 설치됨.(12면)[6][12]
  • 1934년 2월 1일 : 지사면·청파면을 수륜면으로, 용두면·성암면을 용암면으로 합면하였다. (10면)[14]
  • 1973년 7월 1일 : 대가면 중산동을 가천면으로 편입하였다.
  • 1979년 5월 1일 : 성주면을 성주읍으로 승격하였다.(1읍 9면)
  • 1983년 2월 15일 : 선남면 노석동을 칠곡군 기산면으로, 용암면 유서동을 선남면으로, 고령군 덕곡면 성동을 수륜면으로 이관하였다.
  • 1989년 1월 1일 : 월항면 어산리가 초전면으로, 용암면 명포리·장학리가 선남면으로 편입되었다.
  • 2017년 - 주한미군에 의해 사드 배치 시작. 특산물인 참외가 전자파로 오염되었다고 하는 가짜뉴스가 확산됨.[9]
  • 2024년 8월 1일 : 금수면을 금수강산면으로 개칭하였다.

2. 1. 고대

성주읍 예산리에서 철기 시대 초기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유물이 출토되었다. 기원 후 약 400년 성산가야로 발전하였다.[11]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본피현을 신안현으로 개명하였고, 신라 시대 말기 벽진군으로 승격했다. 고려 태조 23년에는 경산부로 승격하였다. 충렬왕 34년 '''성주'''라는 지명을 처음 사용하여 성주목으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1310년 충선왕 2년 다시 경산부로 환원하였다.

2. 2. 고려 시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본피현을 신안현으로 개명하였고, 신라 시대 말기 벽진군으로 승격했다.

고려 태조 23년에는 경산부로 승격하였다. 충렬왕 34년 '''성주'''라는 지명을 처음 사용하여 성주목으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1310년 충선왕 2년 다시 경산부로 환원하였다.

2. 3. 조선 시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본피현을 신안현으로 개명하였고, 신라 말기 벽진군으로 승격했다. 고려 태조 23년에는 경산부로 승격하였다. 충렬왕 34년 '''성주'''라는 지명을 처음 사용하여 성주목으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1310년 충선왕 2년 다시 경산부로 환원하였다.

1400년(조선 태종 즉위년)에 성주목으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1614년 광해군 7년 성주 사람 김창록이 왕의 비행과 조정을 비방한 사건으로 인해 성주목이 폐지되고 고령현에 합속되었다. 이 때 이 지역 사람 전체가 금고형에 처해졌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다시 성주목으로 환원되었지만 1631년 인조 9년에는 성산현으로 강등되었다.[11]

2. 4. 근현대

성주군은 석기 시대부터 현생 인류가 거주했던 지역으로, 백천 및 이천 연변에 지석묘가 군집해 있는 등 일찍부터 정치 세력이 등장하였다. 성주읍 예산리에서는 철기 시대 초기의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기원 후 약 400년 성산가야로 발전하였다.[11]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본피현을 신안현으로 개명하였고, 신라 시대 말기 벽진군으로 승격했다. 고려 태조 23년에는 경산부로 승격하였다. 충렬왕 34년 '''성주'''라는 지명을 처음 사용하여 성주목으로 승격하였으나, 1310년 충선왕 2년 다시 경산부로 환원하였다.

1400년(조선 태종 즉위년)에 성주목으로 승격하였으나, 1614년 광해군 7년 성주 사람 김창록이 왕의 비행과 조정을 비방한 사건으로 인해 성주목이 폐지되고 고령현에 합속되었다. 이 때 이 지역 사람 전체가 금고형에 처해졌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다시 성주목으로 환원되지만 1631년 인조 9년에는 성산현으로 강등된다.

1895년(조선 고종 32년) 칙령 제101호에 의해 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를 실시하면서 '''성주군'''이라 개칭하고 군수를 두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대구부 성주군으로 개편하였다.
  • 1896년 8월 4일 : 경상북도 성주군으로 개편하였다.
  • 1906년 : 인곡면, 운라면, 흑수면, 도장면, 소야면, 가현면, 덕곡면, 노다면, 다산면을 고령군에 노장면을 대구부에 편입하였다.
  • 1914년 4월 1일 : 신곡면을 김천군으로, 증산면 고방리를 금수면으로 편입하였다. (12면)[12]
  • 1934년 2월 1일 : 지사면·청파면을 수륜면으로, 용두면·성암면을 용암면으로 합면하였다. (10면)[14]
  • 1973년 7월 1일 : 대가면 중산동을 가천면으로 편입하였다.
  • 1979년 5월 1일 : 성주면을 성주읍으로 승격하였다.(1읍 9면)
  • 1983년 2월 15일 : 선남면 노석동을 칠곡군 기산면으로, 용암면 유서동을 선남면으로, 고령군 덕곡면 성동을 수륜면으로 이관하였다.
  • 1989년 1월 1일 : 월항면 어산리가 초전면으로, 용암면 명포리·장학리가 선남면으로 편입되었다.
  • 2024년 8월 1일 : 금수면을 금수강산면으로 개칭하였다.
  • 1906년 - 젠산면이 김천군에 편입되었다.
  • 1914년 4월 1일 - 군면병합으로 신곡면이 김천군에 편입되고, 김천군 젠산면의 일부가 성주군 김수면에 편입되었다. 성주군에 성주면·선남면·용두면·성암면·사사면·청파면·가천면·김수면·대가면·벽진면·초전면·월항면이 설치됨.(12면) [6]
  • 1934년 2월 1일 : 사사면·청파면이 합쳐져 수륜면이 설치되고, 용두면·성암면이 합쳐져 용암면이 설치됨. (10면) [8]
  • 1973년 7월 1일 - 대가면 중산동이 가천면에 편입됨. (1읍 9면)
  • 1979년 5월 1일 - 성주면이 성주읍으로 승격됨. (1읍 9면)
  • 1983년 2월 15일 (1읍 9면)
  • * 선남면 노석동이 칠곡군 기산면에 편입됨.
  • * 용암면 유서동이 선남면에 편입됨.
  • * 고령군 덕곡면 성동이 수륜면에 편입됨.
  • 1989년 1월 1일 (1읍 9면)
  • * 용암면의 일부(장학동·명포동)가 선남면에 편입됨.
  • * 월항면 어산리가 초전면에 편입됨.
  • 2017년 - 주한미군에 의해 사드 배치 시작. 특산물인 참외가 전자파로 오염되었다고 하는 가짜뉴스가 확산됨.[9]
  • 2024년 8월 1일 - 김수면이 김수강산면으로 개칭됨.(1읍 9면)[10]

3. 지리

197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가야산소백산맥의 명산으로 조선팔경 중 하나이다. 청량사와 해인사 등의 사찰이 있으며, 특히 청량사는 최치원이 짓거나 즐겨 찾은 절로 유명하다. 해인사에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 문화 유산인 팔만대장경이 있다.[20]

성주군의 가야산


가야산은 물이 맑고 풍부하며, 웅장한 경관과 어우러진 계곡은 옛 성주 선비들이 심신을 닦고 학문을 수양하던 곳이었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당대 최고 선비였던 이원조 선생이 세운 만귀정이라는 정자가 있으며, 해마다 많은 관광객과 피서객이 찾는다.[20]

성주군은 경상북도 서남부에 위치하며, 온대 계절풍 기후 지역이나 분지형 지형과 내륙에 위치하고 있어 한서의 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는 곳이다. 연평균 기온은 15°C이며, 연강수량은 850mm~1300mm 정도이나 6∼9월에 집중된다.[15]

구분위치좌표비고
극동선남면 도흥리동경 128도 24분
극서금수면 영천리동경 128도 02분
극남수륜면 백운리북위 35도 46분
극북초전면 소성리북위 36도 03분



성주군 관광지도

3. 1. 위치

성주군은 경상북도 서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경상북도 칠곡군, 서쪽으로는 경상북도 김천시경상남도 거창군, 북쪽으로는 김천시, 칠곡군과 접하고 있다.

구분위치좌표비고
극동선남면 도흥리동경 128도 24분
극서금수면 영천리동경 128도 02분
극남수륜면 백운리북위 35도 46분
극북초전면 소성리북위 36도 03분



3. 2. 기후

온대 계절풍 기후 지역이나 분지형 지형과 내륙에 위치하고 있어 한서의 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는 곳이다. 연평균 기온은 15°C이며, 연강수량은 850mm~1300mm 정도이나 6∼9월에 집중된다.[15]

3. 3. 주요 지형

197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가야산소백산맥의 명산으로 조선팔경의 하나였다. 청량사와 해인사 등의 사찰들이 자리잡고 있다. 특히, 청량사는 최치원이 지었거나 즐겨찾은 절로 유명하며, 해인사에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된 팔만대장경이 있다.

가야산의 명소는 물이 맑고 풍부하다. 가야산의 웅장한 정경과 어우러진 계곡으로, 옛 성주 선비들이 심신을 닦고 학문을 수양하는 장소였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당대 최고 선비였던 이원조 선생이 세운 만귀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해마다 수많은 관광객이나 피서객들이 즐겨 찾는다.

1999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성밖숲은 풍수지리설에 따라 조성된 이다. 경산지(京山誌)와 성산지(星山誌)에 따르면, 조선 중엽에 아이들이 아무런 까닭 없이 죽는 등 흉사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이유가 마을의 족두리바위와 탕건바위가 서로 마주보기 때문이라 중간 지점에 숲을 조성하면 그러한 재앙을 막을 수 있다는 지관의 말에 따라 토성인 성주읍성 서문 밖의 이천 강가에 밤나무 숲을 조성했다고 한다. 임진왜란 후 마을의 기강이 해이해지고 민심이 흉흉해지자 밤나무를 베어내고 왕버들로 다시 조성했다고 한다.

4. 정치·행정

경상북도의 다른 지역과 함께 새누리당 초강세 지역이었으나, 2016년 7월 대한민국 국방부가 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를 성주군에 배치하기로 결정하면서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등의 지지세가 늘어났다.[16] 이와 관련하여 성주군의회 소속 의원 4명이 새누리당을 탈당하기도 했다.[17]

행정구역도


성주경찰서

성주소방서

4. 1. 성주군수

국민의힘 소속 이병환이 현재 성주군수이다.

4. 2. 성주군의회

정당별 의석수
합계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무소속
합계8044
지역구7034
비례대표1010


4. 3. 국회의원

경상북도의 다른 지역과 함께 새누리당 초강세 지역이었다. 그렇지만 2016년 7월에 대한민국 국방부가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를 경상북도 성주군에 배치하기로 결정하면서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정의당 등의 지지세가 늘어났다.[16] 이와 관련하여 성주군의회 소속 의원 4명이 새누리당을 탈당하기도 했다.[17]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정희용 의원(국민의힘)이 현재 성주군의 국회의원이다.

4. 4. 도의원

성주·선남·월항정영길국민의힘무투표 당선성주군 제2선거구
수륜·가천·금수·대가
벽진·초전·용암
이수경국민의힘무투표 당선


5. 행정 구역

성주군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616.72km2이며, 2024년 말 기준으로 인구는 24,095세대, 42,086명(남성 22,000명, 여성 20,086명)이다.[18]

성주군의 행정 구역 (2024년 기준)
읍·면한자세대인구(명)면적(km2)
성주읍星州邑6,80213,30036.34
선남면船南面3,5586,02367.15
용암면龍岩面2,2283,64885.05
수륜면修倫面2,0123,09289.78
가천면伽泉面1,2451,98464.23
금수강산면金水江山面7881,19674.74
대가면大家面1,3592,34928.11
벽진면碧珍面1,7123,01562.79
초전면草田面2,4494,40266.30
월항면月恒面1,8633,27241.27
합계23,91843,918616.14



성주군의 읍·면과 법정리
읍·면법정리
성주읍경산리, 대흥리, 대황리, 성산리, 삼산리, 학산리, 금산리, 예산리, 백전리, 용산리
선남면용신리, 도흥리, 도성리, 선원리, 성원리, 소학리, 장학리, 동암리, 취곡리, 신부리, 문방리, 오도리, 관화리, 유서리, 명포리
용암면덕평리, 상언리, 상신리, 용정리, 용계리, 선송리, 사곡리, 동락리, 기산리, 운산리, 문명리, 중거리, 마월리, 계상리, 대봉리, 죽전리, 본리리
수륜면백운리, 봉양리, 신포리, 신정리, 계정리, 수성리, 수륜리, 송계리, 오천리, 남은리, 곽은리, 적송리, 보월리, 성리
가천면창천리, 법전리, 화죽리, 동원리, 마수리, 신계리, 용사리, 금봉리, 중산리
금수강산면광산리, 명천리, 영천리, 어은리, 후평리, 봉두리, 무학리
대가면칠봉리, 옥성리, 용흥리, 흥산리, 옥련리, 금산리, 옥화리, 대천리, 도남리
벽진면봉계리, 봉학리, 매수리, 외기리, 용암리, 자산리, 운정리, 가암리, 수촌리
초전면대장리, 칠선리, 소성리, 용성리, 용봉리, 문덕리, 자양리, 고산리, 어산리, 월곡리, 봉정리, 동포리
월항면대산리, 유월리, 안포리, 용각리, 보암리, 장산리, 수죽리, 지방리, 인촌리


6. 인구

성주군의 인구 추이를 보여주는 아래 표는 1960년부터 2020년까지의 인구 변화를 나타낸다. 1966년에 120,029명으로 최고점을 기록한 후,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0년에는 43,975명이 되었다.[19]

연도총인구
1960년111,879명
1966년120,029명
1970년105,148명
1975년99,981명
1980년77,355명
1985년64,651명
1990년53,082명
1995년48,115명
2000년47,134명
2005년39,682명
2010년45,418명
2015년44,970명
2016년44,994명
2017년45,164명
2018년44,981명
2019년44,484명
2020년43,975명


7. 문화

성주군은 다양한 문화, 축제, 관광 자원을 가지고 있다.

'''문화'''

197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가야산조선팔경 중 하나로, 청량사, 해인사 등 여러 사찰이 있다. 청량사는 최치원이 즐겨 찾던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해인사에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인 팔만대장경이 보관되어 있다.

가야산에는 맑고 풍부한 물이 흐르는 명소가 있다. 옛 성주 선비들이 심신을 닦고 학문을 연마하던 곳으로, 조선 후기 문신 이원조 선생이 세운 만귀정이 있으며, 매년 많은 관광객과 피서객이 찾는다.

1999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성밖숲은 풍수지리설에 따라 조성되었다. 조선 중엽, 마을에 흉사가 잦아 족두리바위와 탕건바위가 마주 보는 것을 막기 위해 성주읍성 서문 밖 이천 강가에 밤나무 숲을 조성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밤나무 대신 왕버들을 심었다.

성주 가천면 금봉리에는 통일 신라 시대 불상인 비로자나불이 있다. 대좌와 광배를 갖춘 석불로, 대구 동화사 석조비로자나불상의 양식을 계승했으며, 보물 제1121호로 지정되었다.

성주읍 예산리에는 조선 시대 향교가 있다. 좌묘후학 배치법을 따르며, 유학을 가르치던 명륜당과 공자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이 있다. 태조 7년(1398년)에 세워진 대성전은 다포양식이면서도 천장을 설치하지 않고,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처리한 점이 특징이다. 보물 제1575호로 지정되었다.

성주읍 성산리에는 가야 시대 지배층의 무덤 70여 기가 모여 있는 성산동 고분군이 있다. 금제굵은고리귀고리, 은제팔찌, 금동제말장식, 굽다리접시 등이 출토되었다. 58호 무덤에서는 전형적인 신라 제품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유물은 성산가야가 신라와는 밀접한 관계를 맺었지만, 대가야와는 문화 교류가 없었음을 보여준다. 사적 제86호로 지정되었다.

2007년 중요문화재로 지정된 한개마을월항면에 있는 전통 한옥 마을이다. 조선 세종 때 진주목사 이우의 후손들이 대대로 살고 있으며, 조선 영조 때 사도세자의 호위무관 이석문, 조선 말기 유학자 이진상 등을 배출했다. 2009년 일요일이 좋다패밀리가 떴다2015년 해피 선데이1박 2일 촬영지로도 사용되었다.

'''축제'''

가야산은 469종의 식물이 자생하는 곳으로, 매년 5월 수륜면 백운리에서 '성주 가야산 야생화 축제'가 열린다. 고적대 퍼레이드, 농악, 야생화 사진전, 약초 전시회 등이 진행된다.

성주참외 & 생명문화축제(경상북도우수축제, 2024년 기준)는 매년 5월 성밖숲 일원에서 열리는 성주군 최대 축제이다. 성주참외와 세종대왕자태실을 중심으로 한 조선시대 생명문화와 역사를 결합한 체험형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다.

성주 가야산 황금들녘 메뚜기축제는 가을에 열리는 친환경 농촌체험 축제이다. 메뚜기잡이, 고구마 캐기, 사과 낚시, 메기 잡기 등 체험 프로그램과 가족운동회 등이 마련되어 있다.

성주군 참외 캐릭터 참별이를 활용한 물놀이 이벤트도 여름에 열린다. 워터 슬라이드, 풀장, 에어바운스 등을 갖추고 있으며, 물총싸움, 랜덤 댄스 플레이 등 부대 프로그램과 쉼터, 푸드트럭도 운영된다.

'''관광'''

성주군은 가야산 국립공원, 성주호, 세종대왕자태실, 성밖숲, 한개마을 등 자연, 역사, 문화, 관광 자원을 갖춘 곳이다.[20] 캠핑장, 펜션, 풀빌라 등 숙박 시설과 로컬 카페, 키즈프렌들리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가족 단위 관광객에게 적합하다. 또한, 성주군은 참외 생산지로 유명하며, 참외를 활용한 체험 관광도 가능하다.

별고을 성주군은 야간 관광 브랜드 '트윙클 성주'를 통해 야간 관광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7. 1. 문화재

197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가야산조선팔경의 하나였다. 청량사와 해인사 등의 사찰들이 자리잡고 있으며, 특히 청량사는 최치원이 즐겨찾은 절로 유명하다. 해인사에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된 팔만대장경이 있다.

가야산은 물이 맑고 풍부한 명소이다. 옛 성주 선비들이 심신을 닦고 학문을 수양하는 장소였으며, 조선 후기 문신이자 당대 최고 선비였던 이원조 선생이 세운 만귀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해마다 수많은 관광객이나 피서객들이 즐겨 찾는다.

1999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성밖숲은 풍수지리설에 따라 조성된 이다. 조선 중엽에 아이들이 아무런 까닭 없이 죽는 등 흉사가 빈번하게 일어나자, 마을의 족두리바위와 탕건바위가 서로 마주보기 때문이라 중간 지점에 숲을 조성하면 그러한 재앙을 막을 수 있다는 지관의 말에 따라 토성인 성주읍성 서문 밖의 이천 강가에 밤나무 숲을 조성했다고 한다. 임진왜란 후 마을의 기강이 해이해지고 민심이 흉흉해지자 밤나무를 베어내고 왕버들로 다시 조성했다고 한다.

성주 가천면 금봉리에 위치한 통일 신라 시대의 불상이다. 진리의 세계를 통솔하는 비로자나불을 형상화한 불상으로, 대좌, 광배를 갖춘 석불이다. 머리엔 넓직한 상투 모양이 있고, 얼굴엔 둥글고 단정한 인상이 있다. 대구 동화사 석조비로자나불상의 양식을 이어받은 불상으로, 보물 제1121호로 지정되었다.

성주 성주읍 예산리에 위치한 조선 시대 향교이다. 좌묘후학 배치법을 지니고 있다. 명륜당은 유학을 가르친 강당이며, 대성전은 공자의 위패를 모신 전각이다. 태조 7년(1398년)에 세워졌으며, 향교에서 보기 드문 다포양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다포건축이면서 천장을 설치하지 않았으며, 다포이면서도 유교건축에 알맞게 내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처리한 점 등은 주목된다. 대성전은 17세기 초기에 건축된 건물로, 건립 연대가 명확하고 보존 상태도 양호하여 가치를 인정받았으며, 명륜당은 평면수법과 창호수법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보물 제1575호로 지정되었다.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에 위치한 가야 시대 지배층의 무덤들이다. 70여 기의 가야 시대 무덤들이 산재해 있다. 금제굵은고리귀고리, 은제팔찌, 금동제말장식이 발견되었으며, 굽다리접시, 굽에 생긴 구멍도 출토되었다. 또 58호 무덤에는 전형적인 신라제품도 출토되었다. 이러한 유물들은 성산가야가 신라와 밀접한 관계를 가졌고, 대가야와 문화적 교류가 없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성산동 고분군 구조나, 성산동 고분군 출토품이 고령 지역 고분군 구조나 고령 지역 고분군 출토품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가지고 있어서 성산가야는 신라와는 밀접한 관계를 가졌으나 대가야와는 문화적 교류를 단절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사적 제86호로 지정되었다.

2007년에 중요문화재로 지정된 한개마을은 전형적인 한옥 마을로서 월항면에 있다. 조선 세종 때 진주목사 이우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고 있다. 조선 영조 때 사도세자의 호위무관 이석문, 조선 말기 유학자 이진상과 같은 뛰어난 학자들을 배출하였다. 2009년 일요일이 좋다 패밀리가 떴다2015년 해피 선데이 1박 2일의 촬영장소로 쓰였다.

7. 2. 축제

가야산은 469종의 식물이 분포하는 자연의 보고로, 야생화와 야생초의 은은한 향기를 맡을 수 있는 곳이다. '산과 꽃, 천연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성주 가야산 야생화 축제"는 매년 5월에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에서 개최된다. 고적대 퍼레이드, 농악 한 마당, 야생화 사진전, 약초 전시회 등이 열린다.

성주참외 & 생명문화축제(경상북도우수축제, 2024년 기준)는 참외향 가득한 싱그러운 5월, 천연기념물인 아름다운 성밖숲 일원에서 개최된다. 세계에서 하나밖에 없는 원앤온리 성주참외와 세종대왕이 선택한 명당, 세종대왕자태실이 가진 성주에 고스란이 남겨진 조선시대의 생명문화와 역사를 결합한 다양한 체험형 콘텐츠로 구성된 성주군 최대 축제이다.

성주 가야산 황금들녘 메뚜기축제는 성주군 가을 대표 축제로 가야산과 대가천변의 청정자연을 자랑하는 대표적인 친환경 농촌체험 축제이다. 메뚜기잡이, 고구마 캐기, 사과 낚시, 메기 잡기 등 친환경 체험프로그램과 가족운동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가족과 함께 신나는 가을 소풍을 즐길 수 있다.

성주군 참외 캐릭터 참별이 워터 슬라이드, 풀장, 에어바운스를 활용한 어린이 동반 가족형 여름 물놀이 이벤트이다. 온 가족이 함께하는 물총싸움, 랜덤 댄스 플레이 등 물놀이 외 부대 프로그램과 쉼터, 푸드트럭 등이 마련되어 한여름 어린이 동반 가족에게 인기이다. 물놀이장 참별이 슬라이드 (대형1, 중형3), 대형풀장, 유아용 에어바운스 등 이벤트 프로그램 물총싸움, 랜덤 댄스 플레이 등 부대시설 그늘막 쉼터, 푸드트럭, 아이스크림 판매점 등이 있다.

7. 3. 관광

경상북도 서남부에 위치한 성주군은 동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 서쪽으로는 경북 김천시와 경남 거창군, 북쪽으로는 김천시, 칠곡군과 맞닿아 있다. 천혜의 자연 유산인 가야산 국립공원과 성주호, 세종대왕자태실, 성밖숲, 한개마을 등 자연, 역사, 문화, 관광자원을 고루 갖춘 대한민국 대표 명당이다.[20]

국내 3위의 캠핑 인프라를 갖춘 성주군은 자연과 어우러진 캠핑장, 펜션, 풀빌라 등 감성 숙박시설이 잘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성주군의 핫플레이스로 부상 중인 로컬 카페들과 아이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키즈프렌들리 인프라를 고루 갖추고 있어 온 가족을 위한 최적의 도시이다. 세계적인 참외 생산지로 알려진 성주군은 지역 전역을 은빛 물결로 가득 메운 참외하우스가 장관을 이룬다. 성주 참외를 활용한 미식ㆍ참외 체험은 오직 성주군에서만 가능한 이색 관광 활동으로 인기가 높다.

2007년에 중요문화재로 지정된 한개마을은 전형적 한옥 마을로서 월항면에 있다. 조선 세종 때 진주목사 이우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고 있다. 조선 영조 때 사도세자의 호위무관 이석문, 조선 말기 유학자 이진상과 같은 뛰어난 학자들을 배출하였다. 2009년 일요일이 좋다패밀리가 떴다2015년 해피 선데이1박 2일 촬영장소로 쓰였다.

별(星)과 고을(州)을 사용하는 ‘별고을’ 성주군은 드넓은 밤하늘 유난히 반짝이는 별빛을 모티브로 한 야간관광 브랜드 ‘트윙클 성주’를 론칭, 대한민국 최초의 강소형 야간관광 특화도시로 성주군의 색깔을 담은 새롭고 다양한 관광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성주 가야산 황금들녘 메뚜기축제는 성주군 가을 대표 축제로 가야산과 대가천변의 청정자연을 자랑하는 대표적인 친환경 농촌체험 축제이다. 메뚜기잡이, 고구마 캐기, 사과 낚시, 메기 잡기 등 친환경 체험프로그램과 가족운동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가족과 함께 신나는 가을 소풍을 즐길 수 있다.

7. 3. 1. 성주 10경

197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가야산소백산맥의 명산으로 조선팔경의 하나였다. 청량사와 해인사 등의 사찰들이 자리잡고 있다. 특히, 청량사는 최치원이 지었거나 즐겨찾은 절로 유명하며, 해인사에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된 팔만대장경이 있다.[1]

가야산의 명소로서 물이 맑고 풍부하다. 가야산의 웅장한 정경과 어우러진 계곡으로, 옛 성주 선비들이 심신을 닦고 학문을 수양하는 장소였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당대 최고 선비였던 이원조 선생이 세운 만귀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해마다 수많은 관광객이나 피서객들이 즐겨 찾는다.[1]

1999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성밖숲은 풍수지리설에 따라 조성된 이다. 경산지(京山誌)와 성산지(星山誌)에 따르면, 조선 중엽에 아이들이 아무런 까닭 없이 죽는 등 흉사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이유가 마을의 족두리바위와 탕건바위가 서로 마주보기 때문이라 중간 지점에 을 조성하면 그러한 재앙을 막을 수 있다는 지관의 말에 따라 토성인 성주읍성 서문 밖의 이천 강가에 밤나무 을 조성했다고 한다. 임진왜란 후 마을의 기강이 해이해지고 민심이 흉흉해지자 밤나무를 베어내고 왕버들로 다시 조성했다고 한다.[1]

469종의 식물이 분포하는 자연의 보고인 가야산야생화와 야생초의 은은한 향기를 맡을 수 있는 곳이다. '산과 꽃, 천연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실시된 "성주 가야산 야생화 축제"는 매년 5월에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에서 열리는 행사다. 고적대 퍼레이드, 농악 한 마당, 야생화 사진전, 약초 전시회 등이 열린다.[1]

성주 참외의 우수성을 대내외에 알리기 위하여 매년 4월 말에서 5월 초까지 성밖숲에서 개최되는 축제이다. 많은 관광객 유치와 다양한 프로그램 진행으로 2008년에 경상북도 지정 우수 축제로 지정됐다. 현재는 성주생명문화축제로 바뀌었다.[1]

7. 3. 2. 야간 관광

1999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성밖숲은 풍수지리설에 따라 조성된 이다. 경산지(京山誌)와 성산지(星山誌)에 따르면, 조선 중엽에 아이들이 아무런 까닭 없이 죽는 등 흉사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이유가 마을의 족두리바위와 탕건바위가 서로 마주보기 때문이라 중간 지점에 을 조성하면 그러한 재앙을 막을 수 있다는 지관의 말에 따라 토성인 성주읍성 서문 밖의 이천 강가에 밤나무 을 조성했다고 한다. 임진왜란 후 마을의 기강이 해이해지고 민심이 흉흉해지자 밤나무를 베어내고 왕버들로 다시 조성했다고 한다.[1]

469종의 식물이 분포하는 자연의 보고인 가야산야생화와 야생초의 은은한 향기를 맡을 수 있는 곳이다. '산과 꽃, 천연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실시된 "성주 가야산 야생화 축제"는 매년 5월에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에서 열리는 행사다. 고적대 퍼레이드, 농악 한 마당, 야생화 사진전, 약초 전시회 등이 열린다.[2]

성주참외 & 생명문화축제(경상북도우수축제, 2024년 기준)는 참외향 가득한 싱그러운 5월, 천연기념물인 아름다운 성밖숲 일원에서 개최된다. 세계에서 하나밖에 없는 원앤온리 성주참외와 세종대왕이 선택한 명당, 세종대왕자태실이 가진 성주에 고스란이 남겨진 조선시대의 생명문화와 역사를 결합한 다양한 체험형 콘텐츠로 구성된 성주군 최대 축제이다.[3]

7. 3. 3. 키즈프렌들리 관광

성주군 참외 캐릭터 참별이를 활용한 워터 슬라이드, 풀장, 에어바운스 등 다양한 물놀이 기구를 갖춘 어린이 동반 가족형 여름 물놀이 이벤트이다. 온 가족이 함께하는 물총싸움, 랜덤 댄스 플레이 등 물놀이 외 부대 프로그램과 쉼터, 푸드트럭 등이 마련되어 여름철 어린이 동반 가족에게 인기이다.

구분내용
물놀이장참별이 슬라이드 (대형 1개, 중형 3개), 대형 풀장, 유아용 에어바운스
이벤트 프로그램물총싸움, 랜덤 댄스 플레이
부대시설그늘막 쉼터, 푸드트럭, 아이스크림 판매점


7. 3. 4. 참외 관광

주어진 자료에는 성주군의 참외 관광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관련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8. 교통

9. 숙박

국내 3위의 캠핑 인프라를 갖춘 성주군은 자연과 어우러진 캠핑장, 펜션, 풀빌라 등 지역의 감성 숙박시설이 잘 마련되어 있다.[20]

10. 기타

성주군은 대동여지도에 표시되어 있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지닌 곳이다.[11] 석기 시대부터 현생 인류가 거주했으며, 지석묘 군집 등을 통해 정치 세력이 등장했음을 알 수 있다. 757년 신라 경덕왕 때 신안현으로 개명되었고, 고려 시대에는 경산부, 성주목 등으로 불리다가 1310년 다시 경산부로 환원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성주목으로 승격되었으나, 1614년 광해군 때 성주 사람 김창록의 사건으로 인해 고령현에 합속되었다가 인조반정 이후 다시 환원되는 등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11] 1895년 8도제가 폐지되고 23부제가 실시되면서 성주군으로 개칭되었다.[12]

1914년 4월 1일 에는 대대적인 행정구역 개편이 있었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성주군 남산면, 북산면, 용산면, 본아면성주면
성주군 대가면, 영파면, 사천면대가면
성주군 오산면, 남곡면선남면
성주군 운곡면, 명암면벽진면
성주군 대동면, 두릉면용두면
성주군 조곡면, 초곡면성암면
성주군 초전면, 유곡면초전면
성주군 유동면, 당소면, 망성면월항면
성주군 청파면, 대리면청파면
성주군 지사면, 법산면지사면
성주군 가천면가천면



1934년에는 지사면과 청파면이 수륜면으로, 용두면과 성암면이 용암면으로 통합되었다.[14] 이후에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조정이 있었으며, 1979년에는 성주면이 성주읍으로 승격되었다. 1983년에는 선남면 노석동이 칠곡군 기산면으로, 용암면 유서동이 선남면으로, 고령군 덕곡면 성동이 수륜면으로 이관되었다. 1989년에는 월항면 어산리가 초전면으로, 용암면 명포리·장학리가 선남면으로 편입되었다.

2024년에는 금수면이 금수강산면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야간관광특화도시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20] 성주군은 '트윙클 성주(Twinkle Seongju)'라는 야간 관광 브랜드를 통해 다양한 야간 콘텐츠와 경관 명소를 제공하고 있다.

야간 관광 콘텐츠
콘텐츠명시행시기시행장소개요 및 주요 프로그램사진
트윙클 성주! 성밖숲 나이트 참크닉8월 중성밖숲 일원
트윙클 성주! 성밖숲 나이트 참크닉
트윙클 성주! 캔들라이트 키즈콘서트8월 중성밖숲 일원
트윙클 성주! 캔들라이트 키즈콘서트
트윙클 성주! 별빛 도보투어8월 중성산동 고분군
트윙클 성주! 별빛 도보투어
트윙클 성주! 성밖숲 나이트 워킹10월 중성밖숲 일원
트윙클 성주! 성밖숲 나이트 워킹
힐링나이트 in 성산동 고분군10월 중성산동 고분군
힐링나이트
가야산 참외별 트레킹2025년 ~ 2026년 (예정)가야산국립공원 (성주)
맛있는 성주, 별빛 쿠킹클래스2026년 ~ 2027년 (예정)미정
성주호 나이트 워킹& 캠핑2026년 ~ 2027년 (예정)성주호 일원
참노을 다이닝 in 한개마을(미정)한개민속마을


10. 1. 성주군 캐릭터 '참별이'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성주군의 캐릭터 '참별이'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없다. 다만, 성주군이 참외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참별이'가 참외와 관련된 캐릭터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정보만으로는 섹션 내용을 작성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10. 2. 성주 본관 성씨

성주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다음과 같다.

10. 3. 민족지도자 심산 김창숙 선생

성주군은 독립운동, 민주운동, 민족 교육에 평생을 바친 민족 지도자 심산 김창숙 선생의 고향이다. 심산 김창숙 생가와 그의 발자취가 담긴 심산기념관(2025년 중 준공 예정)에서 심산 선생의 업적을 만날 수 있다.[20] 심산 선생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민주운동가, 유학자, 교육인, 정치인이자 성균관대학교의 설립자 겸 초대 총장을 지냈다. 1879년 경북 성주군 대가면 사도실 마을에서 태어난 심산 선생은 사실상 한국의 마지막 유림(유교 기반) 계열 지도자로, 그를 마지막으로 유림은 구심점을 잃으며 사회적으로 유교 관련 인사나 단체를 의미하는 매우 포괄적이고 모호한 개념으로 남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태어나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미군정을 거쳐 군사정권까지 격변의 근현대사를 지낸 심산 선생은 독립운동과 유림의 후예인 성균관 재건, 한국 정부의 안정적 수립에 힘썼고, 정부 수립 이후에는 민주화 투쟁에 몸을 던지는 등 민족지도자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였다.[20]

11. 문화 시설

금수면에 있는 청소년 문화의 집은 청소년과 주민의 예술 활동과 문화 체험을 지원한다. 이곳에서는 "청소년 우리 문화 체험 교실", "청소년 특기 적성 교육", "주민을 위한 문화 아카데미" 등을 운영한다.[1]

성주읍에 있는 참외홍보관은 성주군의 특산물인 참외를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다.[2]

성주문화예술회관은 지역 문화 예술 발전과 진흥을 위해 성주읍에 설치된 문화 공간이다.[3]

12. 교육 기관

12. 1. 고등학교

12. 2. 중학교

12. 3. 초등학교

13. 자매 도시

국가도시체결일
서울특별시 관악구2005년 11월 23일
전라남도 무안군2013년 7월 3일
강원도 양양군2014년 11월 17일
대구광역시 달서구2019년 5월 3일

[21]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뉴스 THAAD’s new home will be golf course in South Korean mountains https://www.stripes.[...] STARS AND STRIPES 2016-09-30
[3] 웹사이트 Seongju confirmed as site for THAAD https://www.koreatim[...] 2016-07-13
[4] 웹사이트 韓国農水産食品-チャメ(マクワウリ)[Kankoku Nōsui-san shokuhin - chame (makuwauri)] http://www.atcenter.[...]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 2018-09-17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6] 간행물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7] 간행물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8] 간행물 慶尚北道令第83号 1933-10-06
[9] 웹사이트 THAAD電磁波「6年の怪談」…実際は基準値の0.19%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23-06-22
[10] 웹사이트 경북 성주군, '금수면→금수강산면’ 행정구역명 바꾼다 https://m.imaeil.com[...] 2024-06-10
[11] 웹사이트 성주군의 역사 http://www.seongju.g[...] 2011-07-28
[12]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3] 간행물 조선전도 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14] 간행물 경상북도령 제83호 1933-10-06
[15] 웹사이트 성주군의 위치 및 기후 http://www.seongju.g[...] 2011-07-28
[16] 웹사이트 성주에 간 국민의당ㆍ정의당… 주민들 환대 http://www.hankookil[...]
[17] 웹사이트 백철현 위원장 포함 군의원 4명 새누리 탈당…성주촛불 ‘환호’ http://www.newsmin.c[...]
[18] 웹인용 성주군의 기본 현황 http://www.sj.go.kr/[...] 2011-07-28
[19] 웹사이트 성주군청 홈페이지 인구/가구 현황
[20] 웹인용 https://www.sj.go.kr[...] 2024-10-30
[21] 웹인용 자매도시 https://sj.go.kr/pag[...] 2022-11-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