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찬희 (권투 선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찬희는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로, 1976년 하계 올림픽 라이트플라이급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1977년 프로 데뷔 후 1979년 세계복싱평의회(WBC) 플라이급 챔피언 미겔 칸토를 꺾고 챔피언에 등극했다. 이후 5차 방어에 성공했으나, 1980년 오쿠마 쇼지에게 KO패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오쿠마 쇼지와의 재경기에서도 패배하여 타이틀 탈환에 실패했으며, 1982년 은퇴할 때까지 통산 23전 17승(6KO) 4패 2무의 전적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아시안 게임 복싱 참가 선수 - 구영조
    구영조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라이트플라이급에서 대한민국 복싱 역사상 최초의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이다.
  • 1974년 아시안 게임 복싱 참가 선수 - 장봉문
  • 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이열우
    이열우는 1985년 프로 복싱 선수로 데뷔하여 WBC, WBA 챔피언을 석권하고 통산 22전 19승을 기록했으며, 2009년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 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매니 파키아오
    매니 파키아오는 1990년대부터 2020년대에 걸쳐 8체급을 석권한 필리핀의 복싱 선수이자 정치인, 배우로, 빈곤을 극복하고 복싱으로 8개 체급 세계 타이틀을 획득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으며 정치인으로도 활동했다.
  • 서울남정초등학교 동문 - 이경환 (야구 선수)
    이경환은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등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하는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며, 남정초등학교, 선린중학교,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했다.
  • 서울남정초등학교 동문 - 김재호 (야구 선수)
    김재호는 2004년 두산 베어스에 입단하여 유격수로 활동하며 뛰어난 수비력으로 KBO 리그 골든글러브를 수상하고 2016년 두산 베어스 주장, 국가대표로도 활약한 후 2024년 은퇴한 야구 선수이다.
박찬희 (권투 선수)
기본 정보
본명박찬희
출생일1957년 3월 23일
출생지부산광역시 (당시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국적대한민국
신장161cm (5 ft 3+1/2 in)
스타일오소독스 스탠스
체급라이트플라이급
플라이급
선수 경력
총 전적23전
승리17승
KO 승6승
패배4패
무승부2무
프로 데뷔1977년 7월 9일
은퇴1982년
메달 정보
메달국가: 대한민국
종목: 남자 복싱
대회: 아시안 게임
금메달: 1974 테헤란 -48kg
한국어 이름
한글박찬희
한자朴贊希
로마자 표기Bak Chanhui
매큔-라이샤워 표기Pak Ch'anhŭi

2. 생애

대구에서 행상을 하던 박청서의 아들로 태어나 부산서울에서 자랐다.[4] 1976년 1976년 하계 올림픽 복싱 라이트플라이급에 출전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1977년 7월 8일 프로 선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79년 3월 18일 WBC 챔피언에 등극했고 5차 방어를 성공했다. 1982년 12월 12일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통산 전적은 17승(6KO) 4패 2무이다.

1976년, 한국 대표로 몬트리올 올림픽 복싱 라이트플라이급에 출전하여 8강에서 패했다.

1977년 7월 8일, 프로 데뷔했다.

1979년 3월 18일, 11번째 경기에서 세계복싱평의회(WBC) 세계 플라이급 챔피언 미겔 칸토에게 도전하여 왕좌를 획득했다.

1979년 5월 20일, 이카라시 리키와 경기하여 15라운드 판정승으로 첫 방어에 성공했다.[3]

1979년 9월 9일, 미겔 칸토와 재경기를 펼쳐 15라운드 판정 무승부로 두 번째 방어에 성공했다.

1981년 12월 16일, 구티 에스파다스와 경기하여 1라운드부터 다운을 주고받는 격전 끝에 2라운드 TKO승으로 세 번째 방어에 성공했다.

1980년 4월 18일, 알베르토 모랄레스와 경기하여 15라운드 판정승으로 다섯 번째 방어에 성공했다.

1980년 5월 18일, 여섯 번째 방어전에서 오쿠마 쇼지와 경기하여 9라운드 KO패를 당했다. 왕좌에서 몰락했으며 프로 경력 첫 패배를 기록했다.[3]

1980년 10월 18일, 오쿠마 쇼지와 재경기를 펼쳐 15라운드 1-2의 근소한 판정패로 왕좌 탈환에 실패했다.[3]

1981년 2월 3일, 이전 판정에 이의를 제기하여 다이렉트 리매치로 오쿠마 쇼지와 경기했다. 15라운드 0-2 판정패를 당하며 오오쿠마에게 세계전 3연패를 당했다.[3]

1982년 12월 12일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3. 아마추어 경력

박찬희는 대구에서 태어나 부산서울에서 자랐다.[4] 1976년 하계 올림픽 복싱 라이트플라이급에 출전하여 준결승에 진출, 8강에서 호르헤 에르난데스 (쿠바)에게 2-3으로 패했다.

3. 1.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경기 결과

선수결과
아브데라힘 나짐 (모로코)DQ 3 승
알리칸 아즈 (터키)5-0 승
호르헤 에르난데스 (쿠바)2-3 패


4. 프로 경력

박찬희는 1977년 7월 8일 프로 선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4] 1979년 세계 복싱 평의회(WBC) 챔피언에 등극했고 5차 방어에 성공했다. 미구엘 칸토를 판정승으로 꺾고 WBC와 라이트플라이급 통합 챔피언이 되었으나,[1] 1980년 오구마 쇼지에게 KO패로 타이틀을 잃었다.[2] 이후 오구마와 두 차례 더 경기를 치르며 타이틀 탈환을 시도했지만 모두 패배했다.[2] 1982년 12월 12일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통산 전적은 23전 17승(6KO) 4패 2무이다.

4. 1. WBC 세계 플라이급 챔피언 등극과 방어

1979년 3월 18일, 세계복싱평의회(WBC) 세계 플라이급 챔피언 미구엘 칸토에게 도전하여 왕좌를 획득했다.[1]

1979년 5월 20일, 이카라시 리키와 경기하여 15라운드 판정승으로 첫 방어에 성공했다.[3]

1979년 9월 9일, 미구엘 칸토와 재경기를 펼쳐 15라운드 판정 무승부로 두 번째 방어에 성공했다.

1980년 4월 18일, 알베르토 모랄레스와 경기하여 15라운드 판정승으로 세 번째 방어에 성공했다.

1980년 5월 18일, 오오쿠마 쇼지와 경기하여 9라운드 KO패로 타이틀을 잃고, 프로 경력 첫 패배를 기록했다.[3][2]

1980년 10월 18일, 오오쿠마 쇼지와 재경기를 펼쳐 15라운드 1-2의 근소한 판정패로 왕좌 탈환에 실패했다.[3]

1981년 2월 3일, 이전 판정에 이의를 제기하여 오오쿠마 쇼지와 다이렉트 리매치를 가졌으나, 15라운드 0-2 판정패를 당하며 3연패를 기록했다.[3]

1981년 12월 16일, 구티 에스파다스와 경기하여 1라운드부터 다운을 주고받는 격전 끝에 2라운드 TKO승으로 네 번째 방어에 성공했다.

4. 2. 오구마 쇼지와의 대결과 은퇴

오구마 쇼지와 1980년 5월 18일 여섯 번째 방어전을 치러 9라운드 KO패를 당했다. 이 경기는 박찬희의 프로 경력 첫 패배였으며, 왕좌에서 물러나게 되었다.[3]

1980년 10월 18일, 오구마 쇼지와 재경기를 가졌으나 15라운드 1-2의 근소한 차이로 판정패하여 왕좌 탈환에 실패했다.[3]

1981년 2월 3일, 이전 판정에 이의를 제기하여 오구마 쇼지와 다이렉트 리매치(Direct Rematch)를 가졌다. 하지만 15라운드 0-2 판정패를 당하며 오구마에게 세계전 3연패를 기록했다.[3]

이후 1982년 12월 12일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5. 수상 및 업적

6. 프로 복싱 전적

번호결과전적상대경기 방식라운드, 시간날짜장소비고
2317–4–2윅 텐검 (Wick Tengam)TKO4 (10)1982년 12월 12일서울특별시 문화체육관한국어
2217–3–2로키 피네다 (Rocky Pineda)판정승41982년 10월 17일서울특별시 문화체육관한국어
2116–3–2오하시 가쓰유키 (Katsuyuki Ohashi)판정승101982년 8월 15일서울특별시 문화체육관한국어
2015–3–2오구마 쇼지다수결 판정151981년 2월 3일고라쿠엔 홀일본어, 도쿄일본어WBC 및 더 링 플라이급 타이틀전
1915–2–2오구마 쇼지근소 판정151980년 10월 18일미야기현 체육관일본어, 센다이일본어WBC 및 더 링 플라이급 타이틀전
1815–1–2베르 리브라딜라 (Ver Libradilla)기권승6 (10)1980년 7월 26일서울특별시 문화체육관한국어
1714–1–2오구마 쇼지KO9 (15)1980년 5월 18일장충체육관한국어, 서울특별시한국어WBC 및 더 링 플라이급 타이틀 상실
1614–0–2알베르토 모랄레스 (Alberto Morales)전원일치 판정151980년 4월 13일대구체육관한국어, 대구한국어WBC 및 더 링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1513–0–2아르넬 아로잘 (Arnel Arrozal)전원일치 판정151980년 2월 10일장충체육관한국어, 서울특별시한국어WBC 및 더 링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1412–0–2구티 에스파다스 (Guty Espadas)KO2 (15)1979년 12월 16일구덕체육관한국어, 부산한국어WBC 및 더 링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13무승부11–0–2미구엘 칸토 (Miguel Canto)판정151979년 9월 9일잠실학생체육관한국어, 서울특별시한국어WBC 및 더 링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1211–0–1이가라시 치카라 (Chikara Igarashi)전원일치 판정151979년 5월 20일장충체육관한국어, 서울특별시한국어WBC 및 더 링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1110–0–1미구엘 칸토 (Miguel Canto)전원일치 판정151979년 3월 18일구덕체육관한국어, 부산한국어WBC 및 더 링 플라이급 타이틀 획득
10무승부9–0–1시오니 카루포 (Siony Carupo)판정101979년 2월 18일서울특별시 문화체육관한국어
99–0롤리 라모스 (Rolly Ramos)판정승101978년 10월 21일서울특별시 문화체육관한국어
88–0나나샤 도라유키 (Torayuki Nanasha)KO6 (10)1978년 9월 8일충무체육관한국어, 대전한국어
77–0우치다 미키오 (Mikio Uchida)KO3 (10)1978년 8월 12일서울특별시 문화체육관한국어
66–0푸마 코야 (Puma Koya)KO2 (10)1978년 4월 16일구덕체육관한국어, 부산한국어
55–0조지 페드로소 (George Pedroso)판정승101978년 2월 18일서울특별시 문화체육관한국어
44–0페드로 솔로 (Pedro Solo)판정승101977년 11월 26일구덕체육관한국어, 부산한국어
33–0정상일판정승101977년 10월 1일구덕체육관한국어, 부산한국어
22–0콘도 유키미쓰 (Yukimitsu Kondo)KO3 (10)1977년 9월 10일서울특별시 문화체육관한국어
11–0무토 추지 (Chuji Muto)KO1 (8)1977년 7월 9일구덕체육관한국어, 부산한국어


참조

[1] 뉴스 Sports Briefs https://www.nytimes.[...] 1979-03-19
[2] 웹사이트 Shoji Oguma of Japan successfully defended his World Boxing... https://www.upi.com/[...]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23-12-30
[3] 서적 日本プロボクシング史 世界タイトルマッチで見る50年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2
[4] 뉴스인용 「不遇」이기자"中3부터 권투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79-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