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5년에 설립된 북키프로스 터키 축구 협회(KTFF)에 의해 운영되며, FIFA의 정식 회원국은 아니다. 1962년 터키와의 경기를 시작으로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으며, 1980년 이즈미르에서 열린 토너먼트 대회에 참가했다. KTFF는 2004년 NF-보드에 가입했고, FIFI 와일드컵(2006), ELF 컵(2006)에서 우승했으며, VIVA 월드컵(2012)과 CONIFA 월드 풋볼컵(2018), CONIFA 유러피언컵(2017)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키프로스의 축구 - ELF 컵
ELF컵은 2006년 북키프로스에서 비 FIFA 팀들을 대상으로 개최된 축구 대회로, 북키프로스가 크림 자치 공화국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NF-보드 팀 - 티베트 축구 국가대표팀
티베트 축구 국가대표팀은 티베트 난민을 중심으로 2001년 창단되어 CONIFA 등 비FIFA 주최 대회에 참가하며, 중국 정부의 압력으로 FIFA 공식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고 티베트 독립 문제와 관련된 논란의 중심에 있다. - NF-보드 팀 - 차고스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차고스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은 영국령 인도양 지역 출신 선수들로 구성되었으며, N.F.-보드 가입 후 재정난으로 해체되었으나 차고스 축구 협회 결성 후 CONIFA 월드 풋볼컵과 WUFA 월드 시리즈 등에 참가, 2021년 WUFA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다. - 독립 축구 협회 연맹 회원 - 티베트 축구 국가대표팀
티베트 축구 국가대표팀은 티베트 난민을 중심으로 2001년 창단되어 CONIFA 등 비FIFA 주최 대회에 참가하며, 중국 정부의 압력으로 FIFA 공식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고 티베트 독립 문제와 관련된 논란의 중심에 있다. - 독립 축구 협회 연맹 회원 - 키리바시 축구 국가대표팀
키리바시 축구 국가대표팀은 키리바시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준회원국이자 독립 축구 협회 연맹 가입국이지만,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국제 무대에서 제한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태평양 게임에서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 북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 | |
|---|---|
| 기본 정보 | |
![]() | |
| 별칭 | 해당 없음 |
| 협회 | 키프로스 튀르크 축구 협회 (CTFA) |
| 연맹 | CONIFA NF-Board |
| 감독 | 자네르 오샨 |
| 최다 출장 선수 | 세르칸 외네트 (25) |
| 최다 득점 선수 | 할릴 투란 (18) |
| FIFA 코드 | NCY (*비 FIFA 회원국) |
| 엘로 최고 랭킹 | 88 |
| 엘로 최고 랭킹 날짜 | 1962년 |
| 엘로 최저 랭킹 | 113 |
| 엘로 최저 랭킹 날짜 | 2008년 7월 |
| 홈 경기장 | 니코시아 아타튀르크 경기장 |
| 웹사이트 | ktff.org |
| 유니폼 | |
| 홈 | pattern_la1: 해당 없음 pattern_b1: _thinwhitesides pattern_ra1: 해당 없음 leftarm1: FF0000 body1: FF0000 rightarm1: FF0000 shorts1: FF0000 socks1: FF0000 |
| 원정 | pattern_la2: 해당 없음 pattern_b2: _thinredsides pattern_ra2: 해당 없음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 경기 기록 | |
| 첫 경기 | 튀르키예 키프로스인 0–5 (1962년) |
| 최대 점수차 승리 | 15–0 (아르빌, 이라크; 2012년 6월 4일) |
| 최대 점수차 패배 | 튀르키예 키프로스인 0–5 (1962년) 5–0 튀르키예 키프로스인 (이즈미르, 튀르키예; 1980년 9월 28일) |
| CONIFA 월드 풋볼컵 | |
| 출전 횟수 | 2회 |
| 첫 출전 | 2016년 |
| 최고 성적 | 준우승 (2018년) |
| CONIFA 유럽 축구컵 | |
| 출전 횟수 | 1회 |
| 첫 출전 | 2017년 |
| 최고 성적 | 준우승 (2017년) |
2. 역사
북키프로스 터키 축구 협회(KTFF)는 1955년에 창설되었다.[1] 1962년 터키와의 첫 경기를 가졌는데, 이는 FIFA 사무총장이었던 헬무트 카이저 박사의 결정에 따른 것이었다.[1] 1980년 터키 이즈미르에서 열린 토너먼트 대회에 참가하여 1승 1무 2패의 성적을 거두었다.[1]
KTFF는 2004년 NF-보드에 가입하였고,[1] 2005년 KTFF 50주년 기념 컵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1] 2006년에는 FIFI 와일드컵에서 우승했으며,[1] 2006년 VIVA 월드컵 개최가 무산되자 자체적으로 ELF 컵을 개최하여 우승하였다.[1] 2012년 VIVA 월드컵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1]
독립 축구 협회 연맹(CONIFA) 가입 후에는 CONIFA 월드 풋볼컵에 2번 참가하여 2018년 대회에서 준우승했고, CONIFA 유러피언컵에도 3번 출전하여 2회 연속 준우승했다.[1]
2. 1. 기원 (1955년 ~ 1962년)
북키프로스 터키 축구 협회(KTFF)는 1955년에 만들어졌는데, 이는 키프로스 스포츠 대회에서 튀르키예계 키프로스 클럽들이 탈퇴한 결과였다.[1] 1962년 터키를 상대로 첫 경기를 가졌는데, 이는 FIFA 사무국장이었던 헬무트 카이저 박사가 북키프로스가 공식 경기를 제외한 다른 축구 협회와 경기를 할 수 있도록 허용했기 때문이다.[1]2. 2. 이슬람 게임 (1980년)
1980년 튀르키예 이즈미르에서 열린 이슬람 게임 축구 토너먼트에 북키프로스가 독립 국가로 간주되지 않음에도 참가했다.[2][3] 이 대회에서 북키프로스는 터키에게 5-0으로 패해 당시 최악의 패배를 기록했다. 다른 경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에 2-0으로 패하고, 말레이시아에 2-1로 승리했으며, 리비아와 1-1로 비겼다.이 경기는 당시 FIFA 사무총장이었던 헬무트 케저와의 합의에 따라 FIFA가 묵인한 것으로 알려졌다.[2][3]
2. 3. 북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 건국 이후 (1983년 ~ 2004년)
1983년 북키프로스 튀르키예 공화국 건국 이후, 북키프로스 터키 축구 협회(KTFF)는 1999년에 스포츠 게임 축구 연맹을 주최하여 우승했다.[1]KTFF는 2004년에 NF-보드에 가입하여 국가대표팀의 활약 무대를 넓혔다.[1] 2005년에는 KTFF 50주년 기념 컵을 개최하여 사미, 코소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2006년 6월, 북키프로스 대표팀은 FIFI 와일드컵에 참가하여 잔지바르를 승부차기 끝에 4-1로 꺾고 초대 우승팀이 되었다.[1] 같은 해 11월에는 ELF 컵을 개최하여 크림, 사미, 티베트를 꺾고 결승에서 크림을 3-1로 꺾으며 우승을 차지했다.[1]
2. 4. NF-보드 (2004년 ~ 2013년)
북키프로스 터키 축구 협회(KTFF)는 2004년에 NF-보드에 가입하여 국가대표팀의 활동 범위를 넓혔다. 2005년 KTFF 50주년 기념 컵에서 우승했다.[1]2006년 6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첫 번째 NF-보드 토너먼트인 FIFI 와일드컵에서 잔지바르를 승부차기 끝에 4-1로 꺾고 우승했다.[1] KTFF는 2006년 VIVA 월드컵을 개최하려 했으나, 양측의 문제로 인해 자체 토너먼트인 ELF 컵을 개최했다.[1]
북키프로스는 ELF 컵에서 크림을 5-0으로 꺾고, Sápmi를 6-2로 이겼으며, 티베트를 10-0으로 대파했다.[1] 결승전에서 다시 크림을 3-1로 꺾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1]
2. 5. CONIFA (2013년 ~ 현재)
북키프로스 터키 축구 협회는 독립 축구 협회 연맹(CONIFA)에 가입한 후 CONIFA 월드 풋볼컵에 2번 참가하여 2018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CONIFA 유러피언컵에도 3번 출전하여 2회 연속 준우승을 차지했다.[1]3. 국제 대회 기록
북키프로스는 KTFF 50주년 기념 컵, FIFI 와일드컵, ELF컵, 스포츠 게임 축구 협회 등 4개의 국제 대회에서 우승했다. KTFF 50주년 기념 컵은 KTFF 창립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며, 코소보와 사프미가 참가했다. 1999년에는 스포츠 게임 축구 협회를 개최하여 우승했다. 유일하게 우승하지 못한 대회는 1980년 터키에서 열린 이슬람 게임으로, 4경기 중 2경기에서 패했다.
3. 1. FIFA 월드컵 기록
|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1930년 | 비회원국 | |||||||
| 1934년 | ||||||||
| 1938년 | ||||||||
| 1950년 | ||||||||
| 1954년 | ||||||||
| 1958년 | ||||||||
| 1962년 | ||||||||
| 1966년 | ||||||||
| 1970년 | ||||||||
| 1974년 | ||||||||
| 1978년 | ||||||||
| 1982년 | ||||||||
| 1986년 | ||||||||
| 1990년 | ||||||||
| 1994년 | ||||||||
| 1998년 | ||||||||
| 2002년 | ||||||||
| 2006년 | ||||||||
| 2010년 | ||||||||
| 2014년 | ||||||||
| 2018년 | ||||||||
| 2022년 | ||||||||
| 합계 | ||||||||
3. 2. VIVA 월드컵 기록
2004년에 NF-보드에 가입한 키프로스 튀르키예 축구 협회(KTFF)는 2005년 NF-보드로부터 2006년 VIVA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하지만, 2005년 봄 북키프로스 신정권 발족을 계기로 NF-보드는 북키프로스 신정권의 대회 준비에 대한 정치적 개입을 주장했고, KTFF 측은 NF-보드의 부당한 재정적 요구를 주장하며 대립했다. 결국, VIVA 월드컵 개최는 옥시타니아로 변경되었고, 북키프로스는 이에 대항하여 같은 일정으로 ELF컵을 개최했다.
3. 3. CONIFA 월드 풋볼컵 기록
3. 4. CONIFA 유러피언컵 기록
| 연도 | 결과 |
|---|---|
| 2015년 | 불참 |
| 2017년 | 준우승 |
| 2019년 | 준우승 |
3. 5. FIFI 와일드컵 기록
Kıbrıs Türk Futbol Federasyonutr (KTFF)는 2004년 NF-Board에 가입하여 국가대표팀의 지평을 넓혔다. 북키프로스는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첫 번째 NF-Board 토너먼트인 FIFI 와일드컵에서 잔지바르를 승부차기 끝에 4-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점자 |
|---|---|---|---|---|---|---|---|---|---|
| 2006 | 우승 | 1위 | 4 | 3 | 1 | 0 | 6 | 1 | 오랄루(2골), 콜쿠(1골), 체르케즈(1골), 딜런 , 모리스 |
| 합계 | 1/1 | 1위 | 4 | 3 | 1 | 0 | 6 | 1 | 최다 득점자: 오랄루 (2골) |
- 무승부에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가 포함됩니다.
3. 6. ELF 컵 기록
북키프로스는 VIVA 월드컵 개최 예정이었으나, KTFF와 NF-Board 간의 문제로 인해 KTFF는 자체적으로 ELF컵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1] 북키프로스는 크림과의 경기에서 5-0으로 승리하며, 사미를 상대로 6-2로 이긴 종전 '최대 승리' 기록을 경신했다.[1] 이후 티베트를 상대로 10-0 승리를 거두며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1]북키프로스는 ELF컵 결승전에서 크림을 3-1로 꺾고 NF-Board 주관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1]
4. 선수
2021년 CONI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북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과 최근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4]
=== 현재 선수 명단 ===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소속팀 | |
|---|---|---|---|---|---|---|
| GK | 하산 피로 | Hasan Piro|하산 피로tr | 1983년 10월 2일 | 20 | 0 | 알산자크 예실로바 |
| GK | 에르도안 나이 | Erdoğan Nay|에르도안 나이tr | 1997년 7월 16일 | 2 | 0 | 바프 울쿠 유르두 |
| GK | 오잔 메르칸 | Ozan Mercan|오잔 메르칸tr | 1994년 4월 22일 | 2 | 0 | 도안 터크 비를리이 |
| DF | 세르한 외네트 | Serhan Önet|세르한 외네트tr | 1981년 8월 26일 | 25 | 1 | 체틴카야 |
| DF | 차으르 키랄 | Çağrı Kıral|차으르 키랄tr | 1989년 2월 11일 | 20 | 0 | 레프케 |
| DF | 살리 사이 | Salih Say|살리 사이tr | 1981년 3월 10일 | 12 | 0 | 지항기르 |
| DF | 후세인 사디클라르 | Hüseyin Sadıklar|후세인 사디클라르tr | 1986년 8월 13일 | 10 | 1 | 예니자미 |
| DF | 아흐메트 쇨메즈 | Ahmet Sönmez|아흐메트 쇨메즈tr | 1987년 6월 30일 | 10 | 0 | 도안 터크 비를리이 |
| DF | 아유트 에스메라스란 | Ayut Esmeraşlan|아유트 에스메라스란tr | 1992년 3월 28일 | 5 | 0 | 레프케 |
| DF | 아딜 우차르 | Adil Uçar|아딜 우차르tr | 1989년 8월 20일 | 5 | 0 | 마구사 터크 귀추 |
| DF | 네자티 겐치 | Necati Genç|네자티 겐치tr | 1999년 11월 21일 | 0 | 0 | 런던 예니 보아지치 |
| DF | 아리프 우이살 | Arif Uysal|아리프 우이살tr | 1996년 4월 27일 | 0 | 0 | 마구사 터크 귀추 |
| MF | 프랏 에르살란 | Fırat Ersalan|프랏 에르살란tr | 1986년 5월 11일 | 10 | 0 | 지항기르 |
| MF | 할릴 투란 | Halil Turan|할릴 투란tr | 1986년 11월 28일 | 15 | 10 | 마구사 터크 귀추 |
| MF | 케난 오샨 | Kenan Oshan|케난 오샨tr | 1995년 12월 27일 | 12 | 3 | 도안 터크 비를리이 |
| MF | 토마스 리차드슨 | Thomas Richardson|토마스 리차드슨영어 | 2004년 8월 15일 | 6 | 4 | 콜로넬 헤타페 레저브스 |
| MF | 위날 카야 | Ünal Kaya|위날 카야tr | 1991년 6월 8일 | 8 | 1 | 예니자미 |
| MF | 메흐메트 알툰 | Mehmet Altun|메흐메트 알툰tr | 1997년 9월 5일 | 2 | 0 | 예니자미 |
| MF | 야신 쿠르트 | Yasin Kurt|야신 쿠르트tr | 1988년 3월 14일 | 0 | 0 | 마구사 터크 귀추 |
| FW | 우구르 괴크 | Uğur Gök|우구르 괴크tr | 1990년 10월 22일 | 15 | 5 | 퀴추크 카이마클르 |
| FW | 탄셀 에킨겐 | Tansel Ekingen|탄셀 에킨겐tr | 1986년 9월 29일 | 10 | 2 | 예니자미 |
| FW | 아흐메트 시브리 | Ahmet Sivri|아흐메트 시브리tr | 1999년 7월 6일 | 2 | 1 | 갈라타사라이 |
| FW | 빌리 메흐메트 | Billy Mehmet|빌리 메흐메트tr | 1984년 1월 3일 | 5 | 4 | 알산자크 예실로바 |
=== 최근 차출된 선수 ===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소속 클럽 | 비고 | |||||||||||||||||||||||||||||||||||||||||||||||||||||||||||||||||||||||||||||||||||||||||||||||||||||||||||||||||||||||||||||||||||||||||||||||||||||||||||||||||||||||||||||||||||||||
|---|---|---|---|---|---|---|---|---|---|---|---|---|---|---|---|---|---|---|---|---|---|---|---|---|---|---|---|---|---|---|---|---|---|---|---|---|---|---|---|---|---|---|---|---|---|---|---|---|---|---|---|---|---|---|---|---|---|---|---|---|---|---|---|---|---|---|---|---|---|---|---|---|---|---|---|---|---|---|---|---|---|---|---|---|---|---|---|---|---|---|---|---|---|---|---|---|---|---|---|---|---|---|---|---|---|---|---|---|---|---|---|---|---|---|---|---|---|---|---|---|---|---|---|---|---|---|---|---|---|---|---|---|---|---|---|---|---|---|---|---|---|---|---|---|---|---|---|---|---|---|---|---|---|---|---|---|---|---|---|---|---|---|---|---|---|---|---|---|---|---|---|---|---|---|---|---|---|---|---|---|---|---|---|---|---|---|---|
| GK | 에르잔 사만즈오을루 {{lang|tr|Ercan Samancıoğlu|} | } || 1994년 7월 30일 || 예니자미 || 2018 ConIFA 월드 풋볼컵 예비 스쿼드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소속팀 | |
|---|---|---|---|---|---|---|
| GK | 하산 피로 | Hasan Piro|하산 피로tr | 1983년 10월 2일 | 20 | 0 | 알산자크 예실로바 |
| GK | 에르도안 나이 | Erdoğan Nay|에르도안 나이tr | 1997년 7월 16일 | 2 | 0 | 바프 울쿠 유르두 |
| GK | 오잔 메르칸 | Ozan Mercan|오잔 메르칸tr | 1994년 4월 22일 | 2 | 0 | 도안 터크 비를리이 |
| DF | 세르한 외네트 | Serhan Önet|세르한 외네트tr | 1981년 8월 26일 | 25 | 1 | 체틴카야 |
| DF | 차으르 키랄 | Çağrı Kıral|차으르 키랄tr | 1989년 2월 11일 | 20 | 0 | 레프케 |
| DF | 살리 사이 | Salih Say|살리 사이tr | 1981년 3월 10일 | 12 | 0 | 지항기르 |
| DF | 후세인 사디클라르 | Hüseyin Sadıklar|후세인 사디클라르tr | 1986년 8월 13일 | 10 | 1 | 예니자미 |
| DF | 아흐메트 쇨메즈 | Ahmet Sönmez|아흐메트 쇨메즈tr | 1987년 6월 30일 | 10 | 0 | 도안 터크 비를리이 |
| DF | 아유트 에스메라스란 | Ayut Esmeraşlan|아유트 에스메라스란tr | 1992년 3월 28일 | 5 | 0 | 레프케 |
| DF | 아딜 우차르 | Adil Uçar|아딜 우차르tr | 1989년 8월 20일 | 5 | 0 | 마구사 터크 귀추 |
| DF | 네자티 겐치 | Necati Genç|네자티 겐치tr | 1999년 11월 21일 | 0 | 0 | 런던 예니 보아지치 |
| DF | 아리프 우이살 | Arif Uysal|아리프 우이살tr | 1996년 4월 27일 | 0 | 0 | 마구사 터크 귀추 |
| MF | 프랏 에르살란 | Fırat Ersalan|프랏 에르살란tr | 1986년 5월 11일 | 10 | 0 | 지항기르 |
| MF | 할릴 투란 | Halil Turan|할릴 투란tr | 1986년 11월 28일 | 15 | 10 | 마구사 터크 귀추 |
| MF | 케난 오샨 | Kenan Oshan|케난 오샨tr | 1995년 12월 27일 | 12 | 3 | 도안 터크 비를리이 |
| MF | 토마스 리차드슨 | Thomas Richardson|토마스 리차드슨영어 | 2004년 8월 15일 | 6 | 4 | 콜로넬 헤타페 레저브스 |
| MF | 위날 카야 | Ünal Kaya|위날 카야tr | 1991년 6월 8일 | 8 | 1 | 예니자미 |
| MF | 메흐메트 알툰 | Mehmet Altun|메흐메트 알툰tr | 1997년 9월 5일 | 2 | 0 | 예니자미 |
| MF | 야신 쿠르트 | Yasin Kurt|야신 쿠르트tr | 1988년 3월 14일 | 0 | 0 | 마구사 터크 귀추 |
| FW | 우구르 괴크 | Uğur Gök|우구르 괴크tr | 1990년 10월 22일 | 15 | 5 | 퀴추크 카이마클르 |
| FW | 탄셀 에킨겐 | Tansel Ekingen|탄셀 에킨겐tr | 1986년 9월 29일 | 10 | 2 | 예니자미 |
| FW | 아흐메트 시브리 | Ahmet Sivri|아흐메트 시브리tr | 1999년 7월 6일 | 2 | 1 | 갈라타사라이 |
| FW | 빌리 메흐메트 | Billy Mehmet|빌리 메흐메트tr | 1984년 1월 3일 | 5 | 4 | 알산자크 예실로바 |
4. 2. 최근 차출된 선수
다음은 지난 12개월 동안 북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에 차출된 선수들이다.|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소속 클럽 | 비고 | |||||||||
|---|---|---|---|---|---|---|---|---|---|---|---|---|---|
| GK | 에르잔 사만즈오을루 {{lang|tr|Ercan Samancıoğlu|} | } || 1994년 7월 30일 || 예니자미 || 2018 ConIFA 월드 풋볼컵 예비 스쿼드
| 대회 | 결과 |
|---|---|
| FIFI 와일드컵 | 우승 (2006) |
| 비바 월드컵 | 준우승 (2012) |
| CONIFA 월드 풋볼컵 | 준우승 (2018) 3위 (2016) |
| CONIFA 유럽 풋볼컵 | 준우승 (2017) |
| ELF컵 | 우승 (2006) |
키프로스 튀르키예 축구 협회(KTFF)는 1955년에 결성되었으며, 1962년 터키와의 첫 국제 경기에서 5-0으로 패했다. 1980년 이슬람 게임에 처음 출전하여 터키에 5-0으로 패하고, 사우디아라비아에 2-0으로 패했으며, 말레이시아에 2-1로 승리, 리비아와 1-1로 비겼다.
1983년 북키프로스 독립 선언 후, KTFF는 1984년에 Sport Games Football Federation을 개최하여 우승했다. 2004년에는 NF-보드에 가입하여 국가대표팀의 활동 무대를 넓혔다. 2005년, NF-보드는 2006년 VIVA 월드컵 개최국으로 북키프로스를 선정했지만, 정치적 개입 문제와 재정적 요구 문제로 대립하여 개최권이 옥시타니아로 넘어갔고, 북키프로스는 ELF컵을 개최했다.
2006년 6월, FIFI 와일드컵에서 잔지바르를 4-1로 꺾고 우승했다. 2006년 11월에는 ELF컵을 개최하여 크림을 3-1로 꺾고 우승했다.
참조
[1]
웹사이트
Oshan teknik ekibini belirledi Kaynak: Oshan teknik ekibini belirledi
https://www.sporyeni[...]
Sporyeni
2022-11-07
[2]
PDF
http://www.playthega[...]
2022-03-01
[3]
웹사이트
Northern Cyprus – Conifa World football
http://www.conifa.or[...]
2018-11-19
[4]
웹사이트
2021 CONIFA European Football Cup – Wikipedia
https://en.m.wikiped[...]
Cyprus Turkish Football Association
2018-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