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2세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이 시기에는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다. 주요 사건으로는 잉글랜드의 헨리 1세와 노르망디 공작 로베르 간의 알턴 조약 체결,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통일,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중국의 북송과 남송의 교체, 일본의 가마쿠라 막부 성립, 살라딘의 아이유브 왕조 창건 등이 있다. 또한, 김부식의 삼국사기 편찬, 지눌의 조계종 창시 등 한국사에서도 중요한 사건들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 날짜 - 18세기
    18세기는 유럽과 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전반에 걸쳐 큰 변화가 일어난 시기로, 계몽주의 사상과 산업 혁명이 시작되었으며, 미국 독립 전쟁과 프랑스 혁명과 같은 시민 혁명이 일어났다.
12세기
지도
12세기
주요 사건
십자군 전쟁제1차 십자군 (1096년–1099년)
제2차 십자군 (1147년–1149년)
제3차 십자군 (1189년–1192년)
정치 및 사회
국가 및 지역신성 로마 제국
프랑스 왕국
잉글랜드 왕국
스코틀랜드 왕국
아일랜드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
폴란드
헝가리 왕국
러시아
비잔티움 제국
셀주크 제국
송나라
일본
사회 변화중세 대학 발전
고딕 건축 시작
중세 철학 발전
기사도의 발전
과학 및 기술
과학 발전아벨라르의 철학
성 안셀모의 신학
문화
예술고딕 미술 시작
로마네스크 미술 전성기
문학기사 문학
음유시인 (트루바두르) 등장
종교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의 분열
그레고리오 개혁

2. 주요 사건

12세기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건들이 있었다.


  • 1101년 7월, 잉글랜드의 헨리 1세와 그의 형인 노르망디 공작 로베르 사이에 알턴 조약이 체결되어, 로베르는 헨리를 잉글랜드 국왕으로 인정하였다.
  • 1102년 헝가리의 콜로만 국왕이 성 스테판의 왕관 아래 헝가리와 크로아티아를 통일하였다.[1]
  • 1106년, 탱슈브레 전투가 벌어졌다.
  • 1107년1111년, 노르웨이의 시구르드 1세가 성지로의 노르웨이 십자군을 시작하여 예루살렘 국왕을 도와 무슬림으로부터 시돈을 탈환하였다.[1]
  • 1108년 데볼 조약에 따라 안티오크의 보에몽 1세는 동로마 제국에 복종하여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의 봉신이 되었다.[1]
  • 1109년: 툴루즈의 베르트랑이 트리폴리 백작령을 점령하였다.[1] 나크워 전투와 훈트스펠트 전투에서 볼레스와프 3세 곡구가 포메라니아인과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헨리 5세를 물리쳤다.[1]
  • 1111년, 헨리 5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하였다.[1]
  • 1116년: 비잔티움 군대가 필로멜리온에서 튀르크인들을 패배시켰다.[1]
  • 1119년경, 템플 기사단이 설립되었다.[1]
  • 1120년: 나블루스 공의회에서 왕국 최초의 성문 법률이 제정되었다.[1] 윌리엄 아델린이 '화이트십호' 침몰 사고로 사망하여, 무정부 시대를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1]
  • 1121년, 성 노르베르트가 프레몬트레 수도회를 설립하였다.[1]
  • 1122년: 베로이아 전투에서 페체네그족 투르크 부족이 독립 세력으로서 사라졌다.[1] 웜스 협약이 체결되어 서임권 투쟁의 첫 단계가 끝났다.[1]
  • 1124년, 스코틀랜드의 데이비드 1세가 스코틀랜드의 왕으로 즉위하였다.[1]
  • 1125년, 아자즈 전투에서 십자군 국가가 셀주크 투르크를 물리쳤다.[1]
  • 1128년, 포르투갈 왕국이 상 마메데 전투에서 독립을 획득하였다.[1]
  • 1130년1138년: 교황 선출 분쟁으로 교황 인노켄티우스 2세와 대립교황 아나클레투스 2세가 대립하였다.[2]
  • 1130년, 로제르 2세가 시칠리아 왕으로 즉위하였다.[2]
  • 1135년1154년: 잉글랜드 내전 기간 동안 무정부 시대가 발생하였다.[2]
  • 1136년, 슈제르가 생드니 수도원 교회 재건을 시작하였으며, 이는 최초의 주요 고딕 건물로 여겨진다.[2]
  • 1137년, 프랑스의 루이 7세가 엘레오노르 아키텐과 결혼하였다.[2]
  • 1139년: 제2차 라테란 공의회가 교황 선출 분쟁을 종식시켰다.[2] 미냐노 조약에서 교황 인노켄티우스 2세가 로제르 2세를 시칠리아 왕 등으로 인정하였다.[2] 우리케 전투에서 포르투갈이 알모라비드 왕조를 패배시켰다.[2]
  • 1143년, 사모라 조약으로 포르투갈의 레온 왕국으로부터의 독립이 인정되었다.[1]
  • 1144년 에데사(샨르우르파)가 함락되면서 십자군에 대한 이슬람의 반격이 시작되었다. 이에 제2차 십자군이 시리아의 다마스쿠스를 공격했지만 패퇴했다.
  • 1147년: 리스본 공성전이 성공적으로 끝나고 리스본이 포르투갈의 지배하에 들어갔다.[1] 알모하드 왕조가 알모라비드 왕조로부터 북아프리카를 빼앗고 곧 이베리아 반도를 침략하였다.[1] 벤드 십자군이 일어났다.[1]
  • 1169년 - 살라딘이 아이유브 왕조를 창시하였다.
  • 1187년 아이유브 왕조의 술탄 살라딘(사라후딘)에 의해 예루살렘 왕국군이 궤멸되고(히틴 전투)[3], 약 90년 만에 예루살렘이 이슬람 세력에 의해 탈환되었다.
  • 1189년 ~ 1192년 - 제3차 십자군 원정이 있었다.[1]
  • 알렉산더 넥컴은 유럽인 최초로 선원의 나침반을 기록했다.[1]
  • 기독교 인문주의가 유럽에서 자각적인 철학적 경향이 되었다.[1]
  • 최초의 중세 대학교들이 설립되었고, 피에르 아벨라르가 가르쳤다.[1]
  • 중세 영어가 발전하기 시작했고, 유럽 전역에서 교회 외부로 문해력이 확산되기 시작했다.[1]
  • 서유럽 중세 음악 역사상의 아르스 안티쿠아 시대가 시작되었다.[1]
  • 가장 오래된 기록된 기적극이 영국 던스터블에서 공연되었다.[1]
  • 프랑스에서 고딕 건축과 트루베르 음악이 시작되었다.[1]
  • 세기 중반에 시칠리아 팔레르모에 카펠라 팔라티나가 건설되었다.[1]
  • 12세기 르네상스가 일어나 철학, 미술, 문학 등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움직임을 보였다.[1] 아랍어로 번역된 고대 그리스어 저술이 시칠리아 섬과 스페인톨레도에서 조직적으로 라틴어로 번역되었다.[1]

2. 1. 한국사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12세기 한국사에 대한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다.

2. 2. 동아시아



12세기 동아시아는 다양한 문화적,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 중국: 북송 시대에 장자도(張擇端)가 그린 ''청명상하도(清明上河圖)''는 당시 도시 생활상을 생생하게 묘사하며, 현재 베이징 고궁박물원에 소장되어 있다. 에 복속되어 있던 여진족은 완안 아골타의 지휘 아래 독립하여 을 건국했다. 금나라는 이후 요와 북송을 멸망시키고 북중국을 장악, 남쪽에서 재건된 남송과 대립하게 된다.
  • 동남아시아: 크메르 제국참파 간의 갈등이 지속되었다. 수리아바르만 2세 치하에서 앙코르 와트가 건설되었으며, 세기 말에는 불교도인 자야바르만 7세가 통치했다.
  • 일본: 헤이안 시대에는 조충진물화(鳥獣人物戯画)가 제작되어 교토 고산사(高山寺)에 소장되었다. 원정기에는 가나로 와카를 짓는 화양체 서풍이 확립되었고, 필사본에는 채색 밑그림, 금은박 등 고도의 장식 기법이 사용되었다. 보원의 난과 평지의 난을 거치며 무사의 정치적 지위가 상승했고, 다이라 기요모리가 평씨 정권을 세웠으나, 치쇼·주에이의 난(겐페이 합전)에서 미나모토 요리토모가 이끄는 겐지 세력에 패배하여 멸망했다. 이후 요리토모는 가마쿠라 막부를 열었다.


회권물 유행. 와카에 기법으로 그림과 사서를 잇달아 그린 회권물이 크게 유행했다. 교토 고산사에 조바 승정 각유의 이름으로 전해지는 조수희화. 원정기 문화를 대표하는 명품으로, 동물들의 역동적인 모습 묘사로 만화의 시조라고도 불린다.


보원의 난과 평지의 난에서 황족과 섭관가의 항쟁을 거치면서 무사단의 군사력이 정국에서 중요한 면을 차지하게 되었다. 보스턴 미술관 소장 평지 이야기 그림 두루마리(삼조전 소각).


이쓰쿠시마 신사. 보원·평지의 난 후, 정권을 지휘한 것은 다이라 기요모리였다. 평가 일문의 번영은 이쓰쿠시마 신사의 장려한 신전에서 엿볼 수 있다.


미나모토 요리토모. 동국 무사단을 통합하여 가마쿠라를 근거지로 막부를 연 인물. 도쿄 국립박물관 소장.

2. 3. 서아시아


구르드 왕조는 불교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하였다.


1144년 에데사(샨르우르파)가 함락되면서 십자군에 대한 이슬람의 반격이 시작되었다. 이에 제2차 십자군이 시리아의 다마스쿠스를 공격했지만 패퇴했다. 1187년 아이유브 왕조의 술탄 살라딘(사라후딘)에 의해 예루살렘 왕국군이 궤멸되고(히틴 전투)[3], 약 90년 만에 예루살렘이 이슬람 세력에 의해 탈환되었다. 이 사건은 제3차 십자군 원정(1189년-1192년)으로 이어졌지만[4], 잉글랜드, 프랑스, 신성 로마 제국의 십자군은 좁고 길게 뻗은 연안 지역을 탈환하는 데 그쳤다(단, 휴전 협정에 따라 기독교도의 예루살렘 순례의 자유는 보장되었다).[5]

2. 4. 유럽

1101년 7월, 잉글랜드의 헨리 1세와 그의 형인 노르망디 공작 로베르 사이에 알턴 조약이 체결되어, 로베르는 헨리를 잉글랜드 국왕으로 인정하였다. 이 협정으로 앵글로-노르망디 왕들의 계승 문제가 일시적으로 종식되었다.[1]

1102년 헝가리의 콜로만 국왕이 성 스테판의 왕관 아래 헝가리와 크로아티아를 통일하였다.[1] 같은 해 무슬림들이 발렌시아를 정복하였다.[1]

1106년, 탱슈브레 전투가 벌어졌다.

1107년1111년, 노르웨이의 시구르드 1세가 성지로의 노르웨이 십자군을 시작하여 예루살렘 국왕을 도와 무슬림으로부터 시돈을 탈환하였다.[1]

1108년 데볼 조약에 따라 안티오크의 보에몽 1세는 동로마 제국에 복종하여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의 봉신이 되었다.[1]

1109년: 툴루즈의 베르트랑이 트리폴리 백작령을 점령하였다.[1] 나크워 전투에서 볼레스와프 3세 곡구가 포메라니아인을 물리치고 바다로의 폴란드 접근을 재확립하였다.[1] 훈트스펠트 전투에서 볼레스와프 3세 곡구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헨리 5세를 물리쳤다.[1]

1111년, 헨리 5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하였다.[1]

1116년: 비잔티움 군대가 필로멜리온에서 튀르크인들을 패배시켰다.[1] 히메나 디아스가 사망하였다.[1]

1119년경, 템플 기사단이 설립되었다.[1]

12세기 쿠엥카 대성당(1182년부터 1270년까지 건설됨), 스페인 쿠엥카


1120년: 나블루스 공의회에서 왕국 최초의 성문 법률이 제정되었다.[1] 윌리엄 아델린이 '화이트십호' 침몰 사고로 사망하여, 무정부 시대를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1]

1121년, 성 노르베르트가 프레몬트레 수도회를 설립하였다.[1]

1122년: 베로이아 전투에서 페체네그족 투르크 부족이 독립 세력으로서 사라졌다.[1] 웜스 협약이 체결되어 서임권 투쟁의 첫 단계가 끝났다.[1]

1124년, 스코틀랜드의 데이비드 1세가 스코틀랜드의 왕으로 즉위하였다.[1]

1125년, 아자즈 전투에서 십자군 국가가 셀주크 투르크를 물리쳤다.[1]

1128년, 포르투갈 왕국이 상 마메데 전투에서 독립을 획득하였다.[1]

1130년1138년: 교황 선출 분쟁으로 교황 인노켄티우스 2세와 대립교황 아나클레투스 2세가 대립하였다.[2]

1130년, 로제르 2세가 시칠리아 왕으로 즉위하였다.[2]

1135년1154년: 잉글랜드 내전 기간 동안 무정부 시대가 발생하였다.[2]

1136년, 슈제르가 생드니 수도원 교회 재건을 시작하였으며, 이는 최초의 주요 고딕 건물로 여겨진다.[2]

1137년, 프랑스의 루이 7세가 엘레오노르 아키텐과 결혼하였다.[2]

1139년: 제2차 라테란 공의회가 교황 선출 분쟁을 종식시켰다.[2] 미냐노 조약에서 교황 인노켄티우스 2세가 로제르 2세를 시칠리아 왕 등으로 인정하였다.[2] 우리케 전투에서 포르투갈이 알모라비드 왕조를 패배시켰다.[2]

1143년, 사모라 조약으로 포르투갈의 레온 왕국으로부터의 독립이 인정되었다.[1]

1147년: 리스본 공성전이 성공적으로 끝나고 리스본이 포르투갈의 지배하에 들어갔다.[1] 알모하드 왕조가 알모라비드 왕조로부터 북아프리카를 빼앗고 곧 이베리아 반도를 침략하였다.[1] 벤드 십자군이 일어났다.[1]

1189년 ~ 1192년, 제3차 십자군 원정이 있었다.

알렉산더 넥컴은 유럽인 최초로 선원의 나침반을 기록했다.[1]

기독교 인문주의가 유럽에서 자각적인 철학적 경향이 되었다.[1]

최초의 중세 대학교들이 설립되었고, 피에르 아벨라르가 가르쳤다.[1]

중세 영어가 발전하기 시작했고, 유럽 전역에서 교회 외부로 문해력이 확산되기 시작했다.[1]

서유럽 중세 음악 역사상의 아르스 안티쿠아 시대가 시작되었다.[1]

가장 오래된 기록된 기적극이 영국 던스터블에서 공연되었다.[1]

프랑스에서 고딕 건축과 트루베르 음악이 시작되었다.[1]

세기 중반에 시칠리아 팔레르모에 카펠라 팔라티나가 건설되었다.[1]

12세기 르네상스가 일어나 철학, 미술, 문학 등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움직임을 보였다.[1] 아랍어로 번역된 고대 그리스어 저술이 시칠리아 섬과 스페인톨레도에서 조직적으로 라틴어로 번역되었다.[1]

3. 주요 인물


3. 1. 한국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12세기 한국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3. 2. 동아시아

중국에서는 에 복속되어 있던 여진족이 지도자 완안 아골타에 의해 독립하여 이 건국되었다. 금은 그 10년 후에 요와 북송을 멸망시키고 북쪽을 정복하여, 새롭게 재흥한 남쪽을 다스리는 남송과 대치하게 된다.

헤이안 시대 후기부터 가마쿠라 시대 초기, 천황가·섭관가를 끌어들이는 정쟁인 보원의 난과 평지의 난에 의해 무사의 정치적 지위가 상승했다. 두 난에서 활약한 다이라 기요모리가 세운 평씨 정권이 번영했지만, 치쇼·주에이의 난(겐페이 합전)의 최종 결전인 '''단노우라 전투'''에서 겐지를 필두로 한 세력이 승리하고 평가가 멸망함에 따라, 겐지의 두목 미나모토 요리토모에 의한 새로운 무가 정권인 가마쿠라 막부가 성립되었다.

  • 1101년
  • * 源義親의 난(강화의 난)(~ 1108년).
  • * 대지진으로 흥복사 금당·대문이 붕괴됨. 흥복사와 금봉산의 승려들이 다툼.
  • 1102년
  • * 북송의 채경이 "원우당적비"를 세우고 구법당 관계자들을 추방함.
  • * 무라카미 겐지가 공경의 과반수를 차지함.
  • 1105년 - 북송의 휘종 황제의 명에 따라 화석강이 시작됨.
  • 1107년 - 호리카와 천황이 죽고, 종인 친왕이 즉위(제74대 토바 천황).
  • 1108년
  • * 덴닌 원년의 아사마산 분화.
  • * 중국의 황하 대범람으로 하북성의 거록이 매몰됨.
  • 1161년: 화약 폭탄을 사용하는 송나라 해군이 투석기를 이용하여 동중국해에서 탕도 해전과 양자강에서 채시 해전에서 거대한 금나라 해군을 격파하다.
  • 1162년: 몽골 제국의 창시자 칭기즈칸이 현재 몽골에서 테무진으로 태어나다.
  • 1175년: 호넨(겐쿠)이 불교의 정토종을 창시함.
  • 진회(1090년 - 1155년) - 남송의 재상
  • 악비(1103년 - 1141년)- 남송의 무장
  • 주희(1130년 - 1200년)- 남송의 유학자
  • 미나모토 요리토모 - 가마쿠라 막부 성립

3. 3. 서아시아

살라딘(Saladin Ayyubi)과 뤼시냥의 기(Guy of Lusignan), 하틴 전투 이후 (1954)


1187년 7월 4일, 하틴 전투에서 살라딘이 예루살렘 왕을 패배시켰다.[3] 1189년부터 1192년까지 유럽 지도자들은 살라딘으로부터 성지를 되찾기 위해 제3차 십자군 원정을 일으켰다.

참조

[1] 서적 Pengantar Sejarah Kebudayaan Indonesia 2 Penerbit Kanisius
[2] 웹사이트 Kaḍiri https://www.britanni[...] 1998-07-20
[3] 간행물 Sigtuna hukkumine http://haridus.opleh[...] Haridus
[4] 서적 Notice sur les Arabes hilaliens Ismaël Hamet
[5] 웹사이트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Registration: Grand Village of the Natchez Site / Fatherland Plantation Site (22-Ad-501)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1989-05-03
[6] 서적 The Birth of Purgat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 뉴스 オーロラが最も見えやすかったのは「鎌倉時代」…藤原定家「明月記」にある「赤い光」と合致 https://www.yomiuri.[...] 2021-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