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트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트레스(Buttress)는 건축물의 벽을 지지하고 횡력을 견디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적 요소이다. 부벽은 평면도에 따라 겹쳐진 부벽, 각진 부벽, 후퇴형 부벽, 대각선 부벽 등으로 분류되며, 고대 로마 시대부터 비잔틴 건축, 로마네스크 건축, 고딕 건축 등 다양한 건축 양식에서 사용되었다. 특히 고딕 건축에서는 플라잉 버트레스의 발명을 통해 건축물의 대규모화를 가능하게 했다. 현대 일본에서는 콘크리트 블록 담장의 높이가 1.2미터를 초과하는 경우 일정 간격으로 버트레스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벽 - 바리케이드
바리케이드는 군중 통제, 테러 방지, 전쟁 등에서 진입을 막기 위해 설치되는 장애물로, 16세기 프랑스에서 시작되어 혁명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공공 안전 및 군사적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 벽 - 문
문은 건물이나 차량의 개구부를 막고 여닫을 수 있는 구조물로, 다양한 재료와 기술, 작동 방식, 용도에 따라 형태, 기능, 디자인, 안전성이 다양하게 변화하며 사용된다. - 건축의장 - 계단
계단은 층간 이동을 위한 구조물로,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지며 디딤판, 챌면, 난간 등으로 구성되고, 건축적 실용성과 더불어 현대에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안전이 중요하며 예술적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건축의장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버트레스 | |
---|---|
개요 | |
종류 | 건축 구조 |
기능 | 벽 지지 |
정의 및 목적 | |
정의 | 벽면을 지지하고 안정화시키기 위해 벽체에 연결되어 튀어나온 구조물 |
목적 | 벽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 벽의 붕괴를 방지 특히 높은 벽이나 아치, 볼트 구조에 필수적 |
구조 및 디자인 | |
재료 | 돌 벽돌 콘크리트 |
형태 | 벽에서 돌출된 형태, 다양한 디자인 존재 |
플라잉 버트레스 (Flying Buttress) | 아치 형태로 벽체와 연결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복잡한 형태 고딕 건축에서 주로 사용 |
기능 및 역할 | |
하중 지지 | 벽이 받는 측면 압력과 수직 하중을 지지 |
안정성 강화 | 벽체의 안정성을 높여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 |
디자인 요소 | 건축물의 외관을 장식하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 |
역사 및 발전 | |
기원 | 고대 로마 시대의 건축물에서 초기 형태 발견 |
발전 | 중세 시대에 들어서면서 더욱 발전 특히 고딕 건축에서 플라잉 버트레스 형태로 정교하게 발전 |
현대 건축 | 현대 건축에서도 기능적, 장식적 요소로 사용 |
종류 | |
벽 버트레스 (Wall Buttress) | 벽에 직접 붙어 있는 형태 |
플라잉 버트레스 (Flying Buttress) | 공중 버팀대 벽에서 떨어져 아치로 연결된 형태 |
코너 버트레스 (Corner Buttress) | 건물 모서리에 설치되어 모서리 부분의 안정성을 강화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필라스터 |
2. 용어
돌출 부벽(flying buttress)과 일반 부벽 외에도 벽 모서리를 지지하는 벽돌과 석조 부벽은 그 평면도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겹쳐진(clasping) 또는 고정된(clamped) 부벽은 모서리를 둘러싸는 L자형 평면도를 가지고 있으며, 각진(angled) 부벽은 두 개의 부벽이 모서리에서 만나는 형태이고, 후퇴형(setback) 부벽은 각진 부벽과 유사하지만 부벽이 모서리에서 뒤로 물러서 있다. 그리고 대각선(또는 '프랑스식') 부벽은 벽이 만나는 지점 사이의 각도를 이등분한다.[3][4]
버트레스는 로마 시대 건축에서 볼트가 넓을 때 그 힘을 지탱하기 위해 칸막이를 설치하여 복도가 나뉘는 평면 구조였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았다. 그러나 로마 시대 목욕탕 건축에서는 칸막이가 높은 아치형 천장 높이까지 열려 있었고, 상부가 주두와 같은 장식을 가진 벽감 형태의 버트레스가 나타나기도 했다.[6]
아래는 구조물(밝은 회색)의 모서리 벽을 지지하는 다양한 유형의 부벽(짙은 회색)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다.
3. 역사
비잔틴 건축에서는 아치에 의한 하중을 받는 목적으로 버트레스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현 이스탄불)의 성 소피아 성당에서는 돔에 석재로 만든 큰 아치를 걸쳐놓고, 벽을 보강하기 위해 건물 내외부에 버트레스를 설치했다.[7]
초기 로마네스크 양식 교회에서 부벽은 벽면을 구획하고 외부를 장식하는 단순하고 직선적인 기둥 모양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교회당 내부 천장에 볼트 구조가 도입되자, 부벽은 여러 단을 가지게 되었고 상부와 하부에서 두께가 달라졌다.[8]
12세기에 리브 볼트가 도입되고 중앙 통로에도 적용되면서 부벽은 교회 건축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교회당의 천장 높이와 폭이 넓어짐에 따라 볼트로부터 발생하는 횡하중도 증가했고, 이를 지탱하기 위해 부벽 역시 폭이 넓어지고 두껍고 견고해졌다. 그러나 부벽이 내부 채광을 방해하고 미적으로도 문제가 되자, 부벽 상부는 역학적으로 필요한 사선 방향의 지지대만 남기고 외벽에 대해 공중에 걸쳐진 "도래"(플라잉 버트레스)를 만들었다. 이 도래는 고딕 시대 교회당을 대규모로 만드는 데 중요한 발명이었다.[9] 고딕 시대 이후의 부벽에는 정상 부분에 첨탑이나 가고일 같은 다양한 장식이 추가되었다.
3. 1. 고대
로마 시대 건축물은 볼트가 넓은 경우 그 힘을 지탱하기 위해 칸막이가 설치되어 복도가 나뉘는 평면 구조였기 때문에, 버트레스가 눈에 띄지는 않았다. 반면, 로마 시대의 목욕탕 건축(예: 로마 목욕탕의 온탕)에서는 칸막이가 높은 아치형 천장 높이까지 열려 있으며, 상부가 주두와 같은 장식을 가지고 벽감 형태인 버트레스의 예가 보인다.[6]
아치에 의한 하중을 받는 목적으로 버트레스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예는 비잔틴 건축에서 볼 수 있다. 콘스탄티노폴리스(현 이스탄불)의 성 소피아 성당에서는 돔에 석재의 큰 아치를 걸쳐놓고 있으며, 벽의 보강을 위해 건물 내외에 버트레스가 설치되어 있다.[7]
3. 2. 중세 이후
초기 로마네스크 양식 교회에서는 부벽이 벽면을 구획하고 외부를 장식하기 위한 단순하고 직선적인 기둥 모양의 구조였다. 시대가 내려오면서, 교회당 내부 천장에 볼트 구조가 도입되면서 부벽은 여러 단을 가지게 되고, 상부와 하부에서 두께에 변화가 생겼다.[8]
12세기에 리브 볼트가 도입되고 중앙 통로에도 적용되면서, 부벽은 교회 건축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시대와 함께 교회당의 천장 높이와 폭이 넓어지고, 증가하는 볼트로부터의 횡하중을 받쳐내기 위해 부벽도 폭이 넓어지고 두껍고 견고해졌다. 하지만 부벽이 내부 채광을 방해하고 미적인 관점에서 문제가 되자, 부벽 상부는 역학적으로 필요한 사선 방향의 지지대만 남기고 외벽에 대해 공중에 걸쳐진 "도래"(플라잉 버트레스)를 만들어냈다. 이 도래는 고딕 시대 교회당의 대규모화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발명이 되었다.[9] 고딕 시대 이후의 부벽에는 정상 부분의 첨탑이나 가고일 등 다양한 장식이 추가되었다.
4. 현대 일본의 버트레스
JIS 규격에 기반한 보강 콘크리트 블록[10]으로 된 담장을 건축할 때, 높이가 1.2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너비 3.4m 이내마다 버트레스를 설치하는 것이 건축기준법 시행령 제62조 제8항 제5호의 규정에 의해 의무화되어 있다.[11]
5. 갤러리
5. 1. 버트레스 평면도
돌출 부벽(flying buttress)과 일반 부벽 외에도, 벽 모서리를 지지하는 벽돌과 석조 부벽은 그 평면도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겹쳐진(clasping) 또는 고정된(clamped) 부벽은 모서리를 둘러싸는 L자형 평면도를 가지고 있으며, 각진(angled) 부벽은 두 개의 부벽이 모서리에서 만나는 형태이고, 후퇴형(setback) 부벽은 각진 부벽과 유사하지만 부벽이 모서리에서 뒤로 물러서 있다. 그리고 대각선(또는 '프랑스식') 부벽은 벽이 만나는 지점 사이의 각도를 이등분한다.[3][4]아래는 구조물(밝은 회색)의 모서리 벽을 지지하는 다양한 유형의 부벽(짙은 회색)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다.
참조
[1]
웹사이트
Buttres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
백과사전
Counterfort
Encyclopædia Britannica
[3]
웹사이트
Glossary : Buttress
http://www.lookingat[...]
[4]
웹사이트
Church architecture: Spires and buttresses
http://www.prestbury[...]
[5]
서적
A Dictionary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 Biographical, Historical, and Descriptive - Vol 1
READ BOOKS
2009
[6]
서적
History of Architecture
Research & Education Assoc.
2001
[7]
서적
Sir Banister Fletcher's a history of architecture
Architectural Press
1996
[8]
서적
A glossary of terms used in Grecian, Roman, Italian and Gothic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1840
[9]
서적
西洋建築の歴史
河出書房
2010
[10]
웹사이트
09. 材料 : ブロック及び鉄筋(設計基準2条1、2)
http://www.jcba-jp.c[...]
社団法人 全国建築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業会
2018-06-19
[11]
웹사이트
建築基準法施行令第62条第8項
https://laws.e-gov.g[...]
総務省 行政管理局
2018-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