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열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열우는 1985년 프로 복싱 선수로 데뷔하여 1989년 WBC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 1990년 WBA 플라이급 챔피언을 차지하며 2체급 석권을 달성했다. 통산 전적은 22전 19승(10KO) 3패이며, 1987년 아마도 우르수아를 KO로 꺾고, 1989년 헤르만 토레스를 TKO로 꺾으며 세계 챔피언에 올랐다. 1990년 레파드 타마쿠마와의 경기에서 패배 후 은퇴했으며, 2009년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박찬희 (권투 선수)
1976년 올림픽 국가대표이자 WBC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이었던 박찬희는 5차 방어에 성공한 후 1982년 은퇴한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 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매니 파키아오
매니 파키아오는 1990년대부터 2020년대에 걸쳐 8체급을 석권한 필리핀의 복싱 선수이자 정치인, 배우로, 빈곤을 극복하고 복싱으로 8개 체급 세계 타이틀을 획득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으며 정치인으로도 활동했다. - 라이트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구시켄 요코
구시켄 요코는 일본 오키나와현 출신의 전 프로 복싱 선수로, WBA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을 13차 방어하며 일본 복싱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고, 은퇴 후에는 해설자 및 탤런트로 활동하며 2014년 국제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라이트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최요삼
최요삼은 대한민국의 프로 권투 선수로, WBC 라이트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에 올라 3차 방어에 성공하는 등 화려한 경력을 쌓았으나, WBO 인터콘티넨탈 플라이급 챔피언 1차 방어전 직후 뇌출혈로 사망 후 체육훈장 백마장 추서와 장기 기증으로 기려지고 리쌍의 추모곡 '챔피언'으로도 기억되는 인물이다. - 라이트플라이급 권투 선수 - 박찬희 (권투 선수)
1976년 올림픽 국가대표이자 WBC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이었던 박찬희는 5차 방어에 성공한 후 1982년 은퇴한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 라이트플라이급 권투 선수 - 구시켄 요코
구시켄 요코는 일본 오키나와현 출신의 전 프로 복싱 선수로, WBA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을 13차 방어하며 일본 복싱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고, 은퇴 후에는 해설자 및 탤런트로 활동하며 2014년 국제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이열우 | |
---|---|
프로필 | |
본명 | 이열우 |
별칭 | 핫 페퍼 |
체급 | 라이트플라이급 플라이급 |
신장 | 5 ft. 5 in. |
출생일 | 1967년 1월 25일 |
사망일 | 2009년 12월 10일 (향년 42세) |
출생지 | 옥천군, 대한민국 |
스타일 | 오소독스 |
총 경기 수 | 22 |
승리 | 19 |
KO 승리 | 10 |
패배 | 3 |
2. 생애
충청북도 옥천 출신이다. 1985년 7월 13일 프로 데뷔를 하였다. 통산 전적은 22전 19승(10KO) 3패이다. 2009년 12월 10일 췌장암으로 사망하였다.[1]
이열우는 1985년 프로 선수로 전향하여 1989년 헤르만 토레스를 TKO로 꺾고 WBC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이 되었다. 그러나 첫 방어전에서 움베르토 곤잘레스에게 판정패하여 타이틀을 잃었다. 이후 체급을 올려 1990년 WBA 플라이급 챔피언 헤수스 키키 로하스에게 판정승을 거두었지만, 첫 방어전에서 레오파드 타마쿠마에게 TKO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잃고 은퇴했다.[1]
3. 프로 경력
3. 1. 데뷔 및 국내 활동
1985년 7월 13일, 프로 데뷔를 하였다.
1987년 12월 13일, 전 WBC 세계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 아마도 우르수아(멕시코)를 5회 KO로 꺾었다.
1989년 3월 19일, 첫 번째 세계 타이틀에 도전하여 고국에서 WBC 세계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 헤르만 토레스(멕시코)에게 9회 TKO 승리를 거두었다. 이로써 18전 만에 첫 번째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그러나 6월 25일 첫 번째 방어전에서 움베르토 곤잘레스(멕시코)에게 12회 판정패하여 챔피언 자리를 잃었다.
같은 해 11월 25일, 같은 국적의 전 WBC 세계 플라이급 챔피언 김용강과 논타이틀전을 벌여 10회 판정승을 거두었다.
1990년 3월 10일, 플라이급에서 세계 타이틀에 도전하여 WBA 세계 동급 챔피언 헤수스 로하스(베네수엘라)에게 판정승을 거두며 2체급 석권을 달성하였다.
같은 해 7월 29일, 첫 번째 방어전이자 한국 국외에서의 첫 경기에서 이바라키현미토시에서 레파드 타마쿠마와 대결하여 10회 TKO 패(본인 첫 KO 패배)를 당하며 챔피언 자리에서 물러났다[1].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23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2009년 12월 10일, 암으로 42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하였다.
3. 2. WBC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 등극
1989년 3월 19일, 이열우는 고국에서 WBC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 헤르만 토레스(멕시코)에게 도전하여 9회 TKO 승리를 거두고, 18전 만에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6월 25일, 첫 번째 방어전에서 움베르토 곤잘레스(멕시코)에게 12회 판정패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었다.[1]
3. 3. 움베르토 곤잘레스와의 대결
1989년 6월 25일, 첫 번째 방어전에서 움베르토 곤잘레스(멕시코)에게 12회 판정패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었다.[1]
3. 4. WBA 플라이급 챔피언 등극 및 은퇴
1989년 헤르만 토레스를 TKO로 꺾고 WBC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에 올랐으나, 첫 방어전에서 움베르토 곤잘레스에게 판정패하여 타이틀을 잃었다. 1990년 체급을 올려 WBA 플라이급 챔피언 헤수스 키키 로하스에게 판정승을 거두며 2체급 석권에 성공했지만, 같은 해 첫 방어전에서 레오파드 타마쿠마에게 TKO패를 당하고 은퇴했다.[1]
3. 5. 프로 전적
번호 | 결과 | 전적 | 상대 | 타입 | 라운드 | 날짜 | 장소 | 비고 |
---|---|---|---|---|---|---|---|---|
22 | 패 | 19–3 | 레오파드 다마쿠마 | TKO | 10 | 1990년 7월 29일 | 일본 미토 시 체육관 | [1] |
21 | 승 | 19–2 | 헤수스 로하스 | SD | 12 | 1990년 3월 10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WBA 플라이급 타이틀 획득 |
20 | 승 | 18–2 | 김용강 | PTS | 10 | 1989년 11월 25일 | 대한민국 부산 | |
19 | 패 | 17–2 | 움베르토 곤잘레스 | UD | 12 | 1989년 6월 25일 | 대한민국 청주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상실 |
18 | 승 | 17–1 | 헤르만 토레스 | TKO | 9 | 1989년 3월 19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획득 |
17 | 승 | 16–1 | Roger de Rama | KO | 4 | 1988년 7월 24일 | 대한민국 서울 세계무역센터 | |
16 | 승 | 15–1 | 채훈국 | KO | 3 | 1988년 10월 9일 | 대한민국 서울 쉐라톤 워커힐 호텔 | |
15 | 패 | 14–1 | Miguel Mercedes | UD | 10 | 1988년 5월 29일 | 대한민국 여수 흥국체육관 | |
14 | 승 | 14–0 | 김덕현 | KO | 7 | 1988년 3월 20일 | 대한민국 울산 종하체육관 | |
13 | 승 | 13–0 | Amado Ursua | KO | 5 | 1987년 12월 13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
12 | 승 | 12–0 | Arnulfo Melencion | KO | 4 | 1987년 11월 14일 | 대한민국 서울 팔팔체육관 | |
11 | 승 | 11–0 | Julio Gudino | PTS | 10 | 1987년 6월 28일 | 대한민국 인천 선인체육관 | |
10 | 승 | 10–0 | Romy Navarrete | KO | 7 | 1987년 4월 19일 | 대한민국 인천 선인체육관 | |
9 | 승 | 9–0 | 한상현 | PTS | 10 | 1987년 1월 18일 | 대한민국 포항체육관 | |
8 | 승 | 8–0 | 최근수 | PTS | 8 | 1986년 11월 1일 | 대한민국 포항체육관 | |
7 | 승 | 7–0 | 김성규 | PTS | 8 | 1986년 8월 30일 | 대한민국 오산 시민회관 | |
6 | 승 | 6–0 | 김찬영 | KO | 2 | 1986년 7월 27일 | 대한민국 홍천 | |
5 | 승 | 5–0 | 김정현 | KO | 5 | 1986년 6월 28일 | 대한민국 포항 실내체육관 | |
4 | 승 | 4–0 | 박종화 | KO | 2 | 1985년 12월 10일 | 대한민국 서울 | |
3 | 승 | 3–0 | 이상준 | PTS | 4 | 1985년 12월 8일 | 대한민국 서울 | |
2 | 승 | 2–0 | 최노성 | PTS | 4 | 1985년 12월 5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1 | 승 | 1–0 | 양동필 | PTS | 4 | 1985년 7월 13일 | 대한민국 충주 |
4. 사망
2009년 12월 10일 췌장암으로 42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하였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