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르수크-울람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르수크-울람 정리는 임의의 연속 함수 f: S^n → R^n에 대해 f(x) = f(-x)인 점 x가 존재한다는 정리이다. 이 정리는 스타니스와프 울람이 추측하고 카롤 보르수크가 1933년에 증명했으며, 기함수, 되돌림, 터커의 보조정리 등과 동치 명제를 갖는다. 1차원 경우의 증명은 중간값 정리를 사용하며, 일반적인 경우 대수적 위상수학 또는 조합론적 증명이 가능하다. 이 정리의 따름정리로는 R^n의 어떤 부분 집합도 S^n과 위상 동형이 아니라는 것과 햄 샌드위치 정리가 있다. 보르수크-울람 정리는 일반화될 수 있으며, 대칭 부분 집합의 경계 또는 리만 다양체에서도 성립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학 정리 - 마스터 정리
    마스터 정리는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 분석 도구로서, 점화식을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재귀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정렬 및 일반 알고리즘 분석에 활용되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적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수학 정리 - 베이즈 정리
    베이즈 정리는 조건부 확률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사건 A가 일어났을 때 사건 B가 일어날 확률과 사건 B가 일어났을 때 사건 A가 일어날 확률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사전 확률과 가능도를 이용하여 사후 확률을 계산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고정점 - 도메인 이론
    도메인 이론은 정보 조각과 부분 계산 결과로 해석되는 부분 순서 집합을 연구하여 정보 확장, 일관성 분석, 계산 과정의 수렴성 및 연속성을 형식화하는 분야로, 람다 대수 의미론 연구에서 동기를 얻어 컴퓨터 과학에 응용된다.
  • 고정점 -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는 콤팩트 볼록 집합에서 자기 자신으로 가는 연속 함수는 반드시 고정점을 가진다는 정리로, 다양한 공간에서 여러 형태로 표현되며 함수해석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위상수학 정리 - 조르당 곡선 정리
    조르당 곡선 정리는 평면에서 단순 닫힌 곡선이 평면을 유계인 내부와 무계인 외부로 나누는 기본적인 정리로, 직관적으로 자명하지만 코흐 곡선과 같은 경우 증명이 어렵고, 조르당-쇤플리스 정리, 조르당-브라우어 분리 정리 등과 관련되며, 계산 기하학, 디지털 영상 처리 등에 응용된다.
  • 위상수학 정리 -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는 유클리드 공간에서 유계인 수열이 수렴하는 부분 수열을 가진다는 정리로, 실해석학에서 중요하며 경제학의 균형 개념 증명에도 활용된다.
보르수크-울람 정리
보르수크-울람 정리
분야대수적 위상수학
설명n-차원 구에서 n-차원 유클리드 공간으로 가는 연속 함수는 반드시 반대 지점으로 같은 값을 갖는 점을 갖는다.
관련 항목고정점 정리

2. 정의

연속함수 f\colon S^n\to\mathbb R^n에 대하여,

:f(x)=f(-x)

인 점 x\in S^n\subset\mathbb R^{n+1}이 존재한다. 여기서 -xx대척점이다.

3. 역사

이 정리는 스타니스와프 울람이 추측했고, 카롤 보르수크가 1933년에 증명했다.[12]

4. 동치 명제

다음 명제들은 보르수크-울람 정리와 동치이다.[2]

4. 1. 기함수

어떤 함수 g가 모든 x에 대해 g(-x)=-g(x)를 만족하면, 이 함수를 "기함수"(또는 "대척점", "대척점 보존" 함수)라고 부른다.

보르수크-울람 정리는 다음과 같은 명제와 동치이다: n차원 구에서 유클리드 공간 n차원으로의 연속적인 기함수는 영점을 갖는다.

이에 대한 증명은 다음과 같다:

  • 만약 보르수크-울람 정리가 참이라면, 기함수에 대해서도 참이어야 한다. 기함수의 경우 g(-x)=-g(x)이므로, g(x)=0인 점이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모든 기함수 연속 함수는 영점을 갖는다.

  • 임의의 연속 함수 f에 대해, g(x)=f(x)-f(-x)로 정의된 함수 g는 연속이며 기함수이다. 만약 모든 기함수 연속 함수가 영점을 갖는다면, g는 영점을 가져야 하고, 이는 곧 f(x)=f(-x)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르수크-울람 정리가 성립한다.

4. 2. 되돌림(Retraction)

''되돌림''(Retraction)을 함수 h: S^n \to S^{n-1}으로 정의한다. 보르수크-울람 정리는 다음 주장과 동등하다: 연속적인 홀수 되돌림은 없다.

증명: 만약 정리가 옳다면, S^n에서 모든 연속적인 홀수 함수는 0을 범위에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0 \notin S^{n-1}이므로 범위가 S^{n-1}인 연속적인 홀수 함수는 존재할 수 없다.

반대로, 만약 정리가 틀리다면, 0을 갖지 않는 연속적인 홀수 함수 g: S^n \to \Bbb{R}^n이 존재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또 다른 홀수 함수 h: S^n \to S^{n-1}을 구성할 수 있다.

:h(x)=\frac{g(x)}



g는 0을 갖지 않으므로 h는 잘 정의되고 연속적이다. 따라서 연속적인 홀수 되돌림을 갖게 된다.

5. 증명

중간값 정리를 사용하면 1차원 경우를 쉽게 증명할 수 있다. 함수 gg(x) = f(x) - f(-x)로 정의하면, 이 함수는 원 위의 홀수 실수 연속 함수가 된다. 임의의 점 x에 대해 g(x) = 0이면 증명이 완료된다. 그렇지 않고, g(x) > 0이라고 가정하면, g(-x) < 0이 된다. 따라서 중간값 정리에 의해 g(y) = 0인 점 y가 존재한다.

일반적인 경우, 보르수크-울람 정리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 n > 2 인 경우, 홀수 연속 함수 h: S^n \to S^{n-1}에 대해, 대척점에 대한 작용 하에서 궤도로 이동하면 실수 사영 공간 사이에서 유도된 연속 함수 h': \mathbb{RP}^n \to \mathbb{RP}^{n-1}을 얻게 되며, 이는 기본군에서 동형을 유도한다.
  • 후레비츠 정리에 의해, \mathbb F_2 계수를 갖는 환 준동형 사상에 유도된 코호몰로지에서 b는 a로 보내진다. 하지만 그러면 b^n = 0a^n \neq 0으로 보내지게 되므로 모순이다.[3]
  • 임의의 홀수 사상 S^{n-1} \to S^{n-1}이 홀수의 차수를 갖는다는 더 강한 명제를 보일 수도 있으며, 이 결과를 통해 정리를 추론할 수 있다.
  • 터커의 보조정리를 통해서도 보르수크-울람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2][4][5]

5. 1. 1차원 경우

중간값 정리를 사용하면 1차원 경우를 쉽게 증명할 수 있다.

gg(x)=f(x)-f(-x)로 정의된 원 위의 홀수 실수 연속 함수라고 하자. 임의의 x를 선택한다. 만약 g(x)=0이면 증명이 완료된 것이다. 그렇지 않고, 일반성을 잃지 않고 g(x)>0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g(-x)<0이다. 따라서 중간값 정리에 의해 g(y)=0인 점 y가 존재한다.

5. 2. 일반적인 경우

일반적인 경우 보르수크-울람 정리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 n > 2 인 경우, 홀수 연속 함수 h: S^n \to S^{n-1}에 대해, 대척점에 대한 작용 하에서 궤도로 이동하면 실수 사영 공간 사이에서 유도된 연속 함수 h': \mathbb{RP}^n \to \mathbb{RP}^{n-1}을 얻게 되며, 이는 기본군에서 동형을 유도한다.
  • 후레비츠 정리에 의해, \mathbb F_2 계수를 갖는 환 준동형 사상에 유도된 코호몰로지에서 b는 a로 보내진다. 하지만 그러면 b^n = 0a^n \neq 0으로 보내지게 되므로 모순이다.[3]
  • 임의의 홀수 사상 S^{n-1} \to S^{n-1}이 홀수의 차수를 갖는다는 더 강한 명제를 보일 수도 있으며, 이 결과를 통해 정리를 추론할 수 있다.
  • 터커의 보조정리를 통해서도 보르수크-울람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2][4][5]
  • 연속적인 홀함수 g : S^n \to \R^n에 대해, g는 콤팩트 공간 영역에서 연속이므로 균등 연속이다.
  • 길이가 최대 \delta인 가장자리를 갖는 S_n의 삼각화를 정의하고, 각 꼭짓점 v에 라벨 l(v)\in {\pm 1, \pm 2, \ldots, \pm n}을 부여한다.
  • 터커의 보조정리에 의해 반대 라벨을 가진 인접한 두 꼭짓점 u, v가 존재한다.
  • 삼각화 구성에 의해 g(u)g(v) 사이의 거리는 최대 \epsilon이므로, |g(u)_1 - g(v)_1| = |g(u)_1| + |g(v)_1| \leq \epsilon 이다.
  • |g(u)| \leq c_n \epsilon이며, 여기서 c_n 은 선택한 노름 |\cdot| n 에 의존하는 상수이다.
  • 위는 모든 \epsilon > 0에 대해 참이고, S_n은 콤팩트이므로 |g(u)|=0인 점 u가 존재한다.

5. 2. 1. 대수적 위상수학적 증명

h: S^n \to S^{n-1}n > 2인 홀수 연속 함수라고 가정한다(경우 n = 1은 위에서 다루었고, 경우 n = 2는 기본적인 덮개 이론을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대척점에 대한 작용 하에서 궤도로 이동하면, 실수 사영 공간 사이에서 유도된 연속 함수 h': \mathbb{RP}^n \to \mathbb{RP}^{n-1}을 얻게 되며, 이는 기본군에서 동형을 유도한다. 후레비츠 정리에 의해, \mathbb F_2 계수를 갖는 환 준동형 사상에 유도된 코호몰로지에서 [여기서 \mathbb F_2는 두 원소를 갖는 체를 나타낸다],

: \mathbb F_2[a]/a^{n+1} = H^*\left(\mathbb{RP}^n; \mathbb{F}_2\right) \leftarrow H^*\left(\mathbb{RP}^{n-1}; \mathbb F_2\right) = \mathbb F_2[b]/b^{n},

ba로 보낸다. 하지만 그러면 b^n = 0a^n \neq 0으로 보내지게 되므로 모순이다.[3]

임의의 홀수 사상 S^{n-1} \to S^{n-1}이 홀수의 차수를 갖는다는 더 강한 명제를 보일 수도 있으며, 이 결과를 통해 정리를 추론할 수 있다.

5. 2. 2. 조합론적 증명

터커의 보조정리를 통해 보르수크-울람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2][4][5]

g : S^n \to \R^n를 연속적인 홀함수라고 가정하자. ''g''는 콤팩트 공간 영역에서 연속이므로 균등 연속이다. 따라서 모든 \epsilon > 0에 대해, S_n에서 서로 \delta 이내에 있는 두 점의 ''g''에 대한 상(image)은 서로 \epsilon 이내에 있다.

길이가 최대 \delta인 가장자리를 갖는 S_n의 삼각화를 정의하고, 각 꼭짓점 v에 라벨 l(v)\in {\pm 1, \pm 2, \ldots, \pm n}을 다음과 같이 부여한다.

  • 라벨의 절댓값은 ''g''에서 절댓값이 가장 큰 좌표의 ''인덱스''이다: |l(v)| = \arg\max_k (|g(v)_k|).
  • 라벨의 부호는 ''g''의 부호와 같다: l(v) = \sgn (g(v)) |l(v)|.


''g''가 홀함수이므로 라벨링도 홀함수이다: l(-v) = -l(v). 터커의 보조정리에 의해 반대 라벨을 가진 인접한 두 꼭짓점 u, v가 존재한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l(u)=1, l(v)=-1이라고 가정하면, ''l''의 정의에 의해 g(u)g(v) 모두 좌표 #1이 가장 큰 좌표이다. g(u)에서는 이 좌표가 양수이고 g(v)에서는 음수이다. 삼각화 구성에 의해 g(u)g(v) 사이의 거리는 최대 \epsilon이므로, |g(u)_1 - g(v)_1| = |g(u)_1| + |g(v)_1| \leq \epsilon 이다. (g(u)_1g(v)_1은 반대 부호를 가지므로) 또한 |g(u)_1| \leq \epsilon이다. g(u)의 가장 큰 좌표가 #1이므로, 모든 1 \leq k \leq n에 대해 |g(u)_k| \leq \epsilon이다. 따라서 |g(u)| \leq c_n \epsilon이며, 여기서 c_n 은 선택한 노름 |\cdot| n 에 의존하는 상수이다.

위는 모든 \epsilon > 0에 대해 참이고, S_n은 콤팩트이므로 |g(u)|=0인 점 ''u''가 존재한다.

6. 따름정리(결과)


  • '''R'''''n''영어의 어떤 부분 집합도 ''S''''n''영어과 위상 동형이 아니다.
  • 햄 샌드위치 정리: '''R'''''n''영어에 있는 모든 콤팩트 집합 ''A''1, ..., ''An''에 대해, 항상 각 집합을 같은 크기의 두 부분 집합으로 나누는 초평면을 찾을 수 있다.

7. 동치인 결과들

우리는 위에서 터커의 보조정리로부터 보르수크-울람 정리를 증명하는 방법을 보였다. 역도 또한 성립한다. 즉, 보르수크-울람 정리로부터 터커의 보조정리를 증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두 정리는 서로 동치이다.

세 가지 동치 변형으로 제공되는 몇 가지 고정점 정리가 있다. 대수적 위상수학 변형, 조합론적 변형 및 집합 덮개 변형이다. 각 변형은 완전히 다른 논증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증명할 수 있지만, 각 변형은 또한 행의 다른 변형으로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맨 위 행의 각 결과는 동일한 열에서 그 아래에 있는 결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6]

대수적 위상수학조합론집합 덮개
브라우어 고정점 정리스퍼너의 보조정리크나스터-쿠라토프스키-마주르키에비츠 보조정리
보르수크-울람 정리터커의 보조정리러스터닉-슈니렐만 정리


8. 일반화

함수 ''f''의 정의역은 원래 단위 ''n''-구(단위 ''n''-공의 경계)이다. 일반적으로, ''f''의 정의역이 원점을 포함하는 \R^n의 열린 유계 대칭 부분 집합의 경계일 때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대칭은 ''x''가 부분 집합에 속하면 -''x''도 부분 집합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7]

더 일반적으로, M이 콤팩트한 ''n''차원 리만 다양체이고 f: M \rightarrow \mathbb{R}^n이 연속 함수라면, 임의의 주어진 \delta > 0에 대해 f(x) = f(y)이고 ''x''와 ''y''가 길이 \delta의 측지선으로 연결되는 점 ''x''와 ''y''가 M에 존재한다.[8][9]

점을 그 대척점으로 매핑하는 함수 ''A''를 고려하면, A(x) = -x이고 A(A(x))=x이다. 원래 정리에서는 f(A(x))=f(x)인 점 ''x''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A(A(x))=x인 모든 함수 ''A''에 대해서도 참이다.[10] 그러나, 일반적으로 다른 함수 ''A''에 대해서는 이것이 참이 아니다.[11]

참조

[1] 논문 On the Continuum Fallacy: Is Temperature a Continuous Function? 2023-07-30
[2] 학위논문 Extensions of the Borsuk–Ulam Theorem Harvey Mudd College 2002
[3] 서적 An Introduction to Algebraic Topology Springer-Verlag 1988
[4] 논문 A constructive proof of Tucker's combinatorial lemma
[5] 논문 Consensus-halving via theorems of Borsuk–Ulam and Tucker https://scholarship.[...]
[6] 간행물 A Borsuk–Ulam equivalent that directly implies Sperner's lemma https://scholarship.[...]
[7] 서적 Borsuk fixed-point theorem springer
[8] 논문 Eine Verallgemeinerung bekannter Abbildungs-und Überdeckungssätze
[9] 논문 Hopf-type theorems for f-neighbors
[10] 논문 On Theorems of Borsuk-Ulam, Kakutani-Yamabe-Yujobo and Dyson, I
[11] 웹사이트 Generalization of Borsuk-Ulam https://mathoverflow[...] Math Overflow 2015-05-18
[12] 저널 Drei Sätze über die ''n''-dimensionale euklidische Sphäre 193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