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에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 에다는 작자 미상의 고대 노르드어로 쓰인 시의 모음집으로, 대부분 음유 시인에 의해 구전되었다. 정확한 연대는 논쟁의 대상이며, 10세기 후반의 시인 에위빈드 스칼다스필리르의 시에 에다 시의 구절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10세기 이전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있다. 주요 필사본으로는 13세기에 쓰여진 코덱스 레기우스가 있으며, 북유럽 신화와 게르만 영웅 전설에 관한 가장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에다 시는 두운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화시와 영웅시로 분류된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와 톨킨의 호빗 등 다양한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노르드어 문학 - 스칼드
스칼드는 고대 북유럽 궁정 시인으로서 왕과 귀족의 업적을 찬양하는 시를 복잡한 운율과 특수한 어휘로 표현하여 높은 시적 기교를 보여주었으며, 다양한 주제를 다루어 역사적 자료로 활용되지만 14세기 이후 쇠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현대까지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 고대 노르드어 문학 - 신 에다
신 에다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저술한 북유럽 신화와 시에 대한 지식을 담은 책으로, 《길피의 속임수》, 《시어법》, 《운율 일람》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필사본과 다양한 번역본이 존재한다. - 아이슬란드 문학 - 스칼드
스칼드는 고대 북유럽 궁정 시인으로서 왕과 귀족의 업적을 찬양하는 시를 복잡한 운율과 특수한 어휘로 표현하여 높은 시적 기교를 보여주었으며, 다양한 주제를 다루어 역사적 자료로 활용되지만 14세기 이후 쇠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현대까지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 아이슬란드 문학 - 아이슬란드 사가
아이슬란드 사가는 12세기부터 14세기 아이슬란드에서 쓰인 산문 형식의 역사적, 전설적 이야기로, 가계, 가문, 개인의 삶을 다루며 역사적 사건과 신화적 요소를 혼합하여 서술하고, 대표적인 사가로는 『니알스 사가』, 『락스데일라 사가』, 『에길 스칼라그림손 사가』 등이 있다. - 노르드 신화의 문헌 - 룬석
룬석은 4~5세기 노르웨이와 스웨덴에서 기원하여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950년에서 1100년 사이에 제작된 룬 문자가 새겨진 비석으로, 죽은 이를 기리고 업적을 기념하며 영토를 표시하는 등 역사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 노르드 신화의 문헌 - 윙글링 일족의 사가
잉글링 일족의 사가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13세기 초에 저술한 사가로, 잉글링 왕조의 기원과 역사를 다루며, 스칸디나비아 사회의 정치, 종교, 문화를 반영한다.
고 에다 | |
---|---|
개요 | |
유형 | 고대 노르드어 시 모음집 |
다른 이름 | 고 에다 시적 에다 |
관련 작품 | 신 에다 |
내용 | |
주요 내용 | 고대 북유럽 신화와 영웅 전설을 담은 시가 모음 |
구성 | 신화시와 영웅시로 나뉨 |
역사적 정보 | |
기원 | 13세기 아이슬란드 |
중요성 | 북유럽 신화와 문화 연구의 중요한 자료 |
특징 | |
스타일 | 간결하고 강렬한 서사시적 스타일 |
언어 | 고대 노르드어 |
구성 요소 | |
신화시 | 무녀의 예언 높으신 분의 말씀 바프스루드니르의 노래 그림니르의 노래 스키르니르의 여행 하르바르드의 노래 히미르의 노래 로키의 말다툼 스륌의 노래 발드르의 꿈 푤스빈느르의 말 뵐룬드의 노래 알비스의 말 |
영웅시 | 그로티의 노래 헬기의 노래 1 헬기의 노래 2 훈딩을 죽인 헬기의 노래 1 훈딩을 죽인 헬기의 노래 2 시구르드리파의 말 파프니르의 말 시그르드리파의 말 브륀힐드의 헬에게 가는 길 니플룽의 몰락 구드룬의 노래 1 구드룬의 노래 2 구드룬의 노래 3 오르바크스뢰트르 아틀리의 노래 그림힐드의 발언 욤순그 바이킹의 노래 구드룬의 부추김 하무디르의 노래 |
기타 | |
추가 정보 | 일부 시는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지 않음 |
2. 성립 배경 및 연대
에다 시가는 대부분 작자 미상이며, 구전으로 전승되다가 13세기경에 문자화되었다. 정확한 연대 측정은 어려우나, 언어학적 분석과 역사적 사건 언급 등을 통해 일부 시가는 10세기 이전에, 다른 시가는 13세기 이후에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에위빈드 스칼다스필리르는 《하코나르말》에서 《하바말》의 일부 구절을 사용했는데[2], 이는 《하바말》이 더 후대에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제시한다. 아틸라와 같은 역사적 인물은 연대 측정의 단서(terminus post quem)를, 필사본 자체의 연대는 기준점(terminus ante quem)을 제공한다. 《아트라마울 힌 그로엔렌츠쿠》는 제목과 내용으로 보아 그린란드에서 985년 이후에 작곡된 것으로 추정된다.
언어학적 연대 측정 기준으로는 입자 ''of''[3], 부정 부사 ''eigi''의 변화, ''vr-''과 ''v-''의 두운 등이 있다. 올라프 '화이트 스칼드' 토르다르손은 ''v''를 ''r'' 앞에 쓰는 것을 '벤드의 고대 사용'이라 칭했다. 《뵐루스파》의 "드베르가탈"(난쟁이 명단)은 후대에 삽입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시가 쓰인 지리적 위치는 연대 문제와 연관된다. 아이슬란드는 870년경까지 정착되지 않았으므로 그 이전의 시는 스칸디나비아에서, 후대의 시들은 아이슬란드에서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시에 나타난 지리, 동식물을 통해 위치를 특정하려 했지만, 명확한 결론은 어렵다. 아이슬란드 시인들은 늑대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아이슬란드에는 늑대가 없었고, 《볼루스파》의 종말론적 묘사가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을 묘사한 것인지도 확실하지 않다.
2. 1. 작자
에다 시는 대부분 음유 시인의 시로, 오랜 세월 동안 구전되어 특정 작가를 알 수 없다. 하지만, 많은 시들이 개별적인 특성을 강하게 보여주어 개별 시인의 작품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학자들은 가상의 작가에 대해 추측했지만, 확실하게 인정되는 결론은 나오지 않았다.[14]2. 2. 연대 측정
고 에다 시의 정확한 연대 측정은 오랫동안 학문적 논쟁의 대상이었다. 확고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데, 그 이유는 에다 시의 구절이 알려진 시인들의 시에 등장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0세기 후반에 활동한 에위빈드 스칼다스필리르는 그의 《하코나르말》에 《하바말》에서도 발견되는 몇 구절을 사용했다. 그가 알려진 시를 인용했을 수도 있지만, 《하바말》, 적어도 해당 연이 더 후대의 파생 작품일 가능성도 있다.[2]아틸라와 같이 시에 언급된 역사적으로 입증 가능한 몇몇 등장인물은 일종의 ''종점''(terminus post quem)을 제공한다. 필사본 자체의 연대 측정은 더 유용한 ''종점''(terminus ante quem)을 제공한다.
개별 시는 그 연대에 대한 개별적인 단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아트라마울 힌 그로엔렌츠쿠》는 제목에서 그린란드에서 작곡된 것으로 주장하며, 일부 내적 증거로 그렇게 보인다. 만약 그렇다면, 그린란드에는 그 이전까지 스칸디나비아인이 없었기 때문에 약 985년 이전에는 작곡될 수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정황 증거보다 더 확실한 것은 언어학적 연대 측정 기준이다. 이러한 기준은 연대가 더 확실하게 알려진 스칼드 시를 살펴보는 것으로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고대 게르만 언어에서 ''ga-'' 또는 ''ge-''에 해당하는 입자 ''of''는 더 이른 시기의 스칼드 시에서 더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3]
다른 연대 측정 기준으로는 부정 부사 ''eigi'' ('아니다'라는 뜻)의 사용과 ''vr-''이 ''v-''와 두운을 이루는 것이다. 고대 노르드어 서부 방언에서는 전자가 약 1000년에 ''r-''이 되었지만, 일부 에다 시에서는 단어 ''vreiðr''(더 젊은 형태인 ''reiðr'')가 원래 ''v-''로 시작하는 단어와 두운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제3 문법 논문의 저자인 올라프 '화이트 스칼드' 토르다르손이 이미 관찰한 것으로, 그는 이 ''v''를 ''r'' 앞에 있는 것을 ''vindandin forna''('벤드의 고대 사용'이라고 칭함)라고 칭했다.
경우에 따라 오래된 시에 더 젊은 구절이 삽입되거나 다른 시와 병합되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뵐루스파》의 9-16절인 "드베르가탈" 또는 "난쟁이 명단"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삽입으로 간주된다.
2. 3. 지리적 위치
시는 언제 쓰였는지를 파악하는 문제는 시가 어디에서 쓰였는지를 결정하는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 아이슬란드는 대략 870년까지 정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이전에 쓰여진 모든 작품은 필연적으로 다른 곳, 아마도 스칸디나비아에서 쓰여졌을 것이다. 반면에, 더 최근의 시들은 아이슬란드에서 쓰여졌을 가능성이 높다.학자들은 시에 언급된 지리, 동식물을 연구하여 개별 시의 지역을 특정하려 시도했다. 이 접근 방식은 대개 확고한 결과를 얻지 못한다. 예를 들어, 아이슬란드에는 늑대가 없지만, 우리는 아이슬란드 시인들이 이 종에 익숙했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볼루스파''의 종말론적 묘사는 그것을 지은 시인이 아이슬란드의 화산 폭발을 보았다는 증거로 여겨지지만, 이것은 거의 확실하지 않다.
3. 주요 필사본
에다 시가의 가장 중요한 필사본은 왕의 서이며, 13세기에 쓰여져 17세기에 발견되었다. 왕의 서 외에도 AM 748 I 4to, Hauksbók, Flateyjarbók 등에도 에다 시가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6]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에도 많은 시들이 인용되어 있지만, 대개 조각조각 인용된다.[6]
어떤 시들이 ''시 에다'' 판본에 포함되는지는 편집자에 따라 다르다. ''왕립 필사본''에 없는 시들은 때때로 "에다 부록"이라고 불린다.[6] 일반적으로 ''시 에다''에 출판되지 않는 다른 에다 스타일의 시들은 때때로 Eddica minora라고 불리며, 안드레아스 호이슬러와 빌헬름 라니쉬가 1903년에 쓴 책 ''Eddica minora: Fornaldarsögur''와 기타 산문 작품에서 발췌한 에다 스타일의 시에 의해 편집되었다.[6]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신화시 에다 시는 다음 5편이다.[16]
- 『발드르의 꿈』(발드르스 드라우마르non): AM 748 I 4to에만 남아 있었다.
- 『리그의 노래』(리그스쑬라non): 웜 사본(Codex Wormianus)에만 남아 있었다.
- 『휜들라의 노래』(휜들루료드non): 플라테이 섬 책에만 남아 있었다.
- 『무녀의 예언 단편』(볼루스파 인 스캄마non): 『휜들라의 노래』의 제29연부터 제44연에 해당한다.
- 『그로티의 노래』(그로타쇵그르non): 스노리 에다의 사본에 남아 있었다.
- 『스비프다글의 말』(스비프다그스말non): 소푸스 부게가 『그로아의 저주 노래』(그로그갈드르non)와 『푤스비드의 말』(푤스빈스말non) 두 시를 연결한 것이다.
그 외 신화적 에다 시는 다음과 같다.
- 『오딘의 까마귀의 저주 노래』(흐라픈갈드르 오딘스non): 후대 종이 사본에 남아 있던 시.
- 『태양의 노래』[17] (솔라를료드non): 세문드 시구르드손의 손으로 쓰였다고 여겨지는 사본에 남아 있던 시.
3. 1. 왕의 서 (Codex Regius)
'''코덱스 레기우스'''(Codex Regiusla, Konungsbókis 왕의 책)는 13세기에 쓰여진 아이슬란드의 고문서 필사본이다.[5] 1643년 스칼홀트의 주교였던 브륀요울프 스베인손이 발견하여[4] 당시 덴마크 왕에게 헌정했고, 코펜하겐 왕립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가 1971년 아이슬란드로 반환되었다.[5] 당시 항공 여행은 이처럼 귀중한 화물을 운송하기에 완전히 안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군 호위를 받으며 배로 운송되었다.[5] 아이슬란드에서 이 사본의 반환은 "국가의 정체성과 관련된 문제로 열광적으로 받아들여졌다".[11]브륀요울프는 이 필사본을 12세기의 전설적인 아이슬란드 사제인 새문드르 학자의 작품으로 돌렸으나,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귀속을 거부한다.[12]
이 왕의 사본에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에다』에 인용된 시와 북유럽 신화를 이야기하는 시가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스노리가 자신의 『에다』를 저술할 때 그 원본으로 삼았을 것으로 생각되어 "고 에다"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실제로 성립된 것은 『에다』보다 늦은 1270년경에 편찬된 것이 아닌가 생각되고 있다.
3. 2. 기타 필사본
AM 748 I 4to, Hauksbók, Flateyjarbók 등에도 에다 시가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6]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에도 많은 시들이 인용되어 있지만, 대개 조각조각 인용된다.[6] ''시 에다'' 판본에 어떤 시들이 포함되는지는 편집자에 따라 다르며, ''왕립 필사본''에 없는 시들은 때때로 "에다 부록"이라고 불린다.[6]일반적으로 ''시 에다''에 출판되지 않는 다른 에다 스타일의 시들은 때때로 Eddica minora라고 불리며, 안드레아스 호이슬러와 빌헬름 라니쉬가 1903년에 쓴 책 ''Eddica minora: Fornaldarsögur''와 기타 산문 작품에서 발췌한 에다 스타일의 시에 의해 편집되었다.[6]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신화시 에다 시는 다음 5편이다.[16]
- 『발드르의 꿈』(발드르스 드라우마르non): AM 748 I 4to에만 남아 있었다.
- 『리그의 노래』(리그스쑬라non): 웜 사본(Codex Wormianus)에만 남아 있었다.
- 『휜들라의 노래』(휜들루료드non): 플라테이 섬 책에만 남아 있었다.
- 『무녀의 예언 단편』(볼루스파 인 스캄마non): 『휜들라의 노래』의 제29연부터 제44연에 해당한다.
- 『그로티의 노래』(그로타쇵그르non): 스노리 에다의 사본에 남아 있었다.
- 『스비프다글의 말』(스비프다그스말non): 소푸스 부게가 다음 두 시를 연결한 것이다.
- 『그로아의 저주 노래』(그로그갈드르non): 17세기 사본에 있었다.
- 『푤스비드의 말』(푤스빈스말non): 17세기 사본에 있었다.
그 외 신화적 에다 시는 다음과 같다.
4. 구성 및 형식
에다 시가는 주로 두운시 형식으로 쓰여졌다. 시의 언어는 일반적으로 명확하고 비교적 장식이 없다.
스칼드 시와는 대조적으로, 에다 시는 거의 대부분이 작자 미상이다. 단순히 고대 북유럽의 시 중 스칼드 시가 아닌 것을 총칭하여 에다 시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웅시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 두 편의 시가 받아들여진다.
- 『흐로즈의 노래』(''Hlǫðskviða''영어)
- : 『프레즈의 노래』, 『훈족 전쟁의 노래』, 『고트족과 훈족의 전투』 (''The Battle of the Huns''영어, ''Das Lied von der Hunnenschlacht''de) 『흐로즐과 앙간튀르의 노래』(''The Lay of Hloth and Angantýr''영어) 라고도 한다. 『헬보르와 헤이드레크 왕의 사가』에서 유래.
- 『힐디브란트의 만가』(''Hildibrand's Death Song''영어, ''Hildibrands Sterbelied''de)
- : 『힐데브란트의 만가』, 『힐데브란트의 죽음의 노래』 라고도 한다. 『영웅 살해자 아스문드의 사가』에서 유래.
그 외, "고대 시대의 사가"(fornaldarssöguris) 등에서 다음과 같은 영웅시적인 시 작품들이 추출되었다. 일반적으로 스칼드 시에 분류되는 시도 있다.
제목 (원어) | 제목 (한국어 번역) | 출처 | 비고 |
---|---|---|---|
Darraðarljóðnon | 창의 노래, 다라달르의 가요, 발키리의 가요 (Valkyrjuljóðnon, The Song of the Valkyries영어, Das Valkyrjenliedde), 돌즈의 노래 | 냐알의 사가 | |
Gátur Gestumblindanon | 게스튬블린드의 수수께끼 시, 헤이드레크의 수수께끼 시 (Heiðreksgáturnon, The Riddles of King Heithrek영어, Heiðreks Gáturde) | 헬보르와 헤이드레크 왕의 사가 | |
Hervararljóðnon | 헬보르의 가요 (The Lay of Hervor영어, Das Hervǫrliedde), 앙간튀르의 깨어남 (The Waking of Angantýr영어) | 헬보르와 헤이드레크 왕의 사가 | |
Bjarkamálnon | 비아르키의 말 (Die Biarkamálde), 비아르키의 옛 말 (The Old Lay of Biarki영어) | 덴마크인의 사적 | |
The Lay of Innstein영어 | 인스테인의 노래 (Das Innsteinsliedde) | 할브르와 할브스레키의 사가 | |
Víkarsbálkrde | 비카르의 방해, 비카르의 노래 (The Lay of Víkar영어) | 가우트레크의 사가 | |
Das Hróksliedde | 흐로크의 가요 | 할브르와 할브스레키의 사가 | |
'Hiálmars Death Song''영어 | 히알마르의 만가 (Hiálmars Sterbeliedde), 히알마르의 노래 (Hjálmarskviðade) | 명사수 오르바르-오드의 사가 및 헬보르와 헤이드레크 왕의 사가 | |
Ǫrvar-Odds Sterbeliedde | 명사수 오르바르-오드의 만가 | 명사수 오르바르-오드의 사가 | |
Ǫrvar-Odds Männervergleichde | 명사수 오르바르-오드의 인내 시합 | 명사수 오르바르-오드의 사가 | |
Útsteins Kampfstrophende | 우트스테인의 전투 시 | 할브르와 할브스레키의 사가 | |
Ǫrvar-Oddr in Biálkalandde | 명사수 오르바르-오드는 비아르카랜드에서 | 명사수 오르바르-오드의 사가 | |
Scheltgespräche Ketils unt Grímsde | 케틸과 그림의 말다툼 | 웅어 케틸의 사가 및 에길과 아스문드의 사가 | |
Ásmundr auf der Hochzeitde | 아스문드의 결혼 | 영웅 살해자 아스문드의 사가 | |
Hervǫr bei Jarl Biartmarrde | 헬보르와 야를 비아르트마르 | 헬보르와 헤이드레크 왕의 사가 | |
Königskatalogde | 왕의 목록 | 헬보르와 헤이드레크 왕의 사가 | |
Die Arndrímssöhnede | 알른그림의 아들들 | 명사수 오르바르-오드의 사가 | |
Geizhalsstrophende | 구두쇠의 구절 | 가우트레크의 사가 | |
Vǫlsistrophende | 볼시의 구절 | 볼시의 이야기 | |
The Curse of Busla영어 | 부슬라의 저주 (Buslubœnde) | 보사의 사가 | |
Die Tryggðamálde | 트뤼그의 말, 트뤼그의 맹세 (The Oath of Truce영어) | 그라가스, 그레틸의 사가 및 황야의 살해 사가 | |
The Lay of Ingiald영어 | 인기알드의 말 | ||
Hrafnsmálnon | 갈까마귀의 말, 갈까마귀의 노래, 할랄드의 노래, 할랄드의 시, 할랄드 찬가 (Haraldskvæðinon, The Lay of Harold영어) | 일반적으로 스칼드 시에 분류 | |
Eiríksmálnon | 에이리크의 말 (The Lay of Eric영어) | 일반적으로 스칼드 시에 분류 | |
Hákonarmálnon | 하콘의 말 (The Lay of Hákon영어) | 일반적으로 스칼드 시에 분류 | |
무녀의 운율 | 작은 나무의 흐롤프의 사가 |
4. 1. 운율
고대 이야기 운율(fornyrðislag), 말하기 형식(málaháttr), 노래 형식(ljóðaháttr) 등의 운율이 사용되었다.고대 노르드어로 에다 시는 ''Eddukvæði''라고 불린다. 에다 시에서는 일반적으로 '''고담율'''(fornyrðislag 포르니르지스라그, 고운율, 이야기 운율)과 '''가요율'''(ljóðaháttr 료자하토르, 노래 운율)이 사용되며, 드물게 '''담화율'''(málaháttr 마라하토르)이 사용된다.
고운율에서 시는 8행(2개의 단행이 4세트)으로 구성되며, 각 세트의 2단행은 각각 두운으로 연결된다. 또한 각 행은 4개 또는 5개의 음절을 가지며, 그 중 2음절에 강세가 놓인다. 가요율에서는 시는 6행(고운율의 2세트째와 4세트째가 각각 1개의 단행으로 변경)으로 구성되며, 마찬가지로 두운이 사용된다.
케이닝도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 스칼드 시만큼 많이 사용되지 않으며, 복잡하지도 않다.
4. 2. 케이닝
케이닝은 스칼드 시에 비해 덜 빈번하고 덜 복잡하게 사용된다.5. 내용
에다 시는 주로 신화시(Goðakvæðinon)와 영웅시(Hetjukvæðinon)로 분류된다. 왕의 사본에 수록된 영웅시는 헬기에 관한 것과 니블룽에 관한 것으로 나뉜다.
스웨덴의 학자 구스타브 린드블라드는 왕의 사본에 수록된 에다 시들이 주의 깊게 배열되어 있으며, 각 시의 도입부에 놓인 산문은 왕의 사본 편찬자가 시의 내용에 주의를 기울였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또한, 수록된 시들은 1200년경부터 모아지기 시작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13]
5. 1. 신화시
《고 에다》에 수록된 시가들은 크게 신화시와 영웅시로 나뉜다. 신화시는 신들의 이야기와 세계의 창조, 종말 등을 다룬다.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 에다의 사본은 1643년 아이슬란드의 스칼홀트에서 주교 브륀요르브르 스베인스손에 의해 발견된 "왕의 사본"이다. 이 사본은 1662년 덴마크 왕에게 헌상되어 코펜하겐의 덴마크 왕립 도서관에 소장되었다가 1971년 아이슬란드로 반환되었다.[11]
왕의 사본에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에다》에 인용된 시들과 북유럽 신화를 다룬 시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고 에다"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에다》보다 늦은 1270년경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브륀요르브르는 이 사본을 12세기 수도사 세문드르 시그푸스손의 작품으로 생각하여 "세문드르의 에다"라고 불렀으나, 현재 이 설은 부정되고 있다.[12]
스웨덴의 학자 구스타브 린드블라드는 왕의 사본에 수록된 에다 시들이 주의 깊게 배열되어 있으며, 각 시의 도입부에 놓인 산문은 편찬자가 시의 내용에 주의를 기울였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또한, 수록된 시들은 1200년경부터 모아지기 시작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13]
5. 1. 1. 왕의 서 수록 신화시
- 무녀의 예언
- 높으신 분이 말하기를
-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 그림니르가 말하기를
- 스키르니르가 말하기를
- 하르바르드 음률시
- 휘미르의 서사시
- 로키의 말다툼
- 스륌의 서사시
- 볼룬드의 서사시
- 알비스가 말하기를
5. 1. 2. 왕의 서 비수록 신화시
5. 2. 영웅시
《고 에다》는 크게 신화시와 영웅시로 나뉘며, 영웅시는 인간 영웅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 시들은 게르만 영웅 전설의 예시이며, 헬기 훈딩스바니 이야기, 니벨룽겐 이야기, 요르문레크르 고트족 왕 이야기의 세 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각각 스칸디나비아, 독일, 고트족의 기원을 가지고 있다.[11] 역사적으로 아틸라, 요르문레크르, 브륀힐드는 실존 인물이며, 브륀힐드는 오스트라시아의 브륀힐다를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지만, 시에서는 연대기가 거꾸로 되어 있다.
영웅시는 헬기, 니플룽, 요르문렉크에 관한 이야기로 나뉜다.
5. 2. 1. 헬기 서사시
- 훈딩을 죽인 자 헬기의 첫 번째 서사시
- 효르바르드의 아들 헬기의 서사시
- 훈딩을 죽인 자 헬기의 두 번째 서사시
5. 2. 2. 니플룽 대계
- 〈신표틀리의 죽음에 대하여〉
- 〈그리피르의 예언〉
- 〈레긴이 말하기를〉
- 〈파프니르가 말하기를〉
- 〈시그드리파가 말하기를〉
- 〈시구르드의 서사시의 파편〉
- 〈구드룬의 첫 번째 서사시〉
- 〈시구르드의 짧은 서사시〉
- 〈브륀힐드의 저승 가는 길〉
- 〈니플룽 일족의 멸망〉
- 〈구드룬의 두 번째 서사시〉
- 〈구드룬의 세 번째 서사시〉
- 〈오드룬의 비가〉
- 〈아틀리의 서사시〉
- 〈그린란드의 아틀리 노래〉
5. 2. 3. 요르문렉크 서사시
구드룬의 경고와 함디르가 말하기를는 요르문렉크의 잔혹한 죽음에 대한 내용이다.5. 2. 4. 왕의 서 비수록 영웅시
- 흘로드의 서사시
- 헤르보르의 서사시
여러 전설 사가에는 에다 양식의 시가 포함되어 있다. 그 연대와 중요성은 평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특히 『헤르보르 사가』에는 흥미로운 시적 삽입구가 포함되어 있다.
- ''흘로스그비다''(『흘로드의 노래』, 영어로는 『고트족과 훈족의 전투』로도 알려져 있음), 『헤르보르 사가』에서 발췌.
- ''앙간튀르의 각성'', 『헤르보르 사가』에서 발췌.
6. 영향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는 ''고 에다''에 포함된 작품을 많이 사용하지만, 그가 ''고 에다''를 직접 사용했거나 알고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 코덱스 레기우스에 여러 페이지가 유실되어(대 공백 참조) ''볼숭 사가''(Völsunga saga)는 시구르드 이야기의 노르드 버전 대부분에 대한 가장 오래된 완전한 자료이다. ''시구르다르크비다 힌 스캄마''(Sigurðarkviða hin skamma)의 22절만 ''코덱스 레기우스''에 남아 있으며, ''볼숭 사가''에 인용된 유실된 부분에서 4절이 더 있다.
6. 1. 현대 문학에 대한 영향
J. R. R. 톨킨은 고 에다에 익숙한 고대 노르드어 학자이자 어원학자로서, 1937년 판타지 소설 ''호빗''을 비롯한 여러 작품에서 에다의 개념을 활용했다.[8]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안개 산맥은 ''스킬니르의 말''(Skírnismál)의 ''úrig fiöll''에서 유래했다.
- 난쟁이 이름은 ''무녀의 예언''(Vǫluspá)의 ''드베르가탈''(Dvergatal)에서 따왔다.[9]
- ''시구르드와 구드룬의 전설''(The Legend of Sigurd and Gudrún)은 에다에 나오는 니벨룽 시를 운문으로 재구성하거나 재해석한 작품으로, 에다 시의 ''포르뉘르디슬라그''(fornyrðislag) 운율로 쓰였다.
참조
[1]
서적
Norse Mythology: A Guide to Gods, Heroes, Rituals, and Belief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
서적
Das Füllwort of-um im Altwestnordischen. Eine Untersuchung zur Geschichte der germanischen Präfixe: Ein Beitrag zur altgermanischen Metrik
Vandenhoeck & Ruprecht
1929
[3]
서적
The dating of Eddic poetry: A historical survey and methodological investigation
C.A. Reitals Forlag
1999
[4]
논문
The Poetic Edda: Essays on Old Norse Mythology
2002
[5]
서적
The Poetic Edda
https://books.google[...]
Coach House Books
2014
[6]
백과사전
Eddic Poetr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n association with the Medieval Academy of America
2005
[7]
논문
Translating the Poetic Edda into English
http://vsnrweb-publi[...]
Viking Society for Northern Research
2007
[8]
서적
The Road to Middle-earth
Houghton Mifflin
2003
[9]
서적
Return to Bag-End
HarperCollins
2007
[10]
서적
異教神話と宗教
[11]
잡지
オオウミガラスの聖地巡礼
岩波書店
2023-08
[12]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3]
서적
エッダ詩
[14]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and エッダ詩
[1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7]
서적
巫女の予言 エッダ詩校訂本
学校法人東海大学出版会
1993
[1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