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리데이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밸리데이션은 제약업의 품질 개선을 위해 1979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관리인 테드 바이어스와 버드 로프터스에 의해 처음 고안된 개념으로, 제조 공정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제품 품질을 보증하며 잠재적 위험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이다. 처음에는 주사제 무균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나, 환경 관리, 설비 위생 처리 등으로 확대되었다. 밸리데이션 마스터 플랜(VMP)을 기반으로 설계 적격성 평가(DQ), 설치 적격성 평가(IQ), 운전 적격성 평가(OQ), 성능 적격성 평가(PQ), 구성 요소 적격성 평가(CQ)의 단계를 거쳐 진행되며, 컴퓨터 시스템 밸리데이션(CSV)과 제품 수명 주기 접근 방식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약업 - 임상시험
임상시험은 새로운 의약품이나 치료법의 효능과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연구 과정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안전성 검토, 효능 확인, 부작용 관찰 등을 통해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고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 제약업 - 복제약
복제약은 오리지널 의약품 특허 만료 후 동일한 유효 성분으로 제조되어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지만 품질 및 효능 논란이 있어 정부가 약가 및 품질을 관리하는 의약품이다. - 품질 - 품질 보증
품질 보증(QA)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요구되는 품질 기준을 충족하도록 하는 체계적인 과정으로, 통계적 관리, 전사적 품질 경영, 표준 및 모델 활용, 고장 시험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여러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며, 기업 품질의 네 가지 측면을 강조하고 품질 문화 구축을 통해 고객 만족도 향상과 비용 절감을 추구한다. - 품질 - 점검
검사는 규정 준수, 안전, 품질 등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수행되는 공식적인 검토 행위이다. - 임상 연구 - 무작위 대조 시험
- 임상 연구 - 제임스 린드
제임스 린드는 1716년 에든버러에서 태어난 영국의 군의관이자 의사로, 괴혈병 연구를 통해 오렌지와 레몬의 효과를 밝혀냈으며, 해군 위생 개선에도 기여했다.
| 밸리데이션 | |
|---|---|
| 밸리데이션 (의약품 제조) | |
| 정의 | 의약품 제조 공정이 미리 설정된 기준 및 품질 속성에 부합하는 제품을 일관되게 생산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수행되는 활동 |
| 목적 | 제조 공정의 신뢰성 확보 제품 품질의 일관성 유지 규제 요건 준수 |
| 밸리데이션 유형 | |
| 공정 밸리데이션 | 제조 공정이 일관되게 원하는 결과를 산출함을 입증 |
| 장비 밸리데이션 | 제조 장비가 의도된 대로 작동하고 있음을 입증 |
| 세척 밸리데이션 | 세척 절차가 효과적으로 오염 물질을 제거함을 입증 |
| 분석법 밸리데이션 | 분석 방법이 의도된 목적에 적합함을 입증 |
| 밸리데이션 단계 | |
| 계획 | 밸리데이션 범위, 기준, 방법 등을 정의하는 밸리데이션 계획서 작성 |
| 실행 | 밸리데이션 계획서에 따라 시험 및 평가 수행, 데이터 수집 |
| 평가 |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밸리데이션 기준 충족 여부 평가 |
| 보고 | 밸리데이션 결과 및 결론을 기록한 밸리데이션 보고서 작성 |
| 문서화 | |
| 밸리데이션 계획서 | 밸리데이션의 범위, 목적, 방법, 기준 등을 상세히 기술 |
| 밸리데이션 보고서 | 밸리데이션 수행 결과, 평가, 결론 등을 포함 |
| 시험 결과 | 밸리데이션 과정에서 수집된 모든 데이터 및 결과 기록 |
| 절차서 | 밸리데이션 수행을 위한 표준 운영 절차 (SOP) |
| 규제 | |
| 관련 규정 | 식품의약품안전처 (MFDS) 미국 식품의약국 (FDA) 유럽 의약품청 (EMA) 등의 규제 기관의 밸리데이션 관련 규정 준수 필요 |
2. 역사
밸리데이션 개념은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 제약 산업의 품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처음 도입되었다. 이는 원래 장비 및 프로세스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계약에 따라 제조, 테스트, 인도 및 수락될 대형 장비의 제공에 사용된 엔지니어링 관행에서 파생되었다.[2]
2. 1. 기원
밸리데이션 개념은 1979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관리인 테드 바이어스와 버드 로프터스가 제약업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하였다.[17] 이는 대용량 비경구제제 제품의 무균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최초의 밸리데이션 활동은 이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에 초점을 맞췄으나, 이내 환경 관리, 배지 충전, 설비 위생처리 및 정제수 제조 공정으로 확대되었다.[1]2. 2. 발전
밸리데이션 개념은 1979년 미국에서 식품의약국(FDA) 관계자인 테드 바이어스와 버드 로프터스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1] 이는 대량 생산 주사제 시장의 무균성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이었다. 최초의 밸리데이션 활동은 제품 생산 과정에 집중되었지만, 관련 프로세스로 빠르게 확산되었다.[2]밸리데이션 사용은 여러 대규모 문제로 제품 설계의 잠재적 위험이 부각된 후 산업의 다른 분야로 확산되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사례는 테락-25 사건이다.[3] 이 사건에서는 방사선 치료 장치의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설계 및 테스트되지 않아, 여러 장치에서 의도한 것보다 수천 배나 높은 방사선량을 투여하여 3명의 환자가 사망하고 여러 명이 영구적인 부상을 입었다.
2005년에는 콜드 체인 제품에 대한 운송 프로세스를 밸리데이션할 수 있는 표준이 작성되었다. 이 표준은 생물학적 제조 회사를 위해 작성되었으며, 이후 PDA의 기술 보고서 #39에 포함되어 콜드 체인 밸리데이션에 대한 산업 표준을 확립했다. 이는 다양한 온도 조건에 대한 의약 물질, 생물학적 제제 및 백신의 민감성 때문에 업계에 매우 중요했다. FDA는 또한 의약 물질의 품질이 극심한 온도 노출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최종 유통 분야에 집중해 왔다.
3. 밸리데이션의 필요성
FDA, MFDS와 같은 규제 기관은 제품 품질, 안전성, 규제 준수를 위해 밸리데이션을 요구한다.[4] 밸리데이션은 제조 공정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며, 잠재적 위험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이다. 밸리데이션을 통해 얻은 과학적 증거는 제품 및 공정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소비자 보호에 기여한다.
공정 밸리데이션은 공정 설계 단계부터 상업 생산에 이르기까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평가하여, 공정이 일관되게 양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과학적 증거를 확립하는 것으로 정의된다.[4] 이는 제품 및 공정의 수명 주기 동안 일련의 활동을 포함한다. 잘 설계된 시스템은 모든 단계, 공정 및 변경 사항이 구현 전에 적절하게 평가되었음을 보장한다. 최종 제품 샘플 테스트는 배치 내 모든 제품이 요구 사양을 충족한다는 충분한 증거로 간주되지 않는다.
4. 밸리데이션 마스터 플랜(VMP)
밸리데이션 마스터 플랜(VMP)은 시설에서 밸리데이션 프로그램을 어떻게, 언제 실행할 것인지 설명하는 문서이다. 필수는 아니지만, 시설 자격 획득과 관련된 원칙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밸리데이션할 영역과 시스템을 정의하며, 자격을 갖춘 시설을 확보하고 밸리데이션된 공정을 유지하기 위한 서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는 밸리데이션 프로그램의 기초가 되며, 공정 밸리데이션, 시설 및 유틸리티 자격 획득 및 밸리데이션, 장비 자격 획득, 세척 및 컴퓨터 밸리데이션을 포함해야 한다.[1] 또한, 규정은 생산 공정의 서로 다른 부분이 잘 정의되고 관리되어, 생산 결과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도록 할 것을 요구한다.[1]
5. 밸리데이션 프로세스
밸리데이션은 일반적으로 V-모델을 기반으로 수행되며, 검증 범위, 경계 및 책임은 검증 계획(VP)에 문서화되고 승인되어야 한다. 검증 위험 평가(VRA)를 기반으로 검증될 장비 또는 프로세스의 복잡성과 중요성에 적합한 검증 범위를 승인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적격성 평가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설계 적격성 평가(DQ): 사용자 요구 사항 명세(URS)에 정의된 모든 요구 사항을 설계가 충족하는지 입증한다.
- 설치 적격성 평가(IQ): 장비가 모든 사양을 충족하고 올바르게 설치되었으며, 작동에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 및 문서가 설치되었음을 입증한다.
- 운전 적격성 평가(OQ): 장비의 모든 측면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입증한다.
- 성능 적격성 평가(PQ): 장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도한 대로 작동함을 입증한다.
- 구성 요소 적격성 평가(CQ): 보조 구성 요소가 올바른 설계 기준에 따라 제조되었는지 확인한다.
IQ, OQ, PQ 단계는 경우에 따라 일부를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검증 계획(VP)에 명확한 근거가 문서화되어 있다면 허용된다.
5. 1. 설계 적격성 평가(DQ)
사용자 요구 사항 명세(URS)에 정의되고 상세하게 설명된 모든 요구 사항을 제안된 설계(또는 기성품의 기존 설계)가 충족하는지 입증한다. 설계 적격성 평가(DQ)를 만족스럽게 실행해야 새로운 설계의 건설(또는 조달)을 승인할 수 있다.5. 2. 설치 적격성 평가(IQ)

설치 적격성 평가(IQ)는 프로세스 또는 장비가 모든 사양을 충족하고, 올바르게 설치되었으며, 지속적인 작동에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 및 문서가 설치되어 있음을 입증한다.
5. 3. 운전 적격성 평가(OQ)
운전 적격성 평가(OQ)는 프로세스 또는 장비가 모든 면에서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OQ와 성능 적격성 평가(PQ)를 함께 수행하는 것이 적절한 경우도 있는데, 이는 'EU 우수 제조 관리 지침 부록 15'(2001)에서 승인된 방법이다.
5. 4. 성능 적격성 평가(PQ)
성능 적격성 평가(PQ)는 프로세스 또는 장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관된 방식으로 의도한 대로 작동함을 입증하는 단계이다. 운영 적격성 평가(OQ)와 함께 수행하는 것이 적절할 수도 있다.5. 5. 구성 요소 적격성 평가(CQ)
구성 요소 적격성 평가(CQ)는 2005년에 개발된 비교적 새로운 용어이다. 이는 보조 구성 요소가 올바른 설계 기준에 따라 제조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접는 상자, 배송 케이스, 라벨 또는 심지어 상변화 물질과 같은 포장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구성 요소는 제3자 제조업체의 프로세스가 의약품 또는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체에서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환경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일관되게 생산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종의 무작위 검사를 받아야 한다.6. 컴퓨터 시스템 밸리데이션(CSV)
컴퓨터 시스템 밸리데이션(CSV)은 시스템이 사양을 충족한다는 증거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이는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교육, 문서, 시스템 관리 및 사용 후 밸리데이션 자체를 포함한 프로세스의 모든 측면을 다룬다. PIC/S 가이드라인(PIC/S 2004)은 이를 '컴퓨터 관련 시스템'으로 정의한다.[10]
소프트웨어 밸리데이션 일반 원칙(FDA 2002)은 검증을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 주기의 특정 단계 설계 출력이 해당 단계의 모든 지정된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는 객관적인 증거 제공"으로, 밸리데이션을 "소프트웨어 사양이 사용자 요구 사항 및 의도된 용도에 부합하고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된 특정 요구 사항이 일관되게 충족될 수 있음을 검토하고 객관적인 증거를 제공하여 확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7] 이 가이드라인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변경으로 인한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감지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잘 계획되고 제어 및 문서화되어야 한다"고 명시하며, 부록 11은 "밸리데이션 문서 및 보고서는 수명 주기의 관련 단계를 다루어야 한다"고 명시한다.
밸리데이션 관련 프로세스, 방법론, 과학에 전념하는 여러 저널이 있을 정도로 업계는 밸리데이션 활동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11][12][13][14] 한편, 많은 소프트웨어 공학 저널 기사와 교과서는 "검증"과 "밸리데이션" 용어를 서로 바꿔 사용하거나, 검증, 밸리데이션 및 테스팅 (VV&T)을 단일 개념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6. 1. 규제 요건
제약 제품, 의료 기기, 식품 등의 개발 및 생산에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과 그 일부로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 시스템 밸리데이션(CSV)이 요구된다. 1983년 FDA는 제약 처리에서 전산화된 시스템 검사를 위한 가이드인 '블루북'을 발표했다.[5] 최근 미국 FDA와 영국 의약품 및 의료 제품 규제청(Medicines and Healthcare products Regulatory Agency)는 컴퓨터 시스템 사용에 대한 규정을 추가했다. 영국에서는 컴퓨터 밸리데이션이 EU GMP 규정의 부록 11(EMEA 2011)에 포함되어 있다. FDA는 전자 기록 및 전자 서명 사용에 대한 규칙을 위해 21 CFR Part 11을 도입했다(FDA 1997).FDA 규정은 ISO 8402:1994[6]와 조화를 이루고 있다. Weichel(2004)은 1997년에서 2001년 사이에 FDA가 제약 회사에 발송한 20통이 넘는 경고 서한에서 컴퓨터 시스템 밸리데이션 문제를 구체적으로 언급했음을 발견했다.[8]
가장 잘 알려진 업계 지침은 ISPE(2008)에서 발행한 GAMP Guide로, 현재 5판이며 GAMP5로 알려져 있다.[9] 이 지침은 규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방법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을 제공한다.
6. 2. 위험 기반 접근 방식
최근 업계에서는 컴퓨터 시스템 밸리데이션(CSV)에 대해 위험 기반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컴퓨터 시스템의 복잡성, 환자나 제품에 미치는 영향, 출처(기성품인지 맞춤형인지) 등을 고려하여 시스템이 제기하는 전반적인 위험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위험이 낮은 시스템은 덜 심층적인 사양, 테스트, 밸리데이션 접근 방식을 적용한다.[9]부록 11에서는 "위험 관리는 환자 안전, 데이터 무결성 및 제품 품질을 고려하여 전산화 시스템의 전체 수명 주기 동안 적용되어야 한다. 위험 관리 시스템의 일환으로, 검증 및 데이터 무결성 관리의 범위에 대한 결정은 전산화 시스템에 대한 정당하고 문서화된 위험 평가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9]
이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 밸리데이션은 "GxP 중요" 요구 사항만을 대상으로 한다. 즉, 환자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처리되는 의약품에 영향을 미치거나, 규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개발/구성된 기능, 또는 GxP 데이터(보안 또는 무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능에 대해서만 밸리데이션을 수행한다. 증거(예: 화면 인쇄물)는 밸리데이션 활동을 문서화하기 위해 수집된다.[9]
이러한 방식을 통해 시스템을 철저히 테스트하고, "GxP 중요" 측면에 대한 밸리데이션 및 문서화를 위험 기반 방식으로 수행하여 노력을 최적화하고 컴퓨터 시스템의 목적 적합성이 입증되도록 보장한다. 예를 들어, 간단하지만 "GxP" 중요 계산이 포함된 스프레드시트 관련 문서는 20대의 기기가 있는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 시스템의 문서와 같을 필요는 없다.
7. 제품 수명 주기 접근 방식
밸리데이션 프로세스는 의약품의 연구 개발 단계부터 시작하여 제조 절차, 품질 관리, 폐기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전체 수명 주기를 고려해야 한다. 각 단계를 정당화하고 모니터링하여 양질의 식품 및 의약품을 제공해야 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제조업체의 규정 준수 평가에서 제품 수명 주기 접근 방식을 강조한다.[1]
8. 분석 절차 밸리데이션
분석 절차 밸리데이션은 분석 방법이 특정한 목적에 적합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참조
[1]
논문
Validation: An unconventional review and reinvention
[2]
간행물
'Computer system validation: An overview of official requirements and standards'
[3]
간행물
'An investigation of the Therac-25 accidents'
[4]
논문
Guidelines on General Principles of Process Validation
[5]
논문
Guide to Inspection of Computerised Systems (The Blue Book)
[6]
논문
ISO 8402:1994: Quality management and quality assurance—Vocabulary
[7]
웹사이트
General Principles of Software Validation; Final Guidance for Industry and FDA Staff
https://www.fda.gov/[...]
US FDA
2013-02-27
[8]
논문
Survey of Published FDA Warning Letters with Comment on Part 11 (21 CFR Part 11)
[9]
논문
GAMP5: Risk Based Approach to Computer Compliance
[10]
논문
Good Practices for Computerised Systems in Regulated "GXP" Environments, Report PI 011-2
[11]
논문
Considerations for Improving Software Validation, Securing better assurance for less cost
[12]
논문
A Validation Approach for 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13]
논문
Testing Times in Computer Validation
[14]
논문
Taming the Regulatory Beast: Regulation vs Functionalism
[15]
문서
알기쉬운 GMP 용어집 중, 미국 FDA의 밸리데이션 정의
[16]
문서
알기쉬운 GMP 용어집 중, ICH Q7의 밸리데이션 정의
[17]
저널
Validation: an unconventional review and reinven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