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르크하르트 드리스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르크하르트 드리스트는 독일의 배우, 각본가, 감독, 제작자이자 작가였다. 그는 1939년 슈체친에서 태어나 법학을 공부하던 중 은행 강도 혐의로 수감된 전과를 가지고 있다. 1974년 소설 《프란츠 블룸의 야만화》를 출판하며 작가로 데뷔했고, 동명의 영화 시나리오를 직접 쓰고 출연하기도 했다. 베르너 헤르초크, 샘 페킨파 등과 함께 영화 작업을 했으며, 1984년에는 영화 《안나의 어머니》를 감독했다. 드리스트는 2020년 베를린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체친 출신 - 예카테리나 2세
    예카테리나 2세는 1762년부터 1796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여제로, 계몽주의 정책 추진, 영토 확장, 문화 예술 장려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슈체친 출신 - 한스 하인리히 폰 트바르도프스키
    독일 태생 배우 한스 하인리히 폰 트바르도프스키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데뷔 후 다양한 무대와 스크린에서 활동하다 나치 독일을 피해 할리우드로 이주, 주로 나치 역할로 영화에 출연했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극본, 연출, 연극 배우로도 활동했다.
  • 독일의 영화 각본가 -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는 독일 바이에른 출신의 영화 감독, 극작가, 배우로, 브레히트와 누벨바그의 영향을 받아 사회 비판적인 영화들을 저예산으로 빠르게 제작하며 《페트라 폰 칸트의 쓰디쓴 눈물》,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나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독일의 영화 각본가 - 빔 벤더스
    빔 벤더스는 독일의 영화 감독, 극작가, 프로듀서, 사진 작가로, 뉴 저먼 시네마 운동의 일원으로서 로드 무비,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제작하며 칸 영화제, 베네치아 영화제 등에서 수상하고, 베를린 영화제 명예 황금곰상과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 등을 수상했다.
  • 독일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는 독일 바이에른 출신의 영화 감독, 극작가, 배우로, 브레히트와 누벨바그의 영향을 받아 사회 비판적인 영화들을 저예산으로 빠르게 제작하며 《페트라 폰 칸트의 쓰디쓴 눈물》,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나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독일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 엘마어 베퍼
    엘마어 베퍼는 독일의 배우이자 멜 깁슨의 독일어 더빙으로 유명하며, *경찰*, *체리 블라썸* 등의 작품에 출연했고 바이에른 영화상과 독일 영화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FC 바이에른 뮌헨의 팬이었던 배우 프리츠 베퍼의 동생이다.
부르크하르트 드리스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부르크하르트 드리스트
출생일1939년 4월 28일
출생지슈체친, 프로이센 자유주, 나치 독일
사망일2020년 2월 27일 (80세)
사망지베를린, 독일
직업배우
수상올덴부르크 국제 영화제 (2019년)

2. 생애

드리스트는 작가, 배우, 시나리오 작가, 감독, 화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1983년부터 스위스에서 배우이자 프로듀서로 활동했으며, 1984년 "안나의 어머니(Annas Mutterde)"로 영화감독 데뷔를 했다.[7] 2003년에는 탐정 소설을 출판했고,[3] 화가로도 활동했다.[8]

2. 1. 초기 생애 및 범죄

부르크하르트 드리스트는 1939년 4월 28일 독일 슈체친(Stettin, 현재 폴란드 슈체친)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아버지와 피아노 교사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5][6][3]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그의 가족은 독일 니더작센주 파이네(Peine)로 피신했다.[6] 1950년 부모가 이혼하면서, 아이들은 어머니와 함께 괴팅겐(Göttingen)으로 이사했지만, 드리스트는 1957년 아버지에게 돌아갔다.[9] 1995년 문집에서 드리스트는 "파이네의 반항아(Halbstark in Peine)"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어린 시절과 사춘기 시절을 묘사했다. 그는 네 번이나 학교에서 퇴학당했지만, 그해 셋째로 우수한 성적으로 아비투어(Abitur)를 통과했다.[6][9]

드리스트는 킬, 베를린, 괴팅겐에서 10학기 동안 법학을 공부했다.[5] 1965년 5월 11일, 구두 법학 시험을 3주 앞두고 부르크도르프(Burgdorf)의 저축은행(Sparkasse)을 강도질했다.[5] 그는 5년형을 선고받았으나 3년 4개월 만에 출소했다.[9] 이후 함부르크 항구에서 일했으며,[9] 런던에서는 웨이터와 택시 운전사로 일했다.

2. 2. 작가 및 배우 데뷔

드리스트는 1974년 자전적 요소가 담긴 첫 번째 소설 "프란츠 블룸의 야만화(Die Verrohung des Franz Blum)"를 출판했다.[5] 같은 제목으로 영화화되었으며, 라인하르트 하우프(Reinhard Hauff)가 감독하고 위르겐 프로흐노우(Jürgen Prochnow)가 주연을 맡았다. 드리스트는 이 영화의 시나리오를 쓰고 단역으로 출연했다.[5] 페터 자덱(Peter Zadek)은 그에게 보훔 샤우스필하우스(Schauspielhaus Bochum)에서 테네시 윌리엄스의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A Streetcar Named Desire, Endstation Sehnsucht)"에서 스탠리 코왈스키 역을 맡도록 초대했고, 로젤 체흐(Rosel Zech)가 블랜치 역을 맡았다.[7] 같은 해 드리스트는 디트마어 셰너어(Dietmar Schönherr)의 토크쇼에 로미 슈나이더와 부비 숄츠(Bubi Scholz)와 함께 게스트로 출연했다. 이 라이브 방송에서 슈나이더는 드리스트의 팔을 만지며 "Sie gefallen mir! Sie gefallen mir sehr!" (당신이 마음에 들어요! 정말 마음에 들어요!)라고 말했는데, 이는 슈나이더가 최근 주연을 맡았던 인기 영화 속 대사였다. 이 사건으로 그는 더욱 주목을 받았다.[5][9]

드리스트는 베르너 헤르초크 ("스트로세크(Stroszek)")와 샘 페킨파(Sam Peckinpah) ("철십자가(Cross of Iron)"), 라인하르트 하우프 등의 감독들과 네 작품을 함께 작업했다. 그는 루카스 헬러(Lukas Heller)와 함께 풍자극 "히틀러의 아들(Son of Hitlerde)"의 시나리오를 썼는데, 1978년에 개봉되었지만 비평가와 관객 모두에게 실패했다.[7]

드리스트는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의 마지막 영화 "퀘렐레(Querelle)"의 시나리오를 여러 버전으로 썼지만 채택되지 않았다. 그는 잔느 모로와 브래드 데이비스와 함께 마리오 역을 맡았다.[9][1] 드리스트는 베스텐 극장(Theater des Westens)에서 페터 자덱(Peter Zadek)의 뮤지컬 "안디(Andi)"와 리뷰 "팔코 미츠 아마데우스(Falco meets Amadeus)"의 대본을 썼다.[9]

2. 3. 영화 활동

드리스트는 1974년 자신의 첫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프란츠 블룸의 잔인함》의 시나리오를 쓰고 단역으로 출연했다.[5] 같은 해, 그는 라인하르트 하우프 감독과 함께 영화를 만들었으며, 위르겐 프로흐노우가 주연을 맡았다. 그는 베르너 헤르초크, 샘 페킨파, 라인하르트 하우프 등의 감독들과 함께 여러 작품을 했다. 1978년에는 루카스 헬러와 함께 《히틀러의 아들(Son of Hitler|히틀러의 아들de)》의 시나리오를 썼지만, 비평가와 관객 모두에게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7]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의 마지막 영화 《쿼렐리》의 시나리오를 여러 버전 썼지만, 최종적으로 채택되지는 않았다. 그는 이 영화에서 잔느 모로, 브래드 데이비스와 함께 마리오 역을 연기했다.[9][1]

다음은 드리스트가 참여한 영화 목록이다.

연도제목역할
1974프란츠 블룸의 잔인함시나리오, 단역
1977스트로스첵배우
1977철십자 훈장배우
1978히틀러의 아들시나리오
1982쿼렐리배우 (마리오 역)
1992테러리스트배우
1998나이트 타임배우
2000아이 러브 유, 베이비배우


2. 4. 후기 활동

드리스트는 베르너 헤르초크 ("스트로세크(Stroszek)")와 샘 페킨파 ("철십자가(Cross of Iron)"), 라인하르트 하우프 등의 감독들과 네 작품을 함께 작업했다. 그는 루카스 헬러와 함께 풍자극 "히틀러의 아들(Son of Hitlerde)"의 시나리오를 썼는데, 이 작품은 1978년에 개봉되었지만 비평가와 관객 모두에게 실패했다.[7]

드리스트는 라인하르트 베르너 파스빈더의 마지막 영화 "퀘렐레(Querelle)"의 시나리오를 여러 버전으로 썼지만 채택되지 않았다. 그는 잔느 모로와 브래드 데이비스와 함께 마리오 역을 맡았다.[9][1] 드리스트는 베스텐 극장(Theater des Westens)에서 페터 자덱의 뮤지컬 "안디(Andi)"와 리뷰 "팔코 미츠 아마데우스(Falco meets Amadeus)"의 대본을 썼다.[9] 1983년 이후 스위스에서 배우이자 프로듀서로 활동했다.[3] 1984년 그는 "안나의 어머니(Annas Mutterde)"로 영화감독 데뷔를 했다.[7] 그는 2003년에 출판된 탐정 소설을 쓰기도 했고,[3] 화가로도 활동했다.[8]

3. 개인사

드리스트는 세 번 결혼하였다. 그의 딸은 작가 요하나 드리스트이다. 그는 오랜 지병 끝에 2020년 2월 27일 80세의 나이로 베를린에서 사망했다.[9]

4. 작품 목록

부르크하르트 드리스트는 배우, 각본가, 감독, 제작자로서 다양한 영화 및 소설 작품 활동을 했다.[4]

분야연도제목비고
영화
(제작)
1978--
영화
(제작)
1982퀘렐
영화
(감독)
1984-- Annas Mutterde


4. 1. 영화 (배우)

} || 발터 '타이거' 쿠울 ||

|-

| 1976 || ''수사반장: Der Held des Tages'' || 하르트무트 슈티멜 || TV 시리즈 에피소드

|-

| 1977 || ''철십자훈장'' || 마아그 사수 ||

|-

| 1977 || ''스트로젝'' || 매춘부알선업자 ||

|-

| 1978 || ''--'' Son of Hitler|de || 게르트 뮐러 ||

|-

| 1980 || ''--'' Slow Attack|de Lėtas puolimas|lt || 닉 델만 || 다른 제목: ''Endstation Freiheit''

|-

| 1982 || ''퀘렐'' || 마리오 ||

|-

| 1983 || ''광란의 50년대'' || 아시모프 소령 ||

|-

| 1984 || ''Die Story'' || ||

|-

| 1984 || ''Der Havarist'' || 스털링 헤이든 ||

|-

| 1984 || ''Smaragd'' || 클로퍼 마르틴 ||

|-

| 1985 || ''Kalt in Kolumbien'' || ||

|-

| 1986 || ''키르 로얄'' || 폭력배 || TV 시리즈, 1 에피소드

|-

| 1987 || ''카이로행 택시'' || 첫 번째 경찰 ||

|-

| 1990 || ''두 사람을 위한 사건: Madonna'' || 말릭 || TV 시리즈 에피소드

|-

| 1992 || ''Den demokratiske terroristen'' || 호르스트 ||

|-

| 1997 || ''Der Ausbruch'' || 페터 슈톨체크 || TV 영화

|-

| 1998 || ''--'' Night Time|de || 라징거 || 다른 제목: ''Sieben Monde''

|-

| 2000 || ''사랑해, 베이비'' || 데커 ||

|-

| 2003 || ''Hamlet_X'' || 관찰자 ||

|-

| 2009 || ''라스코 – 신의 주먹'' || 파트리치우스 수도원장 || TV 시리즈, 4 에피소드

|-

| 2011 || ''Toni Costa: Kommissar auf Ibiza - Der rote Regen'' || 엘 쿠바노 || TV 시리즈 에피소드, 마지막 영화 출연

|}[4]

4. 2. 영화 (각본)


  • -- (1974, 자신의 동명 소설을 바탕으로 한 각본)[4]
  • -- (1978)[4]
  • -- (1980)[4]
  • 퀘렐 (1982)[4]
  • -- (독일어: Annas Mutter, 1984)[4]

4. 3. 영화 (감독)

연도제목역할비고
1974-- {{lang|de|Die Verrohung des Franz Blum|}
연도제목비고
1974년프란츠 블룸의 잔인함
1974년츈드슈뉴레
1977년철십자 훈장
1977년스트로스첵
1978년히틀러의 아들
1982년쿼렐리
1992년테러리스트
1998년나이트 타임
2000년아이 러브 유, 베이비

[4]

4. 4. 소설

출판 연도제목출판사비고
1974프란츠 블룸의 야만화(Die Verrohung des Franz Blum)로볼트(Rowohlt)라인벡(Reinbek)
1981그림자가 없는 남자(Mann ohne Schatten)
1997온화한 살인(Sanfte Morde)
2003붉은 비(Der rote Regen)
2005사랑의 죽음(Liebestod)
2006타오르는 죄책감(Brennende Schuld)
2008여름밤의 살인(Sommernachtsmord)
2010요리의 기술(Küchenkunst)랑겐뮐러(LangenMüller)뮌헨(Munchen)
20115월벌레와 전쟁(Die Maikäfer und der Krieg)랑겐뮐러(LangenMüller)뮌헨(München), 소설

[2]

참조

[1] 서적 Selbst-Porträt der Kindheit und Jugend in: Florian Langenscheidt (Hrsg.): ''Bei uns zu Hause. Prominente erzählen von ihrer Kindheit.'' Florian Langenscheidt 1995
[2] 웹사이트 Publications by Burkhard Driest https://portal.dnb.d[...]
[3] 뉴스 Burkhard Driest http://www.bild.de/l[...] 2017-01-05
[4] 웹사이트 Burkhard Driest https://www.filmport[...] 2020-02-29
[5] 뉴스 Burkhard Driest: Ein Leben im Protest http://www.ksta.de/b[...] 2017-01-05
[6] 웹사이트 Burkhard Driest http://www.munzinger[...] Internationales Biographisches Archiv 2020-02-29
[7] 웹사이트 Tribute Burkhard Driest / Systemsprenger https://www.filmfest[...] 2020-02-29
[8] 뉴스 Berliner Schauspieler und Gelegenheitsarbeiter / Burkhard Driest ist tot https://www.tagesspi[...] 2020-02-29
[9] 뉴스 Schauspieler Burkhard Driest gestorben https://www.zeit.de/[...] 2020-0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