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볼리비아의 최상위 축구 리그로, 1914년 지역 협회와 대회가 창설되면서 시작되었다. 1977년 프로 축구 리그인 리가 데 푸트볼 프로페시오날 볼리비아노(LFPB)가 설립되었고, 2017년 FBF 규약 변경 이후 '디비시온 프로페시오날'로 명칭이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리그는 역년 방식으로 운영되며, 2024년에는 16개 팀이 참가한다. 역대 우승팀으로는 클루브 볼리바르가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7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세군다 디비시온 B
세군다 디비시온 B는 스페인의 4부 축구 리그로, 1977년 3부 리그로 재출범하여 2021-22 시즌 리그 시스템 개편으로 4부 리그로 강등되면서 세군다 디비시온 RFEF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80개 팀이 4개 그룹으로 나뉘어 경쟁하여 상위 팀은 승격, 하위 팀은 강등된다. - 1977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부류축구련맹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부류축구련맹전은 북한의 최상위 축구 리그로서, 기술혁신경기대회에서 시작하여 홈 앤 어웨이 리그전 형태를 갖추었으며, AFC컵에 참가하고, 추춘제로 운영되며, 평양에서 대부분 경기가 개최되고, 4.25체육단이 최다 우승팀이며, 려명체육단이 최근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다. - 볼리비아 축구에 관한 - 클루브 볼리바르
클루브 볼리바르는 1925년 창단된 볼리비아의 축구 클럽으로, 시몬 볼리바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볼리비아 프로 축구 리그에서 30번 우승하고 더 스트롱기스트와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으며, 2021년 시티 풋볼 그룹의 파트너 클럽이 되었다. - 볼리비아 축구에 관한 - 클루브 산호세
클루브 산호세는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4회 우승한 축구 클럽으로, 흰색-파란색 홈 유니폼을 입고 에스타디오 헤수스 베르무데스에서 경기하며, CONMEBOL 주관 대회에서 16강에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볼리비아 |
대륙 | CONMEBOL |
설립 연도 | 1950년 |
참가 팀 수 | 16 |
강등 | 코파 시몬 볼리바르 |
리그 등급 | 1 |
국내 컵 | 코파 볼리비아 코파 데 라 디비시온 프로페시오날 |
대륙 컵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코파 수다메리카나 |
최근 우승팀 | 더 스트롱기스트 (16회 우승) |
최근 시즌 | 2023 |
최다 우승팀 | 볼리바르 (30회 우승) |
최다 득점자 | 빅토르 우고 안텔로 (350골) |
최다 출장 | 호셀리토 바카 (653경기) |
방송사 | FútbolCanal |
웹사이트 | fbf.com.bo |
현재 시즌 | 2024 시즌 |
명칭 | |
스페인어 | 리가 데 풋볼 프로페시오날 볼리비아노 |
로마자 표기 | Liga de Fútbol Profesional Boliviano |
국제 음성 기호 | /ˈliɣa ðe ˈfuðβol pɾofesjoˈnal βoliˈβjano/ |
영어 | Bolivian Professional Football League |
2. 역사
볼리비아 축구는 1914년 지역 협회와 각 협회별 대회가 창설되면서 시작되었다. 라 파스 축구 협회(AFLP)는 최초로 조직된 단체였다.[1] 1950년, 볼리비아 축구는 프로화를 선언하고 "토르네오 프로페시오날"을 창설했다.[1]
1960년, 볼리비아 축구 연맹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참가할 팀을 결정하기 위해 전국 챔피언십인 "코파 시몬 볼리바르"를 창설했다.
197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참패 이후, 1977년 16개 팀이 "리가 데 푸트볼 프로페시오날 볼리비아노"(LFPB)를 설립하여 자율적으로 챔피언십을 조직했다.[2] LFPB 창설 이후, 볼리비아 축구 연맹(FBF)의 역할은 국제 대회 대표팀 관리로 제한되었고, LFPB는 1부 리그 운영을, LPFA는 2부 리그 운영을 담당했다.
2017년, FBF의 규약 변경으로 LFPB와 ANF는 "디비시온 프로페시오날"과 "디비시온 아피시오나도스"로 대체되었고, 2018년부터 FBF가 두 리그를 모두 관리한다.
개최 기간은 남아메리카의 다른 나라들처럼 역년 방식(1월~12월)을 따르지만, 2005-06 시즌과 2011-12~2016-17 시즌은 연도 이월 방식(8월~다음해 6월)이었다. 2003년부터 전후기제(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가 도입되었다.
2. 1. 아마추어 시대 (1914년 ~ 1949년)
볼리비아 축구 조직은 1914년 지역 협회와 각 협회별 대회가 창설되면서 시작되었다. 라 파스 축구 협회(AFLP)는 1914년부터 1949년까지 29번의 챔피언십을 개최하며 최초로 조직된 단체였다. AFLP는 수년간 볼리비아 최고의 축구 토너먼트로 여겨졌다. 1950년 이 단체는 규약을 수정하여 볼리비아에서 스포츠의 프로화를 허용했고, 이에 따라 "토르네오 프로페시오날"이 창설되었다.[1]2. 2. 프로화 초기 (1950년 ~ 1976년)
볼리비아 축구 조직은 1914년 지역 협회와 각 협회별 대회가 창설되면서 시작되었다. 라 파스 축구 협회(AFLP)는 1914년부터 1949년까지 29번의 챔피언십을 개최하며 최초로 조직된 단체였다. AFLP는 수년간 볼리비아 최고의 축구 토너먼트로 여겨졌다. 1950년 이 단체는 규약을 수정하여 볼리비아에서 스포츠의 프로화를 허용했고, 이에 따라 "토르네오 프로페시오날"이 창설되었다.[1]1950년에서 1959년까지는 라 파스, 오루로(1954년부터), 코차밤바(1955년) 클럽만 챔피언십에 참가했다. 나머지 지역에서는 축구가 여전히 아마추어였기 때문이다.
1960년 말, 볼리비아 축구 연맹은 최근에 창설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볼리비아를 대표할 챔피언을 배출하기 위해 전국 챔피언십을 창설했다. "코파 시몬 볼리바르"라고 명명된 이 대회는 지역 협회의 챔피언과 준우승팀들이 참가했다.
2. 3. 리가 데 푸트볼 프로페시오날 볼리비아노 (LFPB) 시대 (1977년 ~ 2017년)
197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브라질에 8-0, 페루에 5-0으로 패배하는 등 몰락을 겪자, 일부 클럽들은 자체 리그를 만들 필요성을 느꼈다. 그 결과, 1977년 16개 팀이 각 협회에서 분리되어 "리가 데 푸트볼 프로페시오날 볼리비아노"(LFPB)를 설립하고 챔피언십을 자율적으로 조직했다.[2]LFPB의 창설로 FBF의 역할은 볼리비아의 국제적 대표로 제한되었고, LFPB는 1부 리그 토너먼트 조직을 담당하게 되었다. LPFA는 나머지 지역 협회와 함께 2부 리그 (및 하위 리그) 지역 토너먼트를 조직했다. 이는 2014년 농구 리그(LIBOBASQUET) 창설 전까지 볼리비아에서 최초이자 유일한 프로 스포츠 리그였다.
2. 3. 1. 리그 형식 변화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챔피언십 형식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77년 시작 당시 리그는 16개 클럽이 두 개의 시리즈로 나뉘어 진행되었지만, 1980년대 중반부터는 매년 두 개의 토너먼트를 치르는 14개 클럽으로 전환되었다. 일부 팀의 경제적 문제로 1991년에는 참가 팀 수가 12개로 줄었다. 2005년에는 팀들이 국제 FIFA 일정에 맞추기로 결정하면서 시즌이 2월부터 12월까지가 아닌 8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어 국제 토너먼트 진출 팀을 결정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었다. 2005년에는 2월부터 6월까지 짧은 토너먼트가 열렸고, 2005-06 시즌은 8월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2부 리그 팀들이 2006년 6월까지 강등을 연기하는 것에 대해 불만을 가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협상 끝에 리그는 최하위 팀의 강등이 ''아페르투라'' 토너먼트 종료 후 이루어지도록 결정하여 볼리비아 리그는 시즌 중간에 팀이 강등되는 특이한 토너먼트가 되었다. 하지만 이 결정은 2006년 11월에 번복되었고, 리그는 2007년 3월에 ''아페르투라'' 토너먼트로 시작하는 2007년에 다시 달력 연도 시즌으로 전환되었다. 2018 시즌에는 팀 수가 12개에서 14개로 증가했다.2008 시즌에는 처음으로 평소의 두 개의 토너먼트 대신 세 개의 토너먼트가 열렸다. 아페르투라 토너먼트는 3월부터 7월까지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클라우수라 토너먼트는 8월부터 10월까지 팀들이 각각 6개 팀으로 구성된 두 개의 시리즈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A조는 모든 서부 팀(및 우니베르시타리오)으로, B조는 모든 동부 팀(및 빌스터만과 아우로라)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조의 상위 두 팀이 준결승 및 결승에 진출했다. 새로 도입된 플레이오프 토너먼트는 홈 앤 어웨이 경기로 구성되었으며 (처음으로 원정 다득점 규칙이 사용됨).
지난 두 시즌의 평균 점수로 강등 팀이 결정되며, 최하위 팀은 직접 강등되고 코파 시몬 볼리바르 우승팀으로 대체된다. 밑에서 두 번째 팀은 코파 시몬 볼리바르 준우승팀과 강등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개최 기간은 남미의 다른 많은 나라와 마찬가지로 역년 방식이다. 2005-06 시즌만 연도 이월 방식으로 개최되었지만, 2007년부터 다시 역년 방식으로 돌아갔다.(2011-12~2016-17 시즌은 연도 이월 방식, 2018년부터는 역년 방식) 2003년부터는 전후기제(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가 도입되었다.
2. 4. 디비시온 프로페시오날 시대 (2018년 ~ 현재)
2017년 볼리비아 축구 연맹(FBF) 규약 변경 이후, LFPB와 ANF는 각각 "디비시온 프로페시오날"(프로 디비전)과 "디비시온 아피시오나도스"(아마추어 디비전)로 대체되었으며, 2018년부터 두 리그 모두 FBF가 관리한다.[2] 챔피언십 형식은 수년에 걸쳐 변경되었는데, 2018 시즌에는 참가 팀 수가 12개에서 14개로 증가했다.개최 기간은 남미의 다른 많은 나라와 마찬가지로 역년 방식이다. 2005-06 시즌만 연도 이월 방식으로 개최되었지만, 2007년부터 다시 역년 방식으로 돌아갔다. (2011-12~2016-17 시즌은 연도 이월 방식, 2018년부터는 역년 방식) 2003년부터는 전후기제(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가 도입되었다.
3. 리그 구성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977년에 설립되었으며, 2024년 현재 16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그는 여러 차례 형식이 변경되었는데, 초기에는 16개 팀이 두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되다가 1980년대 중반부터는 매년 두 번의 토너먼트를 치르는 14개 팀으로 운영되었다. 1991년에는 참가 팀 수가 12개로 줄었고, 2018년에 다시 14개 팀으로 늘어났으며, 2024년 현재 16개 팀으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2005년에는 국제축구연맹(FIFA) 일정에 맞춰 시즌을 2월~12월에서 8월~6월로 변경하려 했으나, 2부 리그 팀들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결국 2007년부터 다시 2월~12월 일정으로 돌아갔다.
강등 팀은 지난 두 시즌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최하위 팀은 코파 시몬 볼리바르 우승팀으로 자동 대체되고, 밑에서 두 번째 팀은 코파 시몬 볼리바르 준우승팀과 강등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2020 시즌 참가팀의 연고지는 다음과 같다.
- - 엘 알토: 올웨이즈 레디
- - 키야코요: 아틀레티코 팔마플로르
- - 코차밤바: 아우로라, 호르헤 윌스테르만
- -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 블루밍, 오리엔테 페트롤레로, 레알 산타 크루스, 로열 파리
- - 라파스: 볼리바르, 더 스트롱게스트
- - 포토시: 나시오날 포토시, 레알 포토시
- - 오루로: 산 호세
- - 몬테로: 과비라
클럽명 | 홈 타운 |
---|---|
올웨이즈 레디 | 엘 알토 |
아틀레티코 팔마플로르 | 키야코요 |
아우로라 | 코차밤바 |
블루밍 |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 |
볼리바르 | 라파스 |
과비라 | 몬테로 |
호르헤 윌스테르만 | 코차밤바 |
나시오날 포토시 | 포토시 |
오리엔테 페트롤레로 |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 |
레알 포토시 | 포토시 |
레알 산타 크루스 |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 |
로열 파리 |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 |
산 호세 | 오루로 |
더 스트롱게스트 | 라파스 |
3. 1. 2024 시즌 참가팀
팀 |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
알웨이즈 레디 | 엘 알토 | 무니시팔 데 비야 잉헤니오 | 25,000 |
아우로라 | 코차밤바 | 펠릭스 카프릴레스 | 32,000 |
블루밍 |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 | 라몬 타우이치 아귈레라 | 38,000 |
볼리바르 | 라파스 | 에르난도 실레스 | 42,000 |
과비라 | 몬테로 | 힐베르토 파라다 | 13,000 |
GV 산 호세 | 오루로 | 헤수스 베르무데스 | 33,000 |
인데펜디엔테 페트롤레로 | 수크레 | 올림피코 파트리아 | 30,700 |
호르헤 윌스터만 | 코차밤바 | 펠릭스 카프릴레스 | 32,000 |
나시오날 포토시 | 포토시 | 빅토르 아구스틴 우가르테 | 32,105 |
오리엔테 페트롤레로 |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 | 라몬 타우이치 아귈레라 | 38,000 |
레알 산타 크루스 |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 | 레알 산타 크루스 | 14,000 |
레알 토마야포 | 타리하 | IV 센테나리오 | 15,000 |
로얄 파리 |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 | 라몬 타우이치 아귈레라 | 38,000 |
산 안토니오 불로 불로 | 엔트레 리오스 | 카를로스 비예가스 | 17,000 |
더 스트롱게스트 | 라파스 | 에르난도 실레스 | 42,000 |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빈토 | 빈토 | 이폴리토 라사르테 | 2,000 |
3. 2. 역대 우승 클럽
1914년부터 1949년까지는 라파스 축구 협회(AFLP) 주관 대회가 있었다.볼리비아에서 전국 규모 리그전은 오랫동안 존재하지 않았다. 1960년부터 1976년까지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출전 클럽을 결정하는 코파 시몬 볼리바르라는 전국 규모 토너먼트전이 열렸고, 1977년에 프로 리그가 발족했다. 코파 시몬 볼리바르의 명칭은 현재 볼리비아 2부 리그(세군다 디비시온)의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개최 기간은 남미의 다른 많은 나라와 마찬가지로 역년 방식이다. 2005년-2006년 시즌만 연도 이월 방식으로 개최되었지만, 2007년부터 다시 역년 방식으로 돌아갔다.(2011-12~2016-17 시즌은 연도 이월 방식, 2018년부터는 역년 방식) 2003년부터는 전후기제(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가 도입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3. 2. 1. 프로화 이후 (1950년~)
1950년 볼리비아 축구는 프로화 시대를 맞이했다. 1950년 볼리바르가 프로화 이후 첫 우승을 차지했고, 리토랄이 준우승했다. 1951년에는 알웨이즈 레디가 첫 우승을, 볼리바르가 준우승을 차지했다. 1952년에는 더 스트롱게스트가, 1953년에는 볼리바르가 다시 우승을 차지했다.1954년부터 1957년까지는 토르네오 인테그라도 인터데파르타멘탈(AFLP) 대회가 열렸다. 1954년 리토랄이 우승했고, 더 스트롱게스트가 준우승했다. 1955년에는 산 호세가 첫 우승을 차지했고, 차코 페트롤레로가 준우승했다. 1956년 볼리바르가 세 번째 우승을, 1957년 알웨이즈 레디가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57년에는 토르네오 나시오날 믹스토(AFO – AFC) 대회가 열려 호르헤 윌스터만이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1958년과 1959년에도 호르헤 윌스터만이 연이어 우승하며 강세를 보였다.
1960년부터는 토르네오 마요르 데 라 레푸블리카(FBF) 대회가 열렸다. 1960년 호르헤 윌스터만이 네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1961년에는 데포르티보 무니시팔이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62년에는 차코 페트롤레로가 라 파스 리그에서 우승했지만, 전국 타이틀로 인정받지는 못했다. 1963년 아우로라가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64년부터는 코파 시몬 볼리바르(FBF) 대회가 열렸다. 1964년 더 스트롱게스트가 두 번째 우승을, 1965년 데포르티보 무니시팔이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66년 볼리바르가 네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1967년 호르헤 윌스터만이 다섯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68년 볼리바르가 다섯 번째 우승을, 1969년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라 파스가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70년대에는 1970년 차코 페트롤레로가 첫 우승을, 1971년 오리엔테 페트롤레로가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72년과 1973년 호르헤 윌스터만이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1974년 더 스트롱게스트가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75년 과비라가 첫 우승을, 1976년 볼리바르가 여섯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77년부터 리가 데 푸트볼 프로페시오날 볼리비아노(LFPB) 대회가 시작되었다. 1977년 더 스트롱게스트가 네 번째 우승을, 1978년 볼리바르가 일곱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79년 오리엔테 페트롤레로가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80년대에는 1980년과 1981년 호르헤 윌스터만이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1982년, 1983년, 1985년, 1987년, 1988년 볼리바르가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열한 번째, 열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84년 블루밍이 첫 우승을, 1986년과 1989년 더 스트롱게스트가 각각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대에는 1991년, 1992년, 1994년, 1996년, 1997년 볼리바르가 열세 번째, 열네 번째, 열다섯 번째, 열여섯 번째, 열일곱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 오리엔테 페트롤레로가 세 번째 우승을, 1993년 더 스트롱게스트가 일곱 번째 우승을, 1995년 산 호세가 두 번째 우승을, 1998년과 1999년 블루밍이 두 번째,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00년대에는 2000년 호르헤 윌스터만이 열 번째 우승을, 2001년 오리엔테 페트롤레로가 네 번째 우승을, 2002년 볼리바르가 열여덟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03년 더 스트롱게스트가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에서 모두 우승하며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 아페르투라에서는 볼리바르가 열아홉 번째 우승을, 클라우수라에서는 더 스트롱게스트가 열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05년 아데쿠아시온에서는 볼리바르가 스무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2005-06 시즌 아페르투라에서는 블루밍이 네 번째 우승을, 클라우수라에서는 볼리바르가 스물한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 세군도 토르네오에서는 호르헤 윌스터만이 열한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07년 아페르투라에서는 레알 포토시가 첫 우승을, 클라우수라에서는 산 호세가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08년 아페르투라에서는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수크레가 첫 우승을, 클라우수라에서는 아우로라가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3. 3. 승격 및 강등
챔피언십 형식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77년 시작 당시 리그는 16개 클럽이 두 시리즈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나, 1980년대 중반부터 매년 두 개의 토너먼트를 치르는 14개 클럽으로 전환되었다. 일부 팀의 경제 문제로 1991년에는 참가 팀 수가 12개로 줄었다. 2005년에는 국제 FIFA 일정에 맞추기 위해 시즌이 2월~12월에서 8월~6월로 변경되었다. 2005년에는 2월~6월의 짧은 토너먼트가 열렸고, 2005-06 시즌은 8월에 시작되었다. 그러나 2부 리그 팀들은 2006년 6월까지 강등 연기를 원하지 않았고, 협상 끝에 최하위 팀 강등이 '아페르투라' 토너먼트 종료 후 이루어지도록 결정되었다. 2006년 11월 이 결정은 번복되었고, 2007년 3월 '아페르투라' 토너먼트로 시작하는 달력 연도 시즌으로 다시 전환되었다. 2018 시즌에는 팀 수가 12개에서 14개로 증가했다.지난 두 시즌의 평균 점수로 강등 팀이 결정되며, 최하위 팀은 직접 강등되고 코파 시몬 볼리바르 우승팀으로 대체된다. 밑에서 두 번째 팀은 코파 시몬 볼리바르 준우승팀과 강등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참조
[1]
웹사이트
Comienza El Profesionalismo 1950-1959
http://historiadelfu[...]
Carlos Mesa Gisbert
2023-08-23
[2]
웹사이트
Y nació la liga
http://onceaonce.blo[...]
Jaime Galarza
2023-08-23
[3]
웹사이트
El torneo Clausura de la División Profesional fue suspendido de forma definitiva
El Deber
2022-11-10
[4]
웹사이트
Desaparecen la Liga y la ANF
https://www.opinion.[...]
Opinión.com.bo
2017-05-30
[5]
웹사이트
Dirigencia de la FBF debe trabajar en la liquidación de la Liga y la ANF
https://www.lostiemp[...]
Diario Los Tiempos
2018-04-12
[6]
웹사이트
Wilstermann, 14 Veces Campeón. División Profesional (DP) Campeonato Apertura 2018.
https://historiadelf[...]
https://historiadelfutbolboliviano.com/
2018-06-24
[7]
웹사이트
El fútbol profesional boliviano en evolución
https://www.lostiemp[...]
Diario Los Tiempos
2018-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