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버널 구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널 구체는 제라드 K. 오닐이 제안한, 회전하여 인공 중력을 생성하는 구형 우주 식민지 개념이다. 오닐은 1975년과 1976년 연구에서 지름 500m의 "아일랜드 원"과 지름 1,800m의 "아일랜드 투"를 제안했다. 이 개념은 소설,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 등장하며, 특히 소설 《라마와의 랑데부》와 게임 《소닉 어드벤처 2》 등에서 우주 식민지 형태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안된 우주정거장 - 루나 게이트웨이
    루나 게이트웨이는 NASA와 국제 파트너들이 협력하여 건설하는 달 궤도 우주정거장으로, 아르테미스 계획의 일환으로 달 탐사 지원, 심우주 탐사 기술 개발, 과학 연구를 수행하며 전력 및 추진 요소(PPE)와 거주 및 물류 전초기지(HALO) 등 다양한 모듈로 구성되어 근직선 할로 궤도(NRHO)를 활용할 계획이다.
  • 제안된 우주정거장 - 다이슨구
    다이슨 구는 진보된 문명이 별의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별을 둘러싸는 거대한 인공 구조물로, 프리먼 다이슨이 제안한 가설적인 개념이며, 다이슨 스피어, 다이슨 스웜 등의 형태로 구상되었고, 외계 문명 탐색과 SF에 영향을 주었다.
  • 우주정거장 - 살류트 계획
    살류트 계획은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소련이 진행한 우주 정거장 프로그램으로, 군사 목적의 OPS와 민간 목적의 DOS로 구성되었으며, 장기간의 우주 체류를 가능하게 하고 미르 우주 정거장과 국제 우주 정거장에 영향을 미쳤다.
  • 우주정거장 - 스카이랩
    스카이랩은 NASA의 최초 우주 정거장으로, 1973년 발사되어 1974년까지 유인 임무를 수행하며 다양한 과학 실험을 진행했고, 1979년 대기권 재진입 후 파편이 호주에 낙하했다.
버널 구체
개요
버널 구체의 렌더링
버널 구체의 렌더링
종류우주 식민지
제안 연도1929년
제안자존 데스먼드 버널
면적10 마일 (16 km)
수용 인구20,000 ~ 30,000명
설명
구조버널 구체는 존 데스먼드 버널이 1929년에 제안한 우주 식민지 디자인이다.
속이 빈 구형 껍질로, 직경은 10마일 (16km) 정도이며, 2만 명에서 3만 명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다.
특징버널 구체는 우주에 건설될 수 있는 자족적인 생활 공간의 초기 개념 중 하나이다.
구체 내부는 지구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여 사람들이 생활하고 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구체의 표면은 태양광을 집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내부는 농업 및 산업 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2. 오닐의 제안

제라드 K. 오닐은 존 데즈먼드 버널이 제안한 버널 구체 개념을 바탕으로, 우주 식민지 건설을 위한 구체적인 모델들을 제시했다. 1975년1976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진행된 연구를 통해 오닐은 '아일랜드 원(Island One)'과 그보다 더 큰 규모의 '아일랜드 투(Island Two)'라는 두 가지 주요 설계안을 제안했다.[2] 이 설계안들은 구형 구조를 활용하여 인공 중력을 생성하고 우주 방사선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

2. 1. 아일랜드 원

Island One형 버널 구체의 예시 레이아웃


아일랜드 원(Island One)은 1975년1976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미래의 우주 식민지 설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제라드 K. 오닐 박사가 제안한 수정된 버널 구체 모델이다.[2] 이 모델은 지름이 500m이고 분당 1.9회(RPM) 회전하여 구의 적도 부분에서 지구와 같은 수준의 인공 중력을 만들어낸다.[2]

구 형태는 공기 압력을 가두고 방사선으로부터 내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에 선택되었다.[2] 아일랜드 원은 약 10,000명의 인구가 생활하고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농업을 위한 공간으로는 "크리스탈 팰리스"(Crystal Palace)라는 별도의 서식지를 구상했다.[2]

내부 채광은 구의 극 근처에 설치된 커다란 창과 외부 거울을 이용해 햇빛을 반사시켜 끌어들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2] 이로 인해 내부는 적도를 따라 길게 펼쳐진 넓은 계곡과 같은 풍경을 가지게 된다.[2]

2. 2. 아일랜드 투

오닐은 다음 세대의 우주 식민지로 '아일랜드 원'보다 더 큰 규모의 '아일랜드 투'를 구상했다. '아일랜드 투'는 지름이 약 1800m이며, 적도 둘레는 거의 6.5km에 달할 것으로 설계되었다.[2] 이 크기로 약 14만 명이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규모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었는데, 거주지 내에서 효율적인 운송이 가능할 만큼 작으면서도 효율적인 산업 기반을 갖출 수 있을 만큼 커야 했다.[2]

3.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과학 소설(SF) 장르의 여러 작품에서 우주 식민지나 거대 우주 구조물의 형태로 자주 등장한다. 대표적으로 비디오 게임, 애니메이션, 소설 등 다양한 매체에서 찾아볼 수 있다.

3. 1. 게임


  • 비디오 게임 매스 이펙트 시리즈에는 유리 가가린의 이름을 딴 가상의 버널 구체 우주 식민지 "가가린 스테이션"이 등장한다.
  • 비디오 게임 소닉 어드벤처 2에는 "스페이스 콜로니 아크(ARK)"라는 가상의 버널 구체(극중에서는 "베르나르 구체"로 표기) 우주 식민지가 등장한다. 이 식민지에서 닥터 에그맨의 할아버지인 제럴드 로보트닉 교수는 손녀 마리아 로보트닉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섀도우 더 헤지혹을 만들었다. 하지만 군사 조직 G.U.N.(Guardian Units of Nations)은 섀도우를 위협으로 간주하여 우주 식민지를 폐쇄하고, 섀도우를 보호하려다 사망한 마리아 로보트닉을 포함해 관련 인물들을 제거하려 했다.

3. 2. 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ZZ에서는 우주 식민지 '문 문'(Moon Moon)이 버널 구체로 등장한다.
  • 기동전사 건담 00에서는 우주 식민지 기술이 아직 개발 중인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며, 라그랑주 3 지점에 위치한 소규모 버널 구체 식민지 '콴큐' 등이 등장한다.

3. 3. 소설

아서 C. 클라크의 소설 라마와의 랑데부에는 가상의 외계 버널 구체형 우주 식민지 "라마"가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The World, the Flesh and the Devil http://bactra.org/Be[...]
[2] 서적 The High Frontier: Human Colonies in Space Apogee Books
[3] 뉴스 ガンダムに出てくるスペースコロニーのもとになったデザインいろいろ https://gigazine.net[...] OSA 2012-04-26
[4] 서적 The High Frontier Apogee Books
[5] 문서 ibi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