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겔미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겔미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곰-외침', '산-외침', 또는 '벌거벗은-외침' 등으로 번역되는 고대 노르드어 이름이다. 그는 스루드겔미르의 아들이자 최초의 요툰 이미르의 손자로 묘사되며, 홍수에서 살아남아 서리 요툰 종족을 재건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 베르겔미르는 '루르'라는 물건 안에서 살아남았으며, '루르'는 관, 요람, 상자, 또는 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툰 - 트롤
트롤은 노르드 신화에서 유래하여 악마, 귀신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신화적 존재로, 요툰의 한 종류로 묘사되며 인간에게 적대적인 특징을 갖고,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는 햇빛에 닿으면 돌로 변하는 늙고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나며, 대중문화에서는 괴물이나 인기 캐릭터, 온라인에서는 악성 댓글을 다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요툰 - 로키
로키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트릭스터, 변신자 등의 별칭으로 불리며 신들에게 골칫거리와 도움을 동시에 주는 이중적인 면모를 보이고, 발드르 살해, 라그나로크에서의 활약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베르겔미르 | |
---|---|
신화 정보 | |
이름 | 베르겔미르 |
로마자 표기 | Beolgelmireu |
다른 이름 | 림투르스 |
출신 | 요툰헤임 |
가족 관계 | 조상: 위미르 배우자: 이름 미상 자녀: 이름 미상의 아들, 딸 |
역할 | 거인 |
특징 | 홍수에서 살아남은 거인 모든 요툰의 조상 |
2. 어원
고대 노르드어 이름 "베르겔미르"는 '곰-외침', '산-외침', 또는 '벌거벗은-외침'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된다. 언어학자 얀 데 브리스에 따르면, 이 이름은 '산에서 외치는 자'가 아닌 '곰처럼 포효하는 자'라는 의미의 'ber-gelmir'로 읽어야 한다.[1]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에서는 스루드겔미르의 아들이자 최초의 요툰non인 아우르겔미르의 손자로 베르겔미르가 묘사된다. 오딘이 바프스루드니르에게 에시르와 요트나르 중 누가 가장 오래되었는지 묻자, 현명한 요툰non은 "땅이 형성되기 훨씬 전, 베르겔미르가 태어났"으며, "스루드겔미르가 그의 아버지였고, 아우르겔미르가 할아버지였다"고 대답한다.
3. 신화 기록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보르의 아들들(오딘, 빌리, 베)이 이미르를 죽인 후 그의 피가 땅을 범람했을 때, 베르겔미르가 아내와 함께 ''루르''에서 탈출하여 서리 요툰non 종족을 재건했다고 묘사된다. 여기서 ''루르''는 '관', '요람', '상자' 또는 제분기의 일부 나무를 의미할 수 있다.
3. 1.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에서 베르겔미르는 스루드겔미르의 아들이자 최초의 요툰non 아우르겔미르의 손자로 묘사된다. 오딘이 바프스루드니르에게 에시르와 요트나르 중 누가 가장 오래되었는지 묻자, 현명한 요툰non은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땅이 형성되기 훨씬 전,
베르겔미르가 태어났지;
스루드겔미르가 이 자의 아버지였고,
아우르겔미르가 할아버지였다.
같은 시에서 오딘은 바프스루드니르에게 아우르겔미르의 괴물 같은 출생에 대해 묻고, 바프스루드니르는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땅이 형성되기 훨씬 전,
베르겔미르가 태어났지;
내가 처음 기억하는 것은 현명한 거인이
''루르'' 위에 놓였을 때이다.
3. 2. 길피의 속임수
바프스루드니르의 말에서 베르겔미르는 스루드겔미르의 아들이자 최초의 요툰non 아우르겔미르의 손자로 묘사된다. 오딘이 바프스루드니르에게 에시르와 요트나르 중 누가 가장 오래되었는지 묻자, 현명한 요툰non은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땅이 형성되기 훨씬 전,
베르겔미르가 태어났지;
스루드겔미르가 이 자의 아버지였고,
아우르겔미르가 할아버지였다.
같은 시에서 오딘은 바프스루드니르에게 아우르겔미르의 괴물 같은 출생에 대해 묻고, 바프스루드니르는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땅이 형성되기 훨씬 전,
베르겔미르가 태어났지;
내가 처음 기억하는 것은 현명한 거인이
''루르'' 위에 놓였을 때이다.
길피의 속임수에서 보르의 아들들 (오딘, 빌리, 베)이 이미르 (아우르겔미르)를 죽인 후 그의 피가 땅을 범람하는 동안, 베르겔미르 역시 아내와 함께 ''루르''에서 탈출하여 서리 요툰non 종족을 재건하는 것으로 묘사된다.보르의 아들들은 거인 이미르를 죽였다. 그리고 그가 쓰러졌을 때, 그의 상처에서 너무 많은 피가 솟아나와 모든 서리 거인들이 죽었고, 그의 가족과 함께 도망친 한 명을 제외하고 말이다. 거인들은 그를 베르겔미르라고 불렀다. 그는 아내와 함께 그의 ''루르''에 올라 그곳에서 자신을 구했으며, 그들로부터 서리 거인들의 가족이 나온다.
스노리의 설명에 따르면, 고대 노르드어 단어 ''루르''는 '관', '요람', '상자' 또는 제분기의 일부 나무를 의미했을 수 있다.
4. 해석 및 이론
고대 노르드어 이름 "베르겔미르"는 '곰-외침', '산-외침', 또는 '벌거벗은-외침'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된다. 언어학자 얀 데 브리스는 이 이름이 '산에서 외치는 자'가 아닌 '곰처럼 포효하는 자'라는 의미의 'ber-gelmir'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4. 1. 스킬드와의 유사성
로버트 D. 풀크는 스노리의 《산문 에다》의 설명이 "시적인 버전과 모순된다"고 지적한다. 《산문 에다》는 노아와 같은 인물을 묘사하는 반면, 후자는 베르겔미르를 'lúðr'에 눕혀 놓았는데, 이는 스킬드 이야기처럼 그가 유아임을 암시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스노리는 명시적인 구절에서 언급되지 않은 중요한 요소를 덧붙이는데, 그 'lúðr'는 부유하는 배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풀크는 이어서 "여기서 핵심 단어는 'lúðr'인데, 이는 밀가루 통을 가리키는 것이어야 한다. 정확히 말하면, 이 물건은 손으로 가는 맷돌의 돌들이 놓이는 상자나 다리가 달린 나무 통이다. [...]. 대부분의 주석가들은 《바프스루드니르말》과 《스노리 에다》[《산문 에다》의 다른 이름]에서 '밀가루 통' 외의 다른 의미를 가정하여, '관(또는 요람), 상자, 방주(즉, 배)' 범위의 무언가를 제안하는 것은 사실이다."라고 하였다. 풀크는 " '방주'의 해석은 베르겔미르가 노아와 닮았고, [고대 아이슬란드어] 'ǫrk' [...]가 노아의 방주와 상자 또는 석관 둘 다를 가리킬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스노리 에다》의 구절에서만 유래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