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뱅쿠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뱅쿠오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에 등장하는 인물로, 극 중 맥베스와 함께 세 마녀를 만나 예언을 듣고, 이후 맥베스의 왕위 찬탈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뱅쿠오는 맥베스와 대조되는 인물로, 마녀의 예언을 의심하고 악의 유혹을 거부하며 선한 인물로 묘사된다. 맥베스가 왕이 된 후 뱅쿠오와 그의 아들 플리언스를 죽이려 하지만, 뱅쿠오는 죽임을 당하고 플리언스는 탈출한다. 뱅쿠오의 유령은 맥베스의 죄책감을 상징하며, 연회에 나타나 맥베스를 괴롭히고 맥베스의 몰락을 예고한다. 뱅쿠오의 역할은 다양한 연극, 영화, 텔레비전 각색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맥베스 등장인물 - 맥베스 (등장인물)
    맥베스는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의 주인공으로, 용맹한 장군에서 왕을 살해하고 폭정을 펼치는 비극적인 인물로 변모하며 권력욕, 야망, 죄책감 등의 주제를 탐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맥베스 등장인물 - 맥베스 부인
    맥베스 부인은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의 주요 인물로서, 강한 야망과 설득으로 남편을 부추겨 왕위를 찬탈하게 만드는 인물이며, 권력욕을 가진 여성의 상징으로 재해석되기도 한다.
  • 1603년 창조된 가공인물 - 맥베스 (등장인물)
    맥베스는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의 주인공으로, 용맹한 장군에서 왕을 살해하고 폭정을 펼치는 비극적인 인물로 변모하며 권력욕, 야망, 죄책감 등의 주제를 탐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1603년 창조된 가공인물 - 맥베스 부인
    맥베스 부인은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의 주요 인물로서, 강한 야망과 설득으로 남편을 부추겨 왕위를 찬탈하게 만드는 인물이며, 권력욕을 가진 여성의 상징으로 재해석되기도 한다.
  • 가공의 유령 - 부끄부끄
    부끄부끄는 닌텐도의 슈퍼 마리오 시리즈에 처음 등장하여 마리오가 쳐다보면 멈추고 뒤돌면 따라오는 특징을 보이는 유령 캐릭터이며, 킹부끄 등 다양한 바리에이션과 함께 여러 마리오 관련 게임에 등장하는 닌텐도의 대표적인 캐릭터 중 하나이다.
  • 가공의 유령 - 13 고스트 (2001년 영화)
    2001년 개봉한 공포 영화 《13 고스트》는 영혼 사냥꾼 삼촌으로부터 저택을 상속받은 아서 크리티코스가 저택에 갇힌 12명의 악령과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부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설정과 시각 효과로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다.
뱅쿠오
인물 정보
이름뱅쿠오
원어 이름Banquo
작중 직책로카버의 thane
엘리자베스 시대의 남성들이 식탁에 앉아 있고, 의자 중 하나에 유령이 앉아 있는 그림.
테오도르 샤세리오 (1819–1856), 뱅쿠오의 유령, 1855년
작품맥베스
창작자윌리엄 셰익스피어
소속맥베스
가족플레언스

2. 희곡에서의 역할

어둠 속에서 두 인물이 마녀 같은 존재를 만나는 그림.
헨리 퓨젤리의 ''맥베스와 뱅쿠오와 마녀들''


뱅쿠오는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에서 인간과 유령으로 등장하며 극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장면에 나타난다. 비중 있는 역할임에도 불구하고, 로스와 같은 다른 귀족보다 대사가 적다.[12]

맥베스가 왕을 죽이고 왕위를 차지하자, 뱅쿠오는 맥베스가 왕좌를 얻기 위해 부정한 짓을 저질렀는지 의심하며("두려우니 / 네가 그것을 위해 더럽게 연기했구나") 판단을 신에게 맡긴다.[14] 그는 새로운 왕 맥베스에게 존경을 표하고 충성을 맹세한다.[15]

이후, 자신의 후손이 스코틀랜드를 통치할 것을 염려한 맥베스는 뱅쿠오와 그의 아들 플리언스를 죽이려 한다. 뱅쿠오는 아들을 도망치게 하려다 살해당한다.[16] 뱅쿠오의 유령은 연회에 나타나 맥베스를 괴롭히고, 마녀들의 환영 속에서 다시 나타나 그의 후손들이 왕의 계보를 이을 것을 보여준다.[17]

2. 1. 세 마녀와의 만남



맥베스와 함께 전투에서 돌아온 뱅쿠오는 세 마녀를 만난다. 마녀들은 맥베스가 코더 영주가 된 다음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한다.[13] 뱅쿠오는 마녀들에게 자신의 미래도 예언해 달라고 요구하고, 마녀들은 뱅쿠오의 후손이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한다.[13]

뱅쿠오는 이 만남에 대해 의심하며, 악이 진실을 말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그는 맥베스에게 악이 작은 희망을 주어 치명적인 함정에 빠뜨릴 수 있다고 경고한다.[13]

2. 2. 맥베스와의 관계



뱅쿠오는 극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장면에 인간이자 유령으로 등장한다. 그는 줄거리에서 차지하는 비중만큼이나 스코틀랜드 귀족 로스보다 대사가 적다.[12] 극의 두 번째 장면에서 부상당한 병사는 글래미스 영주 맥베스와 로하버 영주 뱅쿠오가 침략군에 맞서 나란히 싸운 방식을 묘사한다. 다음 장면에서 전투에서 함께 돌아온 뱅쿠오와 맥베스는 세 마녀를 만나고, 그들은 맥베스가 코더 영주가 된 다음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한다. 마녀들을 의심하는 뱅쿠오는 그들에게 자신의 미래를 예언해 달라고 요구하고, 그들은 뱅쿠오가 왕좌를 차지하지는 못하지만 그의 후손이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한다. 뱅쿠오는 그 만남 이후에도 의심을 품으며, 악이 진실을 말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그는 맥베스에게 악이 사람들에게 작은 희망의 진실을 제공하여 치명적인 함정에 빠뜨릴 것이라고 경고한다.[13]

맥베스가 왕을 죽이고 왕위를 차지하자, 이 마녀와의 만남을 유일하게 알고 있는 뱅쿠오는 판단을 신에게 맡긴다. 그는 맥베스가 왕좌를 얻기 위해 국왕 시해를 저질렀는지 확신하지 못하지만, 독백에서 "두려우니 / 네가 그것을 위해 더럽게 연기했구나"라고 생각한다.[14] 그는 새로운 왕 맥베스에게 존경을 표하고 충성을 맹세한다.[15] 나중에, 뱅쿠오의 후손이 아닌 자신의 후손이 스코틀랜드를 통치할 것을 염려한 맥베스는 두 명의 사람, 그리고 세 번째 암살자를 보내 뱅쿠오와 그의 아들 플리언스를 죽이려 한다. 난투극 동안 뱅쿠오는 플리언스가 탈출할 수 있도록 공격자들을 막아내지만, 자신은 죽임을 당한다.[16] 뱅쿠오의 유령은 나중에 3막 4장에서 연회에 나타나 맥베스를 괴롭힌다. 공포에 질린 맥베스는 그를 보지만, 그 모습은 손님들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그는 또한 세 마녀가 부여한 환상 속에서 맥베스에게 다시 나타나, 뱅쿠오의 후손들이 긴 왕의 계보를 이루는 것을 보여준다.[17]

2. 3. 죽음과 유령

맥베스가 코더 영주가 된 후 왕이 될 것이라는 세 마녀의 예언을 듣고, 뱅쿠오는 자신의 미래를 묻는다. 마녀들은 뱅쿠오가 왕이 되지는 못하지만 그의 후손이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한다. 뱅쿠오는 이 만남에 의심을 품고, 악이 진실을 말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며, 맥베스에게 악이 작은 희망의 진실로 사람들을 파멸로 이끌 수 있다고 경고한다.[13]

국왕 시해를 통해 왕위를 차지한 맥베스를 보며 뱅쿠오는 왕좌를 얻기 위해 맥베스가 부정한 짓을 저지른 것은 아닌지 의심한다.[14] 뱅쿠오는 맥베스에게 충성을 맹세하지만,[15] 맥베스는 뱅쿠오의 후손이 왕이 될 것이라는 예언에 불안감을 느껴 뱅쿠오와 그의 아들 플리언스를 살해하려 한다. 뱅쿠오는 자객들에게 살해당하지만, 플리언스는 탈출한다.[16]

이후 연회 장면에서 뱅쿠오의 유령이 나타나 맥베스를 괴롭힌다. 맥베스는 공포에 질리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유령이 보이지 않는다. 뱅쿠오의 유령은 맥베스의 죄책감과 불안감을 상징하며, 맥베스의 자리에 앉아 그의 남성성을 앗아가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27][28] 맥베스가 마녀들을 다시 찾아갔을 때, 그들은 뱅쿠오와 그의 여덟 후손들의 환영을 보여주는데, 이는 당시 왕이었던 제임스 1세의 정통성을 지지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25]

학자들은 맥베스가 본 뱅쿠오의 유령이 실제인지, 아니면 환각인지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 일부 연극 공연에서는 뱅쿠오의 유령을 등장시키지 않아 맥베스의 광기를 강조하기도 한다.[28][30] 뱅쿠오의 유령은 벨사자르의 연회처럼, 잊고 싶은 과거를 상기시키거나 불길한 미래를 암시하는 존재로 해석되기도 한다.

3. 분석

뱅쿠오는 극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장면에 인간이자 유령으로 등장한다. 뱅쿠오는 글래미스 영주 맥베스와 함께 로하버 영주로서 침략군에 맞서 싸웠다. 세 마녀는 맥베스가 코더 영주가 된 다음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하고, 뱅쿠오는 왕좌를 차지하지는 못하지만 그의 후손이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한다. 뱅쿠오는 그 만남 이후에도 의심을 품으며, 악이 진실을 말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그는 맥베스에게 악이 사람들에게 작은 희망의 진실을 제공하여 치명적인 함정에 빠뜨릴 것이라고 경고한다.[13]

맥베스가 왕을 죽이고 왕위를 차지하자, 뱅쿠오는 맥베스가 왕좌를 얻기 위해 국왕 시해를 저질렀는지 확신하지 못하지만, 독백에서 "두려우니 / 네가 그것을 위해 더럽게 연기했구나"라고 생각한다.[14] 그는 새로운 왕 맥베스에게 존경을 표하고 충성을 맹세한다.[15] 그러나 맥베스는 뱅쿠오와 그의 아들 플리언스를 죽이려 하고, 뱅쿠오는 아들을 탈출시키고 자신은 죽임을 당한다.[16] 이후 뱅쿠오의 유령은 연회에 나타나 맥베스를 괴롭힌다.[17]

동굴에서 나오는 세 인물을 만나는 남성들을 묘사한 그림
존 우튼의 ''세 마녀를 만나는 맥베스와 뱅쿠오''

3. 1. 맥베스의 대조 인물



많은 학자들은 뱅쿠오를 맥베스의 대조 인물이자 대립 대상으로 본다. 맥베스는 세 마녀의 예언을 진실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이루려고 하지만, 뱅쿠오는 예언과 이러한 사악해 보이는 존재들의 의도를 의심한다. 맥베스가 자신이 왕이 될 것이라는 예언에 희망을 두는 반면, 뱅쿠오는 악은 파멸로 이끄는 선물만 제공한다고 주장한다.[13] 뱅쿠오는 극 중에서 악의 유혹을 꾸준히 거부하고, 도움을 청하며 하늘에 기도하는 반면, 맥베스는 어둠을 추구하고 악한 힘이 자신을 돕기를 기도한다. 2막에서 뱅쿠오는 던컨을 재운 후 "하늘에는 절약이 있네, / 그들의 촛불은 모두 꺼졌네"라고 말한다.[18] 맥베스의 살인과 관련된 다가오는 어둠의 예감은 뱅쿠오가 살해되기 직전에 반복된다. "오늘 밤에는 비가 올 거야",[19] 뱅쿠오는 아들 플리언스에게 말한다.[20]

뱅쿠오가 맥베스와 대조되는 점은 극에서 긴장감 넘치는 순간들을 만들어낸다. 2막 1장에서 뱅쿠오는 아들 플리언스를 만나 칼과 단검을 모두 가져가라고 한다("자, 내 칼을 받아... 너도 가져가").[18] 그는 또한 "자연이 쉬는 동안 굴복하는 저주받은 생각들" 때문에 잠을 잘 이루지 못한다고 설명한다.[21] 맥베스가 다가오자 그는 칼을 빨리 돌려달라고 요구한다. 학자들은 이것을 뱅쿠오가 세 마녀가 그에게 예언한 대로 자신의 가족을 위해 왕위를 차지하기 위해 맥베스의 공범이 되어 왕을 죽이는 꿈을 꿨다는 의미로 해석한다. 이러한 해석에서 그의 선한 본성은 이러한 생각에 너무나 혐오스러워서 그것이 실현되지 않도록 칼과 단검을 플리언스에게 주었지만, 맥베스가 다가오자 너무 긴장하여 그것들을 다시 요구한다.[22]

맥베스는 결국 뱅쿠오가 더 이상 자신의 악행에 도움을 줄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의 친구를 새로 얻은 왕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여 그를 살해한다.[2] 뱅쿠오는 여러 방식으로 살아남는데, 그의 정신은 아들 플리언스와 만찬에서의 그의 유령 같은 존재로 나타난다.[24]

3. 2. 유령 장면의 의미

뱅쿠오의 유령은 맥베스의 죄책감과 불안감을 상징하며, 그의 몰락을 예고한다. 맥베스가 연회에서 뱅쿠오의 유령을 보고 공포에 질리는 장면은 그의 내면의 갈등을 보여준다. 뱅쿠오의 유령은 맥베스의 뺨에서 피를 빼앗고 그의 남성성을 앗아가며, 뱅쿠오가 사라지자 맥베스는 "아, 이젠 갔으니 / 나는 다시 사나이가 되었구나"라고 말한다.[27][28]

맥베스가 마녀들에게서 본 뱅쿠오와 그의 여덟 후손들의 환영은 제임스 1세의 정통성을 옹호하는 의미를 지닌다. 제임스 1세는 뱅쿠오의 후손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이 환영은 셰익스피어 시대의 관객들에게 뱅쿠오의 후손들이 왕위를 차지할 것이라는 마녀의 예언이 실제로 이루어진 것을 보여주는 것이었다.[25]

연회 장면은 벨사자르의 연회와 같은 성경 속 이야기에서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승리의 연회에서 자신의 몰락을 상기시키는 존재와 마주한다는 개념은 셰익스피어만의 독창적인 것이 아니며, 성경에 묘사된 벨사자르의 연회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연회의 유령'이라는 용어는 대중문화에 등장하여, 어떤 사람이 고려하고 싶지 않은 주제를 비유하거나 개인의 불쾌한 과거 또는 미래를 상기시키는 데 사용된다.

4. 해석 및 공연

뱅쿠오는 극에서 로스와 같은 다른 귀족들보다 대사가 적지만, 중요한 인물로 등장한다.[12] 맥베스와 함께 세 마녀를 만나 예언을 듣고, 그 이후에도 의심을 품으며 맥베스에게 경고한다.[13] 맥베스가 왕이 된 후에는 그에게 충성을 맹세하지만, 독백을 통해 맥베스가 왕위를 위해 부정한 행동을 했을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드러낸다.[14][15] 뱅쿠오는 결국 맥베스의 사주를 받은 자객들에게 살해당하지만, 그의 유령은 연회 장면에 나타나 맥베스를 괴롭힌다.[16][17]

4. 1. 연극 및 영화에서의 묘사

뱅쿠오는 연극에서 3분의 1에 해당하는 장면에 인간이자 유령으로 등장한다. 셰익스피어의 대본에는 "뱅쿠오의 유령 등장, 맥베스의 자리에 앉는다"라고 묘사되어 있다.[32] 몇몇 텔레비전 버전에서는 뱅쿠오가 무대로 걸어 들어오는 대신 갑자기 의자에 나타나게 연출하기도 한다. 특수 효과와 카메라 트릭을 통해 유령을 사라지게 하고 다시 나타나게 하여, 오직 맥베스만 유령을 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한다.[33]

무대 연출가들은 특수 효과나 카메라 트릭 없이 유령을 묘사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다. 19세기 후반, 헨리 어빙은 녹색 실루엣, 트릭 의자, 푸른 빛줄기 등을 사용하여 유령을 표현했다. 1933년, 테오도르 코미사르제프스키는 맥베스의 그림자를 유령으로 사용하는 현대적인 연출을 시도했다.[34] 1936년, 오슨 웰스는 연방 극장 프로젝트의 연출에서 뱅쿠오 역에 캐나다 리를 포함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배우들을 캐스팅했다.[34]

영화에서는 뱅쿠오 캐릭터를 다양하게 변형했다. 구로사와 아키라의 1957년 영화 《피의 옥좌》에서는 뱅쿠오를 미키 대위(치아키 미노루 분)로 각색하여, 맥베스에 해당하는 인물에게 아내의 임신 소식을 알린 후 살해당하는 인물로 묘사했다. 로만 폴란스키의 1971년 각색에서는 마틴 쇼가 뱅쿠오 역을 맡아 이전 무대 공연을 연상시키는 연기를 선보였다.[35] 폴란스키 버전은 뱅쿠오가 맥베스의 권력 상승에 반대하는 모습을 침묵으로 표현하는 점을 강조한다.[36] 1990년 영화 《존경하는 사람들》에서는 뱅쿠오 캐릭터를 "뱅키 코모"로 바꾸고 데니스 파리나가 연기했다.

참조

[1] 서적 Macbeth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1997
[2] 논문 A Note on Banquo Folger Shakespeare Library 1956-10
[3] 서적 Four Tragedies https://archive.org/[...] Bantam Books 1988
[4] 서적 Scotland & Shakespeare's Third Prophecy: King Edition
[5] 서적 The Royall Cedar 1688
[6] 서적 The Lost Queens of Scotland: Extracts from Frederic van Bossen's The Royal Cedar 2022
[7] 논문 The Celt in Power: Tudor and Cromwell https://zenodo.org/r[...] Royal Historical Society 1886
[8] 논문 The Transformation of History into Epic: The "Stuartide" (1611) of Jean de Schelandre Modern Humanities Research Association 1971-01
[9] 웹사이트 Macbeth Act 1, Scene 3, line 104 http://www.shakespea[...] 2019-01-15
[10] 서적 Shakespeare Studies Burt Franklin 1978
[11] 서적 Macbeth Macmillan Education UK 2006
[12] 서적 Macbe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Macbeth.'' Act 1, Scene 3." http://www.shakespea[...]
[14] 웹사이트 "''Macbeth'', Act 3, Scene 1, lines 2–3." http://www.shakespea[...]
[15] 웹사이트 "''Macbeth.'' Act 3, Scene 1." http://www.shakespea[...]
[16] 웹사이트 "''Macbeth.'' Act 3, Scene 3." http://www.shakespea[...]
[17] 웹사이트 "''Macbeth.'' Act 4, Scene 1." http://www.shakespea[...]
[18] 웹사이트 "''Macbeth'', Act 2, Scene 1, lines 4–5." http://www.shakespea[...]
[19] 웹사이트 "''Macbeth'', Act 3, Scene 3, line 16." http://www.shakespea[...]
[20] 서적 William Shakespeare's Macbeth Chelsea House Publishers 1987
[21] 웹사이트 "''Macbeth'', Act 2, Scene 1, lines 8–9." http://www.shakespea[...]
[22] 논문 A Note on "Macbeth," Act II, Scene 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1946-01
[23] 논문 Banquo, Loyal Subject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1946-10
[24] 서적 If It Were Done: Macbeth and Tragic Ac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86
[25] 논문 "Macbeth": King James's Play 1982-05
[26] 논문 The Apparitions in Macbeth, Part II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24-11
[27] 웹사이트 "''Macbeth'', Act 3, Scene 4, lines 106–107." http://www.clicknote[...]
[28] 서적 If It Were Done: Macbeth and Tragic Ac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86
[29] 웹사이트 "''Macbeth'', Act 3, Scene 4, line 91." http://www.clicknote[...]
[30] 서적 Macbeth Classic Books 2007
[31] 서적 Shakespearean Tragedy Adamant Media 2003
[32] 웹사이트 "''Macbeth'', Act 3, Scene 4." http://www.shakespea[...]
[33] 논문 The Imperial Theme: "Macbeth" on Televis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5-04
[34] 서적 Macbeth Penguin Books
[35] 서적 Macbe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서적 Shakespearean illuminations: essays in honor of Marvin Rosenberg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1998
[37] 문서 森, p. 59-60
[38] 문서 ibid, p. 6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