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늑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늑대는 개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1863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에 의해 학명 Canis chanco로 처음 명명되었다. 분류학적으로 다양한 논란이 있으며, 몽골늑대, 티베트늑대, 히말라야늑대 등 아종 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늑대는 황갈색 털을 가지며, 계절에 따라 털 색이 변한다. 과거에는 러시아 극동, 몽골, 한반도 등 넓은 지역에 분포했으나, 현재는 서식지 파괴, 가축 약탈로 인한 박해, 독극물 중독 등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간주되며, 북한 개마고원이 유일한 서식지로 추정된다. 몽골에서는 정령 동물로 숭배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식성 - 시베리아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는 카를 린네가 명명한 호랑이 아종으로, 러시아 극동, 중국 북동부, 한반도 등지에 분포했으나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존 노력을 받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육식성 - 식충생물
    식충생물은 곤충을 주식으로 하거나 섭취하는 다양한 분류군의 생물들을 통칭하는 용어로, 생태계에서 곤충 개체 수 조절에 기여하며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곤충, 거미류, 영장류 등이 이에 속한다.
  • 늑대 - 제보당의 괴수
    제보당의 괴수는 1764년부터 1767년까지 프랑스 제보당 지역에서 발생한 일련의 동물 공격 사건으로, 수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키며 늑대, 하이에나, 초자연적 존재 등 다양한 정체에 대한 논란을 낳았다.
  • 늑대 - 늑대개
    늑대개는 늑대와 개의 교배로 태어난 동물로, 늑대 혈통 비율에 따라 분류되며, 일부는 특정 품종으로 인정받기도 하지만 여러 국가에서 법적으로 규제된다.
  • 개과 - 티베트모래여우
    티베트모래여우는 티베트고원의 스텝 및 반사막 지역에 서식하며 촘촘한 털과 좁은 주둥이를 가진 개과의 동물로, 고원우는토끼를 주로 사냥하며 서식지 파괴와 먹이 감소로 위협받지만 넓은 분포 지역으로 IUCN에서는 비위협군으로 분류된다.
  • 개과 - 포클랜드늑대
    포클랜드늑대는 포클랜드 제도에 서식했던 멸종된 개과 동물로, 무분별한 사냥과 잘못된 인식으로 19세기 후반 멸종되었으며, 갈기늑대와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추정되고, 다양한 가설과 함께 전 세계 박물관에 표본과 지명으로 남아있다.
늑대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몽골늑대 (파란색)와 히말라야늑대 (분홍색)의 중국 및 주변 국가 분포도
기본 정보
학명Canis lupus chanco
명명자Gray, 1863
아종늑대
개속
회색늑대
개과
식육목
포유강
척삭동물문
동물계
상태멸종위기 (VU)
상태 기준IUCN 3.1
다른 이름
학명이명coreanus (Abe, 1923)
dorogostaiskii (Skalon, 1936)
ekloni (Przewalski, 1883)
filchneri (Matschie, 1907)
karanorensis (Matschie, 1907)
laniger (Hodgson, 1847)
niger (Sclater, 1874)
tschiliensis (Matschie, 1907)
saxicolor (Smith, 1834)
한국어 일반명늑대
영어 일반명Mongolian wolf (몽골 늑대)
중국어 일반명藏狼
만주어 일반명ᠨᡳᠣᡥᡝ (니오허)
몽골어 일반명ᠴᠢᠨᠤ᠎ᠠ (초노)
기타 정보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멸종위기 1급

2. 분류

''Canis chanco''는 1863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중국 타타르 지역에서 발견된 늑대 가죽을 바탕으로 제안한 학명이다. 이후 1880년 세인트 조지 잭슨 미바트는 이 표본을 ''Canis lupus chanco''라는 늑대 아종으로 분류했다. 1923년 일본 동물학자 아베 요시오는 한반도 늑대의 좁은 주둥이를 근거로 ''C. coreanus''라는 별개 종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레지널드 포콕은 이를 ''C. chanco''의 지역 변종으로 보았다. 2005년 ''세계 포유류 종 목록'' 3판에서는 ''C. coreanus''를 ''Canis lupus chanco''의 동의어 중 하나로 포함했다.

몽골늑대의 분류는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 포콕은 티베트늑대를 ''C. l. laniger''로 언급하며 ''C. l. chanco''의 동의어로 분류했지만, 우젠크래프트는 ''C. l. laniger''를 ''C. l. filchneri''의 동의어로 처리했다. NCBI/Genbank 자료와 일부 학술 논문에서도 분류학적 혼란이 나타난다.

2019년 IUCN/SSC 갯과 동물 전문가 그룹은 히말라야늑대의 분포 지역을 고려하여 유전자 분석 전까지 "히말라야늑대"를 ''Canis lupus chanco''로 분류할 것을 제안했지만, 형태학적 분석은 부족하다.

2. 1. 학명 논란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1863년 중국 타타르 지역(Chinese Tartary)에서 사살된 늑대의 가죽을 보고 ''Canis chanco''라는 학명을 제안했다. 1880년 세인트 조지 잭슨 미바트는 이 표본을 ''Canis lupus chanco''라는 늑대 아종으로 분류했다. 1923년 일본 동물학자 아베 요시오는 한반도의 늑대가 비교적 좁은 주둥이를 가졌기 때문에 ''C. chanco''와는 별개의 종인 ''C. coreanus''로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레지널드 포콕은 이를 ''C. chanco''의 지역 변종으로 보았다. 2005년 ''세계 포유류 종 목록'' 3판에서 포유류학자 W. 크리스토퍼 우젠크래프트는 늑대 ''Canis lupus'' 아종 ''Canis lupus chanco''의 동의어를 나열했고, ''C. coreanus'' (Abe, 1923)를 그중 하나로 분류했다.

몽골늑대에 대한 분류학적 혼란은 여전히 남아 있다. 1941년 포콕은 티베트늑대를 ''C. l. laniger''라고 언급하고 ''C. l. chanco''의 동의어로 분류했다. 그러나 우젠크래프트는 ''C. l. laniger''를 ''C. l. filchneri'' Matschie (1907)의 동의어로 포함시켰다. 티베트늑대를 ''C. l. chanco''로 분류하는 포콕의 분류를 여전히 사용하는 연구자들이 있어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NCBI/Genbank는 ''C. l. chanco''를 몽골늑대로, ''C. l. laniger''를 티베트늑대로 나열하고 있으며, ''C. l. chanco''를 몽골늑대로 언급하는 학술 논문도 있다.

2019년 IUCN/SSC 갯과 동물 전문가 그룹이 주최한 워크숍에서는 히말라야늑대의 분포 지역에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이 포함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 그룹은 유전자 분석이 가능해질 때까지 이 늑대 계통을 "히말라야늑대"로 부르고 ''Canis lupus chanco''로 분류할 것을 권장했다. 현재 히말라야늑대는 적절한 형태학적 분석이 부족하다.

2. 2. 티베트늑대와의 관계

존 에드워드 그레이(John Edward Gray)는 1863년 중국 타타르 지역(Chinese Tartary)에서 사살된 늑대의 가죽을 보고 ''Canis chanco''를 학명으로 제안했다. 1880년 세인트 조지 잭슨 미바트(St. George Jackson Mivart)는 이 표본을 ''Canis lupus chanco''라는 늑대 아종으로 분류했다. 1941년 레지널드 포콕(Reginald Pocock)은 티베트늑대를 ''C. l. laniger''라고 언급하고 ''C. l. chanco''의 동의어로 분류했다. 그러나 2005년 발행된 세 번째판 ''세계 포유류 종 목록''(Mammal Species of the World)에서 포유류학자 W. 크리스토퍼 우젠크래프트(W. Christopher Wozencraft)는 ''C. l. laniger''를 ''C. l. filchneri'' Matschie (1907)의 동의어로 포함시켰다.

티베트늑대를 ''C. l. chanco''로 분류하는 포콕의 분류를 여전히 사용하는 연구자들이 있어 분류학적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NCBI/Genbank는 ''C. l. chanco''를 몽골늑대로, ''C. l. laniger''를 티베트늑대로 나열하고 있으며, ''C. l. chanco''를 몽골늑대로 언급하는 학술 논문도 있다.

2019년 IUCN/SSC 갯과 동물 전문가 그룹이 주최한 워크숍에서는 히말라야늑대의 분포 지역에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이 포함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 그룹은 유전자 분석이 가능해질 때까지 이 늑대 계통을 "히말라야늑대"로 부르고 ''Canis lupus chanco''로 분류할 것을 권장했다. 현재 히말라야늑대는 적절한 형태학적 분석이 부족하다.

2. 3. 히말라야늑대

존 에드워드 그레이(John Edward Gray)는 1863년 중국 타타르 지역(Chinese Tartary)에서 사살된 늑대의 가죽을 보고 ''Canis chanco''라는 학명을 제안했다. 1941년 포콕은 티베트늑대를 ''C. l. laniger''라고 언급하고 ''C. l. chanco''의 동의어로 분류했다. 그러나 우젠크래프트는 ''C. l. laniger''를 ''C. l. filchneri'' Matschie (1907)의 동의어로 포함시켰다.

2019년 IUCN/SSC 갯과 동물 전문가 그룹이 주최한 워크숍에서는 히말라야늑대의 분포 지역에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이 포함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 그룹은 유전자 분석이 가능해질 때까지 이 늑대 계통을 "히말라야늑대"로 부르고 ''Canis lupus chanco''로 분류할 것을 권장했다. 현재 히말라야늑대는 적절한 형태학적 분석이 부족하다.

3. 형태

늑대는 황갈색 털을 가지고 있으며, 등 뒤는 진한 검은색과 회색이 섞여 있다. 목, 가슴, 배, 다리 안쪽은 순백색이고, 머리는 옅은 회갈색이며 이마는 검회색을 띈다. 두개골은 유라시아늑대와 거의 비슷하지만, 다리가 더 짧다.[8]

중국 다롄 삼림동물원의 몽골늑대


그레이(Gray)는 중국 타르타리아(Chinese Tartary)에서 채집한 표본에 대해 털은 황갈색이고 등쪽 털은 더 길고 뻣뻣하며 검은색과 회색 털이 섞여 있다고 기술했다. 목구멍, 가슴, 배, 다리 안쪽은 순수한 흰색이며, 머리는 연한 회색 갈색, 이마는 짧은 검은색과 회색 털이 섞여 있다. '찬코(Chanco)'라고 불리며, 유럽늑대와 두개골 및 이빨이 매우 유사하다. 일반 늑대와 비슷하지만 다리가 다소 짧고, 귀, 몸통 측면, 다리 바깥쪽은 짧고 연한 황갈색 털로 덮여 있다. 머리와 몸통 길이는 약 106.68cm, 꼬리 길이는 약 38.10cm이다.

러시아 동물학자 블라디미르 게오르기예비치 헵트너(Vladimir Georgievich Heptner)는 러시아 우수리강(Ussuri River) 지역의 몽골늑대에 대해 크기가 크지 않고 ''C. l. desertorum''과 비슷하거나 약간 크지만, 시베리아 산림늑대보다는 현저히 작다고 기술했다. 색깔은 탁한 회색에 약간의 황토색이 섞여 있으며, 연한 노란색이나 밤색은 없다. 털은 거칠고 뻣뻣하다. 헵트너가 제시한 몽골늑대의 신체 치수는 다음과 같다.

몸통 길이꼬리 길이뒷발 길이귀 높이어깨 높이체중
수컷93cm~158cm30cm~40cm16cm~24cm10cm~14.5cm58cm~89cm26kg~37kg
암컷90cm~109cm30cm~40cm16cm~23cm9.5cm~13cm57cm~75cm22kg~30kg


3. 1. 계절에 따른 털갈이

늑대의 털 색은 계절마다 다르다. 겨울 털은 허리와 꼬리가 검은색 또는 흰색, 담황색 등의 털이 섞여 있으며, 어깨에서 허리로 내려가는 털은 검은색과 흰색으로 되어 있다. 머리 아래의 털은 배와 다리 바깥쪽의 털처럼 희고 회색이 거의 없다. 때때로 앞다리에 다양한 명도의 어두운 줄무늬가 있을 수 있다. 귀는 창백한 회색 또는 짙은 황토색이다. 정수리와 턱은 검은색 얼룩의 줄무늬가 있으며, 이는 뺨 윗부분과 귀, 눈 아래까지 나 있다. 턱 색은 검은색부터 흰색까지 다양하다. 겨울 털은 어깨 털이 100mm~120mm이고, 등 뒤는 70mm~80mm, 측면은 40mm~60mm 정도의 길이이다.[9]

4. 분포 및 서식지

1847년부터 1923년까지, 늑대는 다양한 학명을 가지며 러시아 극동 지역, 몽골, 한반도에 이르는 넓은 서식지를 가졌다.[10]

인도 북부, 네팔, 부탄, 중앙아시아에 서식하는 개체들은 현재 분류 논란이 있다. 개체수는 양호한 편이다.

오사카의 텐노지 동물원


동쪽으로는 알타이 산맥/톈산 산맥을 경계로 회색늑대 (''C. l. lupus'')와, 남쪽으로는 티베트 고원을 경계로 히말라야 늑대와, 중국 남부에서는 아직 명칭이 정해지지 않은 늑대 아종과 서식지를 나눈다.

4. 1. 대한민국

1847년부터 1923년까지, 늑대는 다양한 학명을 가지고 있었으며 러시아 극동 지역, 몽골, 한반도에 이르는 넓은 서식지를 가지고 있었다.[10]

한국늑대 (''C. l. chanco'')의 서식지는 몽골, 중국 북부와 중부, 북한 그리고 러시아의 우수리 지역(우수리강)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인간 정착과 주요 경쟁자인 시베리아 호랑이의 감소로 중국 북부에서 서식 범위를 확장했다. 동물 분류학상 이명을 사용하는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지역에서 표본을 기술했다.

  • ''chanco'' Gray (1863): 중국 타타르 지역
  • ''coreanus'' Abe (1923): 한국
  • ''karanorensis'' Matschie (1907): 고비 사막의 카라노르
  • ''niger'' Sclater (1874): 인도 라다크 연방 직할지역 한레(마을)
  • ''tschillensis'' Matschie (1907): 지리(현재 허베이성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역) 연안

5. 위협 요인

늑대는 사냥개, 검독수리, 인간을 주요 천적으로 삼는다.[5] 가축을 잡아먹는 탓에 오랜 기간 인간에게 박해받았으며, 독극물 중독으로도 위협받는다. 서식지가 줄어들어 늑대 개체 수 유지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몽골에서는 늑대 털을 이용하기도 하며,[5] 고양이의 먹이를 빼앗아 고양이의 천적이 되기도 한다.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는 호랑이, 표범, , 여우와 더불어 인간에게 해로운 동물로 취급되어 제거 대상이 되었다.[11]

5. 1. 서식지 파괴 및 단편화

늑대는 지속적인 가축 약탈과 독극물 중독으로 인해 큰 박해를 받아 위협에 처하고 있다. 서식지 단편화로 인해 장기 생존에 필요한 개체수에 비해 서식지가 작아졌다.[5] 늑대의 주요 천적은 사냥개, 검독수리, 인간이다.[5]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는 호랑이, 표범, , 여우와 함께 사람에게 해로운 동물로 몰려 구제당했다.[11]

5. 2. 인간과의 충돌

늑대의 주요 천적은 사냥개, 검독수리, 인간이다. 늑대는 지속적인 가축 약탈로 인해 큰 박해를 받고 있으며, 독극물 중독으로 인한 위협에도 지속적으로 처하고 있다. 서식지가 조각조각 나뉘면서, 장기적으로 생존에 필요한 개체수에 비해 서식지가 작아지게 되었다. 몽골 지역의 늑대들은 털을 이용하기도 한다.[5] 가끔은 고양이의 먹이를 빼앗아 먹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래서 고양이의 천적 중 하나이다.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는 호랑이, 표범, , 여우와 함께 사람에게 해로운 동물로 몰려 사냥당했다.[11]

6. 보전 노력

몽골,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러시아에서는 보호 지역을 제외하고는 늑대가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지역의 야생 늑대 개체군은 절멸한 것으로 간주되며, 현재 한반도의 유일한 서식지는 북한개마고원이다. 대한민국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이는 호랑이표범과 마찬가지로 동물원에 있는 개체들을 포함한 것이다.

7. 인간과의 관계

몽골에서는 늑대를 정령 동물로 여기며, 늑대가 인간을 두려워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늑대는 때때로 "양의 암살자"라고 불리기도 한다. 전설에 따르면 몽골 유목민의 시조는 늑대였다고 한다. 그러나 몽골 사람들은 양 떼를 보호하기 위해 늑대를 죽이기도 한다. 몽골에서는 늑대 모피를 지속 가능하게 이용하고 있다.

7. 1. 몽골

몽골에서는 늑대를 정령 동물로, 개는 가족 구성원으로 여긴다. 몽골 사람들은 늑대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늑대가 인간을 두려워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늑대는 때때로 "양의 암살자"라고 불린다. 전설에 따르면 몽골 유목민의 시조는 늑대였으며, 그들로부터 혈통이 내려왔다고 한다. 그러나 몽골 사람들은 양 떼를 보호하기 위해 늑대를 죽여야 한다. 몽골에서는 늑대의 모피를 지속 가능하게 이용하고 있다.

7. 2. 대한민국

대한민국 지역의 야생 늑대 개체군은 절멸한 것으로 간주되며, 현재 한반도의 유일한 서식지는 개마고원이다.[1] 대한민국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이는 호랑이표범과 마찬가지로 동물원에 있는 개체들을 포함한 것이다.[1]

참조

[1] IUCN Canis lupus ssp. chanco 2024-01-07
[2] MSW3
[3] 웹사이트 Mongolian Red List Of Mammals https://www.research[...]
[4]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5] IUCN Canis lupus
[6] 서적 Wolves: Behaviour, Ecology and Conservation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London
[7] 논문 The Chinese wolf, ancestor of new world dogs
[8] 논문 Notice of the Chanco or Golden Wolf (Canis chanco) from Chinese Tartary http://www.archive.o[...]
[9] 서적 Mlekopitaiuščie Sovetskogo Soiuza Vysšaia Škola, Moskva
[10] 서적 Checklist of Palaearctic and Indian mammals 1758 to 1946 http://www.archive.o[...] Brit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London
[11] 뉴스 Devils in the Darkness: Korea’s Gray Wolves' http://english.ohmyn[...] OhmyNews 2007-05-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