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중국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중국해는 태평양의 일부로, 면적은 약 77만km²이며, 동쪽으로는 일본, 남쪽으로는 남중국해, 서쪽으로는 아시아 대륙에 접해 있다. 북쪽으로는 황해와 연결되며, 대한민국, 일본, 대만, 중국과 인접해 있다. 동중국해는 중국, 일본, 대한민국 간의 천연가스 개발 및 영유권 분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은 배타적 경제 수역 경계를 두고 대립하며,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를 둘러싼 분쟁도 존재한다. 이러한 분쟁으로 인해 동중국해에서는 각국의 군사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해역 - 남중국해
    남중국해는 서태평양의 일부로 중국 남쪽, 베트남 동쪽, 필리핀 서쪽에 위치하며, 주요 무역로이자 전략적 요충지 및 풍부한 천연자원의 보고이지만, 영유권 분쟁이 끊이지 않는 해역이다.
  • 대만의 해역 - 필리핀해
    필리핀해는 필리핀, 타이완, 일본, 마리아나 제도, 팔라우에 둘러싸인 태평양 북서부 해역으로, 필리핀 해판을 형성하며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고 어업, 관광 등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중국의 해역 - 남중국해
    남중국해는 서태평양의 일부로 중국 남쪽, 베트남 동쪽, 필리핀 서쪽에 위치하며, 주요 무역로이자 전략적 요충지 및 풍부한 천연자원의 보고이지만, 영유권 분쟁이 끊이지 않는 해역이다.
  • 중국의 해역 - 황해
    황해는 중국, 한국, 북한에 둘러싸인 반폐쇄적 연해로, 얕은 수심, 넓은 갯벌, 황색 해수, 풍부한 수산자원이 특징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해역이었으나, 최근 연안 개발과 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 배타적 경제수역 분쟁이 문제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해역 - 남해
    남해는 대한민국 정부 기관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는 해역이며,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기상청 등 기관별로 경계 설정이 달라 부산 해운대구와 남구 간의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 대한민국의 해역 - 황해
    황해는 중국, 한국, 북한에 둘러싸인 반폐쇄적 연해로, 얕은 수심, 넓은 갯벌, 황색 해수, 풍부한 수산자원이 특징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해역이었으나, 최근 연안 개발과 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 배타적 경제수역 분쟁이 문제되고 있다.
동중국해
지도
명칭
한국어동중국해, 동지나해
한자東中國海, 東支那海
로마자 표기Dong Jungguk Hae, Dong Jungguk Hae
일본어東シナ海 (히가시시나카이), 東支那海 (히가시시나카이)
중국어 간체东海 (둥하이), 东中国海 (둥중궈하이)
중국어 번체東海 (둥하이), 東中國海 (둥중궈하이)
병음Dōng Hǎi, Dōng Zhōngguó Hǎi
민난어tong-hái, tong tiong-kok hái
우어ton he, ton tson koh he
광둥어dung1 hoi2, dung1 zung1 gwok3 hoi2
객가어dung24 hoi31, dung24 dung24 gued2 hoi31
민동어dĕ̤ng-hāi, dĕ̤ng dṳ̆ng-guók hāi
주음부호ㄉㄨㄥ ㄏㄞˇ, ㄉㄨㄥ ㄓㄨㄥ ㄍㄨㄛˊ ㄏㄞˇ
지리
위치동아시아
해양태평양의 연해
면적1,249,000 km²
평균 수심200 m
최대 수심2,716 m
경계
국가중국
일본
대한민국
중화민국 (대만)
기타
국제 수로 기구 (IHO)특별 출판물 23호

2. 지리

동중국해는 태평양의 일부로, 면적은 약 770000km2이다.[3] 동쪽으로는 일본규슈난세이 제도, 남쪽으로는 남중국해, 서쪽으로는 아시아 대륙과 접한다. 북쪽으로는 황해와 연결되며, 대한해협을 통해 동해와도 이어진다.

동중국해는 국제해사기구 발행의 「대양과 바다의 경계(제3판)」에 따르면, 북쪽 경계는 동쪽에서 나가사키의 노모자키에서 고토 열도후쿠에섬제주도를 잇는 선으로 일본해와 접하고, 서쪽에서는 황해와 접한다. 동쪽에서 남쪽에 걸쳐서는 난세이 제도의 동쪽에서 태평양(필리핀해)과 접하고, 남남서쪽에서는 타이완 해협을 경계로 남중국해와 접한다.[23][24] 서쪽은 유라시아 대륙(중국 본토)이며, 장강이 유입된다.

해역 중앙부에는 섬이 없고, 북쪽에서 동쪽을 거쳐 남쪽에 걸쳐 호상열도가 분포하며, 주요 섬으로는 남쪽에서 타이완, 난세이 제도, 규슈, 제주도가 있다.[23][24] 서쪽 대륙 연안에는 주산군도 등의 작은 섬들이 있다. 해저는 대부분 대륙붕으로 수심은 200m 미만이지만, 동부에는 난세이 제도 서쪽을 따라 오키나와 해구가 있다. 해류로는 쿠로시오 해류가 흐른다.

일본중국 사이에서는 센카쿠 열도 분쟁 외에도 동중국해 가스전 문제와 관련하여 배타적 경제 수역 설정을 둘러싼 분쟁이 있다. 대한민국중국 사이에서도 이어도를 둘러싼 분쟁이 있다.

동중국해와 접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


2. 1. 수역의 정의

국제 수로 기구에서 1953년 발간한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 제3판에 따르면, 동중국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33][34]

동중국해는 타이완 해협을 통해 남중국해와, 대한해협제주도 북동쪽 해역을 통해 동해와, 제주도 서쪽 해역을 통해 황해와 이어진다. 해역의 크기는 약 1,249,000 km2이다.[3][4]

2. 2. 주요 섬 및 암초


  • 통도(Tong Island)


동중국해 북부에는 다음과 같은 암초군이 있다.

  • 소코트라 암(Socotra Rock) : 수연암(Suyan Rock) 또는 이어도라고도 불리며,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사이의 배타적경제수역 분쟁의 대상이다.
  • 후피자오 암(虎皮礁, Hupijiao Rock)
  • 야자오 암(鴨礁, Yajiao Rock)


저장성 창난현의 동중국해 해안

2. 3. 유입 하천

양쯔강은 동중국해로 흘러드는 가장 큰 강이다.[23]

3. 역사

동중국해의 역사와 관련된 내용은 원본 소스에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섹션은 비어 있습니다.

3. 1. 명칭

중국어로는 동해(東海|둥하이중국어)라고 불리며, 중국 문헌의 사해 중 하나이다. 다른 세 바다는 사방의 방위 각각에 하나씩 존재한다.[5]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일본에서는 이 바다를 東支那海|히가시 시나 카이일본어 ("동支那 해")라고 불렀다. 2004년 일본 외무성 및 기타 부처의 공식 문서에서는 東シナ海|히가시 시나 카이일본어(발음은 동일)로 변경되었고, 현재 일본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일반적으로 동중국해를 ''Laut Cina Timur''(동중국해)라고 부른다. 이 명칭은 2014년까지 인도네시아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인도네시아가 '''Cina'''라는 단어 대신 '''Tiongkok'''으로 변경하면서 ''Laut Tiongkok Timur''이 표준 명칭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인도네시아 언론 매체와 출판물에서는 이전의 해 이름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까지는 '''동지나해'''로 표기했다.[25] 또한 전후 일시적으로는 '''동중국해'''로 표기되었다. 현재 일본 외무성의 공식 문서 등에서는 '''동중국해'''로 표기되며,[26] 일본 국내에서는 일반화되어 있다.

  • 국제수로기구가 발행한 「대양과 바다의 경계(제3판)」에서는 '''동중국해(Tung Hai)'''로 표기하고 있다.[23]
  •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 '''동해''' (东海중국어)로 표기한다. 중국 언론 등의 일본어 사이트에서는 '''동중국해''' 대신 '''동중국해''' 표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27]
  • 중국의 학자 링춘성은 「동아지중해」(동아시아의 내해)라고 부르기도 했다.[28]

3. 2. 고래잡이

미국 포경선들은 1849년부터 1892년까지 이 해역에서 북태평양긴수염고래를 찾아 항해했다.[6]

3. 3. 어업

동중국해는 1960년대 초까지 풍부한 어장이었으나, 일본 어업인들의 남획으로 수산 자원이 급감하였다. 1951년 전후 시점부터 이미 수산 자원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났지만, 효과적인 어획 규제는 현재까지 도입되지 않고 있다. 일본 농림수산성의 「어업·양식업 통계연보」에 따르면, 1960년 일본의 어획량은 약 370톤이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최근에는 20톤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32] 1980년대부터는 일본 어선이 채산성이 맞지 않아 철수하였고, 운영비가 저렴한 중국 어선이 진출하면서 자원은 더욱 감소하고 있다.

4. 자원 분쟁 (동중국해 EEZ 분쟁)

동중국해 해역의 천연 가스 개발을 둘러싸고 중국, 일본, 대한민국 사이에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 이 분쟁은 배타적 경제 수역(EEZ) 설정을 둘러싼 각국의 입장 차이에서 비롯된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동중국해 EEZ 분쟁에 대하여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간략하게 내용을 요약하고, 중복을 피한다.


  • 한중 간 분쟁: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건설을 둘러싼 갈등이 있다.
  • 중일 간 분쟁: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 해석 차이와 춘샤오 가스전(춘효 가스전) 개발을 둘러싼 갈등이 있다.
  •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분쟁: 영유권 문제로 인해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4. 1. 한중 간 분쟁

중국(중화인민공화국), 일본, 타이완, 대한민국 사이에는 각국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범위를 둘러싼 분쟁이 존재한다.[7]

타이완 예류에서 바라본 동중국해


중국과 대한민국 간의 분쟁은 대한민국이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를 건설한 잠수된 암초인 소코트라 암초(이어도)와 관련이 있다. 양국 모두 이 암초를 영토로 주장하지는 않지만, 중국은 한국의 활동이 자국의 EEZ 권리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4. 2. 중일 간 분쟁

동중국해 해역의 천연 가스 개발을 둘러싸고 중국, 일본, 대한민국 사이에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

일본은 동중국해의 배타적 경제 수역(EEZ)의 경계로 중일 중간선을 주장하는 반면, 중국은 오키나와 해구를 주장하고 있다. 중국이 중일 중간선 서쪽 약 4킬로미터 지점에서 천연가스 채굴시설 춘샤오(春曉|춘샤오중국어, 白樺, しらかば|시라카바일본어)를 건설하자 일본은 중간선 동쪽의 천연가스까지 흡수될 수 있다며 개발 중단을 요구했다. 이후 양국은 2008년 6월 중간선을 포함한 해역의 공동 개발에 합의했고, 춘샤오 개발에 일본 기업이 투자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러나 이후 구체적인 교섭은 좀처럼 진행되지 않았다.[35]

중국과 일본 간의 분쟁은 양국이 모두 비준한 1982년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의 상이한 적용과 관련이 있다.[8] 중국과 일본 모두 200해리의 EEZ 권리를 주장하지만, 동중국해의 너비는 360해리에 불과하다.[9] 중국은 대륙붕의 자연적 연장을 고려하여 UNCLOS의 적용을 제안했으며, EEZ가 오키나와 해구까지 확장된다고 주장했다.[10] 중국 외교부는 "동중국해에서 중국의 대륙붕 자연적 연장은 오키나와 해구까지 그리고 중국 영해의 폭을 측정하는 기선으로부터 200해리 이상까지 확장된다"라고 밝혔으며,[11] 이는 중국의 자연 대륙붕에 대한 권리를 뒷받침하는 관련 UNCLOS 조항에 적용된다.[11] 2012년 중국은 유엔에 대륙붕 외연에 관한 UNCLOS 제출 자료를 제출했다.[12] 그러나 일본은 자국 해안으로부터 200해리(370km) 이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지역 약 4만 평방킬로미터를 자국 EEZ로 주장하며, 따라서 EEZ의 중간선 분할을 제안했다.[9][13]

1995년 중화인민공화국(PRC)은 동중국해에서 해저 천연가스전인 춘효 가스전을 발견했다.[14] 이는 중국의 EEZ 내에 위치하지만 일본은 이것이 중간선 너머 다른 가능한 매장량과 연결되어 있다고 믿는다.[15] 일본은 양국 배타적경제수역(EEZ) 주장이 겹치는 지역 근처 동중국해의 천연가스 자원 개발에 대해 중국의 개발에 반대해왔다. 분쟁 중인 특정 개발은 중국 측의 분쟁이 없는 지역, 일본이 제안한 중간선으로부터 서쪽으로 약 4.83km에서 약 6.44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중국의 춘효 가스전 시추이다. 일본은 춘효 가스전 시추 장치가 도쿄가 양측의 해상 경계로 간주하는 중간선의 중국 측에 있지만, 지하로 분쟁 지역까지 확장되는 유전을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6] 따라서 일본은 천연가스 자원에 대한 지분을 요구한다. 동중국해 시후 분지 지역(깐쉐, 바오위팅, 춘효, 두안치오, 우위팅, 톈와이톈)의 가스전은 확인 매장량이 364BCF의 천연가스로 추산된다.[17] 상업 운영은 2006년에 시작되었다. 2008년 6월 양측은 춘효 가스전을 공동 개발하기로 합의했지만,[11] 계획을 어떻게 실행할지에 대해서는 합의하지 못했다.[18]

동중국해의 섬 영유권을 둘러싼 분쟁은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공식 및 민간 항의를 모두 촉발했다.[19]

한국과 중국 간의 분쟁은 대한민국이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를 건설한 잠수된 암초인 소코트라 암초와 관련이 있다. 양국 모두 이 암초를 영토로 주장하지는 않지만, 중국은 한국의 활동이 자국의 EEZ 권리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4. 3.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분쟁

중국과 일본은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을 모두 비준했지만, 동중국해의 좁은 폭(360해리) 때문에 배타적경제수역(EEZ) 설정에 대한 해석이 다르다.[8][9] 중국은 대륙붕의 자연적 연장을 주장하며 오키나와 해구까지 EEZ가 확장된다고 주장하는 반면,[10] 일본은 중간선을 기준으로 EEZ를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9][13]

1995년 중국은 춘효 가스전을 발견했는데,[14] 이는 중국의 EEZ 내에 있지만 일본은 이 가스전이 중간선 너머의 매장량과 연결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15] 일본은 춘효 가스전 시추가 분쟁 지역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고 우려하며,[16] 시후 분지 지역( 깐쉐, 바오위팅, 춘효, 두안치오, 우위팅, 톈와이톈) 가스전의 천연가스 자원(확인 매장량 364BCF)[17]에 대한 지분을 요구하고 있다. 2008년 양국은 춘효 가스전 공동 개발에 합의했지만,[11] 구체적인 실행 계획에는 합의하지 못했다.[18]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의 영유권을 둘러싼 분쟁은 중국과 일본 간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19]

5. 군사 활동

상하이 인근 동중국해


동중국해에서는 중국, 일본, 대만, 한국 등 여러 국가가 군사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중국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는 센카쿠/댜오위다오 열도 분쟁과 관련하여 이 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중국 해군은 연안 작전 지역에서 미국 해군보다 더 많은 함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센카쿠/댜오위다오 열도 문제와 같은 영토 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0] 일본 해상자위대 역시 센카쿠 열도 분쟁과 관련하여 해상 순찰 및 감시를 강화하며 해상 능력을 향상시켰다.[1] 대만도 센카쿠/댜오위다오 열도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며 해양경찰을 배치하고 있지만, 해상 활동은 중국과 일본에 비해 제한적이다.

5. 1. 중국 해군



중국 해군은 동중국해와 남중국해 연안 작전 지역에서 현재 미국 해군보다 더 많은 함정을 보유하고 있다.[20] 버락 오바마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의 지휘 아래 태평양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중국의 성장하는 힘에 맞서며 미래의 예측 불가능한 어떤 도전에도 대비하기 위해 미국 해군 작전에 우선순위를 두었다.[21]

동중국해에서 중국 해군의 역할은 특히 센카쿠/댜오위다오 열도 문제와 같은 영토 분쟁에서 중요하다. 중국은 해군 함정을 파견하고 해상 순찰을 실시하여 분쟁 지역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며 해당 지역에서 해군 활동을 확대해왔다. 이러한 해군력 증강은 중국이 해상 항로를 보호하고, 영토 주장을 방어하며, 동중국해에서 힘을 과시하려는 전략적 우선순위를 보여준다. 동중국해에서 중국 해군의 활동은 인접 국가의 해군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해상 협력 계획을 형성하며, 더 넓은 지역 안보 역학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중국 해군의 개입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해상 안보, 영토 분쟁, 주요 강대국 간의 경쟁 간의 복잡한 관계를 부각한다.

5. 2. 일본 해상자위대

일본 해상자위대는 센카쿠 열도 분쟁과 관련하여 동중국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본은 영토권을 보호하고 지역 내 활동을 감시하기 위해 해상 순찰과 감시를 강화함으로써 해상 능력을 향상시켰다.[1] 해상자위대의 존재는 일본이 영해 방위, 해상 안보 확보, 그리고 해상 분쟁 해결 시 국제법 준수에 대한 의지를 보여준다.[1] 또한 일본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동맹국 및 파트너와의 합동 해상훈련 참여를 통해 지역 안보 협력에도 폭넓게 기여하고 있다.[1] 동중국해에서 해상자위대의 활동은 안정을 증진하고 신뢰를 구축하며 안보 위협을 억제하는 데 기여하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일본의 적극적인 해상 안보 및 방위 노력을 보여준다.[1]

5. 3. 중화민국(대만) 해군

중화민국(대만)의 동중국해 관련 개입은 센카쿠/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을 비롯한 영토 분쟁 및 전략적 우려에 영향을 받는다. 대만은 해당 도서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지만, 이 지역에서의 해상 활동은 중국일본만큼 광범위하지 않다. 대만은 자국 해역 순찰과 해상 사건 대응을 위해 해양경찰을 배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만의 동중국해 개입은 더 큰 안보 우려와 해협 건너 중국과의 관계에 영향을 받는다. 센카쿠/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에 따른 긴장은 대만의 안보 전망과 지역 안정에 영향을 미쳐, 해상 활동에 대한 면밀한 감시와 관련 당사국과의 지속적인 외교적 소통이 필요하게 된다. 대만의 동중국해 분쟁 개입이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그 입장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영토권 방어 및 해상 안전 증진에 대한 대만의 노력을 보여준다.[1]

참조

[1] 웹사이트 Limits of Oceans and Seas https://iho.int/upl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0-12-28
[2] 웹사이트 East China Sea sea, Pacific Ocean https://www.britanni[...] 2024-03-19
[3]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版图 https://www.gov.cn/t[...] 2022-10-08
[4] 웹사이트 Limits of Oceans and Seas https://iho.int/upl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0-12-28
[5] 서적 The Rise of the Chinese Empire: Nation, State, and Imperialism in Early China, ca. 1600 B.C. – A.D. 8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6] 문서 Whaling voyages
[7] 서적 Bridging Troubled Waters: China, Japan, and Maritime Order in the East China Sea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22-07-27
[8] 서적 Island Disputes and Maritime Regime Building in East Asia https://archive.org/[...] Springer
[9] 웹사이트 Senkaku/Diaoyutai Island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10] 뉴스 China to submit outer limits of continental shelf in East China Sea to UN http://news.xinhuane[...] Xinhua
[11] 서적 Territorial disputes and resource management: A global handbook Nova Science Pub Inc.
[12] 뉴스 China reports to UN outer limits of continental shelf in E. China Sea http://english.sina.[...] SINA English
[13] 웹사이트 Diplomatic Bluebook 2006 http://www.mofa.go.j[...]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14] 서적 Maritime delimitation and interim arrangements in North East Asia https://archive.org/[...] M. Nijhoff
[15] 서적 The perils of proximity: China-Japan security relations https://archive.org/[...]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6] 뉴스 China and Japan in Deal Over Contested Gas Fields https://www.nytimes.[...] 2008-06-19
[17] 웹사이트 EIA Country Analysis Briefs, East China Sea http://www.eia.gov/e[...]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08-03-01
[18] 뉴스 Why Are China and Japan Sparring Over Eight Tiny, Uninhabited Island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2-10-26
[19] 뉴스 Chinese, Japanese Stage Protests Over East China Sea Islands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2010-10-21
[20] 뉴스 China Now Has More Warships Than the U.S. https://www.popularm[...] Popular Mechanics 2019-06-26
[21] 뉴스 US rebrands Pacific command amid tensions with China https://www.cnn.com/[...] CNN 2018-05-30
[22] 웹사이트 http://aeea.nmns.edu[...]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2012-10-19
[23] 웹사이트 Limits of Oceans and Seas, 3rd edition https://iho.int/upl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3-09-23
[24] 웹사이트 Limits of Oceans and Seas, 3rd edition - World Chart https://docs.iho.int[...]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3-09-23
[25] 뉴스 中国漁船が押し寄せる「あの海」を、「東シナ海」と呼びたがらない政府への違和感 https://gendai.media[...] 講談社 2021-12-19
[26] 웹사이트 中国による東シナ海での一方的資源開発の現状 https://www.mofa.go.[...] 外務省 2023-06-05
[27] 뉴스 東中国海で漁解禁、千隻の漁船が出航 http://jp.news.cn/20[...] 2023-08-09
[28] 서적 日本の古代3 海をこえての交流 中央公論社
[29] 웹사이트 海の相談2 東シナ海と太平洋の境 https://www1.kaiho.m[...] 海上保安庁 第十一管区海上保安本部 2018-08-18
[30] 웹사이트 Okinan-kaku, Japan https://geographic.o[...] Information Technology Associates 2018-08-18
[31] 웹사이트 Hunan Kan, South Korea https://geographic.o[...] Information Technology Associates 2018-08-18
[32] 서적 漁業という日本の問題 NTT出版
[33] 웹사이트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 제3판 지도 http://www.iho-ohi.n[...] 국제 수로 기구
[34] 웹사이트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 제3판 http://www.iho-ohi.n[...] 국제 수로 기구
[35]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