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밴 앨런 프루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밴 앨런 프루브는 2012년 8월에 발사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임무로, 밴 앨런 복사대의 역학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임무는 두 개의 동일한 탐사선(A, B)을 사용하여 우주 기상 현상과 관련된 상대론적 전자 및 이온의 행동을 조사했다. 2019년에 임무가 종료되었으며, 밴 앨런 복사대의 입자 가속 및 손실, 환전류의 작동 방식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했다. 탐사선은 다양한 과학 장비를 탑재하여 자기장, 전기장, 고에너지 입자 등을 측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9년 퇴역한 우주선 - 마스 큐브 원
    마스 큐브 원은 NASA가 개발한 최초의 심우주 큐브위성으로, 화성 착륙선 인사이트의 통신 중계를 위해 제작되어 2018년 발사 후 인사이트 착륙 과정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지구에 전송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큐브위성의 심우주 임무 활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 2019년 퇴역한 우주선 - 오퍼튜니티 (탐사차)
    오퍼튜니티는 화성에서 과거 물의 존재 여부를 탐색하기 위해 2003년 발사된 NASA의 화성 탐사 로버로, 14년 이상 활동하며 화성 탐사에 크게 기여했다.
  • 2012년 발사한 우주선 - 아리랑 3호
    아리랑 3호는 한국항공우주산업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국제협력을 통해 개발한 70cm급 고해상도 광학장비 탑재 지구관측위성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상용화되었으며 2012년 일본에서 발사되었다.
  • 2012년 발사한 우주선 - 누스타
    누스타는 고에너지 X선을 관측하는 NASA의 우주망원경으로, 높은 감도와 해상도를 통해 초신성 잔해, 초대질량 블랙홀 등 다양한 천체 현상 연구에 기여하며 고에너지 천체물리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우주 기후 - 오로라
    오로라는 태양풍과 지구 자기권의 상호작용으로 극지방 상층 대기에서 나타나는 발광 현상으로, 고에너지 입자가 대기 중 원자 및 분자와 충돌하여 빛을 내며, 색상과 형태는 대기 성분과 지구 자기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 우주 기후 - 지자기 폭풍
    지자기 폭풍은 태양 활동으로 방출된 플라스마와 자기장이 지구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Dst 지수를 통해 강도를 측정하며 전력 시스템, 통신, 위성 등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밴 앨런 프루브
기본 정보
반 앨런 탐사선의 궤도상 상상도
반 앨런 탐사선의 궤도상 상상도
이름반 앨런 탐사선
다른 이름방사선대 폭풍 탐사선 (RBSP)
임무 유형천체물리학
운영자NASA
COSPAR ID2012-046A
2012-046B
SATCAT38752
38753
웹사이트반 앨런 탐사선
임무 기간계획: 2년
최종: 2012년 8월 30일 ~ 2019년 10월 18일
제작사응용물리학연구소
발사 질량~1500 kg (2대 합계)
궤도 정보
궤도 기준지구 중심
궤도 유형고타원
궤도 긴반지름21887 km
궤도 근지점618 km
궤도 원지점30414 km
궤도 경사10.2°
궤도 주기537.1 분
궤도 시대gee
발사 정보
발사일2012년 8월 30일, 08:05 UTC
발사 로켓아틀라스 V 401
AV-032
발사 장소케이프 커내버럴 SLC-41
발사 계약자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
폐기 정보
폐기 유형임무 종료
비활성화반 앨런 탐사선 A: 2019년 10월 18일
반 앨런 탐사선 B: 2019년 7월 19일
프로그램 정보
프로그램대형 전략 과학 임무
태양권 물리학 부서
이전 임무SDO
다음 임무MMS
프로그램 2''태양과 함께 사는 프로그램
이전 임무 2SDO
다음 임무 2파커
로고
반 앨런 탐사선 로고

2. 역사적 배경 및 발사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는 Living With a Star 계획 전체를 운영하며, 밴 앨런 프루브는 태양 역학 관측소와 함께 이 계획의 일부로 개발되었다. 탐사선의 전체 실행 및 장비 운용은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응용 물리 연구소가 담당했다. 임무는 공식적으로 2년간 지속될 예정이었으나, 실제로는 더 오랫동안 운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밴 앨런 프루브는 방사선대에서 발생하는 입자를 측정하는 BARREL 프로젝트와 협력하여 운용되도록 계획되었다.

2. 1. 임무 계획

날짜내용
2007년 1월 30–31일임무 개념 검토 완료[7][25]
2008년 10월예비 설계 검토
2009년 1월확인 검토
2012년 4월 30일탐사선, 메릴랜드주 로렐에 있는 응용물리학 연구소에서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로 수송
2012년 8월 30일탐사선,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의 우주 발사 단지 41에서 발사 (동부 표준시 오전 4시 5분)[8][26]
2019년 7월 19일밴 앨런 탐사선 B 비활성화
2019년 10월 18일밴 앨런 탐사선 A 비활성화, 임무 종료


2. 2. 발사

2009년 3월 16일, 유나이티드 런치 얼라이언스(ULA)는 NASA가 아틀라스 V 401 로켓을 사용하여 밴 앨런 프루브(당시 RBSP)를 발사하는 계약을 ULA에 수여했다고 발표했다.[9]

탐사선은 2012년 4월 30일 메릴랜드주 로렐에 있는 응용물리학 연구소에서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로 수송되었다.

페이로드 페어링 전반부 앞에 위치한 밴 앨런 프루브 탐사선 A와 B


NASA는 원래 2012년 8월 23일 새벽에 발사를 시도했으나, 발사 4분 전 카운트다운을 중단하며 연기했다. 다음 날인 8월 24일에는 기상 악화로 발사가 불가능했고, 이후 허리케인 아이작으로부터 로켓과 인공위성을 보호하기 위해 추가로 연기되었다.[10]

최종적으로 발사는 2012년 8월 30일 오전 4시 5분(동부 일광 시간)에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의 우주 발사 단지 41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8][10]

2. 3. 임무 종료

2019년 2월 12일, 임무 관제 센터는 밴 앨런 탐사선의 임무 종료 절차를 시작했다. 이는 탐사선의 근지점을 낮추어 대기 항력을 증가시키고, 최종적으로 대기 재돌입을 통해 탐사선을 파괴하기 위한 조치였다. 이러한 결정은 탐사선이 비교적 빠른 시간 안에 지구 대기권으로 재진입하도록 유도하여, 점점 심각해지는 우주 쓰레기 문제에 대한 잠재적 위협을 최소화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11] 탐사선은 원래 2020년 초까지 또는 태양 전지판이 태양을 향하도록 자세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추진제가 모두 소진될 때까지 임무를 계속 수행할 예정이었다. 과학자들은 탐사선이 2034년경에 대기권으로 재진입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11]

먼저 밴 앨런 탐사선 B가 2019년 7월 19일에 운영을 중단했다. 임무 운영팀이 탐사선의 추진제 고갈을 확인한 후 내린 결정이었다.[12] 이어 밴 앨런 탐사선 A 역시 추진제 부족 문제에 직면했고, 결국 2019년 10월 18일에 비활성화되었다. 이로써 7년간 이어진 밴 앨런 탐사선 임무는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13]

3. 과학적 목표 및 성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태양과 함께 살아가기 프로그램의 일부인 밴 앨런 프루브는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응용 물리학 연구소(APL)가 주도하여 개발 및 운영하였다.[4] 탐사선은 밴 앨런 복사대를 발견한 과학자 제임스 밴 앨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RBSP 과학 개요.


밴 앨런 프루브의 주요 임무는 지구를 둘러싼 밴 앨런 복사대의 동적인 변화와 그곳의 입자들이 어떻게 가속되고 소실되는지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이었다.[2][21] 이는 우주 기상 현상을 예측하고 인공위성우주비행사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2] 탐사선은 당초 2년으로 계획된 임무 기간을 훨씬 넘는 7년 이상 성공적으로 운영되며, 극한의 방사선 환경 속에서 우주선의 기술적 내구성을 입증하였다.[4] 또한, 지상 관측 프로젝트인 RBSP 상대론적 전자 손실을 위한 풍선 배열(BARREL)과 협력하여 방사선대 입자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행했다.[5][6]

임무 수행 기간 동안 밴 앨런 프루브는 여러 중요한 과학적 발견을 이루었는데, 이는 기존의 우주 물리학적 이해를 크게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대표적인 성과로는 예상치 못했던 세 번째 방사선 벨트의 발견,[29] 밴 앨런대 내부에서의 입자 가속 메커니즘 규명,[30] 그리고 환전류의 작동 방식에 대한 새로운 이해[14][15] 등이 있다.

3. 1. 과학적 목표



밴 앨런 복사대는 태양 표면의 활동으로 생성되어 태양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와 물질에 의해 변화하는 더 큰 우주 기상 시스템의 일부이다. 이 복사대는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하며, 밤하늘의 아름다운 오로라를 만들기도 하지만, 인공위성의 작동을 방해하거나 지상의 전력망 고장을 유발하고 GPS 통신을 교란하는 등 실질적인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2][21] 밴 앨런 프루브는 과학자들이 이 위험한 우주 환경을 더 깊이 이해하고, 이러한 환경을 견딜 수 있는 더 안전한 우주선을 설계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발사되었다.[2][21] 특히, 태양 플레어태양풍 같은 태양 활동의 변화에 따라 우주 공간의 상대론적 전자와 이온 분포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는지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2][21]

밴 앨런 프루브 임무의 구체적인 과학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2][21]

  • 방사선대에서 입자를 가속하고 수송하는 과정은 무엇이며, 어떤 조건에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지 규명한다.
  • 방사선대에서 전자가 어떻게 사라지는지(손실) 이해하고 그 양을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 전자를 가속하는 과정과 손실시키는 과정 사이의 균형을 밝혀낸다.
  • 지자기 폭풍이 발생했을 때 방사선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해한다.

3. 2. 주요 성과



밴 앨런 프루브는 태양풍과 태양 활동 변화에 따라 밴 앨런 복사대의 상대론적 전자 및 이온 분포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는지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2] 주요 과학적 성과는 다음과 같다.

  • 세 번째 밴 앨런대 발견 (2013년 2월): 탐사선이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기존에 알려진 두 개의 밴 앨런 복사대 외에 세 번째 방사선 벨트가 일시적으로 존재함을 발견했다.[16][29] 이 세 번째 벨트는 두 벨트 사이에 형성되었으며, 행성간 충격파에 의해 생성되었다가 몇 주 후 태양풍의 영향으로 사라졌다.[16][29]

지구 주위를 도는 포획된 전자의 방사선 벨트 시각화. 벨트의 단면을 열어 명확성을 위해 단면을 표시하고 카메라를 더 적도 뷰로 이동했다. 지구 자전과 태양 움직임은 꺼져 있다.

  • 입자 가속 메커니즘 규명 (2013년 7월): 밴 앨런 복사대 내에서 입자가 빛의 속도의 99% 이상으로 가속되는 현상의 원인이 외부 요인이 아니라, 복사대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가속 과정임을 확인했다.[30] 이는 이전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던 수수께끼를 푸는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 환전류 작동 방식 규명 (2016년 5월): 지구 주변 약 10000km에서 60000km 거리에 존재하는 환전류(Ring Current)가 기존의 이해와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14] 연구 결과, 환전류의 변화는 주로 저에너지 양성자의 움직임을 반영하며, 지자기 폭풍이 없는 평상시에도 고에너지 양성자에 의해 상당한 규모의 환전류가 지속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14][15] 지자기 폭풍 발생 시 환전류가 증가하는 것은 지구 근처로 새로운 저에너지 양성자가 유입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14][15]

2015년 3월의 지자기 폭풍 당시 방사선 벨트 변화 시뮬레이션.

4. 탐사선 구조 및 장비

NASA의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는 태양과 함께 살아가기 프로그램 전체를 관리하며, 이 프로그램에는 밴 앨런 프루브(당시 RBSP)와 태양 역학 관측소(SDO) 등이 포함되었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응용 물리학 연구소(APL)는 NASA를 대신하여 밴 앨런 프루브 임무의 전반적인 구현, 관리, 제작 및 운영을 담당했다.[4]

탐사선의 이름은 연구 대상인 방사선 벨트를 발견한 과학자 제임스 밴 앨런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4] 주요 임무 기간은 2년으로 계획되었는데, 이는 방사선 벨트의 혹독한 환경에서 위성 전자 장치의 생존 가능성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 예상 소모품 수명은 4년이었지만, 탐사선은 7년 동안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했으며, 임무 종료는 전자 장치 고장이 아닌 연료 고갈 때문이었다. 이는 방사선 벨트라는 극한 환경 속에서 탐사선 전자 장치의 뛰어난 내구성과 복원력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받는다.[4]

밴 앨런 프루브는 두 대의 동일한 탐사선으로 구성되어 시간과 공간에 따른 방사선대의 변화를 정밀하게 관측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이 탐사선은 방사선 벨트에서 지구 대기로 떨어지는 입자를 측정하는 BARREL(Balloon Array for RBSP Relativistic Electron Losses) 프로젝트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운영되었다.[5][6]

4. 1. 탐사선 구조

밴 앨런 탐사선은 하나의 아틀라스 V 로켓으로 발사된 두 대의 스핀 안정화 우주선으로 구성되었다.[2] 두 탐사선은 연구 대상인 가혹한 방사선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다른 위성들은 격렬한 우주 기상 현상이 발생하면 전원을 끄거나 스스로를 보호하는 것과 달리, 밴 앨런 탐사선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데이터를 계속 수집해야 했다. 따라서 탐사선은 강렬한 우주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겪게 되는 입자 및 방사선의 폭격을 견딜 수 있도록 특별히 제작되었다.[2]

RBSP A 태양 전지판 및 자력계의 시험 배치

4. 2. 탑재 장비

프로브 개략도


두 개의 탐사선이 시간과 공간에 따른 방사선대의 변화를 동시에 관측하기 위해 동일한 장비를 탑재하는 것이 중요했다. 각 탐사선에는 다음과 같은 장비들이 실렸다.

  • 고에너지 입자, 조성 및 열 플라스마(Energetic Particle, Composition, and Thermal Plasma, ECT) 기기군[17]: 뉴햄프셔 대학교의 할란 스펜스가 수석 연구원을 맡았다.[18] 주요 협력 기관으로는 LANL, 사우스웨스트 연구소, 항공우주 기업, LASP가 참여했다.
  • 전기 및 자기장 기기군 및 통합 과학(Electric and Magnetic Field Instrument Suite and Integrated Science, EMFISIS)[19]: 아이오와 대학교의 크레이그 클레칭이 수석 연구원을 맡았다.
  • 전기장 및 파동 기기(Electric Field and Waves Instrument, EFW): 미네소타 대학교의 존 와이건트가 수석 연구원을 맡았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콜로라도 대학교 볼더가 주요 협력 기관으로 참여했다.
  • 방사선대 폭풍 탐사선 이온 조성 실험(Radiation Belt Storm Probes Ion Composition Experiment, RBSPICE): 뉴저지 공과대학교의 루이스 J. 랜제로티가 수석 연구원을 맡았다. 주요 협력 기관으로는 응용 물리학 연구소와 Fundamental Technologies, LLC가 있다.
  • 상대론적 양성자 분광기(Relativistic Proton Spectrometer, RPS): 미국 국가 정찰국에서 제공했다.

5. 협력 및 의의

밴 앨런 프루브 임무는 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응용 물리 연구소 등 여러 기관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Living With a Star 계획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 탐사선은 지구 주변의 혹독한 방사선 환경인 밴 앨런 복사대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우주 기상의 원리를 밝히고, 이것이 인공위성, 통신 시스템, 전력망, GPS 등 현대 기술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탐사선은 태양 활동에 따라 변화하는 방사선대의 입자 가속 및 소멸 과정, 지자기 폭풍과의 상호작용 등을 규명함으로써 과학적 이해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또한, 예상 수명을 훨씬 넘겨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며 극한 환경에서의 우주선 내구성 기술을 입증하는 성과도 거두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주 기상 예보의 정확성을 높여 관련 위험으로부터 사회 기반 시설을 보호하고, 더 안전한 미래 우주 탐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5. 1. 국제 협력

미국 항공 우주국의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는 Living With a Star 계획 전체를 운영하며, 밴 앨런 프루브는 태양 역학 관측소와 함께 이 계획을 구성한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응용 물리 연구소가 밴 앨런 프루브의 전체 실행 및 장비 운용을 담당한다. 미션은 2년간 지속될 예정이지만, 4년 동안 지속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탐사선은 방사선대에서 발생하는 입자를 측정할 수 있는 BARREL과 협력하여 운용된다.

5. 2. 과학적 의의

밴 앨런 복사대는 태양 표면 폭발로 태양계 전체에 퍼지는 에너지와 물질에 의해 움직이는 거대한 우주 기상 시스템의 일부이며,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한다. 우주 기상은 밤하늘의 아름다운 오로라를 만들지만, 인공위성 통신을 방해하거나 전력망 고장, GPS 신호 교란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밴 앨런 프루브는 과학자들이 이 위험한 우주 환경을 더 깊이 이해하고,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는 우주선을 더 잘 설계하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2]

이 임무는 태양 활동(태양 플레어 등)이나 태양풍의 변화에 따라 우주 공간의 상대론적 전자와 이온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변하는지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2] 구체적인 과학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2]

  • 방사선대에서 입자를 가속하고 이동시키는 과정과 그 조건을 밝혀낸다.
  • 방사선대에서 전자가 사라지는 과정을 이해하고 그 양을 측정한다.
  • 전자를 가속하는 과정과 소멸시키는 과정 사이의 균형을 알아낸다.
  • 지자기 폭풍이 발생했을 때 방사선대가 어떻게 변하는지 이해한다.


밴 앨런 프루브는 중요한 과학적 발견에도 기여했다. 2016년 5월, 연구팀은 지구 주위를 둘러싼 환전류가 기존에 알려진 것과 상당히 다르게 작동한다는 초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4] 이 전류는 지구로부터 약 10000km에서 60000km 거리에 존재하는데, 이전에는 주로 저에너지 양성자의 움직임으로 설명되었다. 하지만 탐사 데이터는 지자기 폭풍이 없는 평상시에도 고에너지 양성자에 의해 상당한 크기의 환전류가 꾸준히 유지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지자기 폭풍 동안 환전류가 강해지는 것은 지구 근처로 새로운 저에너지 양성자가 유입되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14][15]

밴 앨런 프루브는 예상 수명 2년을 훨씬 넘겨 7년 동안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했는데, 임무 종료 원인이 전자 장치 고장이 아닌 연료 고갈이었다. 이는 방사선 벨트라는 혹독한 환경에서도 우주선의 전자 장치가 견딜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성과로, 향후 우주선 설계에 기여하는 기술적 의의도 가진다.[4] 탐사선은 RBSP 상대론적 전자 손실을 위한 풍선 배열 (BARREL)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벨트에서 벗어나 지구 대기까지 도달하는 입자를 측정했다.[5][6]

5. 3. 사회적 의의

밴 앨런대는 태양 표면 활동으로 발생하는 에너지와 물질에 의해 움직이는 더 큰 우주 날씨 시스템의 일부이다. 이 방사선대는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하며, 아름다운 오로라 현상을 만들기도 하지만, 현대 사회의 중요 기반 시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주 날씨 변화는 인공위성의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통신을 방해할 수 있으며, 지상의 송전망 시스템에 과부하를 일으켜 대규모 정전을 발생시키거나 GPS 신호 수신을 교란하여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밴 앨런 프루브는 이러한 밴 앨런 방사선대의 복잡한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탐사선이 수집한 데이터는 우주 날씨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며, 이를 통해 위성 통신, GPS 시스템, 전력망과 같은 사회 기반 시설을 예측 불가능한 우주 환경 변화로부터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밴 앨런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외우주의 극한 방사선 환경을 견뎌야 하는 미래의 우주선을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데에도 기여한다.[21]

이 임무는 특히 방사선대 내에서 고에너지의 상대론적 전자와 이온 입자들이 어떻게 생성되고, 이동하며, 소멸하는지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태양 플레어태양풍 같은 태양 활동 변화가 방사선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데 중점을 둔다.[21] 구체적인 과학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21]

  • 방사선대에서 입자를 가속시키고 이동시키는 메커니즘과 그 발생 조건을 규명한다.
  • 방사선대에서 전자가 사라지는 과정을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 전자의 가속 과정과 소멸 과정 사이의 균형점을 파악한다.
  • 자기 폭풍이 발생했을 때 방사선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해한다.

참조

[1] 뉴스 Van Allen Probes: NASA Renames Radiation Belt Mission to Honor Pioneering Scientist https://www.scienced[...] Science Daily 2012-11-12
[2] 웹사이트 RBSP - Mission Overview http://www.nasa.gov/[...] 2012-03-28
[3] 웹사이트 Radiation Belt Storm Probes (RBSP) http://www.nasa.gov/[...]
[4] 웹사이트 NASA's resilient van Allen Probes shut down – Spaceflight Now https://spaceflightn[...]
[5] 웹사이트 Launching Balloons in Antarctica http://www.nasa.gov/[...] 2011-02-22
[6] 웹사이트 Balloon Array for RBSP Relativistic Electron Losses http://www.dartmouth[...]
[7] 웹사이트 Construction Begins! http://rbsp.jhuapl.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 2010-01-01
[8] 웹사이트 Probes launched http://www.space.com[...] 2012-08-30
[9] 웹사이트 United Launch Alliance Atlas V Awarded Four NASA Rocket Launch Missions http://www.ulalaunch[...] ULA 2009-03-16
[10] 웹사이트 Tropical Storm Isaac Delays NASA Launch http://space.brevard[...] The Brevard Times 2012-08-26
[11] 웹사이트 Beginning of the end: NASA's Van Allen probes prepare for mission's end https://www.nasaspac[...] 2019-02-17
[12] 웹사이트 Van Allen Probes Spacecraft B Completes Mission Operations http://vanallenprobe[...] 2019-10-10
[13] 웹사이트 Ten Highlights From NASA's Van Allen Probes Mission https://www.nasa.gov[...] NASA 2019-10-21
[14] 뉴스 Van Allen Probes Reveal Long-term Behavior of Earth's Ring Current http://spaceref.com/[...] 2016-05-20
[15] 간행물 Storm time dynamics of ring current protons: Implications for the long-term energy budget in the inner magnetosphere 2016-05-19
[16] 간행물 Ephemeral third ring of radiation makes appearance around Earth https://www.nature.c[...] 2024-03-26
[17] 웹사이트 RBSP-ETC // About http://www.bu.edu/cs[...]
[18] 웹사이트 RBSP ECT team http://rbsp-ect.sr.u[...] 2017-04-24
[19] 간행물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 Instrument Suite and Integrated Science (EMFISIS) on RBSP 2013-11-01
[20] 뉴스 Van Allen Probes: NASA Renames Radiation Belt Mission to Honor Pioneering Scientist http://www.scienceda[...] Science Daily 2012-11-12
[21] 웹사이트 RBSP - Mission Overview http://www.nasa.gov/[...] 2012-03-28
[22] 웹사이트 Radiation Belt Storm Probes (RBSP) http://www.nasa.gov/[...]
[23] 웹사이트 Launching Balloons in Antarctica http://www.nasa.gov/[...] 2011-02-22
[24] 웹사이트 Balloon Array for RBSP Relativistic Electron Losses http://www.dartmouth[...]
[25] 웹사이트 Construction Begins! http://rbsp.jhuapl.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 2013-05-13
[26] 웹사이트 Probes launched http://www.space.com[...] 2013-05-13
[27] 웹사이트 United Launch Alliance Atlas V Awarded Four NASA Rocket Launch Missions http://www.ulalaunch[...] ULA 2013-05-13
[28] 웹사이트 Tropical Storm Isaac Delays NASA Launch http://space.brevard[...] The Brevard Times 2012-08-26
[29] 뉴스 Ephemeral third ring of radiation makes appearance around Earth http://www.nature.co[...]
[30] 뉴스 NASA's Van Allen Probes Discover Particle Accelerator in the Heart of Earth’s Radiation Belts http://www.nasa.gov/[...] NASA 2013-08-11
[31] 뉴스 Van Allen Probes: NASA Renames Radiation Belt Mission to Honor Pioneering Scientist https://www.scienced[...] Science Daily 2012-11-12
[32] 웹인용 RBSP - Mission Overview http://www.nasa.gov/[...] 2012-03-28
[33] 웹사이트 Radiation Belt Storm Probes (RBSP) http://www.nasa.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