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붉은꼬리메기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꼬리메기과는 약 30개의 속과 90여 종으로 구성된 메기과이다. 남아메리카와 파나마, 멕시코 등지에서 발견되며, 긴 수염과 비늘이 없는 몸, 발달된 지방 지느러미가 특징이다. 이 과는 과거에 다른 과로 분류되었던 종들을 포함하며, 분자 분석을 통해 분류가 재정립되었다. 붉은꼬리메기과 내에는 여러 주요 그룹이 존재하며, 각 그룹 내의 관계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많은 종이 식용으로 이용되거나 스포츠 낚시, 수족관 전시, 애완용으로 사육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붉은꼬리메기과 - 줄무늬삽코메기속
    줄무늬삽코메기속은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며 아시아메기과에 속하는 어류 속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고 강, 호수 등에서 야행성 포식자로 서식하며 관상어로 인기가 높지만 멸종 위기에 놓여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붉은꼬리메기과 - 얼룩메기
    얼룩메기는 은색 바탕에 검은 반점과 줄무늬가 있는 날씬한 몸, 세 쌍의 수염, 날카로운 지느러미 가시를 가진 야행성 잡식성 메기류로, 활동적인 수영을 하므로 넓은 수조가 필요하며 동족과 함께 사육할 수 있다.
붉은꼬리메기과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Pimelodus pictus
피멜로두스 픽투스
학명Pimelodidae
명명자Swaison, 1838
이명Pimelodontidae
영명long-whiskered catfishes (긴 수염을 가진 메기)
멸종 범위(올리고세 ~ 현재)
하위 분류
Aguarunichthys (아구아루니크티스)
Bagropsis (바그롭시스)
Bergiaria (베르기아리아)
Brachyplatystoma (브라키플라티스토마)
Calophysus (칼로피수스)
Cheirocerus (케이로케루스)
Duopalatinus (두오팔라티누스)
Exallodontus (엑살로돈투스)
Hemisorubim (헤미소루빔)
Hypophthalmus (히포프탈무스)
Iheringichthys (이헤링기크티스)
Leiarius (레이아리우스)
Luciopimelodus (루키오피멜로두스)
Megalonema (메갈로네마)
Parapimelodus (파라피멜로두스)
Perrunichthys (페루니크티스)
Phractocephalus (프락토케팔루스)
Pimelabditus (피멜라브디투스)
Pimelodina (피멜로디나)
Pimelodus (피멜로두스)
Pinirampus (피니람푸스)
Platynematichthys (플라티네마티크티스)
Platysilurus (플라티실루루스)
Platystomatichthys (플라티스토마티크티스)
Propimelodus (프로피멜로두스)
Pseudoplatystoma (프세우도플라티스토마)
Sorubim (소루빔)
Sorubimichthys (소루비미크티스)
Steindachneridion (슈타인다크네리디온)
Zungaro (중가로)
Zungaropsis (중가롭시스)

2. 분류

붉은꼬리메기과는 분류 체계에 대한 수정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과이다. 현재까지 약 30개의 과 약 9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아직 이름이 붙여지지 않은 종들도 존재한다.[2]

과거에는 Pseudopimelodidae(Pseudopimelodinae 아과) 및 Heptapteridae(Rhamdiinae 아과)로 분류되었던 물고기들과 ''incertae sedis''인 ''Conorhynchos conirostris''가 붉은꼬리메기과에 속했었다.[3][9] 그러나 분자 분석 결과, 이들은 Pimelodoidea라는 분지군을 형성하며 붉은꼬리메기과와는 별개의 과로 분류되었다.[4]

또한, ''Merodontotus''와 ''Goslinia''는 ''Brachyplatystoma''의 동의어로,[5] ''Paulicea''는 ''Zungaro''의 동의어로[9] 각각 통합되었다.

붉은꼬리메기과 내의 주요 그룹은 다음과 같다.[5]


  • ''Steindachneridion''
  • ''Phractocephalus''-''Leiarius'' 그룹
  • ''Pimelodus'' 그룹
  • ''Calophysus'' 그룹
  • ''Zungaro''
  • ''Sorubim'' 그룹


각 속 간의 관계는 아직 연구 중이며, 대부분의 속은 단일 계통군 여부가 불확실하다.[8]

2. 1. 하위 분류

붉은꼬리메기과는 약 30개 에 약 90여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2] 위키백과에는 이 과에 109종의 어류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Aguarunichthys
Bagropsis
Bergiaria
Brachyplatystoma
Calophysus
Cheirocerus
Duopalatinus
Exallodontus
Hemisorubim
Hypophthalmus
Iheringichthys
Leiarius
Luciopimelodus
Megalonema
Parapimelodus
Perrunichthys
Phractocephalus
Pimelabditus
Pimelodina
Pimelodus
Pinirampus
Platynematichthys
Platysilurus
Platystomatichthys
Propimelodus
Pseudoplatystoma
Sorubim
Sorubimichthys
Steindachneridion
Zungaro
Zungaropsis



눈이 작은 메기(이전의 Hypophthalmidae과)와 그 속인 ''Hypophthalmus''는 4종을 포함하며, 붉은꼬리메기과로 재분류되었다.[9]

이 과는 이전에는 현재 Pseudopimelodidae (이전의 Pseudopimelodinae 아과) 및 Heptapteridae (이전의 Rhamdiinae 아과)로 분류된 물고기를 포함했었다.[9] 또한 이 과는 이전에는 현재 ''incertae sedis''인 ''Conorhynchos conirostris''를 포함했었다.[3] 그러나 분자 분석을 통해 개별 과의 단계통군과 ''Conorhynchos'' 속이 Pimelodoidea라고 불리는 분지군으로 분명하게 지지받는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여기에는 Pimelodidae + Pseudopimelodidae 및 Heptapteridae + ''Conorhynchos''가 포함된다.[4]

일부 속은 비교적 최근에 동의어로 지정되었다. ''Merodontotus''와 ''Goslinia''는 현재 모두 ''Brachyplatystoma''에 포함된다.[5] 또한 ''Paulicea''는 현재 ''Zungaro''의 동의어이다.[9]

붉은꼬리메기과 내의 6개의 주요 그룹은 ''Steindachneridion'', ''Phractocephalus''-''Leiarius'' 그룹, ''Pimelodus'' 그룹, ''Calophysus'' 그룹, ''Zungaro'', 그리고 ''Sorubim'' 그룹이다.[5] ''Pimelodus'' 그룹에는 ''Pimelodus'', ''Exallodontus'', ''Duopalatinus'', ''Cheirocerus'', ''Iheringichthys'', ''Bergiaria'', ''Bagropsis'', ''Parapimelodus'', ''Platysilurus'', ''Platystomatichthys'', 그리고 ''Propimelodus''가 포함된다.[6] ''Calophysus'' 그룹에는 5개의 속인 ''Aguarunichthys'', ''Pimelodina'', ''Calophysus'', ''Luciopimelodus'', 그리고 ''Pinirampus''가 포함된다.[7]

각 속 내의 관계는 여전히 연구 중이다. 대부분의 속은 단일 계통군에 대한 가설이 없다.[8]

2. 2. 계통 분류

다음은 설리반(Sullivan) 등과 디오고(Diogo)와 펭(Peng)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25][26]

  • Steindachneridion영어
  • Phractocephalus영어-Leiarius영어 그룹
  • Pimelodus영어 그룹
  • Calophysus영어 그룹
  • Zungaro영어
  • Sorubim영어 그룹


''Pimelodus'' 그룹에는 ''Pimelodus'', ''Exallodontus'', ''Duopalatinus'', ''Cheirocerus'', ''Iheringichthys'', ''Bergiaria'', ''Bagropsis'', ''Parapimelodus'', ''Platysilurus'', ''Platystomatichthys'', ''Propimelodus''가 포함된다.[6] ''Calophysus'' 그룹에는 ''Aguarunichthys'', ''Pimelodina'', ''Calophysus'', ''Luciopimelodus'', ''Pinirampus''의 5개 속이 포함된다.[7]

붉은꼬리메기과는 많은 수정 작업을 거쳤다. 현재 약 30개의 과 약 90종의 알려졌지만 아직 이름이 붙여지지 않은 종을 포함하고 있다.[2]

이 과는 이전에 현재 Pseudopimelodidae(이전에는 Pseudopimelodinae 아과) 및 Heptapteridae(이전에는 Rhamdiinae 아과)로 분류된 물고기를 포함했다.[9] 또한 이 과는 이전에 현재 ''incertae sedis''인 ''Conorhynchos conirostris''를 포함했다.[3] 그러나 분자 분석을 통해 개별 과의 단계통군과 ''Conorhynchos'' 속이 Pimelodoidea라고 불리는 분지군으로 분명하게 지지받는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여기에는 Pimelodidae + Pseudopimelodidae 및 Heptapteridae + ''Conorhynchos''가 포함된다.[4]

일부 속은 비교적 최근에 동의어로 지정되었다. ''Merodontotus''와 ''Goslinia''는 현재 모두 ''Brachyplatystoma''에 포함된다.[5] 또한 ''Paulicea''는 현재 ''Zungaro''의 동의어이다.[9]

각 속 내의 관계는 여전히 연구 중이다. 대부분의 속은 단일 계통군에 대한 가설이 없다.[8]

3. 분포

피멜로두스과는 모든 종이 남아메리카와 낮은 지협 지역에서 발견된다.[2] 분포 지역은 남아메리카와 파나마에서 북쪽으로 최남단의 멕시코까지 이른다.[9] 중남미에 분포한다.[13]

4. 형태 및 생태

많은 붉은꼬리메기과 물고기들은 매우 긴 수염을 가지고 있으며 매우 크게 성장한다. 피라이바(''Brachyplatystoma filamentosum'')는 길이가 약 3m에 이른다. 이들은 세 쌍의 수염을 가지고 있으며, 위턱 수염은 물고기 몸의 길이에 달할 수 있다. 다른 많은 메기들과 마찬가지로 몸에 비늘이 없다. 지방 지느러미는 잘 발달되어 있다.[9]

많은 종의 붉은꼬리메기는 어린 시기에 색상 패턴과 몸의 모양 면에서 성체와 다르게 나타난다.[10] ''Brachyplatystoma'' 종은 매우 길어진 수염과 지느러미 실, 그리고 강하게 장식된 가슴 지느러미 가시를 가진 특화된 원양성 어린 개체를 가지고 있다. ''Pseudoplatystoma'', ''Sorubim'', ''Sorubimichthys''와 같은 다른 큰 붉은꼬리메기는 어린 개체가 초목이 우거진 연안 수역에 서식하며, 독특한 숨은 보호색 패턴과 매우 커진 꼬리 지느러미 및 가슴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11]

대부분 저서생물이지만, 일부는 부유 생활을 하며 여과 섭식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9] 새끼를 돌보지 않는다.[3]

5. 인간과의 관계

붉은꼬리메기과 어류는 많은 종이 대형종이기 때문에 남아메리카에서 중요한 식용 물고기이다. 더 큰 물고기를 얻기 위해 많은 종이 호르몬을 사용하여 잡종으로 만들어졌다.[4] 이러한 크기 때문에 스포츠 낚시에서도 매우 인기가 높다.[4]

붉은꼬리메기과 어류는 동물원수족관의 아마존 테마 전시물에 흔히 추가된다.[4]

많은 종의 크기가 커질 위험에도 불구하고, 붉은꼬리메기과 어류는 여전히 인기 있는 가정 수족관 물고기이다.[4] 성어의 크기 때문에 많은 대형종의 판매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4] 또한 취미 활동에서 잡종의 출현에 대해서도 일부 이견이 있다.[4] 많은 종은 튼튼하고 관리하기 쉽지만, 붉은꼬리메기과 어류와 함께 어떤 물고기를 사육할지 고려해야 하는데, 이는 붉은꼬리메기과 어류가 충분히 작은 다른 물고기를 먹는 것을 꺼리지 않기 때문이다.[4]

참조

[1] 논문 Revision of genus ''Steindachneridion'' (Siluriformes: Pimelodidae)
[2] 논문 Taxonomy of the catfish genus ''Pseudoplatystoma'' Bleeker (Siluriformes: Pimelodidae) with recognition of eight species http://www.mapress.c[...] 2009-06-24
[3] 간행물
[4] 논문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ajor groups of catfishes (Teleostei: Siluriformes) using rag1 and rag2 nuclear gene sequences
[5] 논문 ''Brachyplatystoma capapretum'': a New Species of Goliath Catfish from the Amazon Basin, with a Reclassification of Allied Catfishes (Siluriformes: Pimelodidae) http://www.bioone.or[...]
[6] 논문 ''Propimelodus'', new genus, and redescription of ''Pimelodus eigenmanni'' Van der Stigchel 1946, a long-recognized yet poorly-known South American catfish (Pimelodidae: Siluriformes) http://www.bioone.or[...]
[7] 논문 Revision of ''Pimelodina'' and Description of a New Genus and Species from the Peruvian Amazon (Pisces: Pimelodidae)
[8] 논문 Three new ''Pimelodus'' species (Siluriformes: Pimelodidae) from the rio Tocantins drainage, Brazil
[9]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10] 논문 ''Pteroglanis manni'' Eigenmann and Pearson, a Juvenile of ''Sorubimichthys planiceps'' (Agassiz), with a Review of the Nominal Species of ''Sorubimichthys'' (Pisces: Pimelodidae)
[11] 논문 First description of small juveniles of the primitive catfish ''Diplomystes'' (Siluriformes: Diplomystidae) http://www.mansfield[...] 2004-03-01
[12] 논문 Revision of genus ''Steindachneridion'' (Siluriformes: Pimelodidae)
[13] 논문 Taxonomy of the catfish genus ''Pseudoplatystoma'' Bleeker (Siluriformes: Pimelodidae) with recognition of eight species http://www.mapress.c[...] 2009-06-24
[14] 간행물
[15] 논문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ajor groups of catfishes (Teleostei: Siluriformes) using rag1 and rag2 nuclear gene sequences
[16] 논문 ''Brachyplatystoma capapretum'': a New Species of Goliath Catfish from the Amazon Basin, with a Reclassification of Allied Catfishes (Siluriformes: Pimelodidae) http://www.bioone.or[...]
[17] 논문 Three new ''Pimelodus'' species (Siluriformes: Pimelodidae) from the rio Tocantins drainage, Brazil
[18] 논문 Phylogenetics of the South American catfish family Pimelodidae (Teleostei: Siluriformes) using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 sequences
[19]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20] 논문 ''Pteroglanis manni'' Eigenmann and Pearson, a Juvenile of ''Sorubimichthys planiceps'' (Agassiz), with a Review of the Nominal Species of ''Sorubimichthys'' (Pisces: Pimelodidae)
[21] 논문 First description of small juveniles of the primitive catfish ''Diplomystes'' (Siluriformes: Diplomystidae) http://www.mansfield[...] 2004-03-01
[22] 간행물
[23] 논문 Taxonomy of the catfish genus ''Pseudoplatystoma'' Bleeker (Siluriformes: Pimelodidae) with recognition of eight species http://www.mapress.c[...]
[24]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25] 논문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ajor groups of catfishes (Teleostei: Siluriformes) using rag1 and rag2 nuclear gene sequences
[26] 서적 State of the Art of Siluriform Higher-level Phylogeny Science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