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파스는 볼리비아의 수도로, 해발 3,600m에 위치한 도시이다. 1548년 알론소 데 멘도사가 건설했으며, 원래는 인디언 거주지였다. 1898년 사실상의 국가 정부 소재지가 되었으며, 현재 볼리비아 경제, 교육, 관광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주요 명소로는 대통령궁, 산프란시스코 교회, 마녀 시장 등이 있으며, 아초칼라 축제, 알라시타스 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교통은 자동차, 대중교통, 케이블카 시스템을 이용하며, 엘알토 국제공항이 위치해 있다. 라파스는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남아메리카에 위치한 수도 - 부에노스아이레스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아르헨티나의 수도이자 자치시로, 16세기 건설과 재건을 거쳐 아르헨티나 독립의 중심지였으며 유럽 이민자 유입으로 남미 최대 도시 중 하나로 성장하여 풍부한 문화와 역사를 자랑한다.
남아메리카에 위치한 수도 - 브라질리아 브라질리아는 브라질의 수도로, 1960년 내륙 개발과 국토 균형 발전을 목표로 건설되었으며, 십자가 형태의 도시 구조와 모더니즘 건축 양식으로 유명하다.
볼리비아의 도시 - 수크레 수크레는 볼리비아의 헌법상 수도이자 추키사카 주의 주도로,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시우다드 데 라 플라타 데 라 누에바 톨레도"로 불렸으며, 볼리비아 독립 운동의 발상지이자 독립 영웅의 이름을 딴 도시로서, 역사적 건축물과 문화 유산으로 199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볼리비아의 도시 - 타리하 타리하는 볼리비아 남부 타리하 주의 주도로, 아름다운 자연과 스페인 식민지 시대 건축물이 어우러져 '볼리비아의 안달루시아'라고 불리며, '차파코스'라 불리는 주민들과 와인 생산지로도 유명하여 교통 요충지 역할을 한다.
라파스는 원래 추키아고(Chuquiago)라는 인디언 거주지였다. 1548년 알론소 데 멘도사가 이곳을 발견했으며, 도시의 정식 이름은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파스'(Nuestra Señora de La Pazes)였다. 이는 평화의 성모를 뜻하며, 곤살로 피사로를 비롯한 정복자들이 블라스코 누녜스 벨라 페루 초대 총독에 대항해 일으킨 반란 이후 평화가 회복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지어졌다.[19]
라파스 지역은 아이마라어로 추키아고 마르카(Chuquiago Marka)로 알려져 있었는데, '마르카'(marka)는 마을을, '추키 야푸'(Chuqi Yapu)는 '금광'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5][16]
1825년 스페인 아메리카 독립 전쟁 중 아야쿠초(Ayacucho)에서 공화주의(republicanism)자들이 스페인 군대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후, 도시의 공식 명칭은 "라파스 데 아야쿠초"(La Paz de Ayacucho, "아야쿠초의 평화"라는 뜻)로 변경되었다.
1898년, 라파스는 사실상의 국가 정부 소재지가 되었고, 수크레는 명목상의 역사적, 사법적 수도로 남았다. 이러한 변화는 볼리비아 경제가 포토시의 고갈된 은광산에서 오루로 근처의 주석 채굴로 이동하면서, 국가 엘리트들 사이의 경제적, 정치적 권력 분배가 변화했음을 보여준다.[21]
2. 1. 초기 역사
라파스의 역사 지구에 있는 하엔 거리에는 잘 보존된 스페인 식민지 시대 건축물들이 있습니다.
1909년에서 1920년 사이의 라파스 전경
1987년의 도시 주요 광장인 플라사 무리요
원래 추키아고(Chuquiago)라고 불리는 인디언 거주지였으며, 1548년에 알론소 데 멘도사가 이곳을 발견했다. 라파스의 정식 이름은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파스'''(Nuestra Señora de La Pazes)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곤살로 피사로와 동료 정복자들이 페루의 초대 총독인 블라스코 누녜스 벨라에 대항하여 일으켰던 반란 이후 평화가 회복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지어졌다.[19]
라파스가 위치한 지역은 아이마라어로 추키아고 마르카(Chuquiago Marka)로 알려져 있었다. "마르카"(marka)는 마을을 의미하며,[15] "추키 야푸"(Chuqi Yapu)는 아마도 이곳의 작은 강에서 금 조각을 채굴했기 때문에 '금광'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6]
스페인의 콘키스타도르들이 1535년에 이 지역에 진입했지만, 라파스는 1548년에야 건설되었다. 원래는 아메리카 원주민 마을인 라하 지역에 세워질 예정이었으나, 며칠 후 기후가 더 온화한 추키아고 계곡의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19]
스페인 국왕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인 카를 5세는 전 잉카 영토의 통치를 페드로 데 라 가스카에게 위임하였다. 가스카는 페루 내전 종식을 기념하는 새로운 도시 건설을 알론소 데 멘도사에게 명령하였고, 멘도사는 1548년 10월 20일 라파스를 건설하였으며, 후안 데 바르가스가 초대 시장으로 임명되었다.[20] 1549년, 후안 구티에레스 파니아구아는 공공 공간, 광장, 관공서 및 대성당 부지를 지정하는 도시 계획을 설계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오늘날 플라사 무리요로 알려진 플라사 데 로스 에스파뇰레스는 정부 청사와 대성당이 들어설 위치로 선택되었다.
스페인은 라파스를 굳건히 통제하였고, 스페인 국왕이 모든 정치 문제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가지고 있었지만, 해상으로 몇 달 또는 그 이상이 소요되는 협의가 이루어졌다. 1781년, 아이마라족이 투팍 카타리의 지휘 아래 6개월 동안 라파스를 포위 공격하여 교회와 정부 시설을 파괴하였다. 30년 후, 인디언들은 2개월 동안 라파스를 포위 공격하였는데, 이 사건은 에케코 전설의 기원이 되었다.
1809년, 스페인 지배로부터의 독립 투쟁은 왕당파 세력에 대한 봉기를 가져왔다. 1809년 7월 16일, 페드로 도밍고 무리요는 볼리비아 혁명이 아무도 끌 수 없는 등불을 밝히고 있다고 선언하였다. 이 봉기는 공식적으로 남아메리카의 스페인으로부터의 해방의 시작을 알렸으며, 스페인 왕관에 대한 최초의 공개적인 반란은 라파스와 수크레에서 동시에 일어났다. 이 사건은 아메리카 최초의 독립 선언으로 알려져 있으며, 볼리비아 독립 전쟁을 초래하였다.
페드로 도밍고 무리요는 몇 달 후인 1810년 1월 29일 플라사 데 로스 에스파뇰레스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볼리비아가 독립을 얻은 후, 라파스는 그를 기념하기 위해 이 광장의 이름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 그는 남아메리카 전역의 혁명의 목소리로 기억된다.
1825년, 스페인 아메리카 독립 전쟁 중 아야쿠초(Ayacucho)에서 스페인 군대를 상대로 공화주의(republicanism)자들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후, 도시의 공식 명칭은 "라파스 데 아야쿠초"(La Paz de Ayacucho, "아야쿠초의 평화"라는 뜻)로 변경되었다.
1898년, 라파스는 사실상의 국가 정부 소재지가 되었으며, 수크레는 명목상의 역사적이자 사법적 수도로 남았다. 이 변화는 볼리비아 경제가 포토시의 대부분 고갈된 은광산에서 오루로 근처의 주석 채굴로 이동하고, 그 결과 다양한 국가 엘리트들 사이의 경제적, 정치적 권력 분배가 변화되었음을 반영한다.[21]
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라파스는 원래 추키아고(Chuquiago)라고 불리는 인디언 거주지였다. 1548년 알론소 데 멘도사가 이곳을 발견했으며, 라파스의 정식 이름은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파스'''(Nuestra Señora de La Pazes)에서 유래되었다.
1548년 스페인 정복자들은 이 도시를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파스"(평화의 성모라는 뜻)라는 이름으로 건설했다. 이 이름은 4년 전 곤살로 피사로와 동료 정복자들이 페루의 초대 총독인 블라스코 누녜스 벨라에 대항하여 일으켰던 반란 이후 평화가 회복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지어졌다.[19] 1825년, 스페인 아메리카 독립 전쟁 중 아야쿠초에서 스페인 군대를 상대로 공화주의(republicanism)자들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후, 도시의 공식 명칭은 "라파스 데 아야쿠초"("아야쿠초의 평화"라는 뜻)로 변경되었다.
라파스가 위치한 지역은 아이마라어로 추키아고 마르카(Chuquiago Marka)로 알려져 있었다. 여기서 "마르카"(marka)는 마을을 의미하며,[15] "추키 야푸"(Chuqi Yapu)는 아마도 이곳의 작은 강에서 금 조각을 채굴했기 때문에 '금광'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6]
스페인의 콘키스타도르들이 1535년에 이 지역에 진입했지만, 라파스는 1548년에야 건설되었다. 원래는 아메리카 원주민 마을인 라하 지역에 세워질 예정이었으나, 며칠 후 기후가 더 온화한 추키아고 계곡의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19]
스페인 국왕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인 카를 5세는 전 잉카 영토의 통치를 페드로 데 라 가스카에게 위임하였다. 가스카는 페루 내전 종식을 기념하는 새로운 도시 건설을 알론소 데 멘도사에게 명령하였고, 멘도사는 1548년 10월 20일 라파스를 건설하였으며, 후안 데 바르가스가 초대 시장으로 임명되었다.[20] 1549년, 후안 구티에레스 파니아구아는 공공 공간, 광장, 관공서 및 대성당 부지를 지정하는 도시 계획을 설계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는 스페인 식민지 사회의 이상과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오늘날 플라사 무리요로 알려진 플라사 데 로스 에스파뇰레스는 정부 청사와 대성당이 들어설 위치로 선택되었다.
스페인은 라파스를 굳건히 통제하였고, 스페인 국왕이 모든 정치 문제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가지고 있었지만, 해상으로 몇 달 또는 그 이상이 소요되는 협의가 이루어졌다. 19세기 초에는 원주민과 기타 불만이 반복적으로 발생했다. 1781년, 아이마라족이 6개월 동안 라파스를 포위 공격하였다. 투팍 카타리의 지휘 아래, 그들은 교회와 정부 시설을 파괴하였다. 30년 후, 인디언들은 2개월 동안 라파스를 포위 공격하였다. 이 사건은 에케코 전설의 기원이 되었다. 1809년, 스페인 지배로부터의 독립 투쟁은 왕당파 세력에 대한 봉기를 가져왔다. 1809년 7월 16일, 페드로 도밍고 무리요는 볼리비아 혁명이 아무도 끌 수 없는 등불을 밝히고 있다고 선언하였다. 이 봉기는 공식적으로 남아메리카의 스페인으로부터의 해방의 시작을 알렸다. 스페인 왕관에 대한 최초의 공개적인 반란은 라파스와 수크레에서 동시에 일어났다. 이 사건은 아메리카 최초의 독립 선언으로 알려져 있으며, 볼리비아 독립 전쟁을 초래하였다.
페드로 도밍고 무리요는 몇 달 후인 1810년 1월 29일 플라사 데 로스 에스파뇰레스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볼리비아가 독립을 얻은 후, 라파스는 그를 기념하기 위해 이 광장의 이름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 그는 남아메리카 전역의 혁명의 목소리로 기억된다.
1898년, 라파스는 사실상의 국가 정부 소재지가 되었으며, 수크레는 명목상의 역사적이자 사법적 수도로 남았다. 이 변화는 볼리비아 경제가 포토시의 대부분 고갈된 은광산에서 오루로 근처의 주석 채굴로 이동하고, 그 결과 다양한 국가 엘리트들 사이의 경제적, 정치적 권력 분배가 변화되었음을 반영한다.[21]
2. 3. 독립 이후
원래 추키아고(Chuquiago)라고 불리는 인디언 거주지였다. 1548년에 알론소 데 멘도사가 이곳을 발견했으며, 라파스의 정식 이름은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파스'''(Nuestra Señora de La Pazes)에서 유래되었다.
이 지역은 주요 무역로 상에 있던 잉카 도시의 유적지였다.
스페인의 콘키스타도르들이 1535년에 이 지역에 진입했지만, 라파스는 1548년에야 건설되었다. 원래는 아메리카 원주민 마을인 라하 지역에 세워질 예정이었으나, 며칠 후 기후가 더 온화한 추키아고 계곡의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19]
스페인 국왕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인 카를 5세는 전 잉카 영토의 통치를 페드로 데 라 가스카에게 위임하였다. 가스카는 페루 내전 종식을 기념하는 새로운 도시 건설을 알론소 데 멘도사에게 명령하였고, 멘도사는 1548년 10월 20일 라파스를 건설하였으며, 후안 데 바르가스가 초대 시장으로 임명되었다.[20]
1549년, 후안 구티에레스 파니아구아는 공공 공간, 광장, 관공서 및 대성당 부지를 지정하는 도시 계획을 설계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는 스페인 식민지 사회의 이상과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오늘날 플라사 무리요로 알려진 플라사 데 로스 에스파뇰레스는 정부 청사와 대성당이 들어설 위치로 선택되었다.
스페인은 라파스를 굳건히 통제하였고, 스페인 국왕이 모든 정치 문제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가지고 있었지만, 해상으로 몇 달 또는 그 이상이 소요되는 협의가 이루어졌다. 1781년, 아이마라족이 6개월 동안 라파스를 포위 공격하였다. 투팍 카타리의 지휘 아래, 그들은 교회와 정부 시설을 파괴하였다. 30년 후, 인디언들은 2개월 동안 라파스를 포위 공격하였다. 이 사건은 에케코 전설의 기원이 되었다.
1809년, 스페인 지배로부터의 독립 투쟁은 왕당파 세력에 대한 봉기를 가져왔다. 1809년 7월 16일, 페드로 도밍고 무리요는 볼리비아 혁명이 아무도 끌 수 없는 등불을 밝히고 있다고 선언하였다. 이 봉기는 공식적으로 남아메리카의 스페인으로부터의 해방의 시작을 알렸다. 스페인 왕관에 대한 최초의 공개적인 반란은 라파스와 수크레에서 동시에 일어났다. 이 사건은 아메리카 최초의 독립 선언으로 알려져 있으며, 볼리비아 독립 전쟁을 초래하였다.
페드로 도밍고 무리요는 몇 달 후인 1810년 1월 29일 플라사 데 로스 에스파뇰레스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볼리비아가 독립을 얻은 후, 라파스는 그를 기념하기 위해 이 광장의 이름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 그는 남아메리카 전역의 혁명의 목소리로 기억된다.
1898년, 라파스는 사실상의 국가 정부 소재지가 되었으며, 수크레는 명목상의 역사적이자 사법적 수도로 남았다. 이 변화는 볼리비아 경제가 포토시의 대부분 고갈된 은광산에서 오루로 근처의 주석 채굴로 이동하고, 그 결과 다양한 국가 엘리트들 사이의 경제적, 정치적 권력 분배가 변화되었음을 반영한다.[21]
3. 지리
라파스 시에서 엘알토 시 방향을 바라본 모습
라파스 시 라이카코타 공원에서 바라본 풍경
라파스는 산악 지형이 특징이며, 눈 덮인 일리마니가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지배하고 있다
라파스는 알티플라노 지역의 동쪽 분리 지점 근처에 있는 안데스 산맥 계곡에 위치해 있다. 이 대도시권은 일리마니(라파스의 수호자), 무라라타, 와이나포토시, 차칼타야, 쿤투리리, 람푸, 차차쿠마니, 체아로코, 안코후마와 같은 주목할 만한 산들을 포함하는 코르디예라 레알 산맥 근처에 있다.
라파스는 (현재는 대부분 매립되어 있는) 초케야푸 강이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흐르면서 만들어낸 협곡에 건설되었다. 도시의 주요 간선도로는 강을 따라 대략적으로 이어져 있으며 길이에 따라 이름이 바뀌지만, 시내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중앙의 가로수가 늘어선 구간은 프라도라고 불린다.
라파스의 지형(특히 고도)은 사회적 차이를 나타낸다. 중심가의 고도는 3600m가 조금 넘으며, 절구(스리바치) 모양의 지형을 가지고 있다. 그 높이 때문에 구름 위의 도시라고 불린다. 절구의 바닥 부분에 고소득자가, 가장자리 부분에 저소득자가 거주하고 있다.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절구 내부는 거의 포화 상태가 되었기 때문에 이웃 엘알토(El Alto)로 시가지가 확장되고 있다. 시가지의 위아래로 700m 정도의 고도 차이가 있다. 부유한 주민들은 프라도 남서쪽의 도시 중앙 하부 지역에 거주한다. 많은 중산층 주민들은 도심 근처의 고층 콘도에 거주한다. 저소득 주민들은 주변 언덕에 임시로 만든 벽돌집에 거주한다. 공항이 있는 엘 알토 위성 도시는 알티플라노에 있는 협곡 서쪽의 넓은 지역에 펼쳐져 있다.
산악 지역의 눈 녹은 물과 지하 수맥이 있기 때문에 물이 부족한 일은 거의 없지만, 인프라 정비가 늦어져 단수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최근 급격한 인구 증가 지역에서는 상하수도 등의 인프라 정비가 따라가지 못해 위생적인 물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하수도가 열악하기 때문에 약간의 큰비에도 도로가 침수되기 쉽다. 2002년 2월에는 50명 이상의 사상자를 낸 수해도 발생했다.[23] 지표면(해발 0m)에 비해 산소 농도가 60% 정도에 불과하므로 여행 시 고산병에 유의해야 한다.
라파스 북쪽 약 321.87km에서 발생한 규모 8.2의 1994년 7월 지진이 있었다. 라파스 근처에서 감지되었고, 이 지역 마을 전체에 피해를 입혔다.
3. 1. 기후
라파스는 해발 3,600m의 높은 고도에 위치하여 고산 기후를 보인다. 지리적 위치와 고도 때문에 여름에는 비가 많고 겨울에는 건조하며, 기온의 계절 변화가 거의 없는 특이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60][61]
해발 4,000m가 넘는 고지대는 아고산 아열대 고지대 기후(쾨펜: ''Cwc'')를 보이며, 툰드라 기후(쾨펜: ''ET'')와 인접해 있다. 이 고도에서는 밤 기온이 매우 춥다. 겨울에는 새벽에 눈발이 날리기도 하지만 보통 정오 전에 녹는다.
해발 3,600m의 라파스 중심부와 해발 3250m의 ''Zona Sur''(남부 지역)은 기온이 더 따뜻하며 아열대 고지대 기후(쾨펜: ''Cwb'')로 분류된다.[24] 여름에는 폭우가 자주 발생하여 산사태를 일으키기도 한다. 도시 남부의 해발 3,250m 지점에서 가장 강수량이 많은 달은 1월로 월평균 114mm이고, 가장 건조한 달은 7월로 8mm이다.
도시 전체적으로 여름에는 비가 많고 겨울에는 건조하다. 11월부터 3월까지 비교적 따뜻한 달에 강수량이 집중된다. 가장 강수량이 많은 달은 1월로 월평균 100mm이며, 가장 건조한 달은 6월과 7월로 약 5mm이다.
도시의 가장 높은 지대인 4,000m 이상에서는 늦여름인 2월과 3월이 가장 흐린 달이며, 일일 평균 일조 시간은 약 5시간이다. 가장 일조량이 많은 달은 겨울인 6월과 7월로 일일 평균 일조 시간은 약 8시간이다.[25]
엘알토 국제공항(고도 4,058m)의 1991–2020년 평균 기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26][27][28][29]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 최고 기온 (°C)
14.7
14.7
14.6
15.1
15.1
14.6
14.5
15.3
15.7
16.3
17.3
15.8
평균 최저 기온 (°C)
4.3
4.3
3.4
1.2
-2.1
-4.0
-4.3
-3.3
-0.8
1.5
2.6
3.9
평균 강수량 (mm)
133.7
104.7
71.7
31.7
14.3
5.1
7.1
15.2
35.5
38.1
50.5
94.9
평균 상대 습도 (%)
66
72
67
59
48
42
43
42
48
49
51
60
라파스 (라이카코타 공원, 고도 3,650m)의 1981–2010년 평균 기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29]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 최고 기온 (°C)
18.5
18.7
18.9
19.2
19.1
17.8
17.4
18.4
19.0
19.8
20.4
20.0
평균 최저 기온 (°C)
7.4
7.3
7.2
6.3
4.6
3.3
2.8
3.7
4.8
6.2
7.0
7.5
평균 강수량 (mm)
125.5
81.0
67.5
27.1
8.9
7.9
5.3
12.1
24.5
37.8
43.9
82.3
4. 행정 구역
라파스는 7개의 도시 구역과 2개의 농촌 구역으로 나뉜다. 각 구역은 인구, 면적, 유형에 따라 구분된다.
라파스의 구역
#
구역
인구
면적(km2)
유형
지도
1
말라사(Mallasa)
5,082
32.68km2
도시
2
소나 수르(Zona Sur)
127,228
64.15km2
도시
3
산 안토니오(San Antonio)
115,659
22.59km2
도시
4
페리페리카(Periférica)
159,123
26.05km2
도시
5
막스 파레데스(Max Paredes)
164,566
13.31km2
도시
6
센트로(Centro)
64,272
5.22km2
도시
7
코타후마(Cotahuma)
153,655
16.1km2
도시
23
쏜고(Zongo)
농촌
22
함파투리(Hampaturi)
농촌
소나 수르는 가장 넓은 면적(64.15km2)을, 막스 파레데스는 가장 많은 인구(164,566명)를 가진다. 센트로는 가장 작고(면적 5.22km2), 인구도 도시 구역 중 가장 적다(64,272명). 쏜고와 함파투리는 농촌 지역으로, 인구와 면적 정보는 없다.
4. 1. 주요 지역
라파스의 주요 지역
#
구역
지도
지역
주요 도로
1
말라사(Mallasa)
--
아모르 데 디오스(Amor de Dios) • 말라사 • 뮬라 델 디아블로(Muela del Diablo) • 말라실라(Mallasilla) • 후파피나(Jupapina)
코타후마 구역에 위치하고 소포카치 근처에 있는 이 지역은 도시의 주요 주거 및 외교 지역 중 하나이다. 산 호르헤는 라파스에서 가장 고급 주택가 중 하나이자 대도시의 금융 중심지였으며, 딜로이트, 뱅크 오브 아메리카, 언스트 앤 영, BBVA와 유명한 리츠호텔과 같은 국제 기업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현재는 볼리비아에서 가장 높은 건물 중 하나인 토레 지라솔레스, 토레스 델 포에타와 볼리비아 유일의 스마트 빌딩인 토레 아술이 있다. 이 지역에는 고급 사무실, 유명 레스토랑, 박물관, 서점들이 밀집해 있다. 도시의 주요 거리 중 하나인 아르세 애비뉴는 볼리비아에서 가장 높은 가격의 거리이자 가장 고급 부티크가 많은 거리이다. 산 호르헤에는 미국, 영국, 브라질, 일본, 독일, 스페인 대사관이 있다. 세계은행, 미주개발은행, 카프, 괴테 인스티투트, 알리앙스 프랑세즈, 단테 알리기에리 협회 사무소도 이 현대적인 지역에 위치해 있다.
; 소포카치(Sopocachi)
코타후마(1구역)에 위치한 소포카치는 아마도 도시 중심에서 10분 거리에 있는 가장 오래된 주거 지역 중 하나일 것이다. 이 지역의 확장과 개발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주거용 부동산을 유지해 왔다.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이 지역의 많은 광장과 공원 중 하나인 아바로아 광장 주변에서 상업적 확장이 중요하게 이루어졌다.
; 산 페드로(San Pedro)
코타후마(1구역)에 위치하고, 초케야푸 강의 오른쪽 강둑에 있으며 "산 페드로 광장"(공식 명칭: 플라사 수크레) 주변에 건설된 이 지역에는 수많은 상점, 사업체 및 소규모 기업, 특히 인쇄, 예비 부품 및 자동차 정비 및 수리점이 있다. 산 페드로의 "로드리게스 시장"은 도시에서 가장 인기 있고 오래된 중산층 시장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산 페드로 교도소(San Pedro prison)도 이곳에 있다.
도시의 주요 간선도로 중 하나인 파세오 델 프라도(Paseo del Prado)
; 센트로(Centro)
센트로(7구역)는 도시의 시내 지역으로, 라파스의 중심부와 아르세 애비뉴, 7월 16일 애비뉴(또는 "프라도 애비뉴"로 알려짐), 마리스칼 산타 크루스 애비뉴, 카마초 애비뉴와 같은 도시의 주요 도로를 포함한다. 마지막 거리는 볼리비아의 주요 은행 및 기업 본사가 있는 곳이다.
; 카스코 비에호(Casco Viejo)
카스코 비에호(7구역)는 라파스의 역사적이고 고대 중심지이다. 현재는 라파스 시장 시청과 볼리비아 중앙은행(Central Bank of Bolivia)과 같은 박물관, 호텔, 상점 및 건물들이 있다. 구시가지에는 정부 청사와 국회가 있는 무리요 광장(Plaza Murillo)이 있다.
; 미라플로레스(Miraflores)
미라플로레스(7구역)는 긴 둑길(Parque Urbano Central, "Central Urban Park")을 사이에 두고 시내와 분리되어 있으며 아메리카스 다리(Bridge of the Americas)와 두 개의 애비뉴로 연결된다. 원래 주거 지역이었지만 성장하면서 주요 레크리에이션 중심지가 되었다. 대학(산 안드레스 마요르 대학교 의과대학 포함), 병원, 에르난도 실레스 경기장(Estadio Hernando Siles)(수용 인원 45,000명)이 있다.
; 북부 지역(Northern District)
북부 지역(2구역과 3구역)에는 주로 식품 산업을 중심으로 상당한 산업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독일인에 의해 설립된 볼리비아 국립 양조장이 가장 중요한 산업체 중 하나이며, 도시에서 가장 큰 기업 중 하나이다. 이 지역은 고속도로(autopista)를 통해 라파스를 엘 알토 시와 연결한다.
; 남부 지역(Southern District)
조나 수르(Zona Sur), 남부 지역은 라파스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입니다.
남부 지역(5구역)은 라파스의 다른 지역보다 고도가 낮다(3200m~2800m). 면적 47.8km2에 3개 구역으로 구성된 "마크로디스트리토 수르(Macrodistrito Sur)"로 언급된다. 2016년 인구 밀도는 1km²당 3,084명에 달했다. 오브라헤스, 볼로냐, 코아니, 아추마니, 산 미겔, 코타 코타, 이르파비, 세구엔코마, 오베주요, 차스키팜파, 라 플로리다, 칼라코토(Calacoto) 등의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시 지역은 라파스에서 인구와 건설 부문 모두 가장 큰 규모의 확장과 성장을 보이는 지역이다.[30] 이 지역에는 도시에서 가장 부유하고 고급스러운 지역 중 일부가 있다. 꾸준한 경제 성장의 혜택을 받아 현재 도시의 두 번째 상업 및 금융 중심지가 되었으며, 무디스, 시티뱅크, 에온, 화웨이, 밀리콤 인터내셔널 셀룰러, 닛산, 삼성전자, 팬 아메리칸 실버, 스미토모 상사 지점, 언스트 앤 영, 라파스 최대 쇼핑몰인 "메가센터"와 같은 국제 기업들이 자리 잡고 있다.
5. 경제
라파스의 경제는 최근 몇 년 동안 정치적 안정이 개선됨에 따라 크게 향상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 볼리비아가 겪은 장기간의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대규모 비공식 경제가 발전했는데, 이는 도시 전역에 있는 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안정적인 시장이 존재하지만 시내 지역과 주변 지역의 거의 모든 거리에는 적어도 한 명의 노점상이 있다.
라파스는 볼리비아 제조업의 약 3분의 2가 위치한 국가의 완제품을 생산하는 제조 기업의 주요 중심지로 남아 있다. 역사적으로 볼리비아의 산업은 광물 가공과 농산물 가공이 지배해왔으나, 라파스 도심에는 소규모 공장들이 산업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식품, 담배 제품, 의류, 다양한 소비재, 건축 자재 및 농업용 도구가 생산된다. "런던의 주석 가격은 볼리비아의 번영 지수로 라파스에서 면밀히 주시됩니다. 1925년 국가 수입의 3분의 1 이상과 총 관세의 절반 이상이 주석에서 나왔습니다. 간단히 말해, 그 초라하지만 필수적인 금속이 볼리비아 경제 생활의 중심입니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볼리비아의 주석 매장량은 ... 개발을 기다리고 있습니다."[1]
6. 교육
라파스는 볼리비아에서 가장 중요한 대학들이 위치한 도시이다.
설립
대학교
약칭
종류
2012 세계 대학 순위[31]
2012 라틴 아메리카 대학 순위[32]
학술적 성과
국내 순위[31]
웹사이트
1830년 10월 25일
산안드레스 대학교 (UMSA)
UMSA
국립
2266
182
–
2
[http://www.umsa.bo/ UMSA]
1994년 3월 21일
볼리비아 가톨릭 대학교 (UCB) 산 파블로
UCB
사립
3449
308
–
3
[http://www.ucb.edu.bo/ UCB]
–
볼리비아 중앙 대학교 (Universidad Central de Bolivia)
UNICEN
사립
4919
489
–
5
[http://www.unicen.edu.bo/ UNICEN]
–
발레 사립 대학교 (Universidad Privada del Valle)
UPV
사립
7686
757
–
8
[http://www.univalle.edu/ UPV]
–
볼리비아 사립 대학교 (UP Boliviana)
UPB
사립
8206
822
–
9
[http://www.upb.edu/ Universidad Privada Boliviana]
1950년
육군 공병학교 (Escuela Militar de Ingeniería)
EMI
국립
10670
1103
–
13
[http://www.emi.edu.bo/ EMI]
–
볼리비아 살레시오 대학교 (Universidad Salesiana de Bolivia)
사립
11280
1174
–
16
[http://www.usalesiana.edu.bo/ Salesiana]
–
누르 볼리비아 대학교 (Universidad Nur Bolivia)
사립
12461
1333
–
18
[http://www.nur.edu/ NUR]
–
로욜라 대학교 (Universidad Loyola)
사립
13398
1499
–
20
[http://www.loyola.edu.bo/ Loyola]
–
볼리비아 시몬 볼리바르 안데스 대학교 (Universidad Andina Simón Bolívar Bolivia)
UASB
국립
13418
1506
–
21
[http://www.uasb.edu.bo/ UASB]
7. 관광
라파스는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도시 중심부에서 약간 북쪽에 있는 산프란시스코 교회와 거기서 언덕을 올라가는 사가르나가 거리는 관광의 중심지이다. 이곳에는 알파카와 양의 털로 만든 스웨터, 태피스트리와 같은 민예품, 은 제품, 케냐와 차랑고 등의 민족 악기 등을 파는 가게들이 많이 모여 있다.
사가르나가 거리 근처에는 마녀 시장이 있다. 이곳에서는 기독교가 퍼지기 이전부터 아이마라족 등이 행해왔던 의식에 사용되는 도구, 각종 허브와 세라믹 인형, 라마의 태아미라 등을 판다. 라마 태아 미라는 집을 새로 지을 때 땅속에 묻어 가내 안전을 기원하는 데 사용된다.
황금 박물관 등 4개의 박물관이 있는 하엔 거리는 스페인 지배 시대의 분위기를 간직한 오래된 거리이다.
시내 북동부의 미라플로레스 지역에는 엘난도 시레스 경기장이 있다. 이 경기장은 2007년 국제축구연맹이 고도를 이유로 공인 경기장에서 제외시켜 화제가 되었으나, 현재는 다시 FIFA 월드컵 예선 경기장으로 인정받고 있다.
카니발(카르나발) 기간(2월경)과 그란 포데르 축제( ''El Gran Poder'' 또는 ''La Entrada Universitaria'') (8월경)에는 중심가의 프라도 거리와 이어지는 마리스칼 산타 크루스 거리와 몬테스 거리에서 퍼레이드가 열린다. 취주악단의 연주에 맞춰 민족 의상을 입은 사람들이 춤을 추며 행진한다. 매년 1월 24일에는 알라시타스 축제가 열린다.
7. 1. 주요 명소
축구 경기장 앞 티와나쿠 광장
시내에 있는 관광 명소, 마녀 시장
시내 중심가의 인기 관광지인 리나레스 거리의 상점들
프레지덴테 궁전(Palacio Quemado)과 라파스 평화의 성모 대성당(Cathedral Basilica of Our Lady of Peace)
1743년에 건립된 산프란시스코 대성당
하엔 거리
라파스는 볼리비아의 중요한 문화 중심지이다. 이 도시에는 산프란시스코 대성당과 무리요 광장에 위치한 대성당과 같이 식민 시대에 지어진 여러 대성당이 있다. 무리요 광장은 볼리비아의 정치 및 행정 중심지이기도 하다. 도시 전역에는 수백 개의 다양한 박물관이 있으며, 가장 주목할 만한 박물관들은 스페인 시대부터 건축 양식이 보존된 하엔 거리에 위치해 있다.
볼리비아 정부 청사는 무리요 광장에 위치해 있으며, 여러 차례 화재를 겪었기 때문에 "팔라시오 케마도"(Palacio Quemado, '불탄 궁전')로 알려져 있다. 궁전은 여러 차례 복원되었지만, 이름은 그대로 남아 있다.
라파스의 주요 명소는 다음과 같다.
박물관:
페드로 도밍고 무리요의 옛집 (박물관): 1809년 독립 혁명의 순교자 페드로 도밍고 무리요의 옛집을 보존한 박물관으로, 식민 시대의 가구, 직물 및 예술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코스툼브리스타 박물관: 19세기 초반의 삶을 보여주는 전통 의상을 입은 도자기 인형과 옛 라파스의 사진을 전시한다.
민족지학 및 민속학 박물관: 18세기 후반에 지어진 건물에 위치하며, 치파야와 아요레오 두 민족의 풍습과 예술 작품을 전시한다.
차랑고 박물관: 리나레스 거리에 위치하며, 다양한 종류의 차랑고를 전시한다. 다른 전통 악기들도 함께 전시된다.
자연사 박물관: 볼리비아의 고생물학, 지질학, 동물학 및 식물학 관련 자료들을 전시한다.
마리나 누녜스 델 프라도 가옥 박물관: 볼리비아 예술가 마리나 누녜스 델 프라도의 케추아와 아이마라를 주제로 한 조각품들을 전시한다.
국립미술관: 코메르시오 거리에 위치한 1775년에 지어진 옛 궁전에 자리 잡고 있으며, 멜코르 페레스 데 올구인과 마리나 누녜스 델 프라도 등의 작품을 전시한다.
산프란시스코 문화센터
종교 시설:
대성당: 1835년에 건립되었으며 무리요 광장에 있는 대통령궁 옆에 위치한다.
산프란시스코 교회: 1548년에 설립되고 1784년에 재건축되었다.
레콜레타의 산호세 교회: 1896년에 설립되고 1930년에 완공되었다.
엑살타시온 성당: 1956년에 설립되었다.
기타:
마녀 시장: 아이마라족의 전통에 사용되는 약초, 치료제 및 기타 재료들을 판매한다.
알라시타스 축제: 매년 1월 24일부터 2주 동안 열리는 축제이다. 중심 인물은 아이마라어로 난쟁이를 뜻하는 풍요의 작은 신 에케코이다.
볼리비아 대통령궁(Palacio Quemado): "불타는 궁전"으로도 알려져 있다.
파르케 우르바노 센트랄 (중앙 도시 공원)
달의 계곡
엘 몬티쿨로
미라도르 라이카코타
미라도르 킬리 킬리
하엔 거리
대통령궁(카사 그란데 델 푸에블로), 국회의사당, 중앙정부청사, 각국 대사관 등이 집중되어 있으며, 최고재판소를 제외한 수도 기능은 거의 모두 이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구시가지에 있는 무리요 광장 주변에는 라파스 대성당 등의 역사적 건축물이 위치해 있으며, 전통적으로 도시의 중심이었지만, 최근에는 계곡 가장 밑바닥에 있는 프라도 거리가 상업 중심지가 되고 있으며, 그 주변에는 현대적인 고층 건물들이 늘어서 있다.
도시 중심부의 약간 북쪽에 있는 산프란시스코 교회와 거기서 언덕을 올라가는 사가르나가 거리가 관광의 중심이 되고 있으며, 알파카와 양의 털로 만든 스웨터, 태피스트리와 같은 민예품, 은 제품, 케냐와 차랑고 등의 민족 악기 등을 파는 가게들이 많이 모여 있다.
사가르나가 거리 근처에는 "마녀의 시장"이라고 불리는 거리가 있으며, 기독교가 퍼지기 이전부터 아이마라족 등이 행해왔던 의식에 사용되는 도구 등이 팔리고 있다. 여기서는 각종 허브와 세라믹 인형, 라마의 태아미라 등이 팔리고 있다(라마 태아 미라는 집을 새로 지을 때 땅속에 묻어 가내 안전을 기원하는 데 사용된다).
황금 박물관 등 4개의 박물관이 있는 하엔 거리는 스페인 지배 시대의 분위기를 간직한 오래된 거리로 정취가 있다. 이 거리에는 마르카탐보라는 페냐(포크로어의 라이브 연주를 들을 수 있는 레스토랑)가 있다.
시내 북동부의 미라플로레스 지역에는 엘난도 시레스 경기장이 있다. 이 경기장은 2007년에 국제축구연맹이 그 고도를 이유로 공인 경기장에서 제외시킨 것으로 화제가 되었다. 현재는 다시 FIFA 월드컵 예선 경기장으로 인정받고 있다.
7. 2. 축제
월
축제명
장소
비고
1월
아초칼라 축제(Achocalla Festival)
(없음)
1월 첫째 주에 열림. 전통 춤, 음악, 퍼레이드. "타르케아다(tarqueada)"라는 전통 민속 무용 공연.
자동차와 대중교통은 라파스 시내로 이동하는 주요 수단이다. 2012년 3월에는 150만 대가 넘는 차량이 등록되었다.[35] 시내 중심부에서는 극심한 교통 체증이 흔하며, 러시아워에 주로 발생한다.
라파스-엘알토 고속도로는 유료도로로, 라파스 시와 인근 엘알토 시를 연결하는 주요 고속도로이다. 엘알토 국제공항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이 고속도로는 11.7km에 달하며 엘알토 시를 가로지른다.
라파스-엘알토 고속도로의 주요 유료 구간
라파스-엘알토 고속도로/RN-3 – 라파스와 엘알토를 연결한다.
라파스-오루로 고속도로/A-1 – 라파스와 오루로, 파타카마야, 카라콜로를 연결한다. 이후 국도 1호선/RN-1과 연결되어 남쪽으로 포토시, 카마르고, 타리하로 이어진다.
라파스에서 가장 부유하고 상업적인 지역 중 하나인 남부 지역은 중심업무지구(CBD)를 포함한 도시의 다른 지역과 상대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코스타네라 가(Avenida Costanera)와 칸투타니 가(Avenida Kantutani)는 남부 지역을 대도시권의 나머지 지역과 연결한다.
엘알토 국제공항
엘알토시에 위치한 엘알토 국제공항(IATA 코드: LPB)은 라파스의 국내외 공항이자 아마조나스 항공과 TAM – 볼리비아 공군 수송사령부의 주요 허브이다. 또한 볼리비아의 국적 항공사이자 최대 항공사인 볼리비아나 항공의 중심지 역할도 한다. 이 공항은 라파스 시내에서 남서쪽으로 약 12.87km 떨어져 있다. 해발 4061m에 위치하여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국제공항이자 다섯 번째로 높은 상업 공항이다.[36] 활주로 길이는 4000m이다. 호르헤 윌스터만 국제공항, 비루비루 국제공항과 함께 볼리비아의 3대 주요 국제 관문 중 하나이다.
아비앙카, LATAM 항공이 엘알토 국제공항을 이용하는 국제 항공사이며, 라파스에서 보고타, 리마, 산티아고 등의 도시로 직항편을 제공한다. 그러나 유럽행 항공편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제선은 해발고도가 훨씬 낮고 더 큰 항공기를 운항할 수 있는 산타크루스의 비루비루 국제공항을 통해 운항된다.
라파스 버스 터미널은 원래 버스 및 기차 터미널이었으며, 프랑스 건축가 구스타브 에펠이 건설했다. 이곳은 볼리비아 주요 도시로 향하는 여러 대의 버스가 매일 출발하는 주요 간선이며, 칠레와 페루로 향하는 노선도 있다. 이 도시는 도로로 오루로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곳에서 수크레, 포토시 및 볼리비아 남부로 향하는 노선이 있다. 오루로 이전에 다른 고속도로가 갈라져 코차밤바와 산타크루스 데 라 시에라에 도착한다. 서쪽으로 가는 도로는 코파카바나와 티티카카호 근처의 티와나쿠로 이어지며, 데사과데로 국경 도시를 통해 페루의 쿠스코까지 계속된다. 안데스 산맥을 넘어 융가스에 도착하는 북쪽 도로도 있다.
주내 소도시로의 출발은 비야 파티마(로스 융가스, 베니 주 및 판도 주행), 상산 페드로(아폴로행), 그리고 일반 묘지 근처(코파카바나, 티티카카 호 또는 티와나쿠를 통해 페루 국경의 데사과데로행)에 위치한 비공식 터미널을 이용한다.
세계 최대 규모의 도시형 공중 케이블카 시스템인 미 테레페리코
2014년, 교통 체증 완화를 위해 라파스 중심부와 인근 엘알토 등을 잇는 로프웨이인 미 테레피코(“내 케이블카”라는 뜻)가 개통되었다. 현재 8개 노선이 운영 중이며, 3개 노선이 추가로 계획 중이다. 초기 3개 노선은 오스트리아의 도펠마이어 가라벤타 그룹이 건설했다. 처음 두 노선(빨강, 노랑)은 라파스와 엘 알토를 연결한다. 모든 역에는 스페인어와 아이마라어 이름이 모두 표시되어 있다.
라파스 케이블카 시스템
노선
길이
소요 시간
역 수
개통
빨강
2.4km
10분
3
2014년 5월
노랑
3.9km
13.5분
4
2014년 9월
녹색
3.7km
16.6분
4
2014년 12월
파랑
4.7km
17분
5
2017년 3월
주황
2.6km
10분
4
2017년 9월
흰색
2.9km
13.1분
4
2018년 3월
하늘색
2.6km
11.8분
4
2018년 7월
보라
4.3km
16.2분
3
2018년 9월
9. 국제 관계
라파스는 1982년 10월 12일부터 이베로아메리카 수도 연합의 일원이며,[40] 1999년부터는 메르코수르 내 180개 도시로 구성된 메르코 시우다데스(Merco Ciudades)의 회원이기도 하다.[41]
9. 1. 자매 도시
라파스의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42]
국가
도시
파라과이
아순시온
콜롬비아
보고타
독일
본
우루과이
카넬로네스
쿠바
아바나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리베르타도르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러시아
모스크바
에콰도르
키토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상파울루[43]
중화민국
타이베이[44]
스페인
사라고사
안도라
안도라라벨랴
칠레
아리카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칠레
칼라마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페루
쿠스코
멕시코
엔세나다
과테말라
과테말라시티
포르투갈
리스본
스페인
마드리드[57]
니카라과
마나과
베네수엘라
메리다
멕시코
멕시코시티
파나마
파나마시티
코스타리카
산호세
푸에르토리코
산후안
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
칠레
산티아고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도밍고
볼리비아
수크레
온두라스
테구시갈파
참조
[1]
웹사이트
Bolivia.com – Turismo : La Paz
http://www.bolivia.c[...]
2014-01-01
[2]
웹사이트
TelluBase—Bolivia Fact Sheet (Tellusant Public Service Series)
https://tellusant.co[...]
Tellusant
2024-01-11
[3]
웹사이트
Informe Nacional sobre Desarrollo Humano Bolivia 2016
http://www.bo.undp.o[...] [4]
웹사이트
La Paz (Municipality, Bolivia)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Map and Location
https://www.citypopu[...]
2024-09-11
[5]
웹사이트
Bolivia: Proyecciones de Población según Departamento y Municipio, 2012–2020.
https://www.ine.gob.[...]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Estado Plurinacional de Bolivia (Bolivia's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2020-05-29
[6]
웹사이트
Bolivia Facts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6-08-14
[7]
웹사이트
The Incredible Mountain City of La Paz, Bolivia
http://www.amusingpl[...]
Amusing Planet
2016-08-14
[8]
웹사이트
La Paz: National Administrative Capital of Bolivia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6-08-14
[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La Paz, Bolivia
http://www.boliviabe[...]
Bolivia Bella
2016-08-14
[10]
웹사이트
Sucre: National Constitutional Capital, Bolivia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6-08-14
[11]
웹사이트
La importancia económica de La Paz
http://www.economiab[...]
Economía Bolivia
[12]
뉴스
The Witches' Market in La Paz, Spells are Hot Seller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03-05-30
[13]
뉴스
Top 10 Nightlife Cities
http://travel.nation[...]
National Geographic
2015-01-22
[14]
뉴스
A Bolivian Subway in the Sky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5-08-11
[15]
웹사이트
www.katari.org
https://www.katari.o[...]
2021-05-01
[16]
웹사이트
Acta de fundacion de La Paz, Bolivia
https://jorgemachica[...]
2021-08-20
[17]
뉴스
CHUQUIAGO MARKA,Y LA EXPANSIÓN DE TIWANAKU
http://www.laprensa.[...]
2013-10-06
[18]
뉴스
Evo sugiere cambiar el nombre de La Paz por Chuquiago Marka
http://www.la-razon.[...]
2017-10-20
[19]
서적
450 Anos De La Fundación De La Paz
Canelas
[20]
서적
Alonzo de Mendoza: Fundador de La Paz
Biblioteca Popular Boliviana de Última Hora
[21]
백과사전
La Paz
http://encarta.msn.c[...]
Microsoft Encarta Online Encyclopedia
[22]
뉴스
La rebelión de las cholas
https://elpais.com/e[...]
2015-04-18
[23]
뉴스
Fifty dead in shock Bolivian flood
http://news.bbc.co.u[...]
2002-02-21
[24]
웹사이트
Climate: La Paz (altitude: 3610 m)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5]
웹사이트
La Paz Climate La Paz Temperatures La Paz Weather Averages
http://www.la-paz.cl[...] [26]
간행물
Klimatafel von La Paz – El Alto (Int. Flugh.) / Bolivien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7]
웹사이트
La Paz / Alto Climate : Temperature 1991-2020
https://meteostat.ne[...]
Meteostat
2024-12-18
[28]
웹사이트
Station La Paz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9]
웹사이트
Base de datos Sistema Meteorológico–SISMET
http://senamhi.gob.b[...]
Servicio Nacional de Meteorología e Hidrología de Bolivia
[30]
웹사이트
Macrodistrito Sur
http://sitservicios.[...]
2016
[31]
웹사이트
Bolivia: Ranking Mundial
http://www.webometri[...]
2009-08-15
[32]
웹사이트
Bolivia: Ranking Latinoamerica
http://www.webometri[...]
2009-08-15
[33]
웹사이트
Ritual journeys in La Paz during Alasita
https://ich.unesco.o[...]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017
[34]
웹사이트
The festival of the Santísima Trinidad del Señor Jesús del Gran Poder in the city of La Paz
https://ich.unesco.o[...]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019
[35]
뉴스
Public Transport in La Paz
http://www.laprensa.[...]
La Prensa
2012-10-03
[36]
웹사이트
The Highest International Airport In The World
http://www.oneyearof[...]
2007-10-26
[37]
웹사이트
Zongo Glacier retreat
https://glacierchang[...]
2009-12-13
[38]
웹사이트
Water scarcity, climate change and Bolivia: Planning for climate uncertainties
https://glacierchang[...]
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 (SEI)
2013
[39]
뉴스
Glacier threat to Bolivia capital
http://news.bbc.co.u[...]
2009-12-04
[40]
웹사이트
Declaración de Hermanamiento múltiple y solidario de todas las Capitales de Iberoamérica (12-10-82)
http://www.munimadri[...] [41]
웹사이트
Mercocities: member cities
http://www.mercociud[...]
Mercociudades.org
[42]
웹사이트
Hermanamientos
https://www.lapaz.bo[...]
La Paz
[43]
웹사이트
Cidades-Irmãs de São Paulo
https://www.prefeitu[...]
São Paulo
[44]
웹사이트
International Sister Cities
https://www.tcc.gov.[...]
Taipei City Council
[45]
웹사이트
El Alcalde
http://www.lapaz.bo/[...]
GOBIERNO AUTÓNOMO MUNICIPAL DE LA PAZ
[46]
웹사이트
Bolivia/Cities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
2017-05-02
[47]
문서
遅野井(2006:132)
[48]
문서
樺山編(1981:50)
[49]
문서
樺山編(1981:50-51)
[50]
문서
樺山編(1981:52-53)
[51]
문서
樺山編(1981:58)
[52]
웹사이트
Historical weather for La Paz, Bolivia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53]
웹사이트
La Paz, Bolivia
http://climatebase.r[...]
Climatebase.ru
[54]
웹사이트
BBC Weather - La Paz
http://www.bbc.co.uk[...]
BBC Weather
[55]
웹사이트
「明るい」街に生まれ変わる? ボリビアの貧困地区で景観改善プロジェクト
https://www.afpbb.co[...]
AFP
2019-10-26
[56]
문서
樺山編(1981:40)
[57]
웹사이트
Mapa Mundi de las ciudades hermanadas
http://www.munimadri[...]
Ayuntamiento de Madrid
[58]
웹사이트
Pesquisa de Legislação Municipal - No 14471
http://www3.prefeitu[...] [59]
웹사이트
Lei Municipal de São Paulo 14471 de 2007
http://pt.wikisource[...] [60]
웹인용
Historical weather for La Paz, Bolivia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61]
웹인용
Médias e registros - La Paz, Bolívia
http://br.weather.co[...]
The Weather Channel (in Portugue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