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들매치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들매치속은 동아시아가 원산지인 잉어과 어류의 한 속이다. 동중국해, 한국, 일본에 분포하며, 메콩강 유역에도 서식한다. 현재 5~6종이 속해 있으며, 버들매치, 왜매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래무지아과 - 참붕어
참붕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은백색 몸에 검은색 세로줄이 있고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잡식성으로 수생 곤충 등을 먹고, 봄부터 여름까지 번식하며 기생충의 매개체로 식용 및 낚시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모래무지아과 - 돌고기
돌고기는 압록강 이남의 한반도, 일본에 분포하며, 몸길이 10~15cm로, 하천이나 용수로에 서식하며 수생 곤충 등을 먹고, 5~6월에 알을 낳으며, 서식지 변경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식용 또는 관상어로 이용된다. - 헨리 위드 파울러가 명명한 분류군 - 가물치과
가물치과는 몸이 길고 원통형이며 긴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아가미 외 상새기관을 통한 공기 호흡이 특징인 농어목 민물고기 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일부 종은 육식성으로 1m 이상 자라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기도 하고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 헨리 위드 파울러가 명명한 분류군 - 전기가오리과
전기가오리과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기관을 가진 가오리목의 한 과로, 둥근 가슴지느러미와 매끈한 피부를 특징으로 하며, 저서 생활을 하면서 작은 무척추동물을 먹고 살고, 강력한 전기 충격으로 포식자를 방어하며, 기후 변화와 남획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난태생으로 번식한다. - 데이비드 스타 조던이 명명한 분류군 - 목탁가오리과
목탁가오리과는 부채가오리속과 플라티리노이디스속을 포함하는 가오리목 연골어류 과로, 독특한 형태와 생태적 특징을 지니며 화석 종도 포함한다. - 데이비드 스타 조던이 명명한 분류군 - 흉상어과
흉상어과는 흉상어목에 속하며, 날카롭거나 울퉁불퉁함을 뜻하는 학명을 가지며, 12개 속, 약 60종으로 분류되고, 빠르고 효과적인 사냥꾼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뱀상어아과, 아구상어아과, 흉상어아과 등으로 나뉜다.
버들매치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학명 | Abbottina |
명명자 | D. S. Jordan & Fowler, 1903 |
종 | Abbottina psegma |
종 명명자 | Jordan & Fowler 1903 |
2. 지리적 분포
버들매치속 어류는 본래 동중국해,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이나, 현재는 메콩 분지에도 유입되어 서식하고 있다.[5]
3. 종
참조
[1]
웹사이트
Genus Abbottina Jordan & Fowler 1903
https://www.fishwise[...]
2020-04-16
[2]
웹사이트
Abbottina species list.
http://www.fishbase.[...]
2011
[3]
간행물
A review of the cyprinoid fishes of Japan
https://www.biodiver[...]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1903
[4]
서적
Days of a Man
https://www.biodiver[...]
1922
[5]
웹사이트
http://www.fishbase.[...]
[6]
어류 속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