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리 (노르드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리(Búri)는 노르드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보르의 아버지이자 오딘의 할아버지이다. 이름은 "아들, 태어남"을 의미하는 원시 게르만어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산문 에다』와 스칼드 시에서 언급된다.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암소 아우둠블라가 얼음을 핥아 부리가 태어나는 과정이 묘사되며, 그는 보르를 낳았다. 스칼드 시에서는 "보르의 아들의 상속자"로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드 남신 - 보르 (노르드 신화의 남신)
보르는 노르드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부리의 아들이자 베스틀라의 남편이며 오딘, 빌리, 베의 아버지이고, 그의 아들들은 인간의 시조에게 생명을 부여하는 역할을 했으며, 학자들은 그의 이름과 역할을 '태어난 땅', '생산자', '아버지' 등으로 해석한다. - 노르드 남신 - 메일리
메일리는 《고 에다》와 《신 에다》에 등장하는 토르의 형제이자 오딘의 아들로, 아스 신족의 이름 중 하나로 언급되며, 19세기에는 메일리의 어머니를 요르드로, 발드르와 동일 인물로 해석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 남신 - 임호테프
임호테프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 시대의 재상이자 건축가로, 사카라의 조세르 피라미드 건설을 주도했으며 후대에 의학의 신으로 숭배받았으나, 영화 미이라 시리즈의 묘사는 역사적 사실과 차이가 있다. - 남신 - 사탄
사탄은 원래 "적대자"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였으나,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악마, 유혹자, 또는 인간 내면의 부정적인 면모를 상징하는 존재로 다양하게 해석되며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악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부리 (노르드 신화) | |
---|---|
신화 | |
성별 | 남성 |
가족 관계 | 아버지: 스스로 나타남 아들: 보르 |
2. 이름
''부리''(Búri)는 아들 부르의 이름과 마찬가지로 원시 게르만어 *''buriz'' "아들, 태어남"에서 유래되었으며[2], 두 이름은 기본적으로 같은 의미를 지닌다.[3] 연구에서 부리의 이름은 "낳음, 아버지"로, 부르는 "낳음, 아들"로 번역된다.[4][5]
2. 1. 어원
''부리''(Búri)라는 이름은 부르의 이름과 마찬가지로 원시 게르만어 *''buriz'' "아들, 태어남"에서 유래되었다.[2] 따라서 두 이름은 기본적으로 같은 의미를 지닌다.[3] 연구에서 부리의 이름은 "낳음, 아버지"로, 부르는 "낳음, 아들"로 번역되는데,[4][5] 이는 세대 순서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가 어떻게 아들을 낳았는지는 설명되지 않는다. 스스로 또는 성적 생식을 통해서 낳았는지는 불분명하다.[6]3. 등장 문헌
부리는 산문 에다에서 두 번 언급되는데, 한 번은 길피의 속임수에, 다른 한 번은 시어집에 인용된 스칼드 시에서 언급된다. 길피의 속임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Hon sleikti hrímsteinana er saltir váru. Ok hinn fyrsta
: 얼음 덩어리들은 짭짤했는데, 그녀가 그 덩어리들을 핥은 첫날 저녁에는 그 덩어리에서 남자의 머리카락이 나왔고, 둘째 날에는 남자의 머리가 나왔으며, 셋째 날에는 온전한 남자가 나타났다. 그는 부리라고 불린다. 그는 외모가 아름답고 크고 강력했다. 그는 보르라는 아들을 낳았다.
부리는 고 에다에서는 언급되지 않으며, 스칼드 시집에서는 한 번만 언급된다.
3. 1. 산문 에다
암소 아우둠블라가 짠 얼음 덩어리를 핥자 그 덩어리에서 부리가 나왔다. 얼음 덩어리를 핥은 첫날 저녁에는 덩어리에서 남자의 머리카락이 나왔고, 둘째 날에는 남자의 머리가 나왔으며, 셋째 날에는 온전한 남자가 나타났다. 그는 부리라고 불리며, 외모가 아름답고 크고 강력했다. 그는 보르라는 아들을 낳았다.[7]
스칼드 시집에서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12세기의 스칼드 토르발드 블뢴두스칼드의 시구를 인용하며 부리를 "보르의 아들의 상속자"(즉, 오딘)로 언급한다.[8]
참조
[1]
문서
Simek
2007
[2]
서적
Altgermanische Anthroponyme
Verlag Walter de Gruyter
2001
[3]
서적
Die germanische Religion im Zeugnis der Sprache
https://books.google[...]
Verlag Walter de Gruyter
1999
[4]
서적
Altgermanische Religionsgeschichte – Bd. 2: Religion der Nordgermanen
Verlag Walter de Gruyter & Co.
1937
[5]
서적
Lexikon der germanischen Mythologie
Kröner
2006
[6]
서적
Lexikon der germanischen Mythologie
Kröner
2006
[7]
웹사이트
Normalized text of R
http://www.hi.is/~ey[...]
2005-07-23
[8]
웹사이트
Finnur Jónsson's edition
http://www.hi.is/~ey[...]
2005-07-23
[9]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で確認した表記。
[10]
서적
北欧の神話 神々と巨人のたたかい
筑摩書房
1982
[11]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29頁。
[12]
문서
「『詩語法』訳注」13頁。
[13]
웹인용
Normalized text of R
http://www.hi.is/~ey[...]
2015-01-06
[14]
웹인용
Finnur Jónsson's edition
http://www.hi.is/~ey[...]
2015-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