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은사 영산전 십육나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은사 영산전 십육나한도는 1895년 봉은사 영산전 건립 시 제작된 7폭의 불화 중 4폭으로, 16나한을 4폭에 나누어 그린 것이다. 19세기 서울·경기 지역의 대표적인 화승들이 참여하여 제작되었으며, 서울·경기 지역 불화의 화풍을 보여주는 미술사적 가치를 지닌다. 현재 영산전 후불탱화 좌우에 각 2폭씩 걸려 있으며, 일부 존자도는 결실되어 복원되었다. 각 존자도에는 존자명이 적혀 있고, 화기를 통해 제작에 참여한 화승들과 시주자들의 정보를 알 수 있다. 심산유곡을 배경으로 다양한 모습의 나한들을 묘사하고 있으며, 청록산수 배경은 조선 말기 민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 및 관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한도 - 서울 진관사 십육나한도
서울 진관사 십육나한도는 1804년에 제작된 조선 후기 불화로, 석가모니불의 제자인 16나한을 묘사하여 섬세한 인물 묘사와 유려한 필선, 개성적인 나한들의 표현으로 조선 후기 불교 회화의 수준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아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어 현재 진관사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 1895년 작품 - 서울 봉은사 영산회상도
서울 봉은사 영산회상도는 1895년에 제작된 불화로,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여러 권속들을 묘사하고 녹색과 적색을 주조색으로 사용했으며 인물의 개성적인 표현과 음영법을 통해 19세기 말 불화의 특징을 보여주는 문화재이다. - 19세기 회화 작품 - 카드놀이하는 사람들
폴 세잔이 1890년대 초에 그린 유화 연작인 카드놀이하는 사람들은 카드 게임에 몰두한 농민들의 모습을 담은 2명에서 5명의 인물이 등장하는 다섯 점의 그림과 다수의 습작으로 구성되며 세계 유수의 미술관에 소장되어 세잔의 작품 세계를 대표하는 중요한 연작으로 평가받는다. - 19세기 회화 작품 - 루앙 대성당 (모네)
《루앙 대성당》은 클로드 모네가 1892년부터 1894년까지 루앙 대성당을 주제로 빛의 변화에 따라 30점 넘게 그린 연작 회화이며, 1895년 전시회를 통해 호평을 받았다.
봉은사 영산전 십육나한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봉은사 십육나한도 |
한자 표기 | 奉恩寺 十六羅漢圖 |
국가 | 서울특별시 |
유형 |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238 |
지정일 | 2007년 9월 27일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73 |
시대 | 조선시대 (1895년) |
수량 | 12폭 |
참고 | 서울 봉은사 |
좌표 | 37° 30′ 55″ N, 127° 3′ 24″ E |
문화재청 ID | 21,02380000,11 |
상세 정보 | |
제작 시기 | 1895년 |
2. 제작 배경 및 특징
1895년 봉은사 영산전을 건립하면서 7폭의 불화를 제작, 봉안하였는데, 이 중 4폭이 십육나한도이다. 16나한을 4폭에 나누어 그렸으며, 각 존자는 독립적으로 묘사되었다. 현재 영산전 후불탱화 좌우로 각 2폭씩 걸려있다. 원래는 향우측에 홀수 존자, 향좌측에 짝수 존자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현재는 순서가 뒤섞여 있다. 제10, 11, 13, 15존자도는 결실되어 1955년에 만봉(萬峰)과 석성(碩成)이 새로 그렸다.
각 존자도의 왼쪽 상단에는 주지묵서(朱地墨書)로 존자명이 적혀있다. 제3존자와 4존자, 16존자 아래, 그리고 5존자와 7존자 사이 등 4군데에 화기가 남아있어, 상규(尙奎), 경선 응석(慶船 應釋) 등 많은 화승들이 참여하여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나한들은 심산유곡을 배경으로 시자와 시동을 거느리고 다양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선정에 들거나, 염주를 돌리거나, 경전을 읽거나, 파안대소하거나, 시자의 말을 경청하는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나한의 모습은 젊은 사미승 또는 백발이 성성한 노인의 모습이 대부분이다. 배경이 되는 산수는 청록산수로, 조선 말기 민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산 위에 분리대처럼 일렬로 세워진 나무는 19세기 서울, 경기지역의 감로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이 불화는 19세기 서울·경기지역의 대표적인 화승들이 대거 참여하여 제작한 나한도이며, 서울·경기지역 불화의 지역적 화풍을 살펴볼 수 있는 작품이다. 비록 4폭이 결실되었지만,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 1. 도상 및 배치
2. 2. 화풍 및 화승
3. 소실 및 복원
4. 화기(畫記)
4. 1. 제3존자도 화기
화기(畵記)에는 대시주(大施主)인 중부 소립동(小笠洞)에 사는 건명(乾命) 경진생(庚辰生) 이씨(李氏)와 곤명(坤命) 경술생(庚戌生) 최씨(崔氏), 장자(長子) 경인생(庚寅生) 계창(桂昌)을 비롯하여 불화 제작에 참여한 화승(畵僧)들과 시주자들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1] 참여한 화승으로는 금어(金魚)인 금곡 영환(金谷永煥), 비구(比丘) 영명 천기(永明天機)·한봉 창엽(漢峯瑲燁)·경선 응석(慶船應釋)·덕월 응륜(德月應崙)·허곡 긍순(虛谷亘巡)·금하 기형(錦荷機炯)·금성 성전(錦城性詮)·범화 윤익(梵華潤益)·상규(尙奎)·선명(善明) 등이 있다.[1]4. 2. 제4존자도 화기
제4존자도에는 봉안 장소, 연화소, 간사, 금어, 시주자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1] 화기(畵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1]羅漢各部幀四𨋀奉安于廣州修道山奉恩寺 緣化所 幹事淇泫 誦呪瀛珠持殿泰還 金魚片手尙奎 比丘性㻇 比丘景冾 沙彌在謙 供司相贊 鍾頭 一雨 化主 慈船 施主秩 信女丙申生宋氏眞明花 亡夫丁丑生礪山宋氏 亡母癸酉生全州李氏 亡母戊戌生驪州李氏 亡祖夫甲辰生延安李氏[1]
4. 3. 제5존자도와 7존자도 사이의 화기
대조선개국 504년 을미 12월 20일에 영산각부 합 7폭 및 개금개채를 시작하여 26일에 필하여 수도산 봉은사 영산전에 봉안하였다. 연화질은 연응기현, 설봉태문이며, 편수비구는 상규, 금어는 금하기형, 비구운조, 창호이다.[1]4. 4. 제16존자도 화기
연화소는 설봉태문이 증명하고, 용호영주가 송주, 비구 태환이 지전, 상규·경선응석·비구종선·사미창민이 금어, 비구 상찬이 공사, 비구 일우가, 월봉법능이 도감, 해옹자선이 화주를 맡았다.[1] 이러한 인연 공덕으로 부처의 수기를 받아 극락정토에 태어나기를 바라는 불교적 염원이 담겨 있다.[1]5. 문화재적 가치 및 평가
이 그림은 1895년 봉은사 영산전을 건립하면서 제작, 봉안한 7폭 불화 가운데 4폭으로, 16나한을 4폭으로 나누어 그린 것이다. 19세기 서울·경기지역의 대표적인 화승들이 대거 참여하여 제작한 나한도로 서울·경기지역 불화의 지역적 화풍을 살펴볼 수 있는 미술사적 가치를 지닌 작품이다.
현재 영산전의 후불탱화 좌우로 각 2폭씩 걸려있는데, 16존자를 각각 독립적으로 한 존자씩 그린 후 4존자를 한 폭으로 하여 총 4폭으로 구성하였다. 원래 16나한도는 향우측에 홀수 존자, 향좌측에 짝수 존자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제 10, 11, 13, 15존자도는 결실되어 1955년에 만봉(萬峰)과 석성(碩成)이 새로 그렸다. 결실된 부분을 다시 그려 넣으면서 순서가 교란되었고, 현재는 향좌측 한 폭 만이 원래대로 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존자도가 서로 뒤바뀌어 있어 혼란을 주고 있다. 따라서 원래의 순서에 맞게 재표구하여 봉안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각 존자도의 왼쪽 상단에는 주지묵서(朱地墨書)로 존자명이 적혀있어 각 존자의 명칭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화기를 통해 많은 화승들이 참여하여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나한들은 심산유곡을 배경으로 다양한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젋거나 나이든 모습으로 표현되어있다. 배경의 산수는 청록산수로 조선말기 민화의 배경을 떠올리게 한다.
4폭이 결실되었지만, 19세기 서울·경기 지역 불화의 화풍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미술사적 가치가 높아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 및 관리되고 있다. 다만, 새로 조성된 4폭은 문화재 지정에서 제외된다.
참조
[1]
간행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
서울특별시장
2007-09-27
[2]
간행물
서울특별시 지정 문화재 지정명칭 변경
http://event.seoul.g[...]
서울특별시장
2009-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