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수엘라의 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네수엘라의 부통령은 베네수엘라 대통령의 지휘 아래 정부 활동을 지원하고, 대통령 부재 시 권한을 대행하는 직책이다. 1999년 헌법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회에서 해임될 수도 있다. 부통령은 대통령 유고 시 대통령직을 승계하며, 역대 부통령 중에는 임시 대통령을 지낸 인물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네수엘라 - 바리오 아덴트로 미션
바리오 아덴트로 미션은 2003년 베네수엘라에서 시작된 보건 의료 프로그램으로, 쿠바의 지원을 받아 의료 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목표로 전국적으로 확대되었으나, 운영 과정에서 시설 방치, 인력 이탈, 자금 문제, 보고서 조작, 선거 개입 등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 베네수엘라 - 베네수엘라의 대통령
베네수엘라의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으로서 행정부 통제, 국가 대표, 군 통수권 등의 권한을 가지며, 헌법에 따라 6년 임기로 재임하고 국민소환투표로 해임될 수 있다. - 베네수엘라의 부통령 - 니콜라스 마두로
니콜라스 마두로는 베네수엘라의 정치인으로, 버스 운전사 및 노동조합 활동가 출신으로 우고 차베스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2013년부터 베네수엘라의 대통령으로 재임하고 있으며 부정 선거 논란과 경제 위기 심화, 인권 탄압 등의 비판을 받고 있다. - 베네수엘라의 부통령 - 후안 비센테 고메스
후안 비센테 고메스는 베네수엘라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여 석유 발견 이후 장기 집권하며 독재 정치를 펼쳤다.
베네수엘라의 부통령 | |
---|---|
기본 정보 | |
직책 | 행정부 부통령 |
소속 국가 |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공화국 |
현직 | 델시 로드리게스 |
취임일 | 2018년 6월 18일 |
임기 | 고정된 임기 없음 (대통령의 의사에 따름) |
관저 | 라 비녜타 |
![]() | |
웹사이트 | 베네수엘라 부통령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설립 | 1830년 |
초대 부통령 | 디에고 바우티스타 우르바네하 |
2. 행정 부통령의 역할 및 권한
1999년 헌법에 따르면, 행정 부통령의 임무는 다음과 같다.[1]
- 공화국 대통령과 협력하여 정부의 활동을 지휘한다.
- 공화국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국립 공공 행정을 조정한다.
- 대통령에게 장관 임명 및 해임을 제안한다.
- 대통령이 부재하거나 미리 대통령의 승인을 받은 경우 각료 회의를 주재한다.
- 국회와 국가 행정부 간의 관계를 조정한다.
- 연방 정부 평의회를 주재한다.
- 법에 따라 다른 권한에 귀속되지 않은 관료 또는 국가 공무원을 임명하고 해임한다.
- 일시적이고 절대적인 부재 시 공화국 대통령을 대행한다.
- 공화국 대통령이 위임한 임무를 수행한다.
2. 1. 임명 및 해임
행정 부통령은 대통령에 의해 임명되고 해임된다. 부통령은 또한 국회에서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해임될 수 있다. 국회가 6년 임기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3명의 부통령을 해임하는 경우, 대통령은 국회를 해산할 권한을 갖는다.[1]2. 2. 대통령직 승계
부통령은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헌법 제233조 및 제234조에 명시된 예외적인 경우에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대통령직 승계 서열 1순위이다.안드레스 나바르테, 카를로스 소블레테, 디오스다도 카베요(2002년 4월), 니콜라스 마두로(2012-2013)는 모두 한때 베네수엘라의 임시 대통령을 지냈다. 소블레테와 마두로는 나중에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3. 역대 베네수엘라 부통령 목록
1811년 삼두 정치의 일원으로 마누엘 모레노 데 멘도사, 마우리시오 아야라, 안드레스 나르바르테가 부통령직을 수행했다.[1] 1812년에는 크리스토발 멘도사와 후안 헤르만 로시오가 이두 정치 하에서 부통령직을 맡았다.[1] 1819년 프란시스코 안토니오 세아가 대 콜롬비아 부통령으로 취임했고,[1] 1821년에는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산탄데르가 이 직을 이어받았다.[1]
1830년 디에고 바우티스타 우르바네하가 잠정 부통령으로 취임한 후,[1] 1833년 안드레스 나르바르테가 간접 선거를 통해 부통령이 되었다.[1] 1837년에는 호세 마리아 카레뇨와 카를로스 소블레테가 차례로 부통령직을 수행했다.[1] 1841년 산토스 미켈레나가 부통령이 되었고,[1] 1845년 디에고 바우티스타 우르바네하가 다시 부통령직에 올랐다.[1] 1849년 안토니오 레오카디오 구스만이 간접 선거로 부통령이 되었으며,[1] 1851년 호아킨 에레라가 이 직을 계승했다.[1] 1859년 마누엘 펠리페 데 토바르와 1860년 페드로 구알이 간접 선거로 부통령이 되었다.[1] 1864년 안토니오 레오카디오 구스만이 다시 부통령직을 맡았다.[1]
1999년 12월 20일, 이사야스 로드리게스가 1999년 헌법 하에서 첫 부통령으로 취임했다.[1] 2000년 12월 24일, 아디나 바스티다스가 베네수엘라 최초의 여성 부통령이 되었다.[4] 2002년 1월 13일, 디오스다도 카베요가 임시 대통령직을 겸임하며 부통령직을 수행했고,[1] 같은 해 4월 14일 호세 비센테 랑헬이 부통령이 되었다.[1] 2007년 1월 8일, 호르헤 로드리게스가 부통령직을 이어받았고,[1] 2008년 1월 3일 라몬 카리사레스가 취임했다.[1] 2010년 1월 27일, 엘리아스 자우아가 부통령이 되었고,[1] 2012년 10월 13일 니콜라스 마두로가 이 직을 맡았다.[1] 2013년 3월 5일 우고 차베스 대통령 사망 후, 니콜라스 마두로는 대통령에 취임했다.[1]
2013년 4월 19일, 호르헤 아레아사가 부통령으로 취임했고,[1] 2016년 1월 6일 아리스토불로 이스투리스가 베네수엘라 최초의 흑인 부통령이 되었다.[1] 2017년 1월 4일, 타레크 엘 아이사미가 베네수엘라 최초의 시리아계 부통령이 되었으며,[1] 2018년 6월 14일 델시 로드리게스가 현직 부통령으로 취임했다.[1]
3. 1. 베네수엘라국 부통령 (1830–1864)
초상화 | 이름 (출생–사망) | 재임 기간 | 정당 | 비고 | 대통령 |
---|---|---|---|---|---|
디에고 바우티스타 우르바네하(1782–1856) | 1830년 ~ 1833년 | 보수당 | 임시 | 호세 안토니오 파에스(1830–1835) | |
![]() | 안드레스 나르바르테(1781–1853) | 1833년 ~ 1835년 | 보수당 | 간선제 | 호세 마리아 바르가스(1835) |
호세 마리아 카레뇨 (1835) 재임 기간 동안 공석 | |||||
안드레스 나르바르테(1781–1853) | 1835년 ~ 1836년 | 보수당 | 간선제 | 호세 마리아 바르가스(1835–1836) | |
![]() | 호세 마리아 카레뇨(1792–1849) | 1836년 ~ 1837년 | 보수당 | 간선제 | 안드레스 나르바르테(1836–1837) |
디에고 바우티스타 우르바네하(1782–1856) | 1837년 | 보수당 | 간선제 | 호세 마리아 카레뇨(1837) | |
카를로스 수블레테(1837–1839) 재임 기간 동안 공석 | |||||
![]() | 카를로스 수블레테(1789–1870) | 1839년 ~ 1841년 | 보수당 | 간선제 | 호세 안토니오 파에스(1839–1843) |
![]() | 산토스 미첼레나(1797–1848) | 1841년 ~ 1845년 | 보수당 | 간선제 | 카를로스 수블레테(1843–1847) |
디에고 바우티스타 우르바네하(1782–1856) | 1845년 ~ 1847년 | 보수당 | 간선제 | 호세 타데오 모나가스(1847–1851) | |
![]() | 안토니오 레오카디오 구스만(1801–1884) | 1847년 ~ 1851년 | 자유당 | 간선제 | 호세 그레고리오 모나가스(1851–1855) |
호아킨 에레라(1784–1868) | 1851년 ~ 1855년 | 자유당 | 임시 | ||
호세 타데오 모나가스(1855–1858) 재임 기간 동안 공석 | |||||
![]() | 마누엘 펠리페 데 토바르(1803–1866) | 1858년 ~ 1859년 | 자유당 | 임시 | 훌리안 카스트로(1858–1859) |
마누엘 펠리페 데 토바르(1859–1860) 재임 기간 동안 공석 | |||||
![]() | 페드로 구알 에스칸돈(1783–1862) | 1860년 ~ 1861년 | 자유당 | 임시 | 마누엘 펠리페 데 토바르(1859–1861) |
페드로 구알 에스칸돈(1861) 및 호세 안토니오 파에스(1861-1863) 재임 기간 동안 공석 | |||||
안토니오 레오카디오 구스만(1801–1884) | 1863년 ~ 1864년 | 자유당 | 간선제 | 후안 크리스토모 팔콘(1863—1868) |
3. 2. 베네수엘라 공화국 부통령 (1999–현재)
초상화 | 이름 (출생-사망) | 재임 기간 — 정당 | 비고 | 대통령 | ||
---|---|---|---|---|---|---|
![]() | 훌리안 이사이어스 로드리게스 (1942년 출생) | 2000년 1월 29일 | 2000년 12월 24일 | 직접 지명 | ![]() 우고 차베스 (1999–2013) | |
제5공화국 운동 | ||||||
아디나 바스티다스 (1943년 출생) | 2000년 12월 24일 | 2002년 1월 13일 | 직접 지명 | |||
무소속[2] | ||||||
![]() | 디오스다도 카베요 (1963년 출생) | 2002년 1월 13일 | 2002년 4월 12일 | 직접 지명 | ||
제5공화국 운동 | ||||||
2002년 4월 14일 | 2002년 4월 28일 | |||||
![]() | 호세 비센테 랑헬 (1929–2020) | 2002년 4월 28일 | 2007년 1월 3일 | 직접 지명 | ||
제5공화국 운동 | ||||||
![]() | 호르헤 로드리게스 (1965년 출생) | 2007년 1월 3일 | 2008년 1월 4일 | 직접 지명 | ||
제5공화국 운동 | ||||||
![]() | 라몬 카리잘레스 (1952년 출생) | 2008년 1월 4일 | 2010년 1월 26일 | 직접 지명 | ||
제5공화국 운동 베네수엘라 연합 사회당 | ||||||
![]() | 엘리아스 하우아 (1969년 출생) | 2010년 1월 26일 | 2012년 10월 13일 | |||
베네수엘라 연합 사회당 | ||||||
![]() | 니콜라스 마두로 (1962년 출생) | 2012년 10월 13일 | 2013년 3월 8일 | 직접 지명 | ||
![]() | 호르헤 아레아사 (1973년 출생) | 2013년 3월 8일 | 2016년 1월 6일 | 직접 지명 | -- 니콜라스 마두로 (2013–) | |
베네수엘라 연합 사회당 | ||||||
![]() | 아리스토불로 이스투리스 (1946–2021) | 2016년 1월 6일 | 2017년 1월 4일 | 직접 지명 | ||
베네수엘라 연합 사회당 | ||||||
![]() | 타레크 엘 아이사미 (1974년 출생) | 2017년 1월 4일 | 2018년 6월 14일 | 직접 지명 | ||
베네수엘라 연합 사회당 | -- 니콜라스 마두로 (2013–) | |||||
![]() | 델시 로드리게스 (1969년 출생) | 2018년 6월 14일 | 현직 | 직접 지명 | ||
참조
[1]
뉴스
¡Entérate! Nicolás Maduro anuncia cambio de gabinete vía Twitter
https://www.lapatill[...]
La Patilla
2018-06-14
[2]
웹사이트
Adina Bastidas: "Yo asumo mi responsabilidad en el tema del control de cambio"
http://www.aporrea.o[...]
2015-06-13
[3]
웹사이트
ベネズエラでは、病気がウーゴ・チャベスの遺産を試す可能性がある
https://www.latimes.[...]
2022-12-31
[4]
웹사이트
アディナ・バスティダス:「私は為替管理の問題について責任を負います」
https://www.aporrea.[...]
2022-12-31
[5]
뉴스
「マドゥロ氏は独裁者」 米国、ベネズエラ大統領に制裁
https://www.afpbb.co[...]
2017-08-01
[6]
웹사이트
Canada sanctions 40 Venezuelans with links to political, economic crisis
https://www.theglobe[...]
2022-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