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꼬리파스코갈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꼬리파스코갈레(''Phascogale calura'')는 파스코갈레속에 속하는 유대류로, 1844년 존 굴드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붉은꼬리웜벵거, 캥구르, 붉은꼬리 마우스색 등으로도 불리며, 꼬리 털이 붉은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몸길이는 약 10cm, 몸무게는 약 60g이며, 수컷은 짝짓기 후 스트레스성 질병으로 죽지만, 암컷은 최대 3년까지 생존 가능하다. 곤충, 거미, 작은 새 등을 먹는 육식 동물이며,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남부 휫벨트 지역에 제한적으로 서식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는 취약근접종으로, 오스트레일리아 EPBC 조례는 멸종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붉은꼬리파스코갈레는 행동 및 면역 체계 연구를 위한 모델 종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4년 기재된 포유류 - 발리호랑이
발리호랑이는 인도네시아 발리섬에 서식했던 순다열도에서 가장 작은 호랑이 아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멸종되었으며, 현재 표본이 보존되어 있고 발리 문화에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유전적 연구 결과 순다열도호랑이로 재분류되었다. - 1844년 기재된 포유류 - 날다람쥐
날다람쥐는 다람쥐과 포유류로, 앞뒷다리 사이의 비막을 이용하여 활공하며, 일본 고유종으로 혼슈, 시코쿠, 큐슈의 숲에 서식하고, 야행성 수목 생활을 하며, 다양한 수목의 잎, 씨앗, 열매 등을 섭취하고, 족제비, 담비, 맹금류 등이 천적이며, 일본 문화 속에서 다양한 상징으로 나타나고, 현재는 조수보호법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 - 주머니고양이과 - 북부쿠올
북부쿠올은 주머니고양이과에 속하는 쿠올의 일종으로, 호주에서 가장 독특하며, 퀸즐랜드, 노던 준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개체군이 존재하고, 수컷은 짝짓기 후 사망하며,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 주머니고양이과 - 물가라
물가라는 호주 건조 지역에 사는 주머니고양이목 동물로, 꼬리 털과 젖꼭지 수에 따라 붓꼬리물가라와 볏꼬리물가 두 종류로 나뉘며, 매일 동면하고 임신 기간에는 동면을 늘려 에너지 보존을 하는 특징을 가진다.
붉은꼬리파스코갈레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태 | 준위협 (NT) |
속 | 파스코갈레속 |
학명 | Phascogale calura |
명명자 | Gould, 1844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강 | 포유강 |
하강 | 유대하강 |
목 | 주머니고양이목 |
과 | 주머니고양이과 |
아과 | 주머니고양이아과 |
족 | 파스코갈레족 |
속 | 파스코갈레속 |
종 | 붉은꼬리파스코갈레 (P. calura) |
2. 분류
붉은꼬리파스코갈레는 파스코갈레속에 속하는 3종 중 하나이며, 나머지 2종은 솔꼬리파스코갈레(''P. tapoatafa'')와 북부 솔꼬리파스코갈레(''P. pirata'')이다. 1844년 박물학자 겸 화가인 존 굴드가 처음 기술하였다.[3] 학명 ''Phascogale calura''는 "아름다운 꼬리의 주머니를 가진 족제비"를 의미한다.[33] 붉은꼬리웜벵거, 캥구르(뇨웅가르어)[12], 붉은꼬리 마우스색[4] 등으로도 불린다.
붉은꼬리파스코갈레는 근연종 솔꼬리파스코갈레보다 몸집이 작고 갈색을 더 띤다.[5] 몸길이는 약 10cm이며, 몸무게는 약 60g이다.[8] 수컷은 첫 짝짓기 이후에 스트레스성 질병으로 죽는다.[34] 수명은 수컷이 11.5개월 정도이지만, 암컷은 3년까지 살 수 있다. 포획된 경우에는 수컷도 3년 이상, 암수 모두 최대 5년까지 살 수 있다.[33] [6] [7] 최대 2m까지 점프할 수 있다.[8]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상성 동물이며, 육식을 한다.[9] 곤충, 거미, 작은 새와 포유류(특히 집쥐)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한다.[9] [10] 먹이를 통해 수분을 섭취하며, 따로 물을 마시지 않는다.[3]
붉은꼬리파스코갈레는 과거 오스트레일리아 중서부에 널리 분포했으나, 현재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남부 휫벨트 지역에 제한적으로 서식한다.[35] 한때 오스트레일리아 중부와 서부 전역에 널리 분포했지만, 현재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남부 밀 벨트 지역으로 제한되어 서식한다.[11]
붉은꼬리파스코갈레는 한때 오스트레일리아 중서부에 널리 분포했지만, 현재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남부 휫벨트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서식하고 있다.[35]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서는 붉은꼬리파스코갈레를 취약근접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의 1999년 환경보호 및 생물다양성 보존 조례 (EPBC Act)에서는 멸종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2]
3. 특징
4. 분포 및 서식지
붉은꼬리파스코갈레는 밀집되고 키가 큰 극상 식생에서 발견되며, 완두(유칼립투스 완두)와 바위 쇠뜨기(''Allocasuarina huegeliana'')가 포함된 지역을 선호한다. 이는 붉은꼬리파스코갈레가 가축에게 치명적인 플루오로아세트산에 대한 내성을 발달시켰기 때문이다.[3] 대부분의 토착 동물들은 플루오로아세트산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지만, 붉은 여우(''Vulpes vulpes'')와 같은 외래종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서 붉은꼬리파스코갈레의 생존은 이 화학 물질에 기인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
5. 보존 상태
붉은꼬리파스코갈레는 여러 주 및 준주 법률에 따라 서로 다른 등급으로 분류되어 있다.주/준주 등급 관련 법률 목록 등재 시점 뉴사우스웨일스주 멸종 생물 다양성 보존법 2016 (NSW) 2022년 2월 노던 준주 멸종 테리토리 공원 및 야생 생물 보존법 2000 2012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위급 국립 공원 및 야생 생물법 1972 2020년 1월 빅토리아주 멸종 식물 및 동물 보장법 1988 2021년 10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보존 의존종 생물 다양성 보존법 2016 (WA) 2018년 9월
5. 1. 보존 노력
2009년 오스트레일리아 서부의 중부 밀 벨트 지역에 위치한 와데린 보호구역에 붉은꼬리파스코갈레가 재도입되었다.[13]
2020년 6월에는 호주 중앙부의 보존 노력으로 앨리스 스프링스 사막 공원의 인공 증식 프로그램을 거쳐 노던 준주 레이크 매케이 근처 뉴헤이븐 야생 동물 보호구역에 30마리가 방사되었다. 이들은 오스트레일리아 서부에서 야생에서 포획한 소규모 개체군을 기반으로 증식되었으며, 섬세한 번식 주기를 세심하게 관리했다. 방사 전 동물에게 마이크로칩을 삽입했으며, 평생 추적될 예정이다.[14]
2022년 8월 퍼스 북동쪽 50km 떨어진 에이번 밸리에 위치한 호주 야생 동물 보호 협회가 운영하는 파루나 야생 동물 보호구역에서 붉은꼬리파스코갈레가 관찰되었다. 이 종은 수십 년 동안 이 지역 근처에서 발견되지 않았으며, 가장 가까운 알려진 개체군은 남동쪽으로 약 100km 떨어져 있다.[8]
6. 모델 종
붉은꼬리파스코갈레는 모델 종으로 연구에 활용된다.[15] 행동적 체온 조절 연구를 통해 에너지 요구량을 줄이기 위해 일광욕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16] 사육 영양 실험에서 붉은꼬리파스코갈레는 하루에 체중의 최대 39%에 달하는 먹이를 섭취하며, 일일 유지 에너지 요구량은 약 954kJ kg0.75day−1인 것으로 나타났다.[17] 다른 많은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젖을 먹이는 동안에는 새끼의 증가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먹이 섭취량이 변화한다.[18]
특히 붉은꼬리파스코갈레는 유대류 면역 체계, 면역 조직 발달,[19] 및 핵심 면역 세포의 발현과 국소화 연구에 사용되었다.[20] 다른 유대류와 마찬가지로, 이들은 활성 보체계를 가지며,[21][22] 보체 성분 발현 수준은 새끼의 성장에 따라 변화한다.[23] 붉은꼬리파스코갈레의 혈청은 일부 박테리아 종에 대한 항균 특성을 보인다.[24] 참고 유전자는 육아낭에 있는 새끼와 성체에서 평가되었다.[25]
붉은꼬리파스코갈레는 T 세포 수용체 및 공동 수용체,[26]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27] 인터류킨-6 및 그 수용체도 발현한다.[28]
일생에 한 번만 번식하는 전략을 고려하여, 사육 상태에서 면역 노쇠 및 면역 반응과 관련한 연구가 진행되었다.[29][30]
참조
[1]
문서
MSW3 Groves
[2]
간행물
"''Phascogale calura''"
2019
[3]
서적
The Mammals of Australia
Reed Books
[4]
웹사이트
Red-Tailed Phascogale - Appearance, Diet, Habitat
https://www.theanima[...]
2022-08-23
[5]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Mammals of Australia
Reed New Holland
2008
[7]
논문
Longevity and breeding in the red-tailed phascogale ''Phascogale calura''
2013
[8]
웹사이트
Red-tailed phascogale spotted in WA's Paruna Sanctuary to the surprise of scientists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2-08-24
[9]
문서
Kitchener, D.J., 1981. Breeding, diet and habitat preference of Phascogale calura (Gould, 1844)(Marsupialia: Dasyuridae) in the southern wheatbelt, Western Australia. Records of the Western Australian Museum, 9, pp.173-186.
[10]
문서
Stannard, H.J., Caton, W. and Old, J.M., 2010. The diet of red‐tailed phascogales in a trial translocation at Alice Springs Desert Park,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Journal of Zoology, 280(4), pp.326-331. doi:https://dx.doi.org/10.1111/j.1469-7998.2009.00658.x
[11]
논문
Distribution and status of the red-tailed phascogale ''Phascogale calura''
http://researchrepos[...]
2012
[12]
웹사이트
Phascogale calura — Red-tailed Phascogale, Red-tailed Wambenger, Kenngoor
http://www.environme[...]
Department of Climate Change, Energy, the Environment and Water, Australian Government
2022-07-07
[13]
논문
Successful reintroduction of the brushtail possum to Wadderin Sanctuary in the eastern wheatbelt of Western Australia
2014
[14]
웹사이트
Red-tailed phascogales return to Central Australian landscape for the first time in decades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0-06-23
[15]
논문
Red-tailed phascogales: A review of their biology and importance as model marsupial species
2021-02
[16]
논문
To bask or not to bask: Behavioural thermoregulation in two species of dasyurid, Phascogale calura and Antechinomys laniger
2015-10
[17]
문서
Stannard, H.J. and Old, J.M., 2012. Digestibility of feeding regimes of the red-tailed phascogale (Phascogale calura) and the kultarr (Antechinomys laniger) in captivity. Australian Journal of Zoology, 59(4), pp.257-263. doi:https://dx.doi.org/10.1071/ZO11069
[18]
논문
Changes to food intake and nutrition of female red-tailed phascogales (Phascogale calura) during late lactation
2015-11
[19]
논문
Histological Development of the Immune Tissues of a Marsupial, the Red-Tailed Phascogale (Phascogale calura)
2016-02
[20]
논문
An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 and Localization of Key Immune Cells in Developing Pouch Young of the Red-Tailed Phascogale (Phascogale calura)
2019-11
[21]
논문
Preliminary genomic survey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complement system in non-eutherian mammals
2016
[22]
논문
Detection of an active complement system in red-tailed phascogales (''Phascogale calura'')
2015
[23]
논문
Sequences and expression of pathway-specific complement components in developing red-tailed phascogale (Phascogale calura)
2016-12
[24]
논문
Antimicrobial activity of red-tailed phascogale (Phascogale calura) serum
2017-04
[25]
논문
Evaluation of reference genes for gene expression in red-tailed phascogale (Phascogale calura) liver, lung, small intestine and spleen
2016-09-06
[26]
논문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gene expression profiles of the T cell receptors and co-receptors in developing red-tailed phascogale (Phascogale calura) pouch young
2018-09
[27]
논문
MHC Class II in the red-tailed phascogale (''Phascogale calura'')
2016
[28]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mRNA encoding interleukin-6 and its receptor, interleukin-6 receptor α, in five marsupial species
2016-12
[29]
논문
Immunosenescence in a captive semelparous marsupial, the red-tailed phascogale (Phascogale calura)
2018
[30]
논문
Limitations in the isolation and stimulation of splenic mononuclear cells in a dasyurid marsupial, Phascogale calura
2018-10
[31]
문서
MSW3 Groves
[32]
간행물
Phascogale calura
[33]
서적
The Mammals of Australia
Reed Books
[34]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35]
논문
Distribution and status of the red-tailed phascogale ''Phascogale calura''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