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라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라븐은 19세기 후반 덴마크 민속에서 유래한 존재로, 전투에서 죽었지만 매장되지 않은 왕이나 족장의 시체를 먹은 까마귀가 변한 존재로 묘사된다. 발라븐은 인간의 지식과 악행을 가지며, 초인적인 능력을 지닌 "끔찍한 동물"로 묘사되거나, 아이의 피를 먹어야 동물 형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평화롭지 못한 영혼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덴마크 전통 노래와 현대 음악, 대중문화 등 다양한 매체에서 소재로 활용되었으며, 늑대와 까마귀의 혼합 괴물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르만족 민속 - 크라켄
    크라켄은 노르웨이어에서 유래된 바다 괴물로, 문헌에 묘사된 거대한 바다 생물이며, 대왕오징어를 모델로 추정되면서 현대 대중문화에 등장한다.
  • 스칸디나비아 민속 -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비에른센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비에른센은 노르웨이의 동화 작가이자 동물학자로서 노르웨이 민담집을 출판하고 동물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노르웨이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칸디나비아 민속 - 에테스투파
    에테스투파는 본래 '왕조 절벽'을 뜻하는 스웨덴어 용어로 고고학에서 사용되다 현대에는 복지 축소 비판, 대중문화, 노년의 삶 성찰 등 다양한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 스칸디나비아의 문화 - 크라켄
    크라켄은 노르웨이어에서 유래된 바다 괴물로, 문헌에 묘사된 거대한 바다 생물이며, 대왕오징어를 모델로 추정되면서 현대 대중문화에 등장한다.
  • 스칸디나비아의 문화 - 나이트메어 (민속)
    나이트메어는 민속에서 악몽이나 악몽을 유발하는 존재를 지칭하며, 게르만 문화권과 슬라브 문화권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악령이다.
발라븐
개요
유형초자연적 존재
문화권덴마크 민속
기원사후 존재, 특히 전투에서 죽은 자
능력인간과 동물의 형태를 취함, 예지력, 초자연적 지식
어원
의미학살된 자의 까마귀
언어고대 노르드어
민속
기원발라븐은 까마귀의 일종으로, 전쟁터에서 죽은 사람들의 심장을 먹음으로써 만들어짐.
까마귀가 인간 아이의 심장을 먹음으로써 만들어짐.
외형인간의 모습을 취할 수 있는 괴물.
어린이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예언 능력을 가지고 있음.
보통의 까마귀와 마찬가지로 검은색임.
능력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음.
끔찍한 주문을 수행할 수 있음.
근처 사람들이 불구가 되거나 미치게 만들 수 있음.
변환까마귀가 인간의 심장을 먹으면 발라븐이 됨.
무덤 위를 날아간 까마귀는 발라븐이 됨.
평범한 동물의 모습으로 변할 수 있음.
치료동물의 형태를 한 발라븐을 물리치는 유일한 방법은 은 조각을 사용하는 것임.
대중 문화
언급덴마크의 록 밴드 발라븐

2. 전승 및 민담

19세기 후반에 기록된 덴마크 민속에 따르면, 왕이나 족장이 전투에서 죽었지만 발견되어 매장되지 않으면, 까마귀들이 와서 그를 먹었고, 그 까마귀들은 ''발라븐''이 되었다고 한다.[1] 왕의 심장을 먹은 발라븐은 인간의 지식을 얻고, 엄청난 악행을 저지를 수 있으며, 사람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하고, 초인적인 능력을 가지며, "끔찍한 동물"이었다.[1]

또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발라븐은 밤에 (결코 낮에는) 날아다니며 속죄를 찾는 평화롭지 못한 영혼으로, 아이의 피를 먹어야만 동물 형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덴마크 전통 노래에 반영되어 있는데, 이 노래는 발라븐이 부를 거절한 후, 처녀에게 그녀의 첫 아들을 약속하면 그녀를 약혼자에게 데려다주기로 계약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계약 후, 발라븐은 날아간다. 시간이 흘러, 부부는 아이를 낳고 발라븐이 돌아와 처녀에게 약속을 잊었는지 묻는다. 발라븐은 아이를 데려가 자신의 내기에서 아이의 가슴을 찢어 아이의 심장 안에 담긴 피를 먹는다. 그 결과, 발라븐은 기사로 변한다. 이 전통 노래는 전자 민속 밴드 Sorten Muld에 의해 재해석되어 1997년 그들에게 히트곡이 되었으며, 제목은 ''Ravnen''이었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발라븐을 반은 늑대이고 반은 까마귀인 괴물로 묘사한다.[2]

2. 1. 발라븐의 능력

19세기 후반에 기록된 덴마크 민속에 따르면, 왕이나 족장이 전투에서 죽었지만 발견되어 매장되지 않으면, 까마귀들이 와서 그를 먹었다고 한다. 그 까마귀들은 ''발라븐''이 되었다. 왕의 심장을 먹은 발라븐은 인간의 지식을 얻고, 엄청난 악행을 저지를 수 있으며, 사람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하고, 초인적인 능력을 가지며, "끔찍한 동물"이었다.[1]

다른 이야기에서는 발라븐을 반은 늑대이고 반은 까마귀인 괴물로 묘사한다.[2]

2. 2. 발라븐과 인간

19세기 후반에 기록된 덴마크 민속에 따르면, 왕이나 족장이 전투에서 죽었지만 발견되어 매장되지 않으면, 까마귀들이 와서 그를 먹었고, 그 까마귀들은 ''발라븐''이 되었다고 한다. 왕의 심장을 먹은 발라븐은 인간의 지식을 얻고, 엄청난 악행을 저지를 수 있으며, 사람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하고, 초인적인 능력을 가지며, "끔찍한 동물"이었다.[1]

발라븐은 아이의 피를 통해 속죄하고 동물 형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 처녀와의 계약을 통해 기사로 변신하는 발라븐 이야기는 덴마크 전통 노래에 반영되어 있으며, 현대 음악 밴드 Sorten Muld에 의해 ''Ravnen''이라는 제목으로 재해석되기도 했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발라븐을 반은 늑대이고 반은 까마귀인 괴물로 묘사한다.[2]

2. 3. 괴물 형상

19세기 후반에 기록된 덴마크 민속에 따르면, 왕이나 족장이 전투에서 죽었지만 발견되어 매장되지 않으면, 까마귀들이 와서 그를 먹었고, 그 까마귀들은 ''발라븐''이 되었다고 한다.[1] 왕의 심장을 먹은 발라븐은 인간의 지식을 얻고, 엄청난 악행을 저지를 수 있으며, 사람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하고, 초인적인 능력을 가지며, "끔찍한 동물"이었다.[1] 다른 이야기에서는 발라븐을 반은 늑대이고 반은 까마귀인 괴물로 묘사한다.[2]

3. 어원 및 해석

야코프 그림에 따르면, "vilde ravn or vilde valravn" ("야생 까마귀 또는 야생 발라븐")은 덴마크 민요에서 악마적인 트롤의 자리를 정확히 차지한다. 그림은 덴마크어 '발라븐'에 해당하는 고대 고지 독일어 '*walahraban*'을 제시한다.

4. 현대의 영향

발라븐은 20세기 초 단편 소설집[4]을 비롯하여 전통 음악을 연주하는 페로 제도의 음악 그룹[5] 등 대중 문화에서 가끔 언급되었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 발행된 덴마크 게르만 신이교주의 잡지의 제목이기도 했다.[6] 이 이름은 덴마크 어린이 책에도 언급된다.[7]

2013년 SF 애니메이션 혁명기 발브레이브의 제목과 동명의 메카는 발라븐을 기반으로 하며, 그들의 민속 설화의 다양한 측면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2017년 비디오 게임 ''헬블레이드: 센뉴아의 희생''에서는 발라븐이 "환상의 신"으로 등장하며, 플레이어는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 이 스테이지의 보스를 물리쳐야 한다.[8]

발라븐은 ''패스파인더 롤플레잉 게임''의 5번째 야수 도감에 등장하며, 크리처에 대한 그림(Grimm)의 "빌더라븐(Vilderavn)"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9] 발라븐은 시더 포인트의 2016년 다이브 롤러코스터의 이름이다.[10]

발라븐은 엘리자베스 녹스의 판타지 소설 《The Absolute Book》(2019)에 등장한다. 2020년 Gealdýr의 앨범과 노래는 "발라븐"이라고 불린다.[11]

4. 1. 게르만 신이교주의

4. 2. 대중문화

발라븐은 20세기 초 단편 소설집[4]을 비롯하여 전통 음악을 연주하는 페로 제도의 음악 그룹[5] 등 여러 대중 문화에서 언급되었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 발행된 덴마크 게르만 신이교주의 잡지의 제목이기도 하며[6], 덴마크 어린이 책에도 등장한다.[7]

2013년 SF 애니메이션 혁명기 발브레이브의 제목과 메카는 발라븐을 기반으로 하며, 민속 설화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2017년 비디오 게임 ''헬블레이드: 센뉴아의 희생''에서는 발라븐이 "환상의 신"으로 등장한다.[8] 패스파인더 롤플레잉 게임의 5번째 야수 도감에는 그림(Grimm)의 "빌더라븐(Vilderavn)"이라는 명칭으로 등장한다.[9] 시더 포인트의 2016년 다이브 롤러코스터 이름은 발라븐이다.[10] 엘리자베스 녹스의 판타지 소설 《The Absolute Book》(2019)에도 등장하며, 2020년 Gealdýr의 앨범과 노래 제목으로도 사용되었다.[11]

참조

[1] 서적 Kristensen 1980
[2] 서적 Olrik 1909
[3] 서적 Grimm 2004
[4] 서적 Stuckenberg 1908
[5] 웹사이트 Valravn online http://www.valravn.n[...]
[6] 웹사이트 Valravn magazine online http://www.valravn.c[...]
[7] 서적 Bjerre 1991
[8] 웹사이트 A Mind at War With Itself: Hellblade and the Lived Experience of Mental Illness - OnlySP https://onlysp.escap[...] 2020-04-29
[9] 웹사이트 Vilderavn: d20PFSRD https://www.d20pfsrd[...] 2020-07-17
[10] 웹사이트 Valravn: World's Tallest, Fastest, Longest Dive Coaster {{!}} Cedar Point https://www.cedarpoi[...] 2020-12-28
[11] 웹사이트 Valravn https://www.gealdyr.[...] 2022-11-17
[12] 서적 Danske Sagn: Som De Har Lyd I Folkemunde Nyt Nordisk Forlag Arnold Busck, Copenhagen 1980
[13] 서적 Danske Folkeviser Gyldendal 1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