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트 스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로트 스벤은 1084년경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한 인물이다. 기독교를 거부하고 이교 신앙을 고수하며, 잉에 1세에 의해 웁살라에서 추방된 잉에 1세를 대신하여 왕위에 올랐다. 그는 1087년경 잉에 1세에게 살해당했으며, 스웨덴에 기독교가 전파되기 전까지 이교 신자들에게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텡킬가 - 필리프 (스웨덴)
필리프는 할스텐 국왕의 아들이자 잉에 1세의 사촌으로, 잉에 2세와 공동 군주로서 1110년경부터 1118년까지 스웨덴을 통치하며 평화로운 통치를 했다고 전해진다. - 스텡킬가 - 잉에 1세 (스웨덴)
스텡킬 왕조 출신인 잉에 1세는 기독교 신앙을 지키며 이교 의식 집행을 거부하다 추방되었으나 블로트 스벤을 살해하고 왕위를 되찾았고, 노르웨이와의 분쟁을 해결한 후 사망하여 필리프에게 왕위를 계승했다. - 살해된 11세기 군주 - 목종 (고려)
목종은 고려의 제7대 왕으로, 헌애왕후의 섭정 하에 전시과 개혁과 국방 강화에 힘썼으나, 권력 남용과 왕위 찬탈 시도 속에 폐위되어 살해당하며 그의 죽음은 전쟁의 빌미가 되었다. - 살해된 11세기 군주 - 크누드 4세
에스트리센 가 출신인 크누드 4세는 덴마크 왕으로 재위하며 왕권 강화와 기독교 전파에 힘썼고 잉글랜드 침공을 시도했으나 암살당한 후 덴마크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 11세기 유럽의 군주 - 필리프 1세 (프랑스)
1052년 샹파뉴에퐁텐에서 태어나 7세에 프랑스 왕위에 오른 필리프 1세는 봉신들의 반란, 불륜과 재혼으로 인한 교회와의 갈등, 왕실 영토 확장 노력 등 권력 다툼과 스캔들로 점철된 통치 기간을 보냈다. - 11세기 유럽의 군주 - 하인리히 4세
하인리히 4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서, 서임권 투쟁으로 교황과 대립하고 아들에게 폐위되어 사망했다.
| 블로트 스벤 | |
|---|---|
| 기본 정보 | |
![]() | |
| 재위 기간 | 1084년 - 1087년 |
| 배우자 | 헬레나 스텐킬스도테르 |
| 자녀 | 세실리아 울프 에리크 오셀/콜 (?) |
| 인물 정보 | |
| 사망일 | 1087년 |
| 종교 | 이전: 고대 노르드 신앙 이후 (강요): 기독교 |
2. 생애
아이슬란드에서 쓰여진 포르날다르 사가인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에 따르면, 1084년경 기독교 신자였던 잉에 1세가 웁살라 신전에서 제사를 거부하여 웁살라에서 추방되자 스벤이 왕위에 올랐으나, 1087년경 잉에 1세에게 살해되었다.[3]
2. 1. 왕위 계승
아이슬란드에서 쓰여진 포르날다르 사가인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에서 그의 행적이 묘사되어 있다.[3]1084년경 기독교 신자였던 잉에 1세 국왕이 스웨덴의 역대 국왕들이 이교의 신들에 대한 제사를 지내던 웁살라 신전에서 사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웁살라에서 추방되었다. 이에 따라 스벤은 스웨덴의 국왕으로 즉위했지만 1087년경 잉에 1세에게 살해되고 만다.[3]
블로트 스벤이 권력을 잡게 된 시기를 다루는 가장 초기의 자료는 아이슬란드의 전설적인 사가인 ''헤르바라르 사가''이다.
잉에 1세는 뫼르라는 여인과 결혼했는데, 그녀에게는 스베인이라는 남동생이 있었다. 잉에 왕은 다른 어떤 남자보다 스베인을 더 좋아했고, 스베인은 스웨덴에서 가장 위대한 사람이 되었다.|잉에 1세는 뫼르라는 여인과 결혼했는데, 그녀에게는 스베인이라는 남동생이 있었다. 잉에 왕은 다른 어떤 남자보다 스베인을 더 좋아했고, 스베인은 스웨덴에서 가장 위대한 사람이 되었다.non[3]
그러나 잉에는 아버지 스텐킬과는 달리 백성들이 옛 방식을 따르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스웨덴인들은 이에 강하게 반발하여 잉에에게 옛 전통을 따르거나 왕위를 포기하라고 요구했다. 잉에가 기독교를 버리지 않겠다고 선언하자, 백성들은 그에게 돌을 던지고 쫓아냈다.[3] 이것은 스벤이 권력을 잡을 기회였으며, 그의 즉위에 관한 ''헤르바라르 사가''의 기록에는 고대 인도유럽 종교의 희귀한 말 희생 의식이 묘사되어 있다.
잉에 왕의 매형인 스베인은 회의에 남아 스웨덴인들에게 왕국을 주면 그들을 위해 희생 제사를 지내겠다고 제안했다. 그들은 모두 스베인의 제안을 받아들이기로 동의했고, 그는 스웨덴 전체의 왕으로 인정받았다. 그 후 말 한 마리가 회의에 끌려와 조각내어 먹을 수 있도록 잘랐고, 성스러운 나무에는 피가 발라졌다. 그 후 모든 스웨덴인들은 기독교를 버렸고, 제사가 다시 시작되었다. 그들은 잉에 왕을 몰아냈고, 그는 베스테르예틀란드로 갔다.|잉에 왕의 매형인 스베인은 회의에 남아 스웨덴인들에게 왕국을 주면 그들을 위해 희생 제사를 지내겠다고 제안했다. 그들은 모두 스베인의 제안을 받아들이기로 동의했고, 그는 스웨덴 전체의 왕으로 인정받았다. 그 후 말 한 마리가 회의에 끌려와 조각내어 먹을 수 있도록 잘랐고, 성스러운 나무에는 피가 발라졌다. 그 후 모든 스웨덴인들은 기독교를 버렸고, 제사가 다시 시작되었다. 그들은 잉에 왕을 몰아냈고, 그는 베스테르예틀란드로 갔다.non[3]
2. 2. 성 에스킬 전설
잉에 1세가 왕국에서 추방된 후, 백성들은 블로트 스벤이라는 우상 숭배자를 왕으로 선출했다. 블로트 스벤은 신에게 바친 황소의 피를 백성들에게 마시게 하고 그 고기를 먹게 한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4][14]백성들은 스트렝네스에 모여 왕과 신들에게 경의를 표하며 소와 양을 도살하고 제물을 바치는 성대한 연회를 열었다. 이때 잉글랜드의 주교 에스킬이 나타나 이교도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려 했으나, 백성들은 듣지 않았다.[4][14]
에스킬이 기도하자 신이 천둥, 우박, 눈, 비를 내려 제단과 희생 짐승을 파괴했지만, 에스킬에게는 한 방울도 떨어지지 않았다. 이교도들은 이에 격분하여 에스킬을 공격했다. 스포보데라는 점쟁이가 돌로 에스킬의 머리를 쳤고, 다른 남자는 도끼로 그의 머리를 쪼갰다. 족장들은 에스킬이 마법으로 날씨를 조종했다고 주장하며 그를 왕에게 끌고 갔다. 블로트 스벤은 에스킬에게 사형을 선고했고, 에스킬은 계곡으로 끌려가 돌에 맞아 죽었다.[4][14]
이 전설은 13세기 후반부터 알려졌다. 캔터베리의 아엘노스(c. 1122)는 에스킬이 이교도 스웨덴인과 예아트인에게 살해되었다고 기록했다. 브레멘의 아담 (c. 1075)은 에스킬을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에스킬은 11세기 후반에 활동했을 가능성이 있다.[5][15] 에스킬의 죽음이 블로트 스벤보다 여러 세대 전인 c. 1016년의 일이라는 의견도 있다.[6][16]
2. 3. 죽음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에 따르면, 1084년경 기독교 신자였던 잉에 1세가 웁살라 신전에서 제사 지내는 것을 거부하고 웁살라에서 추방되자 스벤이 왕위에 올랐지만, 1087년경 잉에 1세에게 살해되었다.[3] 잉에 1세는 적은 병력을 이끌고 스몰란드를 거쳐 외스테르예틀란드로 간 뒤, 밤낮으로 말을 달려 스벤을 급습했다. 잉에 1세는 스벤의 집에 불을 질렀고, 스벤은 집에서 나왔다가 즉시 살해되었다.[13]《오크니inga 사가》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여기서는 스벤이 집 안에 남아 불에 타 죽었다고 묘사된다.[7]
3. 왕위 계승
아이슬란드에서 쓰여진 포르날다르 사가인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에서 그의 행적이 묘사되어 있다.
1084년경 기독교 신자였던 잉에 1세 국왕이 스웨덴의 역대 국왕들이 이교의 신들에 대한 제사를 지내던 웁살라 신전에서 사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웁살라에서 추방되었다. 이에 따라 스벤은 스웨덴의 국왕으로 즉위했지만 1087년경 잉에 1세에게 살해되고 만다. 스웨덴에 기독교가 전파되기 이전까지 스웨덴의 이교 신자들은 블로트 스벤을 신과 같은 숭배의 대상으로 여겼다.[8]
13세기 역사가인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헤임스크링글라''에서 블로트 스벤에게 희생 제사를 계속한 이교도 후계자가 있었다고 기록했다. 그 당시 스웨덴 영토 주변에는 이교도가 많았고, 악한 기독교인도 많았다. 몇몇 왕들은 기독교를 포기하고 블로트 스벤이나 그 후의 에리크 오르샐과 같이 이교도 제사를 계속했기 때문이다.[18]
에리크 오르샐은 다른 자료에서 블로트 스벤의 아들로 언급되지만,[9][19] 오늘날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역사적 인물로 여기지 않는다.[10][20]
참조
[1]
웹사이트
Sverges runinskrifter
https://runeberg.org[...]
Project Runeberg
[2]
웹사이트
Blot-Sven
https://runeberg.org[...]
Nordisk familjebok, Project Runeberg
1905
[3]
웹사이트
The Saga of Hervör and Heithrek
http://www.home.ix.n[...]
c. 1325
[4]
웹사이트
Legender från Sveriges medeltid
http://www.svenskaky[...]
Church of Sweden
2006-11-28
[5]
웹사이트
Eskil
https://sok.riksarki[...]
[6]
웹사이트
Legenden om Sankt Eskil
http://www.spanga-ki[...]
[7]
웹사이트
The Orkneyingers Saga
http://www.northvegr[...]
Northvegr Foundation
2006-12-22
[8]
문서
Saga of Sigurd the Crusader and His Brothers Eystein and Olaf
c. 1225
[9]
웹사이트
Erik
http://runeberg.org/[...]
Nordisk familjebok, Project Runeberg
1907
[10]
서적
Kings and Rulers of Sweden
[11]
웹사이트
Sverges runinskrifter
http://runeberg.org/[...]
Project Runeberg
2023-02-17
[12]
웹사이트
Blot-Sven
http://runeberg.org/[...]
Nordisk familjebok, Project Runeberg
2023-02-17
[13]
웹사이트
The Saga of Hervör and Heithrek
http://www.home.ix.n[...]
2023-02-17
[14]
웹사이트
Legender från Sveriges medeltid
http://www.svenskaky[...]
Church of Sweden
2006-11-28
[15]
웹사이트
Eskil
https://sok.riksarki[...]
2023-02-17
[16]
웹사이트
Legenden om Sankt Eskil
http://www.spanga-ki[...]
2023-02-17
[17]
웹사이트
The Orkneyingers Saga
http://www.northvegr[...]
Northvegr Foundation
2006-12-22
[18]
문서
Saga of Sigurd the Crusader and His Brothers Eystein and Olaf
c. 1225
[19]
웹사이트
Erik
http://runeberg.org/[...]
Nordisk familjebok, Project Runeberg
2023-02-17
[20]
서적
Kings and Rulers of Swed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