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대만은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이자 게임 해설가, 그리고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 감독이다. 2004년 웅진 스타즈에 입단하며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하여, 공군 에이스를 거쳐 웅진 스타즈로 복귀하여 주장으로 활동했다. 2010년 GSL 해설을 맡으며 은퇴 후, 곰exp에서 해설가로 활동했으며, 2018년부터 팀 스퀘어의 감독을 맡아 OGN PUBG 서바이벌 시리즈 시즌 1 프로 투어 결승전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공군 프로게이머 최초 양대리그 예선 통과, 전역 후 개인리그 본선 진출 등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동성고등학교 동문 - 백태웅
백태웅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국제인권 운동가로서, 과거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참여했으며 현재 하와이 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인권법을 강의하고 유엔 인권이사회 강제실종 실무그룹 위원 및 의장을 역임하는 등 국제 인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부산동성고등학교 동문 - 김맹곤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맹곤은 경상남도 김해 출신으로 단국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제17대 국회의원과 제5·6대 김해시장을 역임했으나, 두 차례 모두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직을 상실했으며 폐암으로 사망했다. - 공군 ACE의 선수 - 한동욱
한동욱은 2003년 스파키즈에 입단하여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데뷔, 아마추어 신분으로 스타리그에 진출한 마지막 선수이자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1 우승, 프로리그 프로토스전 17연패 기록을 가진 선수이다. - 공군 ACE의 선수 - 이주영 (프로게이머)
이주영은 드론 활용 전략으로 "드론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얻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자 GSL 해설가로, 공군 ACE 소속으로 활동하며 대 프로토스와 대 저그전에서 강점을 보였다. - 대한민국의 게임 해설가 - 유대현
유대현은 1999년부터 2003년까지 활동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최강 우주방어 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GO팀 소속으로 활동하며 다수의 대회에서 우승했고, 군 복무 후에는 다양한 방송에서 스타크래프트 및 리그 오브 레전드 해설가 및 캐스터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게임 해설가 - 리라 (프로게이머)
리라는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로, 여러 팀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아프리카 프릭스 코치를 거쳐 현재 LCK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박대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대만 |
![]() |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 | 1983년 10월 2일 |
출생지 | 부산광역시 |
종족 | 프로토스 (선수 시절) |
아이디 | DaezanG[GnH] |
별명 | 리버신, 대장, 불꽃토스, 꼬라박대만 |
소속팀 | 팀 스퀘어 (감독) |
키보드 | 삼성블랙키보드 |
마우스 | MX300 |
2. 선수 경력
2004년 하반기 웅진 스타즈에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고, 팀의 주축 프로토스 카드로 자리매김했다. 2007년 6월 25일 공군 에이스에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활동을 이어갔으며, 2009년 8월 웅진 스타즈로 복귀하여 주장을 맡았다. 2010년 8월 GSL 해설을 맡게 되면서 프로게이머를 은퇴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 II, 도타 2 해설자로 활동하다가 2018년부터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 팀 스퀘어의 감독을 맡아 OGN PUBG 서바이벌 시리즈 시즌 1 프로 투어 결승전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연도 | 대회명 | 결과 |
---|---|---|
2004년 | SKY 프로리그 2004 그랜드파이널 | 우승 (한빛 스타즈) |
2005년 | KTF 비기 케스파컵 | 준우승 (한빛 스타즈) |
2006년 | 경남신문배 2004 스타지존 Winter 리그 | 4강 |
2006년 | 프링글스 MSL 시즌2 | 8강 |
2007년 | 곰TV MSL 시즌1 | 8강 |
2008년 | EVER 스타리그 2008 | 1차 본선 |
2008년 | TG삼보 인텔 클래식 시즌2 | 64강 |
2009년 | TG삼보 인텔 클래식 시즌3 | 64강 |
2. 1. 프로게이머 데뷔 및 웅진 스타즈 시절
2004년 하반기 웅진 스타즈에 입단하며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다. 팀의 주축 프로토스 카드로 자리매김했고, 2007년 6월 25일 공군 에이스에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활동을 이어갔다. 2009년 8월 친정팀 웅진 스타즈로 복귀하여 곧바로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2010년 5월 24일 이스트로와의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 4라운드 3세트에 출전, 상대팀 저그 에이스 김성대를 꺾고 팀 승리에 기여했다. 2010년 6월 임진묵에게 주장 자리를 넘겼다.2. 2. 공군 에이스 복무
2007년 6월 25일 공군 에이스에 입대하여 프로게이머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 2009년 8월 친정팀인 웅진 스타즈로 복귀하여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2010년 5월 24일 이스트로와의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 4라운드 3세트에 출전해 상대팀 저그 에이스 김성대를 꺾으며 팀 승리에 기여했다.2. 3. 웅진 스타즈 복귀 및 은퇴
2009년 8월 친정팀 웅진 스타즈로 복귀해 곧바로 주장에 임명되었다. 2010년 5월 24일 이스트로와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 4라운드 3세트에 출전, 상대팀 저그 에이스 김성대를 꺾으며 팀 승리에 기여했다. 2010년 6월 임진묵에게 주장 자리를 넘겼고, 2010년 8월 GSL 해설을 맡게 되면서 프로게이머에서 은퇴했다.3. 해설가 및 감독 경력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이전 답변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문 소스가 제공되어야 지시사항에 따라 내용을 수정하고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4. 수상 내역
연도 | 대회 | 결과 |
---|---|---|
2004년 | SKY 프로리그 2004 그랜드파이널 | 우승 (한빛 스타즈) |
2005년 | KTF 비기 케스파컵 | 준우승 (한빛 스타즈) |
2006년 | 경남신문배 2004 스타지존 Winter 리그 | 4강 |
2006년 | 프링글스 MSL 시즌2 | 8강 |
2007년 | 곰TV MSL 시즌1 | 8강 |
2008년 | EVER 스타리그 2008 | 1차 본선 |
2008년 | TG삼보 인텔 클래식 시즌2 | 64강 |
2009년 | TG삼보 인텔 클래식 시즌3 | 64강 |
5. 기타 기록
- 공군 최초로 양대리그 예선을 통과했다.
- 공군 제대 프로게이머 중 최초로 개인리그 본선에 진출했다.
- 병역필 프로게이머 중에서는 임재덕에 이어 두 번째로 개인리그 본선에 진출했다.
- 공군 전역자 중 공식경기에서 최초로 오영종을 상대로 승리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