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버니 레이크의 실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니 레이크의 실종》은 미국인 싱글맘이 런던으로 이사 온 후 딸이 실종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1965년 오토 프레밍거 감독의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이다. 딸의 실종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건 속에서, 주인공은 오빠의 이상 행동을 감지하고 딸을 구출하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영화는 개봉 당시에는 큰 흥행을 거두지 못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컬트 영화로 자리 잡았으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토 프레민저 감독 영화 - 로라 (1944년 영화)
    《로라》는 살해당한 광고 임원 로라 헌트의 살인 사건을 수사하는 형사가 그녀에게 매혹되는 과정을 그린 1944년 미국의 필름 누아르 영화로, 진 티어니, 다나 앤드루스 등이 출연하고 오토 프레밍거가 감독을 맡아 영상미와 음악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아카데미 촬영상을 수상했다.
  • 오토 프레민저 감독 영화 - 황금팔을 가진 사나이
    1955년 개봉한 영화 《황금팔을 가진 사나이》는 오토 프레밍거 감독, 프랭크 시나트라 주연으로, 헤로인 중독에서 벗어나려는 남자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이며, 마약 중독이라는 소재와 영화 검열 완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화제를 모았다.
  • 실종자를 소재로 한 영화 - 행잉록에서의 소풍
    1900년 밸런타인데이에 호주 빅토리아주의 한 여자 사립학교 학생들이 행잉록으로 소풍을 갔다가 세 명의 학생과 한 명의 교사가 실종되는 미스터리 영화 《행잉록에서의 소풍》은 피터 위어 감독의 작품으로,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와 빅토리아 시대의 억압된 분위기, 호주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을 탐구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 웨이브 영화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 실종자를 소재로 한 영화 - 수색자
    수색자는 1868년 텍사스 서부를 배경으로 남북 전쟁 참전 군인이 조카를 구출하기 위해 여정을 떠나는 내용을 그린 1956년 미국 서부 영화이다.
  • 1965년 영화 - 갯마을 (1965년 영화)
    남편을 잃은 과부들이 사는 갯마을을 배경으로 여성의 삶과 욕망,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그린 1965년 김수용 감독의 영화 《갯마을》은 고은아, 신영균 등이 출연했으며 흑백 화면으로 갯마을 분위기를 담아내 대종상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등을 수상했다.
  • 1965년 영화 - 붉은 수염
    《붉은 수염》은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1965년 영화로, 에도 시대를 배경으로 젊은 의사와 마을 의사가 양생소에서 만나 갈등하며 성장하는 과정을 통해 빈곤과 무지가 질병의 근원임을 보여주며 인간의 존엄성을 이야기한다.
버니 레이크의 실종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사울 바스 디자인)
원작메리아 모델의 소설 바니 레이크는 실종
감독오토 프레밍거
제작오토 프레밍거
각본존 모티머, 페넬로페 모티머
주연로렌스 올리비에, 캐롤 린리, 키어 둘리아, 마티타 헌트, 더 좀비스, 노엘 코워드
음악폴 글래스
촬영데니스 N. 쿠프
편집피터 손톤
제작사Wheel Productions
배급사컬럼비아 픽처스
개봉일1965년 10월 3일 (뉴욕)
1966년 2월 10일 (런던)
1966년 2월 27일 (영국)
상영 시간107분
제작 국가영국, 미국
언어영어
색채흑백

2. 줄거리

런던으로 이사 온 싱글맘 앤 레이크는 딸 버니를 유치원에 맡기지만, 버니는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경찰 수사가 시작되지만, 버니의 존재를 입증할 만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고, 앤은 점차 고립된다.[1] 앤의 오빠 스티븐은 버니가 앤의 상상 속 친구였다고 주장하며, 앤을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몰아간다.[1] 앤은 진실을 밝히기 위해 고군분투하지만, 주변 사람들은 그녀를 믿어주지 않는다.[1]

앤은 버니의 인형을 인형 병원에서 찾아오지만, 스티븐은 인형을 불태우려 하고 앤을 기절시킨다.[1] 스티븐은 앤을 병원에 데려가 앤이 환각을 겪고 있다고 말하며, 앤은 감시를 받게 된다.[1]

그러나 앤은 병원에서 탈출하여 스티븐이 버니의 소지품을 묻고 버니에게 진정제를 투여하여 선빔 타이거 자동차 트렁크에 숨겨둔 것을 발견한다.[1] 스티븐은 앤에게 근친상간적인 감정을 드러내며 버니가 그들의 사이를 방해한다고 말한다.[1] 앤은 오빠의 정신 이상을 깨닫고 버니를 구하기 위해 스티븐과 어린 시절 놀이를 한다.[1]

결국 뉴하우스 경감이 도착하여 스티븐을 체포하고 앤과 버니를 구출한다.[1]

3. 등장인물

로렌스 올리비에, 캐럴 린리, 키어 둘리아, 마티타 헌트, 안나 마시, 클라이브 레빌, 루시 맨하임, 핀레이 커리 등이 이 영화에 출연했다.

3. 1. 주요 인물

기타스기타 토시야, 쿄 센에이코, 히라이 미치코, 스가야 마사코, 사와다 토시코, 토미타 치요미, 아사이 요시코, 와타나베 노리코, 에비스 마사코, 미도리카와 미노루, 이시이 토시로, 시마 슌스케, 테라시마 미키오, 키타무라 코이치, 무라코시 이치로


3. 2. 조연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NET TV판)
엘바이러Anna Massey|안나 마시영어구교 케이코
에이다 포드Martita Hunt|마르티타 헌트영어카와무라 히사코
앤드류스 수사관클리브 레빌요시자와 히사카
요리사Lucie Mannheim|루시 만하임영어
펠리시아 "바니" 레이크수키 애플비키야 도코
도로시에이드리언 콜리
간호사키카 마컴
보육사질 멜포드
더 좀비스더 좀비스
불명
기타
스기타 토시야, 쿄 센에이코, 히라이 미치코, 스가야 마사코, 사와다 토시코, 토미타 치요미, 아사이 요시코, 와타나베 노리코, 에비스 마사코, 미도리카와 미노루, 이시이 토시로, 시마 슌스케, 테라시마 미키오, 키타무라 코이치, 무라코시 이치로


4. 제작

미술은 도널드 M. 어쉬톤, 의상은 홉 브라이스가 담당했고, 마틴 C. 슈트가 협력 프로듀서(Ass-PD)를, 제임스 리거트가 배역을 맡았다.

4. 1. 기획

오토 프레밍거 감독은 소설의 결말이 믿음직스럽지 않다고 판단하여, 범인의 정체를 바꾸었다. 이 때문에 그와 함께 작업한 영국인 부부 작가인 존 모티머와 페넬로페 모티머는 프레밍거 감독이 만족할 때까지 여러 번 대본을 수정해야 했다.[4]

4. 2. 촬영

프레밍거 감독은 원작 소설의 배경인 뉴욕 대신 런던에서 촬영하기를 원했다. 그는 런던에서의 작업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런던의 어둡고 음산한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실제 장소들을 활용했다. 해머스미스에 있는 배리 엘더 인형 박물관은 인형 병원으로,[6] 햄스테드에 있는 리틀 피플 가든 스쿨 건물은 학교로 사용되었다. "Frogmore End" 저택은 소설가 대프니 듀 모리에의 아버지인 제럴드 듀 모리에 경이 소유했던 캐논 홀이었다. 영화에 등장한 1965년형 선빔 타이거 스포츠카(등록번호 EDU 296C)는 현재 클래식카로 남아 있으며, 2015년 경매에서 35840GBP에 판매되었다.

4. 3. 후반 작업

그래픽 디자이너 사울 바스가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와 포스터 작업을 했다.[7]

영국 록 음악 밴드 더 좀비스는 영화의 사운드트랙에 "Remember You", "Just Out of Reach", "Nothing's Changed" 등 세 곡을 제공하여 크레딧과 영화 포스터에 등장했다. 밴드는 뉴하우스 경위가 앤을 만나는 펍의 텔레비전에서 공연하는 모습으로 등장하며, 앤이 병원에서 탈출할 때 청소부의 라디오에서 "Just Out of Reach"가 흘러나온다. 프레밍거가 스튜디오에 있는 동안 밴드는 영화 개봉을 홍보하고 영화의 늦은 입장을 허용하지 않는 정책에 맞춰 청중에게 "제 시간에 오세요!"라고 촉구하는 "Just Out of Reach" 곡조에 맞춰 2분 분량의 라디오 광고를 녹음했다. 이러한 노력은 인기 있는 음악가와의 홍보 연계라는 일반적인 할리우드 관행의 초기 사례를 보여준다.[8]

5. 평가

이 영화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월간 영화 게시판은 영화의 오프닝을 "매우 훌륭하게 구성"되었다고 평하며, 긴장감 넘치는 연출을 칭찬했다. 특히 경찰차, 개, 수색대가 등장하는 장면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카메라를 계속해서 앞으로 밀어 넣고, 모퉁이를 돌고, 군중을 헤쳐 나간다"고 묘사하며 호평했다.[9] 버라이어티는 이 영화를 "병든 정신을 탐구하는 재미있고 빠른 전개의 훈련"이라고 묘사하며, 주연 배우 캐럴린 린리가 "영화의 많은 부분을 혼자 이끌어간다"고 평했다.[11]

하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영화의 줄거리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앤드류 사리스는 빌리지 보이스에서 "줄거리가 무너진다"고 지적하며, "편리하게 정신병적인 인물이 벌이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정교한 장난"만이 있을 뿐이라고 비판했다.[10] 보즐리 크라우더는 뉴욕 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이 터무니없이 계산된 심리 미스터리 스릴러에는 상식"이 결여되어 있다고 비판했다.[12]

레슬리 할리웰은 "악몽 같은 기믹 스토리"라고 평하며, 정신적인 결말은 물론이고 더 많은 기믹이 덧붙여졌다고 말했다. 다만, "몇몇 장식은 효과가 있어 설득력 없는 이야기를 흥미롭게 만들고, 출연진만으로도 입장료를 지불할 가치가 있다"고 덧붙였다.[13]

영화 평론가 마치야마 토모히로는 이 영화가 《발칸 특급》, 《플라이트 플랜》과 같은 유사 영화들과 달리, 실종되는 버니 레이크를 처음부터 보여주지 않음으로써 관객들이 버니의 실존 여부를 의심하게 만든다는 점을 특징으로 꼽았다.[18]

로튼 토마토에서는 15개의 평론을 바탕으로 87%의 신선도와 6.9/10의 평균 점수를 기록했다.[19]

5. 1. 비평

이 영화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월간 영화 게시판''은 영화의 오프닝을 "매우 훌륭하게 구성"되었다고 평하며, 긴장감 넘치는 연출을 칭찬했다. 특히 경찰차, 개, 수색대가 등장하는 장면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카메라를 계속해서 앞으로 밀어 넣고, 모퉁이를 돌고, 군중을 헤쳐 나간다"고 묘사하며 호평했다.[9] ''버라이어티(Variety)''는 이 영화를 "병든 정신을 탐구하는 재미있고 빠른 전개의 훈련"이라고 묘사하며, 주연 배우 캐럴린 린리가 "영화의 많은 부분을 혼자 이끌어간다"고 평했다.[11]

하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영화의 줄거리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앤드류 사리스는 ''빌리지 보이스''에서 "줄거리가 무너진다"고 지적하며, "편리하게 정신병적인 인물이 벌이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정교한 장난"만이 있을 뿐이라고 비판했다.[10] 보즐리 크라우더는 ''뉴욕 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이 터무니없이 계산된 심리 미스터리 스릴러에는 상식"이 결여되어 있다고 비판했다.[12]

레슬리 할리웰은 "악몽 같은 기믹 스토리"라고 평하며, 정신적인 결말은 물론이고 더 많은 기믹이 덧붙여졌다고 말했다. 다만, "몇몇 장식은 효과가 있어 설득력 없는 이야기를 흥미롭게 만들고, 출연진만으로도 입장료를 지불할 가치가 있다"고 덧붙였다.[13]

영화 평론가 마치야마 토모히로는 이 영화가 《발칸 특급》, 《플라이트 플랜》과 같은 유사 영화들과 달리, 실종되는 버니 레이크를 처음부터 보여주지 않음으로써 관객들이 버니의 실존 여부를 의심하게 만든다는 점을 특징으로 꼽았다.[18]

로튼 토마토에서는 15개의 평론을 바탕으로 87%의 신선도와 6.9/10의 평균 점수를 기록했다.[19]

6. 한국 사회와의 관련성

이 영화는 실종 아동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와도 관련이 있다. 영화 속 앤 레이크는 낯선 환경에 놓인 이주 여성과 유사하다. 앤 레이크는 미국 출신 싱글맘으로 최근 뉴욕에서 런던으로 이주해 왔다. 런던은 앤 레이크에게 낯선 환경이며, 이러한 낯선 환경에서 딸 버니가 실종되면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1]

7. 기타

이 영화는 홍보를 위해 영화 시작 후 관객 입장을 제한하는 마케팅 전략을 사용했는데, 이는 당시로서는 흔치 않은 방식이었다. 1960년 영화 《싸이코》와 마찬가지로, 영화 시작 후 관객 입장을 제한하는 홍보 방식을 사용했다.[1] 포스터에는 "시계가 째깍거리는 동안에는 아무도 입장을 허용하지 않습니다!"라는 경고 문구가 담겨 있었다.[1]

NET TV에서 1971년 5월 30일 『일요 양화 극장』에서 일본어 더빙판이 방영되었다.[1] 2018년 8월 29일에는 더 시네마에서 일본어 더빙판이 재방송되었다.[1]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NET TV판)
앤 레이크캐롤 린리스즈키 히로코
스티븐 레이크키어 덜리이치카와 오사무
엘바이러Anna Massey|안나 마세이영어구교 케이코
에이다 포드Martita Hunt|마르티타 헌트영어카와무라 히사코
윌슨노엘 코워드마키 쿄스케
뉴하우스 경감로렌스 올리비에하라 야스미
앤드류스 수사관클라이브 레빌요시자와 히사카
펠리시아 "바니" 레이크수키 애플비키야 도코
도로시에이드리언 콜리
요리사Lucie Mannheim|루시 만하임영어
간호사키카 마컴
보육사질 멜포드
더 좀비즈더 좀비즈
불명
기타
스기타 토시야, 쿄 센에이코, 히라이 미치코, 스가야 마사코, 사와다 토시코, 토미타 치요미, 아사이 요시코, 와타나베 노리코, 에비스 마사코, 미도리카와 미노루, 이시이 토시로, 시마 슌스케, 테라시마 미키오, 키타무라 코이치, 무라코시 이치로
연출야마다 에츠시
번역아사카와 토시코


참조

[1] 웹사이트 Gateway Film Center https://gatewayfilmc[...]
[2] 웹사이트 The Colonial Theatre https://thecolonialt[...]
[3] 웹사이트 Bunny Lake Is Missing https://collections-[...] 2024-04-29
[4] 서적 Otto Preminger: The Man Who Would Be King 2007
[5] 서적 "Afterword". In: Evelyn Piper: ''Bunny Lake Is Missing'' (''Femmes Fatales: Women Write Pulp'') The Feminist Press at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004
[6] 웹사이트 Dolls' Surgeon http://www.britishpa[...]
[7] 웹사이트 Bunny Lake is Missing (1965) — Art of the Title https://www.artofthe[...]
[8] 간행물 "Begin Here and Singles" and "In the Studio Rare and Unissued". In Zombie Heaven Big Beat Records 1997
[9] 학술지 Bunny Lake Is Missing https://www.proquest[...] 1966-01-01
[10] 뉴스 Films https://news.google.[...] The Village Voice 1965-10-21
[11] 웹사이트 Bunny Lake is Missing https://variety.com/[...] Variety Media LLC 2024-03-12
[12] 뉴스 The screen: Bunny Lake is Missing https://www.nytimes.[...] 2024-03-12
[13] 서적 Halliwell's Film Guide Paladin
[14] 문서 Twilight Time
[15] 문서 Home Theater Forum, Blu-ray
[16] 웹사이트 Doug Gilford's Mad Cover Site - Mad #102 http://madcoversite.[...]
[17] 서적 トラウマ映画館 集英社文庫 2013
[18] 서적 トラウマ映画館 集英社文庫 2013
[19] 웹사이트 Bunny Lake Is Missing (1965)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20-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