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칼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칼드는 바이킹 시대와 중세 스칸디나비아에서 활동한 시인을 의미하며, 그들이 지은 시를 '스칼드 시'라고 부른다. 스칼드 시는 궁정 시인들이 왕과 귀족을 찬양하기 위해 지었으며, 복잡한 형식과 다양한 수사법을 사용한다. 스칼드 시는 에다 시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며, 드로트크베트(dróttkvætt) 운율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칼드 시는 역사, 신화, 개인적인 감정을 담아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스칸디나비아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스칼드 시인으로는 브라기 보드손, 에길 스칼라그림손 등이 있으며, 현대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노르드어 문학 - 고 에다
    고 에다는 북유럽 신화와 영웅 전설을 담은 고대 노르드어 시가 모음집으로,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에다》와 구별되며, 13세기 《왕의 사본》에 기록되어 신화시와 영웅시를 포함한 다양한 시가들로 구성되어 스칸디나비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고대 노르드어 문학 - 신 에다
    신 에다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저술한 북유럽 신화와 시에 대한 지식을 담은 책으로, 《길피의 속임수》, 《시어법》, 《운율 일람》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필사본과 다양한 번역본이 존재한다.
  • 중세의 공연자 - 필리
    필리는 아일랜드 게일 사회에서 시인이자 예언가, 역사가로서 중요한 사회적, 정치적 역할을 수행했던 전문 계급으로, 왕권 계승 의례 참여와 풍자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구전 전통을 통해 아일랜드 신화와 서사 문학 보존에 기여했다.
  • 중세의 공연자 - 트루바두르
    트루바두르는 12세기에서 13세기 남프랑스에서 오크어로 서정시를 짓고 노래한 음유 시인으로,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가진 인물들이 궁정 연애를 노래했으며, 그 작품은 샹소니에라는 노래책에 보존되어 전해진다.
  • 아이슬란드 문학 - 아이슬란드 사가
    아이슬란드 사가는 12세기부터 14세기 아이슬란드에서 쓰인 산문 형식의 역사적, 전설적 이야기로, 가계, 가문, 개인의 삶을 다루며 역사적 사건과 신화적 요소를 혼합하여 서술하고, 대표적인 사가로는 『니알스 사가』, 『락스데일라 사가』, 『에길 스칼라그림손 사가』 등이 있다.
  • 아이슬란드 문학 - 사가 (문학)
    사가(Saga)는 본래 '이야기'를 뜻하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했으며, 현대에는 여러 세대에 걸친 가족사를 담은 서사시를 지칭하고, 왕의 사가, 주교의 사가, 아이슬란드인의 사가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특히 아이슬란드인의 사가는 문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스칼드
지도
기본 정보
유형고대 노르드 시인
활동 시기바이킹 시대
특징스칼드 시
구전
주요 역할왕 칭송
역사 기록
스칼드 시
특징정교한 형식
복잡한 케닝 사용
두운법
주제영웅의 업적
신화적 사건
일상 생활
역사적 맥락
사회적 지위귀족
왕의 측근
영향서사시 발달 기여
노르드 문화 보존
영향
문학적 유산스칼드 시는 사가 문학에 영향
후대 문학에 영감
추가 정보
관련 용어스칼드 시
에다
사가

2. 어원

'스칼드'(14세기까지 단모음을 가졌음을 내부 운율이 보여줌)라는 단어는 궁극적으로 (skal|소리goh)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고대 고지 독일어에는 skalsang|찬가, 시편goh과 skellan|울리다, 울려 퍼지다goh가 있다. 고대 고지 독일어 변종 어간 skeltangoh은 어원적으로 '스칼드' 어간()과 동일하며, '꾸짖다, 비난하다, 고발하다, 모욕하다'라는 뜻이다. 모욕하는 사람은 skeltogoh 또는 skeltārigoh이다. 스칼드의 서게르만어족에 해당하는 단어는 스코프( scopang)이다. 현대 영어의 '조롱하다'와 관련된 scopang처럼, '스칼드'라는 단어는 아마도 영어의 '꾸짖다'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이는 스칼드의 시에서 조롱하는 조소의 중요성을 반영한다.[1][2]

3. 특징

스칼드 시는 스노리의 에다 작시법에 의해 만들어진 시로, 외국에서는 보통 '스칼드의 시'라고 불린다. 하지만 아이슬란드어에서 '스칼드'는 단순히 '시인'을 의미하기 때문에, 아이슬란드어로는 '스칼드의 시'라는 표현이 적절하지 않다.

J. R. 스켈턴(J. R. Skelton)의 그림 ''A minstrel sings of famous deeds'', 1910년경


<궁정시>는 주로 왕이나 귀족을 칭송하고 그 앞에서 노래한 것이다. 바이킹 시대 스칸디나비아 전역과 잉글랜드에서는 언어 차이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아이슬란드 시인들은 활발하게 활동하며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시의 솜씨가 좋으면 왕으로부터 많은 상을 받기도 했다.

역사적으로 <궁정시>는 사이문드의 에다 시와 과거에는 형식에 차이가 없었지만, 9세기경부터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궁정시>는 시인과 동시대 인물, 혹은 최근에 사망한 사람을 칭송하는 반면, 에다 시는 게르만의 옛 신이나 옛 시대의 영웅을 노래했다.
  • <궁정시>는 형식이 매우 복잡하고, 특별한 시어(헤이티)나 케닝('바다의 불'은 '황금'을 의미)이 많으며, 운율을 맞추기 위해 어순이 무시되어 매우 난해하다. 반면, 에다 시는 특별한 시어를 사용하는 느낌이 적고, 시 형식이 쉽고 이해하기 용이하다.
  • <궁정시>의 작가는 대부분 알려져 있지만, 에다 시의 작가는 알려져 있지 않다.


14세기경부터 스칸디나비아어와 아이슬란드어의 차이가 커져 스칸디나비아 왕들은 궁정시를 이해하지 못하게 되었고, 결국 궁정시는 쇠퇴했다.

스칼드 시와 에다 시는 모두 두운시(Alliterative verse) 전통에서 유래한다. 고대 노르드어와 아이슬란드어에서 "스칼드(skald)"는 단순히 "시인"을 의미한다. 스칼드 시는 에다 시보다 스타일이 복잡하고, 내부 운과 두운을 모두 사용하는 '''드로트크베트(dróttkvætt)'''("궁정 운율")을 사용한다.[3] 에다 시는 '''포르뉘르디슬라그(fornyrðislag)'''("고대 언어의 방식"), '''료우다하트르(ljóðaháttr)'''("노래 형식"), '''말라하트르(málaháttr)'''("연설 형식") 운율을 사용한다. 스칼드 시는 어휘가 화려하고, 시구 내 의미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케닝(kenning)과 헤이티(heiti)를 많이 사용한다. 이는 운율의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시인들이 단어 실력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복잡성 때문에 현대 독자들에게는 헤르메티시즘적으로 보일 수 있고, 해석에 모호함이 있을 수 있지만,[4][5] 당시 청중들은 이러한 표현에 익숙했을 것이다.

에다 시는 신화, 윤리, 영웅적인 내용을 다루는 반면,[6] 스칼드 시는 주제 범위가 더 넓다. 주요 주제는 왕과 궁정 후원자들의 업적이다.[7] 에다 시는 대화가 많고 전투 묘사가 거의 없는 반면, 스칼드 시는 그 반대이다.[8] 스칼드들은 즉흥시, 모욕 시('''니드(níð)''')[9][10], 연애시('''만송르(mansöngr)''') 등을 짓기도 했다. 할프레드르 오타르손(Hallfreðr Óttarsson)과 코르마크르 외그문다르손(Kormákr Ögmundarson)은 연애시로 유명하다.[11]

많은 에다 시는 '''코덱스 레기우스(Codex Regius)''' 사본에 보존되어 있다. 스칼드 시는 여러 사가에 보존되어 있으며, 일부는 더 간단한 운율을 사용한다. 중세 스칸디나비아인들은 스칼드 시를 별개 장르로 여기기보다는 오래된 시와 현대 시를 구분했던 것으로 보인다.[12]

사가에서는 준비 없이 지은 작품을 특히 가치 있게 여겼다.[13] 에길 스칼라그림손(Egill Skallagrímsson)은 '''호푸드라우스'''를 하룻밤 만에 지어 목숨을 구했다고 한다.[14] 하랄드 하르드라다(Harald Hardrada) 왕은 스칼드 티오드올프르 아르노르손(Þjóðólfr Arnórsson)에게 케닝을 사용하여 대장장이와 무두장이를 묘사하는 시를 짓게 했다.[15][16] 하지만 스칼드 시가 즉흥적인 경우는 드물다.

스칼드들이 악기를 사용했다는 증거는 없지만, 하프(harp)나 리라(lyre)를 사용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17]

3. 1. 형식

스칼드 시는 에다 시가와 같은 두운시(Alliterative verse) 전통에서 유래하지만, 스타일이 더 복잡하고 '''드로트크베트(dróttkvætt)'''("궁정 운율")을 사용하는 점에서 구분된다.[3] 에다 시가의 더 간단하고 오래된 '''포르뉘르디슬라그(fornyrðislag)'''("고대 언어의 방식"), '''료우다하트르(ljóðaháttr)'''("노래 형식"), '''말라하트르(málaháttr)'''("연설 형식") 운율과는 다르다.

스칼드 시가는 어휘가 더 화려하고, 시구 내에서 의미 요소가 더 많이 얽혀 있으며, 많은 케닝(kenning)과 헤이티(heiti)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운율의 더 큰 기술적 요구를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시인들이 단어놀이 실력을 보여줄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복잡성은 현대 독자들에게 다소 헤르메티시즘적으로 보일 수 있으며, 해석에 모호성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4][5]

'''궁정률'''(''dróttkvætt'', '''음창운율'''이라고도 함)은 스칼드 시가에 나타나는 운율의 형태이다. 하나의 시는 일반적으로 8행으로 이루어진다. 각 행은 6개의 음절을 가지며, 그중 3음절에 강세가 놓인다. 강세가 놓인 음절은 양격이라 하고, 그렇지 않은 음절은 억격이라 한다. 홀수 행의 양격 중 2개와 짝수 행의 첫 번째 양격에 두운이 놓인다. 또한 행내운도 사용된다. 홀수 행에 사용되는 것을 반운(자음만 일치), 짝수 행에 사용되는 것을 완전운(모음과 그 뒤에 이어지는 자음이 일치)이라고 한다. 행말의 2음절은 트로케(toroké , 양격·억격의 순으로 나열되는 운각)을 구성한다.

전해지는 스칼드 시가의 상당수는 ''라우사비수르''(lausavísur, "자유시")라 불리는 개별 연으로, 즉흥적으로 지어졌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장편 형식에는 일련의 연으로 구성되고 간격을 두고 후렴(stef)이 있는 찬가인 '''드라파'''(drápa)와, 후렴이 없는 '''드라파'''와 유사한 '''플로크르'''(flokkr), '연, 절'을 뜻하는 '''비수르'''(vísur), 후렴이 없는 짧은 연의 시리즈인 '작은 드라파'를 뜻하는 '''드뢰플링르'''(dræplingr)가 있다.[18][19] 또한, 시인에게 후원자가 증정한 방패에 묘사된 신화적인 장면을 묘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몇몇 방패 시가도 있다.[20][21]

3. 2. 시어

스칼드의 시는 외국에서는 보통 ‘스칼드의 시’라고 불리지만, 아이슬란드어로는 ‘스칼드’라는 단어가 단순히 ‘시인’을 의미하므로, 아이슬란드어로는 그 뜻이 맞지 않는다.[3] 스칼드 시가는 에다 시가와 같은 두운시(Alliterative verse) 전통에서 유래한다. 고대 노르드어와 아이슬란드어에서 "스칼드(skald)"는 단순히 "시인" 또는 "작곡가"를 의미한다.[3]

스칼드 시가는 에다 시가보다 스타일이 더 복잡하고, 내부 운과 두운을 모두 필요로 하는 '''드로트크베트(dróttkvætt)'''("궁정 운율")을 사용하는 점에서 구분된다.[3] 에다 시가의 더 간단하고 오래된 '''포르뉘르디슬라그(fornyrðislag)'''("고대 언어의 방식"), '''료우다하트르(ljóðaháttr)'''("노래 형식"), '''말라하트르(málaháttr)'''("연설 형식") 운율과는 다르다.

스칼드 시가는 또한 어휘가 더 화려하고, 시구 내에서 의미 요소가 더 많이 얽혀 있으며, 많은 케닝(kenning)과 헤이티(heiti)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운율의 더 큰 기술적 요구를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시인들이 단어놀이 실력을 보여줄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복잡성은 현대 독자들에게 다소 헤르메티시즘적으로 보일 수 있으며, 해석에 모호성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4][5] 하지만 당시 청중들은 구문적 상호 교착과 케닝의 어휘에 익숙했을 것이다.

에다 시가는 신화적, 윤리적, 영웅적인 내용이 특징이다.[6] 반면 스칼드 시가는 주제의 범위가 더 넓다. 주요 주제 중 하나는 위대한 왕들과 궁정 후원자들의 업적이었다.[7] 에다 시가는 일반적으로 많은 대화를 포함하고 전투를 거의 묘사하지 않는 반면, 스칼드 시가는 그 반대이다.[8] 스칼드들은 또한 사건에 반응하여 즉흥적인 시를 지었는데, 토를레이프르 야를스칼드(Þorleifr jarlsskáld)가 그의 전 후원자였던 야를 하콘 시구르다르손(Hákon Sigurðarson)에게 내린 저주와 같은 모욕 시('''níðvísur''')[9], 선교사 탕브란드르(Þangbrandr)가 베틀리디 수마르리다손(Vetrliði Sumarliðason)을 죽이도록 부추긴 '''니드(níð)'''[10], 그리고 가끔 '''만송르(mansöngr)'''라고 불리는 연애시와 에로틱한 시를 지었다. 할프레드르 오타르손(Hallfreðr Óttarsson)과 특히 코르마크르 외그문다르손(Kormákr Ögmundarson)은 그들의 연애시로 유명하다.[11]

많은 에다 시가는 '''코덱스 레기우스(Codex Regius)''' 사본에 보존되어 있다. 스칼드 시구는 많은 사가를 포함한 다수의 사본에 보존되어 있으며, 예언적, 꿈, 추모 시를 포함한 일부 스칼드 시는 더 간단한 운율을 사용한다. 중세 스칸디나비아인들은 스칼드 시를 별개의 장르로 간주하기보다는 오래된 시와 더 현대적인 시를 구분했던 것으로 보인다.[12]

사가를 보면 준비 없이 지은 작품이 특히 가치 있게 여겨졌던 것 같다.[13] 에길 스칼라그림손(Egill Skallagrímsson)은 자신의 '''호푸드라우스'''를 하룻밤 만에 지어 자신의 목숨을 구했다고 한다.[14] 왕 하랄드 하르드라다(Harald Hardrada)는 거리에서 걷고 있던 그의 스칼드 티오드올프르 아르노르손(Þjóðólfr Arnórsson)에게 케닝을 사용하여 싸우는 대장장이와 무두장이를 먼저 신화에서, 그리고 영웅 전설에서 특정 인물로 묘사하는 두 연을 짓도록 했다고 한다.[15][16] 하지만 스칼드 시가가 즉흥적인 것이라는 것은 드물다.

스칼드들이 악기를 사용했다는 증거는 없지만, 일부에서는 그들이 자신의 시에 하프(harp)나 리라(lyre)를 사용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17]

'''헤이티'''(''Heiti'')는 스칼드 시가에서만 사용되는 특수한 단어이다.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헤이티에 포함된다. 고대 노르드어에서 "이름" 또는 "명칭"이라는 의미를 가진다.[59]

'''케닝'''(''kenning''、완곡 대칭법이라고도 함)은 일종의 비유이며, 어떤 개념을 여러 단어를 사용하여 바꿔서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처 입히는 가지"라는 말은 "칼"을 가리키는 것과 같다. 이 단어는 "이름을 짓다" 또는 "인정하다"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60]

3. 3. 내용

스칼드 시는 <스노리의 에다> 작시법에 의해 만들어진 시로, 외국에서는 보통 ‘스칼드의 시’라고 불린다. 하지만 아이슬란드어에서 ‘스칼드’는 단순히 ‘시인’을 의미하기 때문에, 아이슬란드어로는 ‘스칼드의 시’라는 표현이 적절하지 않다.

<궁정시>는 주로 왕이나 귀족을 칭송하고 그 앞에서 노래한 것이다. 바이킹 시대 스칸디나비아 전역과 잉글랜드에서는 언어 차이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아이슬란드 시인들은 활발하게 활동하며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시의 솜씨가 좋으면 왕으로부터 많은 상을 받기도 했다.

역사적으로 <궁정시>는 <사이문드의 에다> 시와 과거에는 형식에 차이가 없었지만, 9세기경부터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궁정시>는 시인과 동시대 인물, 혹은 최근에 사망한 사람을 칭송하는 반면, 에다 시는 게르만의 옛 신이나 옛 시대의 영웅을 노래했다.
  • <궁정시>는 형식이 매우 복잡하고, 특별한 시어(헤이티)나 쾨닝(예: ‘바다의 불’은 ‘황금’을 의미)이 많으며, 운율을 맞추기 위해 어순이 무시되어 매우 난해하다. 반면, 에다 시는 특별한 시어를 사용하는 느낌이 적고, 시 형식이 쉽고 이해하기 용이하다.
  • <궁정시>의 작가는 대부분 알려져 있지만, 에다 시의 작가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14세기경부터 스칸디나비아어와 아이슬란드어의 차이가 커져 스칸디나비아 왕들은 궁정시를 이해하지 못하게 되었고, 결국 궁정시는 쇠퇴했다.

스칼드 시와 에다 시는 모두 두운시(Alliterative verse) 전통에서 유래한다. 고대 노르드어와 아이슬란드어에서 "스칼드(skald)"는 단순히 "시인"을 의미한다. 스칼드 시는 에다 시보다 스타일이 복잡하고, 내부 운과 두운을 모두 사용하는 '''드로트크베트(dróttkvætt)'''("궁정 운율")을 사용한다.[3] 에다 시는 '''포르뉘르디슬라그(fornyrðislag)'''("고대 언어의 방식"), '''료우다하트르(ljóðaháttr)'''("노래 형식"), '''말라하트르(málaháttr)'''("연설 형식") 운율을 사용한다. 스칼드 시는 어휘가 화려하고, 시구 내 의미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케닝(kenning)과 헤이티(heiti)를 많이 사용한다. 이는 운율의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시인들이 단어 실력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복잡성 때문에 현대 독자들에게는 헤르메티시즘적으로 보일 수 있고, 해석에 모호함이 있을 수 있지만,[4][5] 당시 청중들은 이러한 표현에 익숙했을 것이다.

에다 시는 신화, 윤리, 영웅적인 내용을 다루는 반면,[6] 스칼드 시는 주제 범위가 더 넓다. 주요 주제는 왕과 궁정 후원자들의 업적이다.[7] 에다 시는 대화가 많고 전투 묘사가 거의 없는 반면, 스칼드 시는 그 반대이다.[8] 스칼드들은 즉흥시, 모욕 시('''니드(níð)''')[9][10], 연애시('''만송르(mansöngr)''') 등을 짓기도 했다. 할프레드르 오타르손(Hallfreðr Óttarsson)과 코르마크르 외그문다르손(Kormákr Ögmundarson)은 연애시로 유명하다.[11]

많은 에다 시는 '''코덱스 레기우스(Codex Regius)''' 사본에 보존되어 있다. 스칼드 시는 여러 사가에 보존되어 있으며, 일부는 더 간단한 운율을 사용한다. 중세 스칸디나비아인들은 스칼드 시를 별개 장르로 여기기보다는 오래된 시와 현대 시를 구분했던 것으로 보인다.[12]

사가에서는 준비 없이 지은 작품을 특히 가치 있게 여겼다.[13] 에길 스칼라그림손(Egill Skallagrímsson)은 '''호푸드라우스'''를 하룻밤 만에 지어 목숨을 구했다고 한다.[14] 하랄드 하르드라다(Harald Hardrada) 왕은 스칼드 티오드올프르 아르노르손(Þjóðólfr Arnórsson)에게 케닝을 사용하여 대장장이와 무두장이를 묘사하는 시를 짓게 했다.[15][16] 하지만 스칼드 시가 즉흥적인 경우는 드물다.

스칼드들이 악기를 사용했다는 증거는 없지만, 하프(harp)나 리라(lyre)를 사용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17]

대부분의 긴 스칼드 시는 궁정 시인들이 왕과 야를을 칭송하기 위해 지었으며, 역사적 내용을 담고 있다.

  • '''글림드라파''' ‒ 하랄드 1세의 업적, 토르비외른 호른클로피 작, 부분 보존
  • '''벨레클라''' ‒ 야를 하콘 시구르다르손의 업적, 아이나르 스칼라글람 작, 부분 보존
  • '''반다드라파''' ‒ 야를 에이리크 하콘손의 업적, 에이욜플르 다다스칼드 작, 부분 보존
  • '''크누츠드라파''' ‒ 크누트 대왕의 업적, 시그바트 토르다르손, 오타르 스바르티 (3편, 부분 보존)
  • '''게이스리''' ‒ 올라프 하랄드손 (성 올라프), 기독교 드라파, 아이나르 스쿨라손 작
  • '''흐라프스말''' ‒ 토르비외른 호른클로피 작, 하랄드 1세의 삶과 무용담 묘사


일부 스칼드 시는 신화적 내용을 담고 있다.

  • '''라그나르스드라파''' ‒ 브라기 보다손 작, 방패 시, 부분 보존: 원래 두 개의 신화적 장면과 라그나르의 업적을 다룬 두 부분으로 구성
  • '''하우스트롱''' ‒ 흐비니르의 뚀우돌플 작, 방패 시, 부분 보존
  • '''후스드라파''' ‒ 울프 우가손 작, 공작 올라프 연회장 벽 그림 속 신화적 장면 묘사, 부분 보존
  • '''토르스드라파''' ‒ 토르의 업적, 에일리프르 고드룬손과 에이스테인 발다손의 부분 보존된 두 편의 시
  • '''잉글링가탈''' ‒ 잉글링 가문의 신화적, 전설적 역사, 흐비니르의 뚀우돌플 작
  • '''할레이갸탈''' ‒ 흘라디르 왕조 관련 작품, 에이빈드 스칼다스필리르 작


왕의 죽음과 발할라 환영을 다룬 시도 있다.

  • '''에이리크스말''' ‒ 에릭 블러드액스의 죽음, 작자 미상
  • '''하코나르말''' ‒ 하콘 선왕의 죽음, 에이빈드 스칼다스필리르 작


상황에 따라 지어진 긴 작품도 있다. (예: 에길 스칼라그림손 작품)

  • '''소나토렉''' ‒ 아들들의 죽음을 애도
  • '''호푸드라우스''' ‒ 에릭 블러드액스에게 목숨을 구걸
  • '''아린비아르나르크비다''' ‒ 친구 아린비외른 칭찬


스칼드 시는 왕의 영광이나 전사의 무용을 주제로 하는 경우가 많아, 북유럽 신화 요소는 케닝 등으로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북유럽 신화를 직접 언급하는 시는 『장기(長き)의 가을(秋)』, 『솔(ソー ル) 송가(頌歌)』, 『라그나르(ラグナル) 송가(頌歌)』, 『집(家)의 송가(頌歌)』 등 소수만 현존한다.[61]

4. 역사

스칼드 시는 에다 시가와 같은 두운시(Alliterative verse) 전통에서 유래한다. 고대 노르드어와 아이슬란드어에서 "스칼드(skald)"는 단순히 "시인"을 의미한다. 하지만, 스칼드 시가는 에다 시가와 구별되는데, 스타일이 더 복잡하고, 내부 운과 두운을 모두 사용하는 '''드로트크베트(dróttkvætt)'''("궁정 운율")을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3] 에다 시가의 더 간단하고 오래된 '''포르뉘르디슬라그(fornyrðislag)'''("고대 언어의 방식"), '''료우다하트르(ljóðaháttr)'''("노래 형식"), '''말라하트르(málaháttr)'''("연설 형식") 운율과는 다르다. 스칼드 시가는 또한 어휘가 더 화려하고, 시구 내에서 의미 요소가 더 많이 얽혀 있으며, 많은 케닝(kenning)과 헤이티(heiti)를 사용한다.[4][5]

에다 시가는 신화적, 윤리적, 영웅적인 내용이 특징인 반면,[6] 스칼드 시가는 주제의 범위가 더 넓다. 주요 주제 중 하나는 위대한 왕들과 궁정 후원자들의 업적이었다.[7] 스칼드들은 사건에 반응하여 즉흥적인 시를 짓기도 했는데, 토를레이프르 야를스칼드(Þorleifr jarlsskáld)가 그의 전 후원자였던 야를 하콘 시구르다르손(Hákon Sigurðarson)에게 내린 저주와 같은 모욕 시('''níðvísur''')[9], 선교사 탕브란드르(Þangbrandr)가 베틀리디 수마르리다손(Vetrliði Sumarliðason)을 죽이도록 부추긴 '''니드(níð)'''[10], 그리고 가끔 '''만송르(mansöngr)'''라고 불리는 연애시와 에로틱한 시를 지었다.[11]

많은 에다 시가는 '''코덱스 레기우스(Codex Regius)''' 사본에 보존되어 있다. 스칼드 시구는 많은 사가를 포함한 다수의 사본에 보존되어 있으며, 중세 스칸디나비아인들은 스칼드 시를 별개의 장르로 간주하기보다는 오래된 시와 더 현대적인 시를 구분했던 것으로 보인다.[12]

사가를 보면 준비 없이 지은 작품이 특히 가치 있게 여겨졌던 것 같다.[13] 에길 스칼라그림손(Egill Skallagrímsson)은 자신의 '''호푸드라우스'''를 하룻밤 만에 지어 자신의 목숨을 구했다고 한다.[14] 하지만 스칼드 시가가 즉흥적인 것이라는 것은 드물다.

스칼드들이 악기를 사용했다는 증거는 없지만, 일부에서는 그들이 자신의 시에 하프(harp)나 리라(lyre)를 사용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17]

스노리 스투를루손(Snorri Sturluson)의 신화에서 시의 기원 이야기가 나오는데, 시를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액체로 묘사한다. '''드로트크베트'''(dróttkvætt) 운율은 이름이 알려진 시인들과 관련된, 형식적으로 더욱 정교한 새로운 시풍과 관련된 혁신으로 보인다. 이 운율은 아일랜드와 라틴 시 형식과 비교되어 왔으며, 이것들이 그 발전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22][23][24]

우리가 알고 있는 스칼드 시의 첫 번째 예시는 9세기 초 브라기 보드손(Bragi Boddason)의 '''라그나르스드라파'''(Ragnarsdrápa)이다.[27] 그의 작품은 이미 매우 뛰어나, 이러한 시풍이 상당 기간 발전해 왔음을 시사한다.[28] 브라기는 노르웨이인이었고, 스칼드 시는 노르웨이 또는 스칸디나비아 발트 해 연안에서 기원한 것으로 생각된다.[30]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스칼드들은 왕실 시인으로서의 경력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냈다.[5] 특히 노르웨이 왕들, 또는 얍들(jarls), 특히 현재의 트뢴델라그(Trøndelag)에 기반을 둔 왕조인 흘라디르 얍들(Hlaðir jarls)의 경우, 그들은 후원자들의 업적을 이야기하는 찬사시를 만들었는데, 이것은 구전으로 전해지는 기록이 되어 후에 역사 사가에 인용되었다.[31] 시적 능력은 매우 높이 평가되었고, 노르웨이 왕들 자신도 이 예술을 실천했으며,[36] 에길 스칼라그림손(Egill Skallagrímsson)과 같은 여러 스칼드들은 그들 자신의 전기 사가의 주제가 되었다.[37][31]

크리스티안 크로그(Christian Krohg)가 1899년에 그린 스노리 스투를루손(Snorri Sturluson) 그림


아이슬란드 스칼드들은 노르웨이 궁정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고, 마지막으로 유명한 노르웨이 스칼드는 에이빈드 스칼다스필리르(Eyvindr skáldaspillir)였다.[38][39] 10세기 후반부터 알려진 모든 궁정 스칼드는 아이슬란드 또는 오크니 제도 출신이었다.[5] 10세기 말까지 스칼드 시는 내적으로 점점 더 복잡해졌고, 11세기에 기독교 스칼드들은 특히 이교도 신들을 언급하는 것을 피하면서, 훨씬 더 적은 케닝(kenning)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복잡성에 반발했다.[40] 12세기, 아이슬란드 개종 1세기 후, 일부 스칼드들은 이교도 케닝을 문학적 공식으로 재도입했고,[41] 고대 전통에 대한 관심이 부활했으며, 올라프 트뤼그바손(Olaf Tryggvason)에 대한 아이나르 스쿨라손(Einarr Skúlason)의 '''게이스리'''(Geisli)와 같이 사망 후 150년이 지난 역사적 인물에 대한 '''드라푸르'''(drápur)가 제작되었다.[42][43] 스칼드들은 새로운 운율, 특히 '''드로트크베트'''(dróttkvætt)보다 더 긴 행을 사용하는 '''흐륀헨트'''(hrynhent)[40]를 실험했는데, 이는 아마 라틴 운율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이러한 적응에도 불구하고, 스칼드 전통 자체는 새롭고 단순한 시 형식의 인기와 케닝 전통에 대한 지식의 상실로 위험에 처했다.[45] 1220년경에 제작된 스노리 스투를루손(Snorri Sturluson)의 '''산문 에다'''(Prose Edda)는 운율에 대한 안내, 케닝과 그 신화적 및 영웅적 기반에 대한 설명(당대 학문에 기반을 둔), 그리고 많은 스칼드 구절을 보존하는 수많은 예시를 포함하는 안내서로, 13세기에 궁정 시의 전통이 끝난 후에도 아이슬란드에서 스칼드 시가 계속될 수 있도록 했다.[46]

12세기부터 기독교 종교시는 스칼드 전통의 점점 더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에이스테인 아스그림손(Eysteinn Ásgrímsson)의 '''릴리아'''(Lilja)는 특히 영향력이 있었다. 이것은 '''흐륀헨트'''(hrynhent) 운율을 사용하고 케닝을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많이 모방되었다.[47] 기독교 스칼드 시는 16세기 종교 개혁(Protestant Reformation)과 함께 아이슬란드에서 사라졌지만, 1400년 이후에 제작된 것은 스칼드 작품집의 일부로 거의 연구되지 않는다.[48]

스칼드

5. 주요 스칼드 시인

800년에서 1200년 사이에 300명이 넘는 스칼드가 알려져 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전설적인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부터 13세기 후반까지 그들이 섬긴 통치자에 따른 궁정 스칼드 목록인 ''스칼다탈''에 기록되어 있다.[39][49][50] 이 목록에는 시구가 전해지지 않은 시인들도 포함되어 있다.[39][49][50]

주목할 만한 스칼드는 다음과 같다.


  • 브라기 보드손 "노인" (9세기 초)
  • 토르비외른 호른클로피 (9세기, 하랄드 파르헤어 왕의 궁정 시인)
  • 흐비니르의 뵤드올플 (약 900년경 활동)
  • 에이빈드 스칼다스필리르 (10세기)
  • 에길 스칼라그림손 (10세기 전반, ''에길스 사가''의 주인공)
  • 코르마크르 외그문다르손 (10세기 중반, ''코르마크스 사가''의 주인공)
  • 에일리프르 고드룬나르손 (10세기 후반)
  • 토르발드르 햐탈타손 (10세기, 에리크 승리왕의 스칼드)
  • 할프레드르 반드레다스칼드 (10세기 후반, 올라프 트뤼그바손 왕의 궁정 시인)
  • 아이나르 헬가손 "스칼라글람" (10세기 후반)
  • 울프르 우가손 (10세기 후반)
  • 틴드르 할켈손 (약 1000년경 활동, 야를 하콘 시구르다르손의 궁정 시인 중 한 명)
  • 군라우그르 오름스퉁가 (10~11세기, 풍자와 비난을 잘하는 성격 때문에 "벌레 혀"라는 별명을 가짐)
  • 시그바트르 토르다르손 (11세기 전반, 올라프 하랄드손(성 올라프) 왕의 궁정 시인)
  • 토라린 로프퉁가 (11세기 전반, 스베인 크누트손의 궁정 시인)
  • 오타르 스바르티 (11세기 전반,

6. 현대 대중문화


  • 1965년에 데뷔한 폴란드 록 그룹 스칼도비(Skaldowie)는 스칼드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 2007년에는 스칸디나비아 중세의 스칼드 시가(Skaldic Poetry of the Scandinavian Middle Ages)가 발매되었다.
  • 2018년 노르웨이 포크 그룹 바르두나(Wardruna)는 "스칼드(Skald)"라는 음반을 발매했으며, 같은 이름의 노래도 포함되어 있다.
  • 프랑스 네오포크 그룹 스칼드(Skáld (band))는 스칼드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 스웨덴 파워 메탈 그룹 사바톤(Sabaton (band))은 역사적인 전투와 전쟁을 주제로 한 노래를 자주 작곡하는데, 이는 옛 스칼드 시와 비슷하다.

참조

[1] 웹사이트 scold https://www.etymonli[...] 2019-06-01
[2] 서적 A History of Old Norse Poetry and Poetics Brewer
[3] 학술지 Dróttkvætt https://skaldic.abdn[...] 2021-03-05
[4] 서적 The Skalds: A Selection of Their Poems, With Introductions and Notes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Skaldediktning https://snl.no/skald[...] 2021-03-11
[6] 서적 The Poetic Edda University of Texas Press
[7] 서적
[8] 서적 A History of Icelandic Literature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The Johns Hopkins Press
[9] 서적
[10] Nordiska texter och undersökningar 23 Norrön niddiktning: traditionshistoriska studier i versmagi Almqvist & Wiksell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The Vikings and Their Ag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candinav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서적 Scaldic Poetry Clarendon Press, Oxford University
[19] 서적 Old Icelandic Poetr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The Structure of Old Norse Dróttkvætt Poetry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웹사이트 Egil Skallagrimsson and the Viking Ideal http://fathom.lib.uc[...] University of Chicago 2021-03-11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Kleine Schriften De Gruyter
[35] 서적 Speculum Norroenum: Norse Studies in Memory of Gabriel Turville-Petre Odense University Press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Altnordische Literaturgeschichte De Gruyter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A History of Icelandic Literature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University of Nebraska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백과사전 Skáldatal Kröner
[51] 서적
[52] 학술지 Never in Public: Women and Performance in Old Norse Literature https://escholarship[...] 1999-12-01
[53] 서적
[54] 서적
[55] 웹사이트 Skaldic Project - Cross-Platform Interface https://skaldic.abdn[...] 2017-07-27
[56] 웹사이트 Published volumes https://skaldic.abdn[...] 2021-03-08
[57] 서적
[58] 서적 スカルド詩人のサガ
[59] 서적 スカルド詩人のサガ
[60] 서적 スカルド詩人のサガ
[61] 학술지 原典資料 2007-10-01
[62] 서적 北欧の文学
[63] 서적 スカルド詩人のサ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