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볼리비아 축구 협회가 관할하는 팀으로, 1926년에 국제 축구에 데뷔하여 FIFA에 가입했다. 1930년, 1950년, 1994년 FIFA 월드컵에 세 차례 출전했지만,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1963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1997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했으며, 2007년 팬아메리칸 게임에서 4위를 기록했다. 현재 오스카르 비예가스가 감독을 맡고 있으며, 마르셀로 마르틴스 모레노가 최다 출장 및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리비아의 축구 - 볼리비아 축구 연맹
    볼리비아 축구 연맹은 볼리비아의 축구를 관할하는 기관으로, '삼색기' 또는 '라 베르데'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을 관리하며, 앙헬 페르난도 코스타가 회장직을 맡고 있다.
  • 볼리비아의 축구 - 볼리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볼리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라 베르데"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에스타디오 에르난도 실레스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는 볼리비아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에 꾸준히 참가하고 2023년 팬아메리칸 게임에 첫 출전하여 7위를 기록했다.
  • 남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은 1895년 창립된 칠레 축구 협회에서 운영하는 남미의 국가대표 축구팀으로, 1962년 자국 월드컵 3위, 2015년과 2016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현재는 세대교체를 진행 중이며, 아르헨티나와 페루를 라이벌로 두고 특히 페루와의 경기는 '태평양 더비'로 불린다.
  • 남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7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 첫 출전하고 193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페루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1970년대 황금기, 침체기를 거쳐 2010년대 이후 부활하고 있으며, 빨간색 사선 띠 유니폼과 열정적인 팬덤 문화가 특징이다.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볼리비아 국기
국기
별칭라 베르데 (La Verde, The Green)
로스 알티플라니코스 (Los Altiplanicos, The Highlanders)
로스 티아우아나코스 (Los Tiahuanacos, The Tiahuanacos)
협회볼리비아 축구 연맹(FBF)
대륙CONMEBOL(남아메리카)
감독오스카르 비예가스
주장루이스 아킨
최다 출장 선수마르셀로 마르틴스 모레노(108회)
최다 득점 선수마르셀로 마르틴스 모레노(31골)
홈 경기장에스타디오 에르난도 실레스
에스타디오 무니시팔 데 엘알토
FIFA 코드BOL
FIFA 랭킹85위 (2024년 4월 4일 기준)
FIFA 최고 랭킹18위
FIFA 최고 랭킹 날짜1997년 7월
FIFA 최저 랭킹115위
FIFA 최저 랭킹 날짜2011년 10월
Elo 랭킹73위
Elo 최고 랭킹22위
Elo 최고 랭킹 날짜1997년 6월
Elo 최저 랭킹86위
Elo 최저 랭킹 날짜1989년 7월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 색상녹색
원정 유니폼 색상흰색/빨간색
첫 국제 경기
첫 국제 경기 결과칠레 7–1 볼리비아
첫 국제 경기 장소산티아고(칠레)
첫 국제 경기 날짜1926년 10월 12일
최대 점수차 승리
최대 점수차 승리 경기 1볼리비아 7–0 베네수엘라
최대 점수차 승리 경기 1 장소라파스(볼리비아)
최대 점수차 승리 경기 1 날짜1993년 8월 22일
최대 점수차 승리 경기 2볼리비아 9–2 아이티
최대 점수차 승리 경기 2 장소라파스 (볼리비아)
최대 점수차 승리 경기 2 날짜2000년 3월 5일
최대 점수차 패배
최대 점수차 패배 경기 1우루과이 9–0 볼리비아
최대 점수차 패배 경기 1 장소리마(페루)
최대 점수차 패배 경기 1 날짜1927년 11월 6일
최대 점수차 패배 경기 2브라질 10–1 볼리비아
최대 점수차 패배 경기 2 장소상파울루(브라질)
최대 점수차 패배 경기 2 날짜1949년 4월 10일
월드컵
월드컵 출전 횟수3회
첫 월드컵 출전1930년 FIFA 월드컵
월드컵 최고 성적조별 리그 (1930년 FIFA 월드컵, 1950년 FIFA 월드컵, 1994년 FIFA 월드컵)
코파 아메리카
코파 아메리카 출전 횟수29회
첫 코파 아메리카 출전1926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코파 아메리카 최고 성적우승 (1963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1회
첫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199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컨페더레이션스컵 최고 성적조별 리그 (199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메달 기록
코파 아메리카우승 (1963 볼리비아)
준우승 (1997 볼리비아)

2. 역사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에 세 차례 출전했지만,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소속 국가 중 베네수엘라와 더불어 본선 승리가 없다. 1930년 초대 대회는 초청 형식으로 참가했고, 1950년 대회는 아르헨티나의 기권으로 자동 진출했으나, 두 대회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1994년 미국 월드컵 예선에서는 해발 3,600m 고지대인 라 파스 홈 경기 이점을 활용하여 우루과이를 꺾고 브라질에게 사상 첫 예선 패배를 안기며 44년 만에 본선에 진출했다. 그러나 본선에서는 독일에 0-1로 패하고, 대한민국과 0-0으로 비겼으며, 스페인에 1-3으로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1998년 월드컵 예선부터 남미 예선이 10개국 풀 리그전으로 변경되면서, 볼리비아는 홈 경기 이점보다 강팀과의 대결 증가로 인한 승률 저하를 겪었다. 다른 남미 국가들이 고지대 적응력을 높이면서 홈 강세도 약화되어 1994년 이후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하고 있다. 코파 아메리카에는 28회 출전하여 1963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볼리비아 대표팀의 역대 유니폼 공급 업체와 기간은 다음과 같다.

유니폼 공급 업체기간
페널티1977–1979
아디다스1980–1982
페널티1983–1986
아디다스1987–1988
엘 팔라시오 데 라스 고라스1989-1990
아디다스1991–1992
엄브로1993–1999
아틀레티카2000–2005
마라톤 스포츠2006–2010
왈론 스포츠2011–2014
마라톤 스포츠2015–현재



볼리비아는 라 파스의 에스타디오 에르난도 실레스에서 홈 경기를 치르는데, 이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축구 경기장 중 하나이다. 고도가 볼리비아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논란이 있었고, 국제 축구 연맹(FIFA)은 한때 고지대 경기 금지를 결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당시) 등의 항의로 FIFA는 규정을 완화했고, 2008년에는 고도 제한을 완전히 철폐했다.[15] 2024년에는 엘 알토의 에스타디오 무니시팔 데 엘 알토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볼리비아는 대한민국과 1994년 1994년 FIFA 월드컵 본선 조별 리그에서 만나 0-0 무승부를 기록했다.[10]

2. 1. 초기 역사 (1926~1950)

볼리비아 축구 협회가 창설된 지 1년 후인 1926년, 볼리비아는 국제 축구 무대에 데뷔하여 FIFA에 가입했다. 볼리비아는 1926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1926년 10월 12일에 칠레를 상대로 첫 경기를 치렀다. 비록 칠레를 상대로 먼저 골을 넣었지만, 7-1로 패했다. 볼리비아는 이어진 세 경기에서도 아르헨티나에게 0-5, 파라과이에게 1-6, 우루과이에게 0-6으로 모두 패했다.[4]

1930년, 볼리비아는 우루과이에서 열린 초대 FIFA 월드컵에 초청받은 팀 중 하나였다. 1930년 월드컵 2조에 배정된 볼리비아는 유고슬라비아브라질에게 각각 에스타디오 파르케 센트랄과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4-0으로 패했다.[5] 유고슬라비아와의 경기는 1972년까지 볼리비아가 남미 외 국가를 상대로 한 마지막 경기였다.[6]

12명의 남자가 경기장 안에 서 있고, 7명은 서 있고 5명은 웅크리고 있는 사진
1930년 FIFA 월드컵에서 유고슬라비아와의 경기에 앞선 볼리비아 국가대표팀


1930년 FIFA 월드컵 당시 볼리비아 대표팀 선수들은 유니폼에 알파벳 한 글자씩을 나눠 썼는데, 이를 모두 조합하면 '우루과이 만세'(VIVA URAGUAY)였다. 이 중 'R'은 골키퍼가 입었다.

1950년, 볼리비아는 1950년 FIFA 월드컵에 복귀했다. 아르헨티나가 예선에서 기권하면서 볼리비아는 자동 진출권을 얻었다. 브라질에서 3팀이 경기를 거부하면서 볼리비아는 우루과이와 함께 2팀으로 구성된 조에 편성되었다. 볼리비아는 벨루오리존치의 에스타디오 인데펜덴시아에서 우루과이에게 8-0으로 패했다.[7]

2. 2. 코파 아메리카 우승과 월드컵 본선 진출 (1963~1994)

볼리비아의 가장 큰 축구 업적은 1963년 남미 선수권 대회 우승으로, 7개국 중 1위를 차지하며 5승 1무, 무패 행진을 기록했다. 볼리비아가 이 대회에서 거둔 유일한 무승부는 개막전에서 에콰도르와 4-4로 비긴 경기였다. 볼리비아는 고지대에 더 익숙하다는 이점도 있었다.[8] 다음 대회인 1967년 남미 선수권 대회는 우루과이에서 열렸는데, 볼리비아는 6개 팀 중 최하위를 기록했고, 1무 4패를 기록했다. 이는 볼리비아가 디펜딩 챔피언이었기에 대중의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결과였다.

이후, 볼리비아는 1978년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에 타우이치 아길레라 아카데미아가 설립되면서 국제 무대에서 다시 부상하기 시작했는데, 이곳은 마르코 에체베리, 에르윈 산체스, 루이스 크리스탈도와 같은 선수들을 배출한 축구 학교였다.

스페인 출신 감독 사비에르 아즈카르고르타의 지휘 아래, 타우이치 출신 선수 9명을 기용한 볼리비아는 1994년 월드컵 예선에서 라 파스에서 브라질을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며 놀랍게도 브라질을 꺾은 최초의 팀이 되었고, 예선에서 베네수엘라를 상대로 7-0, 7-1 승리를 거두며 B조 2위로 1994년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9]

볼리비아는 C조에 배정되었고, 솔저 필드에서 열린 개막전에서 디펜딩 챔피언 독일과 경기를 치렀다. 전반전에 볼리비아는 독일을 압도했다. 후반전에 로타어 마테우스는 40야드를 달려 나와 마르코 "엘 디아블로" 에체베리의 턱에 팔꿈치로 가격했다. 에체베리는 마테우스를 반칙으로 보복했고 퇴장당했다. 결국, 볼리비아는 논란이 많은 오프사이드 골로 위르겐 클린스만에게 패했다. 폭스보로 스타디움에서 대한민국과 0-0으로 비긴 후, 볼리비아는 크리스탈도의 레드카드 퇴장으로 다시 10명이 뛰어야 했고, 시카고로 돌아와 스페인에게 3-1로 패했는데, 산체스가 월드컵에서 볼리비아의 첫 골을 기록했다.[10]

2. 3. 월드컵 본선 이후의 부진 (1994~현재)

볼리비아는 1994년 FIFA 월드컵 이후 부진을 겪고 있다.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부터 남미 예선 방식이 10개국 풀 리그전으로 변경되면서, 홈 경기 증가라는 이점보다 강팀과의 대결 증가로 인한 승률 저하라는 단점이 더 크게 작용했다. 다른 남미 국가들이 고지대 경기에 대한 경험을 쌓으면서 볼리비아는 홈에서의 강세를 유지하지 못했고, 1994년 이후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하고 있다.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예선부터 남미 예선 형식이 기존의 조별 리그에서 10개국 풀 리그전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볼리비아에게 있어 "홈 경기의 증가"라는 장점보다는 "강호와의 대전 수가 대폭 증가함에 따른 승률의 현저한 저하"라는 단점을 더욱 두드러지게 하는 변경이 되었다. 게다가 다른 남미 국가들도 "라파스 대책"으로 나름대로 고지에서의 경기 경험을 쌓게 되면서, 이전처럼 팀도 홈에서의 놀라운 강세를 보이지 못하게 되었고, 1994년 대회 이후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2018년 월드컵 예선에서 에콰도르와의 경기


볼리비아는 1999년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했으나, 2무 1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5년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8강에 진출했지만, 페루에게 패했다. 이후 세 번의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2021년, 볼리비아 축구 협회는 축구 시스템 재건을 다짐했다. 2023년 3월, 볼리비아는 친선 경기에서 사우디 아라비아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며 21세기에 월드컵 팀을 상대로 첫 원정 승리를 기록했다.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유니폼 공급업체와 기간은 다음과 같다.

유니폼 공급업체기간
페널티1977–1979
아디다스1980–1982
페널티1983–1986
아디다스1987–1988
엘 팔라시오 데 라스 고라스1989-1990
아디다스1991–1992
엄브로1993–1999
아틀레티카2000–2005
마라톤 스포츠2006–2010
왈론 스포츠2011–2014
마라톤 스포츠2015–현재


2. 4. 고지대 홈 경기 논란

볼리비아는 해발 높이에 위치한 에스타디오 에르난도 실레스에서 홈 경기를 치르는데, 이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축구 경기장 중 하나이다. 많은 원정팀들은 고도가 볼리비아에게 상대팀에 비해 부당한 이점을 준다고 항의했다.[13] 2007년 5월, 국제 축구 연맹(FIFA)은 건강상의 문제를 이유로 해발 2,500m를 초과하는 고지대에서의 국제 경기 금지를 결정했다.[23] 이로 인해 라파스에서 홈 경기를 할 수 없게 된 볼리비아 대표팀에 대해, 모랄레스 대통령(당시)은 2007년 6월 1일 볼리비아에 있는 해발 5,395m의 차칼타야 산 산정 부근에서 축구를 하고, 6월 12일에는 볼리비아 최고봉인 사하마 산(해발 6,542m) 산정 부근에서 직접 경기를 하는 등 항의했다.[23]

FIFA는 이러한 반응을 고려하여 제한을 3,000m로 완화했다.[14] 그럼에도 FIFA가 정한 제한보다 높은 3,600m의 라파스에 관해서는 남미 축구 연맹이 승인하면 경기 개최가 가능하도록 했다. 2007년 7월 14일, 남미 축구 연맹은 만장일치로 승인하여 이전처럼 라파스에서 경기 개최가 가능하게 되었다.[24] 2008년 5월, FIFA는 고도 제한을 완전히 철폐했다.[15]

2024년, 볼리비아 축구 연맹은 홈 경기를 해발 높이에 위치한 에스타디오 무니시팔 데 엘 알토에서 치르기로 결정했다. 이는 경기장이 최근 리모델링되었고 선수들이 사는 곳에서 경기를 할 것이라는 이유에서였다.[16]

2. 5. 대한민국과의 관계

볼리비아와 대한민국의 সরাসরি적인 축구 경기는 1994년 폭스보로 스타디움에서 열린 1994년 FIFA 월드컵 본선 조별 리그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한 것이 유일하다.[10] 당시 볼리비아는 사비에르 아즈카르고르타 감독이 이끌었고, 마르코 에체베리, 에르윈 산체스, 루이스 크리스탈도 등 타우이치 아길레라 아카데미아 출신 선수들을 주축으로 팀을 구성했다.[9] 이 경기는 1963년 남미 선수권 대회 우승 이후 국제 무대에서 다시 부상하던 볼리비아 대표팀에게 중요한 경기였다.

3. 국제 대회 경력

볼리비아는 볼리비아 축구 협회가 창설된 지 1년 만인 1926년에 국제 축구에 데뷔했으며, 같은 해 FIFA에 가입했다. 1926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개최국 칠레를 상대로 첫 경기를 치렀으나 1-7로 패했다. 이후 아르헨티나에게 0-5, 파라과이에게 1-6, 우루과이에게 0-6으로 연패했다.[4]

1930년, 볼리비아는 우루과이에서 열린 초대 FIFA 월드컵에 초청받아 참가했다. 2조에 배정된 볼리비아는 유고슬라비아브라질에게 각각 4-0으로 패했다.[5] 1950년 FIFA 월드컵에는 아르헨티나의 예선 기권으로 자동 진출권을 얻었으나, 우루과이에게 0-8로 대패했다.[7]

1963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첫 번째이자 유일한 우승을 차지한 볼리비아 대표팀


볼리비아의 가장 큰 축구 업적은 1963년 남미 선수권 대회 우승이다. 볼리비아는 개최국으로서 5승 1무를 기록하며 무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고지대에 익숙하다는 이점을 활용했다.[8] 그러나 1967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1무 4패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부진했다.

이후 타우이치 아길레라 아카데미아 설립으로 마르코 에체베리, 에르윈 산체스, 루이스 크리스탈도 등 유망주를 배출하며 다시 국제 무대에서 부상하기 시작했다.

스페인 출신 감독 사비에르 아즈카르고르타의 지휘 아래, 볼리비아는 1994년 월드컵 예선에서 브라질을 2-0으로 꺾는 등 돌풍을 일으키며 B조 2위로 1994년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9] 본선에서는 독일에게 석패하고, 대한민국과 비기고, 스페인에게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지만, 산체스가 월드컵 첫 골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0]

월드컵 이후 1995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8강에 진출했고, 자국에서 열린 1997년 대회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지만 브라질에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8]

1999년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는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와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멕시코에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8]

2015년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에콰도르를 꺾고 8강에 진출했지만, 페루에 패했다.[11] 이후 세 번의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21년, 볼리비아 축구 협회는 볼리비아 축구 시스템 재건을 목표로 하고 있다.[12]

2023년 3월 28일, 볼리비아는 친선 경기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2-1로 꺾고 21세기에 월드컵 팀을 상대로 첫 원정 승리를 기록했다.

3. 1. FIFA 월드컵

볼리비아는 FIFA 월드컵 본선에 3번(1930년, 1950년, 1994년) 출전했지만,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1930년 대회에서는 유고슬라비아브라질에게 각각 0-4로 패했다.[5] 1950년 대회에서는 우루과이에게 0-8로 대패했다.[7] 1994년 대회에서는 독일스페인에게 패하고, 대한민국과 0-0으로 비겨 월드컵 본선에서 유일한 승점을 기록했다.[10]

볼리비아는 홈 경기에서 강한 면모를 보이지만, 원정 경기에서는 약세를 보이며 1994년 대회 이후 본선 진출에 실패하고 있다.

FIFA 월드컵 기록width=1% rowspan=28|예선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선수 명단경기득점실점
1930조별 리그12위200208명단초청국 자격
1934불참참가 거부
1938
1950조별 리그13위100108명단자동 진출
1954불참참가 거부
1958예선 탈락420266
1962201123
1966410349
1970420256
19744004111
197883141025
1982410356
1986402227
1990430165
1994조별 리그21위301214명단85122211
1998예선 탈락164571821
2002184682133
20061842122037
20101843112236
2014162681730
20181842121638
20221843112342
2026예선 진행 중124171327
2030미정미정
2034
합계조별 리그3/2260151201804733100213353


3. 2. 코파 아메리카

볼리비아는 1963년 대회에서 국제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고, 34년 후 자국에서 열린 1997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이후 열린 대회에서 연달아 조별리그 탈락을 거듭하다가 2015년 대회에서 오랜만에 8강 진출을 하기도 했지만, 2016년 대회2019년 대회에서는 다시 3전 전패로 대회를 마감했다.[8]

남미 선수권 대회 / 코파 아메리카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1916CONMEBOL 회원국 아님
1917
1919
1920
1921
1922
1923
1924
1925
19265위5위4004224
19274위4위3003319
1929불참
1935
1937
1939
1941
1942
19456위6위6024316
19466위6위5005423
19477위7위7025621
19494위4위74031324
19536위6위6114615
1955불참
1956
1957
19597위7위6015423
1959기권
1963우승1위65101913
19676위6위501409
1975조별 리그8위410339
1979조별 리그6위420247
1983조별 리그8위402246
1987조별 리그7위201102
1989조별 리그9위402208
1991조별 리그9위402227
1993조별 리그10위302112
19958강8위411256
1997준우승2위6501105
1999조별 리그9위302112
2001조별 리그11위300307
2004조별 리그9위302134
2007조별 리그10위302145
2011조별 리그12위301215
20158강8위4112410
2016조별 리그14위300327
2019조별 리그12위300329
2021조별 리그10위4004210
2024조별 리그16위3003110
합계1회 우승29/48122202676109308


3. 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볼리비아는 1997년 코파 아메리카 준우승팀 자격으로 199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했다. 비록 A조 최종전에서 홈팀이자 북중미 최강팀 멕시코에게 0-1로 졌지만, 앞선 경기에서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로 각각 2-2,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멕시코에게는 선제골을 내준 이후에도 대등한 경기력으로 저력을 보여주었다.[8]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1992예선 탈락
1995
1997
1999조별 리그6위302123
2001예선 탈락
2003
2005
2009
2013
2017
합계조별 리그1/10302123


3. 4. 팬아메리칸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축구에는 2번 출전해서 출전한 2번의 대회 모두 토너먼트에 올라갔는데 1975년 대회에서는 8강, 2007년 대회에서는 4강에 이름을 올리면서 팬아메리칸 게임 축구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8]

팬아메리칸 게임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51년진출 실패
1955년
1959년
1963년
1967년
1971년
1975년2라운드8위5203414
1979년진출 실패
1983년
1987년
1991년
1995년
1999년
2003년
2007년4강4위521275
2011년진출 실패
2015년
합계2회 진출4위(1회)104151119


4. 역대 감독

역할이름
감독 오스카르 비예가스
수석 코치 오라시오 파체코
코치 가브리엘 라미레스
코치 크리스티안 파라
골키퍼 코치 구스타보 고이스 데 리라
피트니스 코치 막시밀리아노 알론소
피트니스 코치 파블로 시아시아



:''임시 감독은 이탤릭체로 표시''

역대 감독
호세 데 라 세르다 (1926)
호르헤 발데라마 (1927–1929)
울리세스 사우세도 (1930–1937)
훌리오 보렐리 (1938–1945)
디오제네스 라라 (1945–1947)
펠릭스 데에사 (1948–1950)
마리오 프레토 (1950–1952)
세사르 비치노 (1953–1958)
비센테 아라야 (1959)
다닐루 알빔 (1960–1965)
단 게오르기아디스 (1966–1967)
루디 구텐도르프 (1974)
라미로 블라컷 (1979–1981)
라울 피노 (1985)
라미로 블라컷 (1985–1987)
호르헤 하베게르 (1988–1990)
라미로 블라컷 (1991–1992)
사비에르 아즈카르고르타 (1993–1994)
안토니오 로페스 하바스 (1995–1997)
두산 드라슈코비치 (1997–1998)
엑토르 베이라 (1998–2000)
카를로스 아라곤스 (2000–2001)
호르헤 하베게르 (2001)
카를로스 트루코 (2001–2002)
달시오 지오바뇰리 (2003)
넬슨 아코스타 (2003–2004)
라미로 블라컷 (2004-2005)
오비디오 메사 (2005)
에르빈 산체스 (2006–2009)
에두아르도 비예가스 (2009)
구스타보 킨테로스 (2010–2012)
사비에르 아즈카르고르타 (2012–2014)
마우리시오 소리아 (2014)
네스토르 클라우스 (2014)
마우리시오 소리아 (2015)
훌리오 세사르 발디비에소 (2015–2016)
앙헬 기예르모 오요스 (2016)
마우리시오 소리아 (2016–2018)
세사르 파리아스 (2018)
다니엘 파리아스 (2018)
에두아르도 비예가스 (2019)
세사르 파리아스 (2019–2022)
파블로 에스코바르 (2022)
구스타보 코스타스 (2022–2023)
안토니우 카를루스 자구 (2023–2024)
오스카르 비예가스 (2024–현재)


5. 주요 선수

[19]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현재 볼리비아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마르셀로 모레노는 볼리비아 대표팀 최다 출장(108경기) 및 최다 득점(31골) 선수이다.


순위선수출장활동 기간
1마르셀로 모레노108312007–2023
2로날드 랄데스10232001-2018
3루이스 크리스탈도9351989–2005
마르코 산디9361993–2003
5호세 밀턴 멜가르8961980–1997
6후안 카를로스 아르세88152004–2022
카를로스 보르하8811979–1995
8훌리오 세사르 발디비에소85151991–2005
후안 마누엘 페냐8511991–2009
10미겔 림바8001989–2000



순위선수출장비율활동 기간
1마르셀로 모레노311080.292007–2023
2호아킨 보테로20480.421999-2009
3빅토르 우가르테16450.361947–1963
4카를로스 아라고네스15310.481977–1981
에르윈 산체스15570.261989–2005
훌리오 세사르 발디비에소15850.181991–2005
후안 카를로스 아르세15880.172004–2022
8막시모 알코세르13220.591953–1963
마르코 에체베리13710.181989–2003
10미겔 아귈라10340.291977–1983


참조

[1] 웹사이트 Famous Bolivian Footballers http://www.yourspani[...] Your Spanish Translation 2014-06-22
[2] 웹사이트 World Football Elo Ratings: Bolivia http://www.elorating[...] World Football Elo Ratings 2018-01-29
[3] 웹사이트 Ecuador 2 − Bolivia 3 http://futbol.univis[...] 2015-06-15
[4] 웹사이트 Historia de Nuestro Fútbol, Capítulo 2. Nacen la FBF y la Selección 1925-1926 https://historiadelf[...] 2011-02-11
[5] 웹사이트 Bolivia en la Copa del Mundo, Capítulo 1. Uruguay 1930 https://historiadelf[...] 2014-06-12
[6] 웹사이트 Bolivia- International Results https://www.rsssf.or[...] 2015-04-22
[7] 웹사이트 Bolivia en la Copa del Mundo, Capítulo 2. Brasil 1950 https://historiadelf[...] 2014-07-13
[8] 웹사이트 Ca2011.com http://www77.ca2011.[...]
[9] 웹사이트 TAHUICHI HISTORY http://www.tahuichi.[...] 2014-07-14
[10] 문서 1994 FIFA World Cup Technical Report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Grupo A: Bolivia derrota 3-2 a Ecuador y acaricia los cuartos http://conmebol.com/[...] 2015-06-15
[12] 웹사이트 Fernando Costa: "A reconstruir el fútbol" - JORNADA https://jornada.com.[...] 2023-03-31
[13] 뉴스 Anger Echoes in South America After FIFA Bans Games at Altitude https://www.nytimes.[...] AP 2007-05-29
[14] 뉴스 FIFA excludes La Paz from altitude ban - report https://www.reuters.[...] 2007-06-29
[15] 웹사이트 Fifa suspends ban on high-altitude football http://www.theguardi[...] 2021-10-14
[16] 웹사이트 "Wir spielen, wo wir leben": Bolivien und sein umstrittenes Stadion auf 4150 Metern https://www.kicker.d[...] 2024-10-08
[17] 웹사이트 World Cup Kits: When Bolivia wore Uruguayan shirts to ingratiate fans http://www.serieaddi[...] 2014-07-14
[18] Instagram ¡CONVOCATORIA DE LA SELECCIÓN BOLIVIANA DE FÚTBOL PARA LA FECHA 11 Y 12 DE ELIMINATORIA SUDAMERICANA. 2024-11-01
[19] 웹사이트 Bolivi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2023-02-02
[20] 웹사이트 Copa Paz del Chaco https://www.rsssf.or[...] 2022-02-09
[21] 웹사이트 Copa Mariscal Sucre https://www.rsssf.or[...] 2022-02-10
[22] 웹사이트 Famous Bolivian Footballers http://www.yourspani[...] Your Spanish Translation 2014-06-22
[23] 기사 サッカー=ボリビア大統領、国内最高峰でFIFAに抗議 https://megalodon.jp[...]
[24] 기사 FIFAがラパスでの国際試合承認 https://web.archive.[...]
[25] 웹사이트 Bolivi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www.rsssf.com[...]
[26] 문서 볼리비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