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경은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저자에 의해 기록되고 편집된 문서들의 집합체로, 기독교의 핵심 경전이다. 히브리어 성경(타나크)과 신약성경으로 구성되며, 유대교의 타나크는 기독교 구약성경의 기반이 된다. 성경은 명칭, 형성과 발전, 특징, 영향, 해석과 비평, 번역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며, 서구 사회의 문화, 예술, 문학, 법, 윤리 등 다방면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성경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번역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출판된 책으로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기독교 주제 - 윤리학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와 가치를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로, 고대부터 다양한 사상이 발전해 왔으며, 규범 윤리학, 응용 윤리학, 가치론 등 다양한 분야로 나뉜다.
  • 유대-기독교 주제 - 유대교
    유대교는 야훼를 유일신으로 섬기며 토라를 중심으로 율법과 계명을 지키는 종교로, 바리새파에서 발전하여 기독교와 이슬람교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율법 해석에 따라 여러 분파로 나뉜다.
  • 성경 - 코이네 그리스어
    코이네 그리스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정복 후 헬레니즘 시대에 아티카 방언을 기반으로 형성되어 지중해 세계의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신약성서 기록과 동로마 제국 시대를 거쳐 중세 및 현대 그리스어의 기초가 된 언어이다.
  • 성경 - 오순절
    오순절은 유대교의 칠칠절과 기독교의 성령 강림을 기념하는 날로, 유대교에서는 율법 수여를 기념하는 수확절이며, 기독교에서는 예수 승천 후 성령 강림을 기념하고, 50번째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부활절 날짜에 따라 날짜가 달라진다.
성경
기본 정보
말름스베리 성경
말름스베리 성경
그리스어τὰ βιβλία
로마자 표기ta biblia
히브리어ביבליה
그리스어βιβλία
라틴어biblia
개요
종류종교 문서
내용구약성경
신약성경
구성성경 정경
성경 외경
관련 주제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기독교적 관점
핵심 내용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
구원
하나님의 계시
역사적 관점
기원고대 근동 지역
발전수세기에 걸쳐 다양한 문화와 언어권에서 형성
영향력서구 문화와 사상에 큰 영향
주요 번역본
주요 언어그리스어
히브리어
라틴어
번역 역사다양한 언어로 번역됨
추가 정보
관련 문서성경 목록
성경 비평
성경 해석학

2. 명칭

성경의 영어 명칭인 '''바이블'''(Bible영어)은 고대 서양에서 종이 원료로 사용하였던 파피루스의 무역 중심지였던 비블로스(Byblos, 파피루스의 속대를 뜻함) 지역 이름에서 유래한 고대 그리스어 τό βιβλίον|토 비블리온grc('그 책'이라는 뜻)이라는 단어에서 비롯되었다.[2] 영어 단어 'Bible'은 '책들'을 의미하는 코이네 그리스어 τὰ βιβλία|타 비블리아grc에서 유래했으며, 단수형 βιβλίον|비블리온grc은 원래 '두루마리'를 의미했지만 점차 '책'을 뜻하는 일반적인 단어가 되었다. 이 단어 βιβλίον|비블리온grc은 '이집트 파피루스'를 뜻하는 βύβλος|비블로스grc의 축소형이며, 이집트 파피루스가 그리스로 수출되던 페니키아 항구 도시 비블로스(게발이라고도 함)의 이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스어 τὰ βιβλία|타 비블리아grc('책들')는 헬레니즘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신성한 책들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했던 표현이다.[3] 성서학자 F. F. 브루스에 따르면, 요한 크리소스토모스는 386년에서 388년 사이에 행한 '마태복음 강해'에서 구약신약을 함께 지칭하기 위해 그리스어 구문 τὰ βιβλία|타 비블리아grc('책들')를 사용한 최초의 저술가로 여겨진다. 라틴어 biblia sacra|비블리아 사크라la('성서')는 그리스어 τὰ βιβλία τὰ ἅγια|타 비블리아 타 하기아grc('성스러운 책들')를 번역한 것이다.[4] 중세 라틴어 biblia|비블리아la는 biblia sacrala의 축약형이며, 점차 여성 단수 명사(소유격 bibliae|비블리아이la)로 간주되어 서유럽 언어들에 단수형으로 차용되었다.[5]

구약성경》(Old Testament)의 '구'(舊)는 그리스도 이전을, 《신약성경》(New Testament)의 '신'(新)은 그리스도 이후를 가리킨다. '약'(約, Testament)은 본래 라틴어 testamentum|테스타멘툼la에서 유래했으며 문자적 의미는 '유언' 또는 '증언'이었으나, 신약에서 '언약'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베리트'의 번역어로 사용되면서 '언약'(covenant)이라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이는 인간에 대한 신의 구원 계약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성경'(聖經)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왔다. 동양에서는 역사적으로 진리가 검증된 중요한 책에 '경'(經)이라는 칭호를 붙였기에, 유럽어의 'Holy Bible'을 '성경'으로 번역한 것이다. 공동번역성서 발행 이후에는 '''성서'''(聖書)라는 용어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각에서는 '성서의 경전성을 강조하는 보수적인 그리스도인들은 성경, 성서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강조하는 진보적 그리스도인들은 성서라는 말을 쓰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152]

일반적으로 '성경'은 다음과 같은 여러 의미를 통칭하지만, 주로 기독교의 구약성경신약성경을 합쳐 부르는 용어로 사용된다.


  • '성스러운 경전'이라는 뜻으로, 종교에서 신앙의 최고 법전이 되는 책. (예: 기독교의 신·구약 성서, 불교의 팔만대장경, 유교의 사서오경, 이슬람교의 쿠란 등)
  • 기독교의 성서.
  • 불경의 다른 이름.
  • 성인이 지은 책 또는 성인의 행적을 기록한 책.
  • 후세에 길이 모범이 될 만한 책, 성전(聖典).


'성경'이라는 용어는 히브리어 성경(타나크) 또는 구약과 신약을 모두 포함하는 기독교 성경 전체를 가리킬 수 있다.[2] 유대교에서는 신약성경을 경전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이슬람교에서는 구약성경, 신약성경[109]쿠란 모두를 중요한 경전으로 여긴다.[110][111]

3. 성경의 형성과 발전

성경은 단일한 책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다양한 저자들에 의해 기록되고 편집된 여러 문서들의 모음이다. 초기에는 구전되던 이야기와 노래들이 기록된 것으로 보이며[6], 고대의 기록 문화는 공동체적 구전 활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성경은 다양한 시대와 문화적 배경을 가진, 대부분 알려지지 않은 여러 사람들에 의해 기록되고 편찬되었다.

유대교의 성경인 타나크(기독교구약성경에 해당)는 대략 기원전 1500년부터 기원전 400년대에 걸쳐 바빌로니아, 팔레스티나, 이집트 등지의 유대인 전승과 중동 지역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기록되었다. 이 문헌들은 오랜 시간을 거쳐 기원전 5세기경부터 점차 정립되었고, 현재의 구성은 기원후 1세기 말경 확립된 것으로 여겨진다. 초기 기독교는 구약성경 인용 시 히브리어 원문보다는 코이네 그리스어 번역본인 칠십인역을 자주 활용했다.

신약성경예수의 가르침과 행적, 그리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활동을 코이네 그리스어로 기록한 문서들의 모음이다. 이 문서들은 기원후 1세기경부터 기록되기 시작했으며, 현재의 27권 구성은 382년 로마 공의회와 397년 카르타고 공의회를 거치며 확정되었다.[153]

성경의 책들은 본래 파피루스 두루마리에 손으로 기록되었으며 원본은 남아있지 않다. 가장 오래된 히브리어 성경 사본 일부는 죽음의 바다 두루마리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성경 본문의 초기 형태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처럼 성경은 매우 긴 시간 동안 다양한 역사적, 문화적 배경 속에서 형성된 복합적인 문헌이다.

3. 1. 히브리어 성경 (타나크)

1300년경 히브리어 성경 창세기.
약 1300년경 히브리어 성경창세기


죽음의 바다 두루마리 중 하나인 이사야서 두루마리(1QIsaa)는 이사야서의 가장 오래된 완전한 사본이다.


유대교의 성경인 '''타나크'''(תַּנַּךְ|타나크he)는 기독교에서 구약성경으로 부르는 문헌들의 원전이다. 타나크라는 명칭은 그 구성 요소인 토라(Torah, 율법), 네비임(Nevi'im, 예언서), 케투빔(Ketuvim, 성문서)의 히브리어 첫 글자를 따서 만든 약어이다. 이 문헌들은 대략 기원전 1500년부터 기원전 400년대에 걸쳐 오랜 세월 동안 바빌로니아, 팔레스티나, 이집트 등지의 유대인 전승과 중동 지역의 이야기를 유대교의 관점에서 기록한 것이다. 처음에는 구전으로 전해지던 이야기와 노래들이 점차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고대의 글쓰기는 공동체적 구전 공연의 맥락 속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6] 성경은 다양한 시대와 문화적 배경을 가진 여러 저자들에 의해 기록되고 편찬되었다.

타나크는 총 24권으로 구성되며, 유대교 전승에 따라 그 구성이 확립되었다. 현재의 24권 분류는 기원후 70년 예루살렘 성전 붕괴 이후, 바리새파가 유대교 재건을 도모하고 신흥 종교였던 기독교에 대응하기 위해 기원후 90년경 개최한 얌니아 회의에서 확정되었다는 하인리히 그래츠의 가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타나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구분히브리어 명칭한국어 명칭권수내용
토라תּוֹרָה|토라he율법 (모세오경)5권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네비임נְבִיאִים|네비임he예언서8권전기 예언서: 여호수아기, 판관기, 사무엘기, 열왕기
후기 예언서: 이사야서, 예레미야서, 에제키엘서, 12소선지서
케투빔כְּתוּבִים|케투빔he성문서11권시가서: 시편, 잠언, 욥기
다섯 메길롯: 아가, 룻기, 애가, 전도서, 에스델기
역사서: 다니엘서, 에즈라-느헤미야기, 역대기


  • ''주: 사무엘기, 열왕기, 역대기, 에즈라-느헤미야기, 12소선지서는 각각 한 권으로 계산하여 총 24권이 된다.''


타나크는 본래 히브리어와 일부 아람어로 기록되었다. 초기에는 고대 히브리어 문자와 유사한 그림 문자 형태의 문자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기원전 5세기에서 3세기 사이 바빌론 유배 시기를 거치며 아람어의 영향을 받은 네모 형태의 문자로 바뀌었을 가능성이 높다. 초기 사본에는 단어 구분이 없었으나, 사해 두루마리 시대부터는 단어 사이에 공백을 두어 읽기 쉽게 만들었다. 8세기경에는 마소라 학자들이 모음 부호를 추가하여 정확한 발음을 표기했다. 레위인이나 서기관들은 성경 본문을 매우 주의 깊게 필사하며 보존했지만, 고어를 현대어로 바꾸거나 일부 내용을 수정하기도 했다.

현재 전해지는 히브리어 성경의 주요 본문 형태는 다음과 같다.

  • '''마소라 본문''': 6세기에서 9세기 사이 마소라 학자들이 정리한 표준 히브리어/아람어 본문이다. 모음 부호와 칸틸레이션(낭독 부호)이 포함되어 있다. 가장 오래된 완전한 사본은 서기 1000년경의 레닌그라드 사본이다.
  • '''칠십인역''' (Septuagint, LXX): 기원전 3세기 후반 이집트알렉산드리아에서 헬레니즘 유대교 학자들이 코이네 그리스어로 번역한 성경이다.[7]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을 위해 제작되었으며, 기독교에서는 구약성경 인용 시 이 번역본을 적극 활용했다. 사해 두루마리에서도 칠십인역의 일부 단편이 발견되었다.[8]
  • '''사마리아 오경''': 사마리아인 공동체가 고대부터 전승해 온 토라(모세오경)의 판본이다. 사마리아인들은 토라 5권만을 정경으로 인정하며, 타나크의 다른 책들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가장 오래된 히브리어 성경 사본 중 상당수는 기원전 250년에서 기원후 100년 사이에 제작된 사해 두루마리에서 발견되었다. 이 사본들은 히브리어 성경 본문의 초기 형태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성경의 책들은 처음에는 파피루스 두루마리에 기록되었으나, 7세기경부터는 현대 책의 형태와 유사한 코덱스 형태로 제작되기 시작했다. 최초의 완전한 히브리어 성경 인쇄본은 1488년에 제작되었다.

3. 2. 기독교 성경

기독교에서 성경은 구약성경신약성경으로 구성된다. 구약성경유대교의 성경인 타나크와 내용상 거의 동일하며, 기원전 1500년대부터 400년대에 걸쳐 바빌로니아, 팔레스티나, 이집트 등지의 유대인 전승과 중동 전승을 바탕으로 기록되었다. 유대교는 기원후 90년경 얌니아 회의에서 타나크 24권의 구성을 확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독교의 구약성경은 이 타나크와 내용상 거의 동일하지만, 책의 배열 순서나 일부 책의 포함 여부에서 차이가 있다. 초기 기독교에서는 구약성경을 인용할 때 히브리어 원문보다는 코이네 그리스어 번역본인 칠십인역(셉투아진타)을 자주 활용하였다.

신약성경예수의 사도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예수와 사도들의 가르침을 후세에 전하기 위해 코이네 그리스어로 기록한 문서들을 모은 것이다. 신약성경은 예수의 삶과 가르침을 담은 4권의 복음서(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 사도들의 활동을 기록한 사도행전, 바울로를 비롯한 사도들이 교회나 개인에게 보낸 서신들, 그리고 예언서인 요한계시록 등 총 27권으로 구성된다. 이 구성은 382년 로마 공의회에서 처음 논의되었고, 397년 카르타고 공의회에서 '신약(New Testament)'이라는 명칭과 함께 확정되었다.[153] 신약성경의 각 문서는 대략 기원후 50년에서 150년 사이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12세기 그리스어 성서 사본(골로새서 서두)


성경은 단일한 책이 아니라 여러 책의 모음집이며, 그 형성 과정은 매우 복잡하다. 초기에는 구전으로 전승되던 이야기와 노래들이 기록된 것으로 보이며, 고대의 기록 문화는 공동체적 구전 활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6] 성경의 각 책은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시대와 문화적 배경을 가진 여러 저자들에 의해 기록되고 편집되었다. 성경이 기록된 시기는 정치, 문화, 경제, 환경적으로 매우 다양했으며, 아시리아 제국, 페르시아 제국, 헬레니즘 시대, 고대 로마 제국 등 여러 문명과 제국의 흥망성쇠를 배경으로 한다.

성경의 책들은 본래 파피루스 두루마리에 손으로 기록되고 필사되었으며, 원본은 현재 남아있지 않다. 가장 오래된 히브리어 성경 사본 일부는 기원전 250년에서 기원후 100년 사이에 제작된 죽음의 바다 두루마리에서 발견되었다. 초기 히브리어 성경은 구히브리어 문자로 쓰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후 바빌론 유배 시기를 거치며 아람 문자의 영향을 받은 정방형 문자로 바뀌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8세기경에는 마소라 학자들이 모음 부호를 추가하여 읽기를 도왔다. 성경 본문은 서기관들에 의해 신중하게 필사되었지만, 모든 사본에는 철자 오류나 의도적인 수정 등으로 인한 '변이체'(variants)가 존재한다. 이러한 변이체는 본문 비평 연구를 통해 분석된다.

기독교 내에서도 성경의 범위, 즉 정경에 포함되는 책의 목록은 교파에 따라 차이가 있다. 특히 구약성경의 경우, 개신교에서는 유대교타나크와 동일한 39권만을 정경으로 인정하는 반면, 가톨릭과 정교회는 칠십인역에 포함되었던 일부 문서들을 제2경전 또는 외경으로 받아들여 구약성경에 포함시킨다. 가톨릭교회는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토빗기, 유딧기, 마카베오기 상하권, 지혜서, 집회서, 바룩서 등을 포함한 46권을 구약 정경으로 확정했다. 정교회 역시 이들 제2경전을 성경으로 인정하지만, 그 권위나 교리 도출 가능성에 대해서는 내부적으로 다양한 견해가 있으며, 일부 정교회는 가톨릭보다 더 많은 문서를 포함하기도 한다. 개신교는 종교개혁 당시의 입장에 따라 히브리어 원본이 없는 문서들을 정경에서 제외했으며, 이들을 '외경'이라 부르며 신앙에는 유익할 수 있으나 교리의 근거는 될 수 없다고 본다.[154] 신약성경 27권의 목록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기독교 교파가 동일하게 인정한다. 성경은 모든 기독교 교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그 해석과 적용 방식은 교파별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3. 2. 1. 구약성경

구약성경(舊約聖經, Old Testament)은 '옛 약속'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내용은 기원전 13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까지 약 1천 년 이상에 걸친 고대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와 생활을 바탕으로 한다.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라는 두 고대 문명의 발상지를 잇는 다리 역할을 했던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를 담고 있어, 고대부터 현대까지 세계사에 영향을 미쳤다.

문학적 형태를 보면, 모세오경(토라)은 공동체 질서를 위한 법률 문서 외에도 구전 이야기(예: 소돔과 고모라 이야기), 시가, 통계, 족보 등 다양한 형식을 포함한다. 이는 다른 고대 서아시아 문학과 유사한 특징이다. 역사서 역시 룻기, 에스더와 같은 문학적 단편, 영웅 이야기(사울, 다윗, 사사 이야기 등), 시가, 우화, 통계, 족보, 연대기 등 다채로운 내용을 담고 있다. 예언서 중 다니엘서와 스가랴서 9장 이후는 묵시문학으로 분류된다. 문학서로는 욥기, 전도서, 잠언지혜문학에 속하며, 시편아가는 시가(詩歌)이다.

기독교의 구약성경은 유대교타나크(Tanakh, 히브리어 성경)와 내용상 거의 동일하지만, 책의 배열 순서와 일부 내용에서 차이가 있다. 유대교의 타나크는 토라(율법), 네비임(예언서), 케투빔(성문서)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총 24권이다. 유대교는 기원후 1세기 말 얌니아 회의를 통해 히브리어아람어로 기록된 문헌만을 정경으로 확정했다.

기독교 내에서도 구약성경의 범위에 대해서는 교파별로 차이가 존재한다. 특히 개신교에서 외경(Apocrypha)으로 분류하는 일부 문서를 가톨릭과 정교회에서는 제2경전(Deuterocanonical books)으로 인정하여 구약성경에 포함시킨다.

  • 가톨릭교회: 로마 공의회, 히포 공의회, 카르타고 공의회 등에서 성경 목록을 결정했으며, 트리엔트 공의회(16세기)에서 종교개혁 당시 제기된 외경 부정 주장에 맞서 기존의 결정을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토빗기, 유딧기, 마카베오기 상권, 마카베오기 하권, 지혜서, 집회서, 바룩서 등을 포함한 구약 46권을 정경으로 인정한다. (초기 44권에서 예레미야 애가와 바룩서가 분리되어 46권이 됨)
  • 정교회: 가톨릭과 비슷하게 제2경전을 성경의 일부로 받아들인다. 성 아타나시오스는 이 책들을 "교회 입회를 준비하는 예비 신자들에게 읽히기 위한 것"이라고 언급하며 '경독서'라고 부르기도 했다. 다만, 제2경전의 권위나 이를 통해 교리를 도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정교회 내부에서도 다양한 견해가 있다. 대부분의 정교회는 제한적인 교리 도출을 인정하지만, 러시아 정교회와 같이 교리 도출에 부정적인 입장도 존재한다. 또한, 가톨릭의 제2경전 외에 에스드라 1서, 마카베오기 3서 등 추가적인 문서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 개신교: 종교개혁의 전통에 따라 유대교가 정경으로 인정한 히브리어 성경 39권만을 구약성경 정경으로 확고히 인정한다. 종교개혁자들은 외경이 신앙적으로 유익할 수는 있지만, 초기 교부 히에로니무스가 주장했듯이 교리의 근거가 될 수는 없다고 보았다. 루터교나 성공회 등 일부 개선주의 및 공교회주의 교파에서는 외경을 신앙에 도움이 되는 문헌으로 여기기도 하지만, 장로교 등 개혁주의 교파들은 약 1세기 이후 외경을 받아들이지 않는다.[154]


아래는 기독교의 구약성경 목록으로, 순서는 주로 불가타 성경을 따른다. 외경 또는 제2경전에 해당하는 문서는 ''이탤릭체''로 표기하였다.

분류책 이름
모세오경 (토라)창세기
출애굽기/탈출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역사서여호수아기
판관기/사사기
룻기
사무엘기 상권
사무엘기 하권
열왕기 상권
열왕기 하권
역대기 상권
역대기 하권
에즈라기 (에스드라 1서)
느헤미야기 (에스드라 2서)
토빗기
유딧기
에스델기/에스테르기
마카베오기 상권
마카베오기 하권
시서와 지혜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코헬렛
아가
지혜서
집회서
예언서이사야서
예레미야서
애가
바룩서 (예레미야의 편지 포함)
에제키엘서/에스겔
다니엘서 (다니엘서 부록 포함)
호세아서
요엘서
아모스서
오바드야서/오바댜
요나서
미가서/미카서
나훔서
하바꾹서/하바쿡서 (하박국)
스바니야서/스바냐
하까이서/학개
즈카르야서/스가랴
말라키서/말라기



모든 성경 사본은 필사 과정에서 존중과 주의를 기울여 다루어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본에는 '변이체'(variants)라고 불리는 전승 오류가 존재한다. 변이체는 두 본문 사이의 어떠한 차이점이라도 의미하며, 이는 단순히 가치 평가가 아니라 서로 다른 본문이 발전해 온 경로가 갈라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중세 히브리어 성경 사본은 매우 정확한 것으로 여겨지며 다른 본문을 복사하는 기준 문서로 사용되었다.[10] 하지만 히브리어 본문에도 여전히 일부 변이체가 포함되어 있다. 변이체의 대부분은 철자 오류와 같은 우연한 것이지만, 의도적인 변경도 있었다. 히브리어 본문에서는 어순 변화(역대기 상권 17:24와 사무엘기 하권 10:9, 13절 비교 등)와 같은 "기억 변이체"가 발견되며, 어휘적 동의어 대체, 의미 및 문법적 차이, 더 큰 규모의 순서 변화, 그리고 마소라 본문의 주요 개정처럼 의도적이었을 가능성이 있는 변경들도 포함된다. 브루스 월트케(Bruce Waltke)는 히브리어 성경의 비평판인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에서 10단어당 하나의 변이체가 발견되며, 히브리어 본문의 약 90%는 변이가 없다고 지적한다.

3. 2. 2. 신약성경

신약성경은 총 27권으로 구성되며, 코이네 그리스어로 쓰였다. 내용은 크게 예수의 삶과 가르침을 다룬 복음서 4권(마태복음서-요한복음서), 초기 기독교 공동체와 사도들의 활동을 기록한 사도행전 1권, 바울을 포함한 사도들이 교회나 개인에게 보낸 서신 21권(로마서-유다서), 그리고 종말론적 예언서인 요한계시록 1권으로 나뉜다.[154] 이 문서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행적과 교훈, 복음 전파 과정,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자세, 종말과 최후 승리 등을 다루며, 기원후 50년에서 150년 사이에 걸쳐 형성되었다.

신약성경 27권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순서는 불가타역 성경을 따른다.

분류책 이름저자 정보 (전통적 견해 및 학계 연구)
복음서마태복음서전통적으로 세리 마태. 성서학계에서는 헬라어에 능통하고 율법을 잘 아는 익명의 유대 기독교인으로 봄.
마가복음서마가라 불린 요한.
누가복음서누가로 불리는 그리스인 의사.
요한복음서전통적으로 사도 요한. 일부 성서학자들은 복수 저자의 작품으로 봄.[155]
역사서사도행전누가로 불리는 그리스인 의사.
서신서로마서바울.
고린도전서바울.
고린도후서바울.
갈라디아서바울.
에베소서익명 (바울 이름 차용 가능성).
빌립보서바울.
골로새서익명.
데살로니가전서바울.
데살로니가후서바울.
디모데전서익명.
디모데후서익명.
디도서바울.
빌레몬서바울.
히브리서익명.
야고보서야고보.
베드로전서익명 (2세기).
베드로후서익명 (2세기).
요한1서요한.
요한2서요한.
요한3서요한.
유다서유다.
묵시록요한 계시록사도 요한.



=== 기독교에서 경전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복음서 ===

정경 외에도 여러 복음서가 존재했으며, 이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유다 복음서: 예수를 배반한 이스카리옷 유다가 저술했다는 이유로 인정되지 않았다.
  • 마리아 복음서: 일부가 유실되었으며, 막달라 마리아가 저술했다는 점과 그노시스주의(영지주의) 색채 때문에 배척되었다.[156]
  • 도마 복음서: 공관 복음서와 달리 예수의 행적보다는 말씀에 집중하며, 내용상 유사한 부분도 많다.[157]


=== 사본과 변이체 ===

모든 성경 본문은 사본 제작 과정에서 세심하게 다루어졌지만, 모든 사본에는 전승 오류인 변이체(variants)가 존재한다. 신약성경 본문의 의도적인 변경은 문법 개선, 불일치 제거, 병행 구절의 조화, 여러 변이 읽기를 하나로 결합 및 단순화, 그리고 신학적 이유 등으로 이루어졌다. 유나이티드 바이블 소사이어티(United Bible Societies)의 ''그리스어 신약 성경'' 제4판은 약 6900단어 중 약 500단어(약 7%)에 영향을 미치는 변이체를 기록하고 있다.

4. 성경의 특징

성경은 대체로 기록된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되었지만, 일부는 내용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대순과 다르게 배치되기도 했다.


  • 구약: 예레미야 25장에 기록된 예언(24번째 배열)은 그 예언의 성취를 다루는 역대하 36장(14번째 배열)보다 뒤에 배열되어 있다.
  • 신약: 베드로후서 1장(22번째 배열)은 베드로의 죽음 이후를 다루는 요한복음 21장(4번째 배열)보다 뒤에 배열되어 있다.

5. 성경의 영향

성경은 기독교 전통을 가진 유럽의 역사와 문화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 관습과 윤리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럽의 문학, 예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경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테신곡, 밀턴실낙원, 괴테파우스트와 같은 유럽 문학 고전들은 그리스·로마 고전 정신과 히브리·기독교 정신의 영향을 깊이 반영하고 있다.

종교개혁 시기 루터의 신약성경 번역은 성경을 소수의 성직자 손에서 다수의 평신도에게로 전파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는 신자들이 자신의 신앙 내용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교회 내 민주적인 참여를 확대하는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독일어와 독일 문학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기도 했다. 또한 성경은 17세기 영국 개신교 신학영성을 보여주는 존 버니언의 천로역정과 같은 고전 문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음악과 미술 분야에서도 성경을 주제로 하거나 그 내용을 모르면 이해하기 어려운 수많은 걸작이 탄생했으며, 사상적인 측면에서는 근대 서구 사회의 경제적 합리주의 정신이 이스라엘과 유대교의 전통, 그리고 칼뱅주의의 종교적 합리성과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는 분석도 있다. 이처럼 성경은 서양 문화의 다양한 영역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다.

5. 1. 문학적 가치

구약성경은 '옛 약속'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문학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고 있는데, 고대 서아시아 문학처럼 모세의 5서(토라)는 공동체 질서를 위한 법문서 외에도 구비 전승(소돔과 고모라 이야기 등), 시가, 통계, 족보 등을 담고 있다. 역사서에는 롯기에스더와 같은 문학적 가치가 있는 이야기, 사울이나 다윗, 사사 이야기 같은 영웅 기록, 시가, 우화, 통계, 족보, 연대기 등이 포함된다. 예언서 중 다니엘서와 스가랴서 9장 이후는 묵시문학으로 분류된다. 타나크의 두 번째 주요 부분인 네비임(נְבִיאִים|Nəḇī'īmhe, "예언자들")은 전기 예언서(נביאים ראשונים|Nevi'im Rishonimhe,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상·하, 열왕기상·하 등 역사 서술)와 후기 예언서(נביאים אחרונים|Nevi'im Aharonimhe,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 그리고 열두 소선지서)로 나뉜다. 네비임은 히브리 왕국의 성장과 이스라엘 왕국 및 유다 왕국으로의 분열, 이스라엘 백성과 다른 민족 간의 갈등, 그리고 "하나님"[21](야훼) 신앙과 이방 신앙 간의 내부 갈등, 엘리트와 통치자들의 비윤리적 행동에 대한 비판 등을 다룬다. 또한 욥기, 전도서, 잠언지혜문학에 속하며, 시편아가는 시가 문학이다. 구약성경의 내용은 기원전 13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까지 천 년이 넘는 고대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와 생활을 배경으로 하며, 이집트메소포타미아라는 두 고대 문명 발상지를 잇는 다리 역할을 했던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를 담아 세계사에 영향을 미쳤다.

신약성경코이네 그리스어로 기록되었다. 내용은 예수의 삶과 가르침을 해석한 복음서 4권(마태오 복음서, 마르코 복음서, 루카 복음서, 요한 복음서), 예수의 하나님 나라 운동을 계승한 사도들의 이야기를 기록한 사도행전 1권, 바울이 교회에 보낸 목회 서신 13통(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부터 필레몬서까지), 바울 외의 저자들이 쓴 서신 8통(히브리인들에게 보낸 서간부터 유다서까지), 그리고 요한이 기록한 예언서인 요한계시록 1권으로, 총 27권으로 구성된다. 즉, 신약성경은 예수 그리스도의 행적과 교훈(복음서), 복음이 유대인과 비유대인에게 전파된 과정(사도행전), 복음의 의미와 그리스도인의 자세(서신서), 종말론적 신앙과 최후의 승리(요한계시록)를 집대성한 문서이다. 현재 전해지는 신약성경 문서는 대략 기원후 50년에서 150년 사이에 걸쳐 형성되었다.

5. 2. 서양사에 영향

성경은 기독교 전통을 가진 유럽 역사와 문화 전반에 영향을 끼쳤으며, 사회 관습과 윤리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럽 문학의 고전으로 꼽히는 단테신곡, 청교도 시인 밀턴실낙원, 괴테파우스트 등은 모두 그리스·로마의 고전 정신과 히브리·기독교 정신 사이의 갈등, 공존, 융합을 탐구한 작품들이다.

종교개혁 시기 루터의 신약성경 번역은 성경을 소수의 성직자에게서 다수의 평신도에게로 전파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는 교회의 민주화를 촉진하고 신자들이 자신의 신앙 내용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게 만든 혁신적인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루터의 번역은 독일어와 독일 문학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기도 했다. 영어 번역 성경에 대해 현실 도피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이는 여러 견해 중 하나일 뿐 구체적인 근거가 부족하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성경은 17세기 영국 개신교 신학영성을 잘 보여주는 존 버니언의 천로역정과 같은 고전 문학 작품과도 깊은 연관성을 지닌다.

음악 분야에서는 루터교 신자였던 헨델의 오라토리오 메시아바흐의 마태 수난곡 등이 성경 이야기를 음악적으로 구현한 대표적인 예이다. 미술에서는 개신교가톨릭 전통 속에서 활동한 네덜란드 화가 렘브란트의 종교화나 이탈리아 조각가 미켈란젤로피에타나 다비드 같은 조각 작품들 역시 성경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온전히 감상하기 어렵다.

사상적인 측면에서 근대 서구 사회의 경제적 합리주의 정신은 이스라엘과 유대교의 전통, 그리고 칼뱅주의의 종교적 합리성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루시 모드 몽고메리의 소설 빨간 머리 앤과 같은 대중 문학 작품 속에도 성경을 알아야 이해할 수 있는 표현들이 등장한다. 예를 들어, '뱀 같은 지혜'라는 표현은 예수가 제자들에게 "뱀같이 지혜롭고 비둘기같이 순결하라"고 말한 마태복음서의 구절에서 유래한 것이다.

5. 3. 한국 사회에 끼친 영향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당 섹션 내용을 뒷받침할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6. 성경 해석과 비평

성경이 일반 대중에게 보급되면서, 이를 단순히 신성하고 오류 없는 경전으로만 보기보다 인간의 기록으로 이해하고 비평하는 성서비평의 토대가 마련되었다는 시각이 있다. 실제로 종교개혁 이후 성경이 번역되어 널리 읽히면서, 기독교인들은 성직자의 해석에만 의존하지 않고 직접 성경을 읽으며 자신의 신앙을 성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성직자들이 때때로 잘못 전달하던 성경 이야기를 독자 스스로 판단하고 신을 직접 체험하게 하는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성경 본문에 대한 비평적 연구의 한 예로 다니엘서의 전승 과정을 들 수 있다. 다니엘서는 12장으로 이루어진 마소라 본문 외에도 두 개의 그리스어 번역본, 즉 기원전 100년경의 칠십인역과 기원후 2세기경의 테오도티온 번역본으로 전해진다. 이 두 그리스어 번역본에는 마소라 본문에는 없는 세 가지 내용, 즉 아사리아의 기도와 세 성소년의 노래, 수산나와 장로들 이야기, 그리고 벨과 용 이야기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다.

초기 기독교 교회에서는 테오도티온의 번역본이 널리 사용되면서 사실상 칠십인역 번역본을 대체하게 되었다. 5세기 초 교부였던 히에로니무스는 자신의 다니엘서 번역본 서문(407년)에서 이러한 상황을 기록하며, "교회에서는 칠십인역이 아닌 테오도티온의 번역본을 공개적으로 낭독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싶다"고 밝혔다.[23] 히에로니무스는 또한 오리게네스의 『육중역(Hexapla)』에 테오도티온 번역본과 다른 그리스어 및 히브리어 본문 간의 주요 차이점들이 주석으로 달려있다고 언급했다. 테오도티온의 다니엘서 번역본은 현존하는 히브리어 마소라 본문, 즉 오늘날 대부분 현대 성경 번역의 기초가 되는 본문과 내용상 더 가깝다. 흥미롭게도 테오도티온의 다니엘서 번역본은 1587년 교황 식스투스 5세가 공인한 칠십인역 판본에도 포함되었다.[24] 이는 성경 본문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고 수용되어 왔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7. 성경 번역

성경은 다양한 문화권에 전파되는 데 있어 번역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최초의 주요 번역으로는 기원전 3세기경 히브리어 성경그리스어로 옮긴 칠십인역(Septuagint)을 들 수 있다. 칠십인역은 후대 번역의 기초가 되었으며, 사해 문서 등 고대 사본과의 비교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중세 유럽에서는 히에로니무스가 번역한 라틴어 성경인 불가타가 천 년 이상 서방 교회의 표준 성경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과거에는 책 자체가 고가였고 교회와 성직자들이 일반 대중에게 성경 내용이 널리 알려지는 것을 꺼렸기 때문에, 성경은 일부 성직자들만 소유할 수 있었다.

그러나 15세기 중반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활판인쇄술 발명은 성경 보급에 혁명을 가져왔다. 이전까지 고가의 필사본으로 소수 성직자만 접근 가능했던 성경이 대량 인쇄되면서 일반인에게도 읽힐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종교 개혁과 맞물려 각 민족어로 성경을 번역하려는 움직임을 촉진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성경 번역은 더욱 활발해져, 2017년 기준으로 성경은 전체 또는 일부가 세계 3,20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여기에는 아이누어나 케센어 같은 소수 민족 언어 번역본도 포함된다.

한국어 성경 번역은 19세기 말 서구 선교사들의 입국과 함께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개별적인 번역 시도가 있었고, 이후 개신교와 천주교에서 각각 위원회를 구성하여 번역 작업을 진행해왔다.

8. 같이 보기

참조

[1] 문서 Koine Greek τὰ βιβλία ('the books')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Bible http://dictionary.re[...] 2006-10-15
[3] 웹사이트 From Hebrew Bible To Christian Bible https://www.pbs.org/[...] 2018-06-14
[4]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βιβλίον http://www.perseus.t[...] 2019-11-18
[5] 웹사이트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0-04-23
[6] 서적 The formation of the Hebrew Bible: A new reconstr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The Old Testament in Greek https://www.bl.uk/gr[...] 2023-05-20
[8] 서적 The Septuagint Bloomsbury Publishing 2004
[9] 서적 Misquoting Jesus: The Story Behind Who Changed the Bible and Why HarperCollins
[10] 웹사이트 The Damascus Keters https://web.nli.org.[...] 2020-07-01
[11] 서적 Her Story Women in Christian Tradition Fortress Press 1992
[12] 서적 The Early Church
[13] 서적 Christian Ethics: An Introduction to Biblical Moral Reasoning Crossway 2018
[14] 간행물 Explaining the Christianization of the Roman Empire. Older theories and recent developments
[15] 서적 The Environment and Christian Eth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16] 서적 Theological Ethics in a Neoliberal Age: Confronting the Christian Problem with Wealth Wipf and Stock 2018
[17] 서적 Rights and Christian eth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18] 웹사이트 The Bible and the Masoretic Text https://www.thetorah[...] 2022-07-03
[19] 성경 Bible verses
[20]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http://www.bible-res[...] 2009-11-30
[21] 성경 Bible verses
[22] 웹사이트 Bible Translations – The Septuagint http://jewishencyclo[...] JewishEncyclopedia.com 2012-02-10
[23] 웹사이트 St. Jerome, Commentary on Daniel (1958) pp. 15–157 http://www.tertullia[...] 2022-02-02
[24] 문서 Catholic Encyclopedia (1913)
[25] 웹사이트 The Book of Enoch and The Secrets of Enoch http://reluctant-mes[...] 2014-06-08
[26] 참고문헌 (Harvnb citation, needs more information)
[27] 참고문헌 (Cite CCC citation, needs more information)
[28] 웹사이트 The Revised Common Lectionary http://www.commontex[...] Consultation on Common Texts 2015-08-19
[29] 웹사이트 NETS: Electronic Edition http://ccat.sas.upen[...] Ccat.sas.upenn.edu 2011-02-11
[30] 웹사이트 NETS: Electronic Edition http://ccat.sas.upen[...] 2011-07-29
[31] 웹사이트 The Aramaic New Testament: Estrangelo Script: Based on the Peshitta and Harklean Versions https://digitalcommo[...] American Christian Press 2022-04-10
[32] 웹사이트 Canons and Decrees of the Council of Trent http://www.bible-res[...] 2011-08-05
[33] 웹사이트 Council of Basel 1431–45 A.D. Council Fathers http://www.papalency[...] 1431-12-14
[34] 웹사이트 The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http://www.ethiopian[...] Ethiopianorthodox.org 2010-11-19
[35]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Medieval Bibl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36] 서적 Lost Christianities: Battles for Scripture and the Faiths We Never Kne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5-20
[37] 웹사이트 The Canonization of Scripture {{!}} Coptic Orthodox Diocese of Los Angeles https://www.lacopts.[...]
[38] 서적 Manuscripts and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for English Readers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39] 뉴스 How We Got the Best-Selling Book of All Time https://www.wsj.com/[...]
[40] 서적 God, Justice, and Society: Aspects of Law and Legality in the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Readings in Western Religious Thought: The ancient world Paulist Press
[42] 서적 Religion and Spirituality in Psychia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서적 The Subversion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1-06-02
[44] 서적 The Subversion of Christianity Eerdman's Publishing Co.
[45] 서적 Tolerance and Intolerance in the European Reform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간행물 The Bible and Social Reform: Musings of a Biblical Scholar
[47] 서적 Justice for All: How the Jewish Bible Revolutionized Ethics U of Nebraska Press
[48] 서적 Human Rights and the Common Good: Christian Perspectives Victoria University Press 1999
[49] 학술지 Empire, Community and Culture in the Roman near East: Greeks, Syrians, Jews and Arabs https://doi.org/10.1[...] 1987
[50] 서적 Constructing Jewish Nationalism: The Role of Scriptur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51] 서적 The Construction of Nationhood: Ethnicity, Religion and Nation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서적 Prospects for Constitutionalism in Post-Communist Countries Kluwer Law International
[53] 서적 Imagining Human Rights de Gruyter
[54] 간행물 When Doing Good is Not Good Enough: Justice and Advocacy
[55] 서적 The care of the sick: The emergence of modern nursing Routledge
[56] 서적 The Social Results of Early Christianity William Isbister Ltd.
[57] 서적 Models for Christian Higher Education: Strategies for Survival and Success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archive.org/[...]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58] 서적 Methodist Evangelism, American Salvation: The Home Missions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1860–1920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59]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Penguin Viking
[60] 서적 Sexual Morality in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서적 From Shame to Sin: The Christian Transformation of Sexual Morality in Late Antiquity Harvard University Press
[62] 서적 The Spirit of Early Christian Thought Yale University Press
[63] 서적 Thomas Aquinas, Summa theologiae (c. 1273), Christian Wisdom Explained Philosophically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64] 웹사이트 Tolkien's Catholic Imagination http://www.crisismag[...] Morley Publishing Group 2001-11
[65] 웹사이트 Assurances of faith: How Catholic Was Shakespeare? How Catholic Are His Plays? http://www.crisismag[...] Morley Publishing Group 2002-07
[66] 웹사이트 Art: Representation of Biblical Women https://jwa.org/ency[...]
[67] 웹사이트 Art: Representation of Biblical Women | Jewish Women's Archive https://jwa.org/ency[...]
[68] 학술지 Women in Religious Art Oxford Research Encyclopedias 2016-07
[69] 서적 Children's Health Issues in Historical Perspective Wilfrid Laurier Univ. Press
[70] 서적 Contemporary Biology: Concepts and Implication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71] 웹사이트 A hose: the strange device next to every Finnish toilet https://en.biginfinl[...] Curiosities 2014-07-08
[72] 서적 Has the Church Replaced Israel? A Theological Evaluation B&H Publishing Group 2010
[73] 서적 War: Four Christian Views BMH Books
[74] 서적 Denominating Amalek: Racist stereotyping in the Bible and the Justification of Discrimination", in Sanctified aggression: legacies of biblical and post biblical vocabularies of violence Continuum Internatio Publishing Group
[75] 서적 Does the Bible justify violence? Fortress Press
[76] 서적 The Widening circle of genocide Transaction Publishers
[77] 서적 The Bible and Zionism: invented traditions, archaeology and post-colonialism in Palestine-Israel, Volume 1 Zed Books
[78] 서적 The History and Sociology of Genocide: Analyses and Case Studi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79] 서적 Portraying Violence in the Hebrew Bible: A Literary and Cultural Stud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80] 서적 Texts of Terror: Literary-feminist Readings of Biblical Narratives Fortress Press
[81] 서적 De vita Moysis
[82] 서적 Contra Apion
[83] 웹사이트 Basis for belief of Inspiration Biblegateway http://www.biblegate[...] Biblegateway.com 2010-04-23
[84] 웹사이트 The Chicago Statement on Biblical Inerrancy http://www.churchcou[...] Dallas Theological Seminary Archives
[85] 웹사이트 Ruckman's belief in advanced revelations in the KJV http://www.ruckmanis[...] 2014-02-27
[86] 서적 Sacred Enigmas: Literary Religion in the Hebrew Bible Routledge 2014
[87] 논문 Conflicted Anagoge: The Renewal of Jewish Textuality in Haskalah Rhetoric
[88] 서적 Performing the Gospel: Orality, Memory, and Mark Fortress Press 2011
[89] 서적 The Invention of Judaism: Torah and Jewish Identity from Deuteronomy to Paul Univ of California Press 2017
[90] 서적 Writing on the Tablet of the Heart: Origins of Scripture and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91] 학술지 The Study of Religion and the Study of the Bible https://www.jstor.or[...]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92] 서적 God's Word Alone – The Authority of Scripture: What the Reformers Taught... and Why It Still Matters Zondervan Academic
[93] 웹사이트 Methodist Beliefs: In what ways are Lutherans different from United Methodists? http://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94] 웹사이트 Surah Al-Ma'idah - 13 https://quran.com/en[...]
[95] 웹사이트 The Bible http://www.thelatinl[...]
[96] 웹사이트 Vulgate Description, Definition, Bible, History,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97] 웹사이트 2024 Global Scripture Access https://www.wycliffe[...]
[98] 웹사이트 Expondo Os Erros Da Sociedade Bíblica Internacional http://www.baptistli[...] Baptistlink.com
[99] 뉴스 Historic Bibles ?' even a naughty one ?' featured at Houston's Dunham Museum https://www.houstonc[...] 2015-08-31
[100]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museumof[...] Museum of the Bible
[101] 뉴스 Museum of the Bible opens in Washington, D.C., with celebration amid cynicism https://www.nbcnews.[...]
[102] 뉴스 Questions swirl around Museum of the Bible before grand opening https://www.nbcnews.[...]
[103] 뉴스 St Arnaud gets its own holy grail https://www.weeklyti[...] 2015-04-21
[104] 웹사이트 Bible Museum Homepage Features https://www.thebible[...]
[105] 뉴스 Great Passion Play has some interesting new sights that don't cost anything to see https://www.fourstat[...] 2019-05-17
[106] 뉴스 Shelby County awards $15,000 grant for Bible Museum in Collierville https://www.fox13mem[...] 2020-02-11
[107] 웹사이트 About https://web.archive.[...] 2020-02-11
[108] 서적 イスラム教入門 岩波書店 1998
[109] 문서 聖書に相当するものであり、現在読まれているものとは異なる。アラビア語で、旧約聖書に収められているモーゼ五書は「タウラー」、詩篇は「ザブール」、新約聖書に収められている福音書は「インジール」と呼ばれる。
[110] 문서 ただし、クルアーンが優越すると考えられており、内容に矛盾がある場合はクルアーンの記述が優先される
[111] 웹사이트 諸啓典への信仰 https://www.islamrel[...] 2018-08-02
[112] 서적 ギネス世界記録2023
[113] 웹사이트 教え-聖書:日本正教会 The Orthodox Church in Japan http://www.orthodoxj[...] 日本正教会
[114]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The Bible http://www.newadvent[...] カトリック教会
[115] 웹사이트 Anglicans Online | The Catechism or an Outline of the Faith http://anglicansonli[...] 聖公会
[116]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The Bible - The Lutheran Church—Missouri Synod http://www.lcms.org/[...] ルーテル教会
[117] 웹사이트 ウェストミンスター信仰基準(日本基督改革派教会訳)、Q&A - 日本キリスト改革派 横浜教会 http://www.ogaki-ch.[...] 改革派教会
[118] 문서 ただし英語では "The Holy Scriptures" といった表記が事典・辞典の見出し語として使われることも多い。
[119] 문서 古典ギリシア語再建音からは「ビブリア」、現代ギリシア語からは「ヴィヴリア」(βがvになる)と転写し得る。
[120] 웹사이트 Bible, biblia, biblion, torah, codex, canon, Christianity http://stevendimatte[...]
[12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The Bible http://www.newadvent[...]
[122] 웹사이트 Q & A - Canon of Scripture - Orthodox Church in America http://oca.org/quest[...]
[123]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Canon of the Old Testament http://www.newadvent[...]
[124] 웹사이트 Lutheran Church - Missouri Synod - Christian Cyclopedia http://cyclopedia.lc[...]
[125] 서적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02
[126] 서적 カトリック大辞典 III 冨山房 昭和42年
[127] 서적 日本聖公会 祈祷書 日本聖公会管区事務所 1991-06-20
[128] 웹사이트 Anglicans Online | The Catechism or an Outline of the Faith http://anglicansonli[...]
[129] 웹사이트 A Brief Introduction to sola scriptura | Lutheran Theology: An Online Journal http://lutherantheol[...]
[130] 웹사이트 The “five solas” – Living Word Canadian Reformed Church at Guelph http://www.livingwor[...]
[131] 웹사이트 Article 6: The Difference Between Canonical and Apocryphal Books | Christian Reformed Church http://www.crcna.org[...]
[132] 서적 ものみの塔の新世界訳聖書は改ざん聖書 びぶりや書房(現ビブリア書房) 2007-11
[133] 웹사이트 Holy Scripture - OrthodoxWiki http://orthodoxwiki.[...]
[134] 웹사이트 教え-聖伝:日本正教会 The Orthodox Church in Japan http://www.orthodoxj[...]
[135] 서적 ギネス世界記録2004(日本語版), ギネス世界記録2015(日本語版) ポプラ社, 角川アスキー総合研究所 2004, 2014
[136] 서적 世界なんでもトップテン 三省堂
[137] 웹사이트 THE TEN BESTSELLING BOOKS OF ALL-TIME http://home.comcast.[...]
[138] PDF The Discover God Study Bible http://www.newliving[...]
[139] 서적 ギネス世界記録2023(日本語版) 角川アスキー総合研究所 2022
[140] 웹사이트 5c where did the christian bible come from http://www.learnanyw[...]
[141] 서적 ギネスブック ギネス・ワールド・レコーズ 1999
[142] 간행물 週刊朝日 2005-07-22
[143] 블로그 バイブルガーデンのオリーブ http://blog.ngu.ac.j[...]
[144] 웹사이트 鳩山バイブル・ガーデン http://hatoyama-ch.l[...]
[145] 논문 Biblical gardens in dissemination of ideas of the Holy Scripture http://www.ptno.ogr.[...]
[146] 웹사이트 Rodef Shalom Congregation, Pittsburgh, PA - Biblical Botanical Garden http://rodefshalom.o[...] 2008-01-28
[147] 웹사이트 Warsaw Biblical Gardens http://www.warsawbib[...] 2023-04-11
[148] 웹사이트 MBG Bible Plant Collection http://www.mobot.org[...] 2023-04-11
[149] 웹사이트 【質問18 聖書がムハンマドを証言する】 https://web.archive.[...]
[150] 서적 聖書 原文校訂による口語訳 フランシスコ会聖書研究所
[151] 뉴스 「世界で最も正確」 英ティンダルハウスがギリシャ語新約聖書を出版 http://www.christian[...]
[152] 서적 미래에서 온 기독교 에클레시안
[153] 문서 공의회로 칭하나 당시 모든 지역교회가 모인 보편공의회와 달리 카르타고 지역 교회 대표들이 모인 회의였다.
[154] 문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장 3절
[155] 서적 주요주제를 통해서 본 복음서의 신학 한들
[156] 서적 막달라 마리아 복음서 http://books.google.[...] 루비박스
[157] 서적 도마복음서 해석 대한기독교서회
[158] 뉴스 성경이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드라마로. 드라마바이블 제작, 국내 크리스찬연예인 참여, 모든 콘텐츠 무료 http://www.pckworld.[...] 한국기독공보 2017-03-28
[159] 뉴스 [문화현장] 100여명의 연예인 육성 담긴 드라마 바이블 어플 출시 https://www.nocutnew[...] 노컷뉴스 2017-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