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아는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죄악이 만연한 세상을 물로 심판하려는 하느님으로부터 방주를 만들어 가족과 동물들을 구원받았다고 전해진다. 홍수 이후 노아는 하느님과 언약을 맺고 무지개를 언약의 징표로 받았다. 노아 이야기는 창세기 6-9장에 걸쳐 나타나며, 하느님이 인류의 악행으로 인해 땅을 물로 뒤덮어 창조 이전의 혼돈 상태로 되돌리려 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노아는 아담의 9대손으로, 셈, 함, 야벳의 아버지가 되어 각 민족의 조상이 되었다. 노아 이야기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다루어지며, 각 종교의 경전과 문학에서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또한 메소포타미아의 홍수 신화와 유사성을 보이며, 데우칼리온과 같은 다른 문화권의 홍수 신화와 비교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아의 방주 - 카사르 (아일랜드 신화)
    카사르는 아일랜드 신화에서 홍수 이후 아일랜드에 처음 도착한 인물 중 하나로, 《레보르 가발라 에렌》과 같은 문헌에서 아일랜드 기원을 설명하며, 여성들과 함께 아일랜드에 도착하여 세 수호 여신과 관련된 이야기와 핀탄 설화와 함께 아일랜드 문화와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인물로 묘사된다.
  • 노아의 방주 - 누사이빈
    누사이빈은 헬레니즘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튀르키예 마르딘 주의 도시로, 여러 제국을 거쳐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으며 다양한 문화가 공존했고 현재는 쿠르드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 노아 - 라멕 (노아의 아버지)
    라멕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아담의 8대손이자 므두셀라의 아들이며 노아의 아버지로, 노아의 이름을 통해 미래를 예언하고 고된 노동으로부터 위안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희망을 표현한 인물이다.
  • 노아 - 노아의 7법
    노아의 7법은 유대교에서 모든 인류에게 적용되는 일곱 가지 율법으로, 우상 숭배, 신성 모독, 살인, 간음, 절도, 동물 훼손, 사법 제도 확립을 금지하며, 이를 따르는 비유대인을 인정하고 노아주의 운동이 존재한다.
  • 전설 속 조상 - 하이크
    하이크는 아르메니아 민족의 시조로, 폭군 벨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여 아르메니아인들의 자유를 지킨 전설적인 영웅으로, 그의 이름은 아르메니아와 아르메니아인을 뜻하는 말의 어원으로 여겨지며 아르메니아 문화와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전설 속 조상 - 이스마엘
    이스마엘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아브라함과 하갈의 아들이며, 이복동생 이삭이 태어나기 전 사랑받았으나 이후 광야에서 활 쏘는 자가 되었고,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지며 특히 이슬람에서는 예언자이자 아랍 민족의 조상으로 존경받는다.
노아
기본 정보
노아의 방주
노아의 방주
다른 이름노아
누흐 (아랍어: نُوح)
직업선지자
족장
거주지고대 근동
종교적 정보
숭배 대상유대교
만다야교
기독교
드루즈교
야지디교
이슬람교
바하이 신앙
주요 성지카락 누흐의 언덕
인물 정보
출생지불명
사망지불명
관련 인물
가족아버지: 라멕
아내: 노아의 아내
아들: , 함, 야벳
기타 정보
기념일불명
상징방주
무지개
비둘기

2. 성서 속 노아 이야기

구약 성경에 따르면, 야훼는 죄악이 만연한 세상을 한탄하며 물로 심판하고자 했다. 이때 올바른 사람인 노아에게 홍수 심판 계획을 알리고 방주를 만들라고 하였다. 노아는 100년 이상 방주를 만들고 동물들과 가족들을 태워 364일간의 홍수에서 구원받았으나, 방주 밖에 있던 모든 창조물들은 물에 빠져 죽었다.[111]

방주는 물이 빠지는 날 아라라트산 등마루에 머물렀다. 노아는 물이 얼마나 빠졌는지 알기 위해 까마귀비둘기를 보냈는데, 올리브 이파리를 물고 있는 것을 보고 뭍으로 나왔다. 가족과 동물들이 방주에서 나온 후, 노아는 하느님께 제사를 드렸고, 하느님은 복을 주면서 번성하라고 하였다. 그리고 무지개를 다시는 물로 심판하지 않겠다는 언약의 징표로 주었다.

후에 그리스도는 임박한 종말을 설교하면서 노아 때의 일을 생각하라고 하였다. (마태오 복음서 24:37) "옛날에 노아가 방주를 만들었을 때 하느님께서 오래 참고 기다리셨지만 끝내 순종하지 않던 자들"(베드로의 첫째 편지 3:20)처럼 종말의 때에도 사람들이 그럴 것이라고 하였다.

창세기 홍수 이야기는 성경창세기 6–9장에 걸쳐 나타난다.[6] 이 이야기는 하느님이 인류의 악행으로 인해 땅을 물로 뒤덮어 창조 이전의 물의 혼돈 상태로 되돌리려 했으며, 그 후 노아의 방주라는 소우주를 사용하여 땅을 재창조하려 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홍수는 단순한 범람이 아니라 창조의 역전이었다.[7] 이 이야기는 홍수로 세상을 파멸시키려는 하느님의 마음을 움직인 인류의 악행, 특정 동물과 노아, 그의 가족을 위한 방주의 준비, 그리고 다시는 홍수를 보내지 않겠다는 약속(노아 언약)으로 생명의 지속을 보장하는 하느님의 약속에 대해 다룬다.

2. 1. 아담의 후예

아담의 9대손으로, 라멕의 아들이다.[4] 구약성경 창세기 5장에 아담으로부터 노아까지의 계보가 나타나있다.

일부 외경에는 노아가 천사의 혈통을 이어받았다는 전승도 존재한다. 나그함마디에서 발견된 외경 중 2000년대 이후 에녹서에 대한 판독, 해석문에 따르면, 노아의 아버지 라멕이 노아가 자신의 아들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했다는 언급이 있다.

2. 2. 방주와 대홍수

야훼는 우상숭배와 죄악, 타락이 만연한 세상을 홍수로 심판할 계획을 세우고 노아에게 방주를 만들라고 명령했다.[109] 사람들은 노아의 대홍수 예언을 무시했지만, 노아는 100년 이상 방주를 만들고 동물들과 가족들을 태워 150일간의 홍수에서 구원받았다.[110]

방주는 아라라트산에 멈췄다.[111] 노아는 물이 빠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까마귀비둘기를 보냈다.[94][95] 처음에 비둘기는 바로 돌아왔지만, 며칠 후 다시 보냈을 때는 시간이 경과한 뒤에 돌아왔고, 100일 또는 150일 후에 다시 보냈을 때는 돌아오지 않았다. 노아는 방주 문을 열고 홍수가 물러갔음을 확인한 후, 가족들과 동물들을 방주에서 나오게 했다.

성경창세기에는 노아가 방주를 만든 기간이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지만, 유대와 희랍 전승, 그리고 유대교 랍비들에 따르면 100년에서 120년 동안 방주를 만들었다고 한다.

12세기 베네치아의 모자이크로 묘사된 노아가 비둘기를 보내는 모습


40일 후 노아는 까마귀를 보냈지만, 머물 곳이 없어 돌아왔다.[94] 비둘기를 보냈지만, 마찬가지로 돌아왔다.[95] 7일 후 다시 비둘기를 보내자 올리브 잎을 물고 돌아왔고,[96] 7일 후 다시 보냈을 때는 돌아오지 않았다.[97] 노아는 물이 줄어든 것을 알고 가족과 동물들과 함께 방주에서 나와 제단을 쌓아 야훼에게 번제를 드렸다.[98][99] 야훼는 이에 대해 다시는 모든 생물을 멸망시키지 않겠다고 맹세하고, 노아와 그의 아들들을 축복하며, 그 증표로 하늘에 무지개를 걸었다.[100]

2. 3. 홍수 이후

노아는 , , 야벳을 낳았으며, 이들은 각 민족의 조상이 되었다. 은 함 족과 가나안 족의 선조가 된다.[4]

농사철 중 술에 취해 벌거벗은 노아를 발견한 함은 이 사실을 형제들에게 알렸다. 노아는 이를 부끄럽게 여겨 자신을 최초로 발견한 아들을 찾아 저주했다. 이 사건은 구약 성경 창세기 9장 19~27절에 기록되어 있다.[15]

וַיִּהְיוּ בְנֵי-נֹחַ, הַיֹּצְאִים מִן-הַתֵּבָה--שֵׁם, וְחָם וָיָפֶת; וְחָם, הוּא אֲבִי כְנָעַן|vayihyú vné-nóach, hayotz'ím min-hatévah--shem, vechám vayáfet vechám, hu avi chnáan|와이유 브네-노아흐, 하요츠임 민-하테바--쉠, 웨함 와야펫 웨함, 후 아비 케나안he

שְׁלֹשָׁה אֵלֶּה, בְּנֵי-נֹחַ; וּמֵאֵלֶּה, נָפְצָה כָל-הָאָרֶץ|shloshah eleh, b'ne-noch umeeileh, naftzah chol-haaretz|쉴로샤 엘레, 베네-노흐 우메엘레, 나프차 콜-하아레츠he

וַיָּחֶל נֹחַ, אִישׁ הָאֲדָמָה; וַיִּטַּע, כָּרֶם|vayachel noach, ish haadamah vayita, karem|와야헬 노아흐, 이쉬 하아다마 와이타, 카렘he

וַיֵּשְׁתְּ, מִן-הַיַּיִן--וַיִּשְׁכָּר; וַיִּתְגַּל, בְּתֹוךְ אָהֳלֹה|vayesht, min-hayayin--vayishkar vayitgal, b'toch aholo|와예쉬트, 민-하야인--와이쉬카르 와이트갈, 베토흐 아홀로he

וַיַּרְא, חָם אֲבִי כְנָעַן, אֵת, עֶרְוַת אָבִיו; וַיַּגֵּד לִשְׁנֵי-אֶחָיו, בַּחוּץ|vayar, cham avi chnaan, et, ervat aviv vayaged lishnei-echav, bachutz|와야르, 함 아비 케나안, 에트, 에르와트 아비브 와야게드 리쉬네-에하브, 바후츠he

וַיִּקַּח שֵׁם וָיֶפֶת אֶת-הַשִּׂמְלָה, וַיָּשִׂימוּ עַל-שְׁכֶם שְׁנֵיהֶם, וַיֵּלְכוּ, אֲחֹרַנִּית; וַיְכַסּוּ, אֵת עֶרְוַת אֲבִיהֶם, וּפְנֵיהֶם אֲחֹרַנִּית, וְעֶרְוַת אֲבִיהֶם לֹא רָאוּ|vayikach shem vayefet et-hasimlah, vayisimu al-shechem shneihem, vayelchu, achoranit vaychasu, et ervat avihem, ufneihem achoranit, v'ervat avihem lo rau|와이카흐 쉠 와예펫 에트-하쉬믈라, 와이시무 알-쉐켐 쉬네헴, 와옐후, 아호라니트 와예핫수, 에트 에르와트 아비헴, 우페네헴 아호라니트, 웨에르와트 아비헴 로 라우he

וַיִּיקֶץ, נֹחַ--מִיֵּינוֹ; וַיֵּדַע, אֵת אֲשֶׁר-עָשָׂה לוֹ בְּנוֹ הַקָּטָן|vayiketz, noach--miyeino vayeda, et asher-asah lo b'no hakatan|와이케츠, 노아흐--미예노 와예다, 에트 아쉐르-아사 로 베노 하카탄he

וַיֹּאמֶר: אָרוּר, כְּנָעַן--עֶבֶד עֲבָדִים, יִהְיֶה לְאֶחָיו|vayomer arur, k'naan--eved avadim, yihyeh l'echav|와요메르 아루르, 케나안--에베드 아바딤, 이흐예 레에하브he

וַיֹּאמֶר--בָּרוּךְ יְהוָה, אֱלֹהֵי שֵׁם; וִיהִי כְנַעַן, עֶבֶד לָמוֹ|vayomer--baruch Adonai, elohei shem vihi chnaan, eved lamo|와요메르--바루흐 아도나이, 엘로헤 쉠 비히 케나안, 에베드 라모he

יַפְתְּ אֱלֹהִים לְיֶפֶת, וְיִשְׁכֹּן בְּאָהֳלֵי-שֵׁם; וִיהִי כְנַעַן, עֶבֶד לָמוֹ|yaft elohim l'yefet, v'yishkon b'aholei-shem vihi ch'naan, eved lamo|야프트 엘로힘 레예펫, 웨이쉬콘 베아홀레-쉠 비히 케나안, 에베드 라모he

(창세기 9장 19~27절)

함이 아버지의 벌거벗은 모습을 보고 형제들에게 알린 행동 때문에, 함의 아들 가나안은 저주를 받게 되었다.[15]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효 사상과 연결될 수 있으며, 자식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관점으로 해석될 수 있다.

고전 시대 초부터 창세기 9:20–21[11]에 대한 해설가들은 노아가 최초로 포도주를 마시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그의 과도한 음주를 변호했다. 즉, 포도주의 효과를 처음 발견한 사람이었기 때문이다.[12]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이자 교부인 요한 크리소스토는 4세기에 노아의 행동을 옹호하며, 그가 포도주의 효과를 알지 못했을 것이라고 썼다.[13] 헬레니즘 유대 철학자인 필로 역시 노아를 변호했다.[14][15]

노아의 만취와 관련하여,[16] 두 가지 사실을 언급한다. (1) 노아가 취했고 "그의 장막 안에서 벌거벗었다"는 사실과 (2) 함이 "그의 아버지의 벌거벗음을 보고 그의 두 형제에게 말하였다."[22]

간결함과 텍스트의 불일치 때문에 이 이야기는 "더 실질적인 이야기에서 갈라져 나온 조각"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7] 심리학적 성서 비평 분야에서, J. H. 엘렌스와 W. G. 롤린스는 노아와 함 사이에서 일어나는 이례적인 행동을 다른 히브리 성경 텍스트와 비교하여 성행위 및 생식기의 노출과 관련하여 분석했다.

다른 해설가들은 "어떤 사람의 벌거벗음을 드러내는 것"이 성관계를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고 언급한다. 이 해석으로부터 함이 근친상간과 노아 또는 자신의 어머니를 강간한 죄를 범했다는 추측이 나온다.[22]

창세기 10장[24]은 홍수 이후에 지구상에 흩어진 민족들의 조상인 셈, 함, 야벳의 후손들을 묘사한다. 야벳의 후손 중에는 해양 민족들이 있었다(10:2–5). 함의 아들 구스는 니므롯이라는 아들을 두었는데, 그는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사람이자, 강력한 사냥꾼이 되었으며, 바빌론과 시날 땅의 왕이 되었다(10:6–10). 거기서 앗수르가 나가 니느웨를 건설했다(10:11–12). 가나안의 후손들은 시돈에서 가자 근처의 게랄까지, 그리고 소돔과 고모라까지 퍼져 나갔다(10:15–19). 셈의 후손 중에는 에벨이 있었다(10:21).

이 계보는 창세기 5장과 11장에 제시된 계보와 구조적으로 다르다. 이 계보는 한 아버지에서 많은 자손으로 이어지는 분절된 또는 나무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인구가 지구에 흩어져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이 표가 모든 인구가 한 곳에 모여 있다가 흩어졌다고 말하는 바벨탑 이야기보다 먼저 나온다는 것은 이상하다.[25]

노아는 950세에 사망했다고 전해지며,[5] 이슬람 경전인 쿠란에는 1,000세까지 살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3. 다른 종교 및 기록에서의 노아

노아는 유대교, 이슬람교, 기독교 등 다양한 아브라함 계통 종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32][33]

구약성서 창세기에 따르면, 노아의 아버지는 셋의 자손인 라멕이었다.[79] 노아는 502세에 아들 을 낳았다.[80] 히브리 성경(구약성경) 외에도 역대기상, 이사야서, 에제키엘서에 노아에 대한 언급이 있으며, 외경에는 토비트기, 지혜서, 집회서, 에스드라 2서, 마카베오 4서가 있다. 신약성경에는 마태오 복음서, 루카 복음서와 일부 서신서(히브리서,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에 언급된다.

사람들이 땅에 번성하여 딸들을 낳자, 하나님의 아들들[81]이 딸들의 아름다움에 이끌려 아내로 삼았다.[82][83] 주님께서는 사람의 수명을 120년으로 정하시고,[84] 그 무렵 네피림(악령과 인간 여성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이해됨)이 태어났는데, 이들은 옛 용사들이었다.[85]

주님께서는 사람들의 악행에 마음 아파하시며 사람과 짐승 등을 쓸어버리기로 하셨다.[86] 그러나 노아와 그의 가족, 동물들은 살아남도록 방주 건설을 명하셨다.[87] 방주는 잣나무로 만들어졌으며, 3층 구조에 내부에 많은 방이 있었다.[88]

노아의 만취, 함이 노아를 조롱하고, 노아는 가려지고, 가나안은 저주받다. 에거턴 제네시스.


''노아가 함을 저주하다'' (귀스타브 도레)


홍수 후, 노아는 포도를 재배했지만, 포도주에 취해 벌거벗은 채 잠들었다. 함이 아버지의 알몸을 보고 형제들에게 알렸고, 야벳은 아버지의 알몸을 보지 않고 옷으로 덮었다(보는 것의 금기). 노아는 함의 아들 가나안을 저주하며, 가나안의 자손이 셈과 야벳 자손의 노예가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창세기 9장 18절-25절).[101]

창세기에 따르면 노아는 950세에 죽었다. 계산상으로는 10대 손인 아브라함이 태어났을 때에도 생존해 있었지만, 그 이후의 이야기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창세기 안에서 "노아의 이야기"를 포함한 천지 창조부터 바벨탑에 이르는 이야기는 원초사라고 하며, 사실을 말한다기보다는 세계 사물의 의미와 유래에 대한 유대적인 견해를 말하는 부분으로 생각된다(틀거리 설).[102]

3. 1. 유대교

랍비들 사이에서 노아의 의로움은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15] 노아를 "그 시대의 의로운 자"로 묘사한 것은 그의 완전함이 상대적일 뿐임을 의미했다. 즉, 악한 사람들이 살던 그의 시대에는 의로운 자로 여겨질 수 있지만, 아브라함과 같은 ''차디크''의 시대에는 그렇게 의롭게 여겨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들은 노아가 멸망할 사람들을 위해 하나님께 기도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한다. 아브라함소돔과 고모라의 악인들을 위해 기도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사실 노아는 한 번도 말을 하는 모습이 나오지 않는다. 그는 단순히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그 명령에 따라 행동할 뿐이다. 이 때문에 일부 논평가들은 노아를 "털옷을 입은 의인"으로 비유하며, 그는 이웃을 무시한 채 자신의 안락함을 보장했다.[39]

노아에 대한 유대교 묘사


그러나 중세의 논평가 라시와 같은 다른 사람들은 반대로 방주를 짓는 데 120년이 걸렸고, 이는 죄인들에게 회개할 시간을 주기 위한 의도적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라시는 노아의 이름에 대한 그의 아버지의 말(נֹחַ|Noaħhe)을 "이 아이가 우리의 일과 주님께서 저주하신 땅에서 나온 우리의 수고에서 우리를 위로할 것이다(יְנַחֲמֵנו|yeNaĦamenuhe)"[40]라고 해석한다. 어떤 사람들은 이것을 노아가 새로운 번영의 시대를 예고했다는 의미로 해석한다. 아담 시대의 저주가 완화되어, 땅이 밀을 심는 곳에서도 가시와 엉겅퀴를 냈지만, 노아 시대에는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노아가 쟁기를 도입하여 이러한 안도를 상징했다고 한다.[41]

3. 2. 이슬람교

코란에는 노아(''누흐''(Nuḥ)라고 표기)에 대한 언급이 28개의 장에 걸쳐 43번 나오며, 71번째 장인 ''수라 누흐''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2][33] 노아의 이야기는 주로 그의 설교와 대홍수 이야기를 다룬다. 노아는 알라의 경고를 사람들에게 전했지만, 그들은 메시지를 거부하고 우상숭배를 계속했다.

노아는 꾸란에서 "신의 신뢰할 수 있는 사자"와 "신의 감사하는 종"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다.[51][52]

꾸란은 노아가 알라로부터 방주를 지으라는 계시를 받았다고 전한다. 땅과 하늘에서 물이 쏟아져 모든 죄인들을 멸망시켰고, 심지어 노아를 믿지 않은 그의 아들 중 한 명도 익사했다. 홍수가 끝난 후, 방주는 주디 산 꼭대기에 멈추었다.[3]

시아파 교도들은 노아가 이라크 나자프에 있는 이맘 알리 모스크 안에 알리의 옆에 안장되었다고 믿고 있다.

꾸란 29:14는 노아가 홍수가 시작되었을 때 그가 파견된 사람들 사이에서 950년 동안 살았다고 언급한다.

3. 3. 기독교

누가복음서 17장 26절에서는 노아의 홍수를 다가오는 심판의 날과 연결짓는다. "노아의 날과 같이, 인자가 올 날도 올것이라"라고 기록되어 있다.[44] 베드로후서 2장 5절에서는 노아를 "정직함의 설교자"라고 묘사한다.[44] 베드로의 첫째 편지에서는 방주를 통해 생명을 건진 것을 세례의 힘과 동일시한다. 후기 기독교인들은 방주를 교회의 예표로 생각했다. 즉, 구원은 그리스도와 그의 십자가 복음 안에서만 찾을 수 있으며, 노아 시대에는 방주 안에서만 찾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47]

비둘기가 돌아오자 오란트 제스처를 취하는 노아를 묘사한 초기 기독교 그림


베드로 전서는 세례의 힘을 방주가 그 안에 있는 사람들을 구원하는 것과 비교한다. 후기 기독교 사상에서 방주는 교회와 비교되었는데, 구원은 노아 시대에 방주 안에서만 발견될 수 있었던 것처럼, 오직 그리스도와 그의 주권 안에서만 발견될 수 있다는 것이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354–430)는 그의 저서 ''신국론''에서 방주의 치수가 인간의 신체, 즉 그리스도의 몸의 치수와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방주와 교회의 동일시는 성공회 세례 의식에서 여전히 발견되는데, 이는 "당신의 크신 자비로 노아를 구원하신" 하느님께 세례받을 아기를 교회로 받아들이시도록 간구한다.[47]

3. 4. 기타 기록

에녹서 등 외경에는 노아가 천사로부터 치유술을 배웠다는 기록이 있다.[34] 사해 문서에는 노아에 대한 다양한 버전의 이야기가 보존되어 있는데,[36] 로렌스 쉬프만은 "사해 문서에는 이 전설의 최소 3가지 다른 버전이 보존되어 있다."고 기록했다.[37] 특히 창세기 외경은 노아에 상당한 지면을 할애하고 있으며, 노아의 아버지가 그의 아들이 감시자 중 한 명에 의해 생겨난 것이 아닌가 하고 걱정했다고 전해진다.[38]

유빌리서는 노아를 언급하며, 노아가 천사로부터 치유술을 배워 자녀들이 "감시자"의 후손을 이겨낼 수 있었다고 말한다.[34] 에녹서 10:1–3 에서는 우리엘이 "지극히 높으신 분"에 의해 파견되어 노아에게 다가오는 "홍수"를 알렸다.[35]

구약성서 위경에는 정경에는 없는 요소가 담겨 있다. 예를 들어 노아의 이야기 배경(인간의 악)에 대한 내용은 위경 『에녹서』, 『요벨서』에 기술되어 있다.

  • 엘로힘의 아들들(위경 『에녹서』, 『요벨서』에서는 명백히 천사·그리고리를 가리킨다.)
  • '''네피림''' (단수형 "네필")(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온 자. 위경에서는 천사와 인간의 딸의 자식)


더욱이 구약성서 위경 『요벨서』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있다.

제15 요벨의 제3년 주기에 라멕천사 바라쿠엘과 므두셀라의 자매 사이에서 태어난 딸 비테노시와 결혼하여 노아가 태어났다. 제25 요벨의 제5년 주기의 제1년에 노아는 천사 레케엘과 라멕의 자매 사이에서 태어난 딸 엠자라와 결혼했다.

또한 같은 위경 『에티오피아어 에녹서』에는 "그의 몸은 눈처럼 하얗고, 또 장미꽃처럼 붉으며, 머리카락, (특히) 정수리의 머리카락은 양털처럼 희고, 눈은 아름답다(에티오피아어 에녹서 106:2)"라는 기술이 있다.

4. 신학적 해석 및 비교 신화

성서에 따르면, 인류와 맺은 하나님의 언약 중 두 번째는 노아와의 언약이다.[15] 첫 번째 언약은 인류의 시조로 기록된 아담과 하와와 맺었고, 세 번째 언약은 아브라함과 맺었는데, 이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조상과 맺은 언약으로 이어진다.

창세기 9장 1절부터 15절에 기록된 노아 언약의 내용은 하느님이 노아와 그의 아들들에게 복을 주며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고 말씀하신 것을 담고 있다. 또한, 다시는 땅을 황폐하게 하거나 홍수로 사람을 멸망시키지 않겠다는 약속과 그 징표로 무지개를 구름 속에 두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5] 노아에게는 동물성 음식을 먹는 것은 허용하되 피를 멀리하고, 인간의 피를 흘리는 것은 죽음으로 처벌받는 범죄라는 두 가지 명령이 주어졌다.[15]

4. 1. 노아의 세 아들과 인종 기원론 (비판적 관점)

중세 기독교에서는 노아의 세 아들인 , , 야벳을 각각 아시아인, 아프리카인, 유럽인의 조상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있었다.[15] 현대에는 이러한 해석이 인종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15] 그러나 이러한 해석 방식은 기독교근본주의, 복음주의, 성경신자 진영에서 오랫동안 해석되고 전해져온 전통적인 해석방법이기도 하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는 이러한 해석이 인종 간의 위계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

4. 2. 메소포타미아 신화와의 유사성

노아 이야기는 길가메시 서사시를 포함한 메소포타미아 홍수 신화와 매우 유사하다. 길가메시 서사시에서는 메소포타미아 신들이 인간을 파멸시키기 위해 대홍수를 보내기로 결정한다.[59] 노아와 길가메시 이야기는 홍수, 방주 건설, 동물 구원, 홍수 후 새를 날려보내는 것 등 여러 면에서 유사하여, 이 이야기가 노아 이야기의 원천으로 여겨진다.[59] 다만, 대홍수 기간, 새의 순서, 방주가 멈춘 산의 이름 등에는 차이가 있다.[59] 창세기 홍수 이야기는 길가메시 홍수 이야기를 "세세하게, 그리고 동일한 순서로" 따르고 있어, 메소포타미아 기록에서 유래했다는 것을 의심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60]

가장 오래된 기록된 홍수 신화는 메소포타미아의 아트라하시스 서사시와 길가메시 서사시에 나타난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이 신화들이 방주 건설과 보급, 부유, 물의 잦아듦, 인간 주인공의 역할 등 성경 속 홍수 이야기의 특징들의 원천이라고 설명한다.[61] ''유대 백과사전''은 후르족이 바빌로니아로부터 홍수 이야기를 물려받아 아브라함에게 전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인다.[51]

조지 스미스, 길가메시 서사시의 11번째 서판의 "바빌론 홍수 이야기"를 번역하고 읽었다.


이 백과사전은 노아가 열 번째 족장이고, 베로소스는 "대홍수의 영웅은 바빌로니아의 열 번째 대홍수 이전 왕이었다"라고 언급한 점도 유사하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대홍수 이전 왕들의 통치 기간은 18,600년에서 65,000년에 이르지만, 성경에서의 수명은 훨씬 짧다.[51] 또한, 가장 오래된 메소포타미아 홍수 기록은 수메르어로 쓰였으며, 대홍수 영웅을 지우스드라라고 부른다.[51]

이 사무엘 첸은 길가메시 서사시의 가장 오래된 버전은 홍수를 언급하지 않고, 불멸의 비밀을 찾기 위해 우트나피쉬팀과 대화하러 간 내용만 있다고 기록한다. 고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우트나피쉬팀과 지우스드라를 동일시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이전에는 다른 인물로 여겨졌다. 길가메시가 홍수 영웅을 만나는 이야기는 "길가메시의 죽음"에서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처음 언급되었고, 결국 길가메시 서사시에 수입되어 표준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62]

길가메시의 역사적 통치는 기원전 2700년경으로 추정되며,[63] 이는 가장 초기에 알려진 기록된 이야기보다 약간 앞선다. 키시의 아가와 관련된 유물 발견은 길가메시의 역사적 존재에 신빙성을 더한다.[64]

가장 초기의 수메르의 길가메시 시는 우르 제3왕조 (기원전 2100–2000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 중 하나는 길가메시가 홍수 영웅을 만나러 가는 여정과 홍수 이야기의 짧은 버전을 언급하지만, 첸은 이 이야기가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쓰여진 텍스트에 포함되었다고 기록한다.[62][65] 통일된 서사시의 가장 오래된 아카드어 버전은 기원전 2000–1700년경으로 추정된다.[66] "표준" 아카드어 버전은 홍수 이야기의 긴 버전을 포함했으며 기원전 1300년에서 1000년 사이에 편집되었다.

이 사무엘 첸은 초기 왕조 III 시대부터 고 바빌로니아 시대까지의 다양한 텍스트를 분석하여 홍수 이야기가 후기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쓰여진 텍스트에만 추가되었다고 주장한다. 첸은 수메르 왕 목록에서 홍수를 언급하는 섹션이 모두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추가된 이후의 업데이트와 편집을 통해 추가되었다는 증거를 제시한다. 세계 초기의 분수령으로서의 홍수는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메소포타미아 문학 전통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역사적 개념이었을 가능성이 높다.[62]

5. 가계도

노아의 가계도는 구약성경 창세기 5장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아담으로부터 라멕(아버지)까지 이어지는 계보는 다음과 같다.

아담─에노스게난(카이난)─마할랄렐야렛에녹- 므두셀라라멕

창세기 5장에 따르면, 노아는 아담의 9대손이다.[4]

나그함마디 등에서 발견된 외경 중 하나인 에녹서에 대한 해석에 따르면, 노아의 아버지 라멕은 노아의 외모가 다른 사람들과 다르다는 점 때문에 노아가 자신의 아들이 아닐 수도 있다는 의심을 했다고 한다. 에녹서에는 '나의 아들 라멕에게 한 아들이 태어났는데 그의 모습은 아무도 닮은 이가 없고 그의 자태는 사람과 같지 않으며, 그의 살색은 눈보다 희고 장미보다 붉다고 한다. 그의 머리털은 흰 양털보다 더 희고 그의 눈동자는 햇빛과 같아서 그가 눈을 뜨면 온 집안이 환해진다'는 구절이 있다.

노아는 라멕의 아들이며, 어머니의 이름은 언급되지 않았다.[4] 노아는 , 함, 야벳이 태어나기 전 500세였다.[5]



아담style="width:50px;" |하와
카인
아벨
세트
에노스
케난
마할랄렐
예레드
에녹
므두셀라
라멕
노아
야벳




참조

[1] 서적 The Origins of the Druze People and Religion: With Extracts from Their Sacred Writings Library of Alexandria
[2] 서적 The Druze in the Middle East: Their Faith, Leadership, Identity and Status Michigan University press
[3]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ongman
[4] 서적 The History of Woman, and Her Connexion with Religion, Civilization, & Domestic Manners, from the Earliest Period https://books.google[...]
[5] 백과사전 Noe
[6] 서적 Opening Heaven's Floodgates: The Genesis Flood Narrative, Its Context, and Reception Gorgias Press
[7] 서적 Reading the Old Testament: Introduction to the Hebrew Bibl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08
[8] 성경
[9] 성경
[10] 성경
[10] 성경
[11] 성경
[12] 서적 Psychology and the Bible: From Feud to Kohut Praeger Publishers
[13] 서적 Philo
[14] 서적 Gen. Rabbah
[15] 웹사이트 NOAH - JewishEncyclopedia.com http://jewishencyclo[...]
[16] 성경
[17] 서적 Biblical Figures Outside the Bible
[18] 성경
[19] 성경
[20] 성경
[21] 성경
[22] 간행물 Noah's Nakedness and the Curse on Canaan
[23] 서적
[24] 성경
[25] 서적 Reading the Old Testament: Introduction to the Hebrew Bibl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6] 서적 Genesis: A Commentary SCM Press
[27] 서적 Genesis: A Commentary SCM Press
[28] 서적 Genesis: A Commentary SCM Press
[29] 서적 Introduction to the Hebrew Bible Fortress Press
[30] 서적 Who Wrote the Bible?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Publishers
[31]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Books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2] 웹사이트 The Kitáb-i-Íqán https://www.bahai.or[...] 2022-01-31
[33] 웹사이트 Gems of Divine Mysteries https://www.bahai.or[...] Bahá'í Reference Library 2022-01-31
[34] 서적 A Study of the Interpretation of Noah and the Flood in Jewish and Christ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RILL
[35] 서적 The Book of Enoch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36] 서적 Noah Traditions in the Dead Sea Scrolls: Conversations and Controversies of Antiquity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
[37] 서적 Encyclopedia of the Dead Sea Scrolls, Volume 2 Granite Hill Publishers
[38] 서적 A Study of the Interpretation of Noah and the Flood in Jewish and Christ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RILL
[39] 서적 Five Cities of Refuge: Weekly Reflections on Genesis, Exodus, Leviticus, Numbers, and Deuteronomy https://books.google[...] Schocken Books
[40] 성경 Genesis 5:29, 9
[41] 서적 The Book of Genesis in Jewish and Oriental Christian Interpretation: A Collection of Essays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42] 서적 Ginza Rba https://livingwaterb[...] Living Water Books
[43] 서적 Ginza: Der Schatz oder Das große Buch der Mandäer https://archive.org/[...] Vandenhoek & Ruprecht
[44] 성경 2 Peter 2:5
[45] 성경 Matthew 24:38
[46] 성경 Luke 17:26
[47] 서적 Noah Traditions in the Dead Sea Scrolls: Conversations and Controversies of Antiquity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
[48] 서적 Race, Racism, and Science: Social Impact and Interac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49] 서적 Newton and Religion: Context, Nature, and Influence Kluwer
[50] 서적 The Gnostic Gospels https://books.google[...] Orion
[51] 서적 Encyclopaedia Judaica http://catalog.hathi[...] 2019-11-29
[52]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NED-SAM https://books.google[...] Brill
[53] 간행물 Baháʼí News, No. 228 1950-02
[54] 웹사이트 The Kitab-i-Iqan: The key to unsealing the mysteries of the Holy Bible http://bahai-library[...] 2007-06-25
[55] 서적 Messages to the Baháʼí World, 1950–1957 http://reference.bah[...] Baháʼí Publishing Trust
[56] 간행물
[57] 서적 Hadhrat Nuh https://www.alislam.[...] Islam International Publications
[58] 서적 The Flood Myth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9] 서적 The Babylonian Gilgamesh Epic: Introduction, Critical Edition and Cuneiform Tex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1-08
[60] 서적 Gilgamesh and the world of Assyria Peters
[61] 백과사전 Noah
[62] 서적 The Primeval Flood Catastrophe: Origins and Early Development in Mesopotamia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63] 서적 Ancient Iraq George Allen & Unwin 1964-04
[64] 서적 Myths from Mesopotamia Oxford University Press
[65]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66] 서적 The Babylonian Gilgamesh Epic: Introduction, Critical Edition and Cuneiform Texts https://books.google[...]
[67] 백과사전 Deucalion
[68] 서적 Argonauts of the Desert: Structural Analysis of the Hebrew Bible https://books.google[...] Routledge
[69] 서적 Greek and Roman Folklore: A Handbook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70] 서적 A Study of the Interpretation of Noah and the Flood in Jewish and Christ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RILL
[71] 서적 Noah Traditions in the Dead Sea Scrolls: Conversations and Controversies of Antiquity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
[72] 서적 Josephus's Interpretation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3] 논문 Prometheus Orientalized
[74] 문서 정교회에서 구약성서의 의인들도 성인으로 기억됨
[75] 웹사이트 Иконы России: Ной, праотец http://www.iconrussi[...]
[76] 웹사이트 Ной, св. праотец; Греция.; XVI в. - православные мастерские «Русская Икона» http://www.ruicon.ru[...]
[77] 웹사이트 Каталог православных икон http://www.iconology[...]
[78] 웹사이트 Памятник праотцу Ною может появиться в Нахичевани / Православие.Ru http://www.pravoslav[...]
[79] 문서 카인의 자손인 레멕의 족보
[80]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11장 10절
[81] 웹사이트 Толкования на Священное Писание На книгу Бытия, 6. — преподобный Ефрем Сирин http://azbyka.ru/?ot[...]
[82] 문서 "신의 아들들"이 셋의 자손이라는 설
[83]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6장 1절~2절
[84]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6장 3절
[85]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6장 4절
[86]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6장 5절~7절
[87]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6장 9절~21절
[88]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6장 14절~16절
[89]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6장 18절~21절
[90]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7장 7절, 7장 13절
[91]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7장 2절~3절
[92]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7장 17절
[93]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7장 24절
[94]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8장 7절
[95]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8장 9절
[96]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7장 11절
[97]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7장 12절
[98]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7장 13절~19절
[99]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7장 20절
[100] 문서 성서 참조 구절: 창세기 7장 21절~22절, 8장 13절~16절
[101] 서적 旧約聖書 創世記 株式会社岩波書店
[102] 웹사이트 日本福音ルーテルむさしの教会「聖書の動植物 ハト」 http://www.jelc-musa[...]
[103] 서적 Reading the Old Testament: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104] 문서 구약 성경 창세기 5장
[105] 문서 구약성경 창세기 4장
[106] 문서 70인역(LXX) 본문(기원전 3세기)의 족보를 바탕으로 한 연대
[107] 문서 사마리아 오경(기원전 3세기)의 족보를 바탕으로 한 연대
[108] 문서 마소라 본문(AD 9세기) 속 족보를 기반으로 한 연대
[109] 성경구절 창세기 6장 11절-17절
[110] 문서 구약성경에는 노아 부처와 셈, 함, 야벳의 내외만 등장한다.
[111] 성경구절 창세기 8장 4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