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너스 익스프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너스 익스프레스는 유럽 우주국(ESA)이 금성 대기와 환경을 연구하기 위해 2005년 발사한 탐사선이다. 2001년 화성 익스프레스 임무의 설계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금성의 열악한 환경에 맞춰 설계가 변경되었다. 2006년 금성 궤도에 진입하여 대기, 구름, 플라스마 환경, 표면 온도를 연구했으며, 당초 500일이었던 임무 기간은 여러 차례 연장되어 2014년 통신 두절로 임무가 종료되었다. 비너스 익스프레스는 ASPERA-4, MAG, VMC, PFS, SPICAV, VIRTIS, VeRa 등 다양한 관측 장비를 탑재하여 금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우주 개발 - STS-114
    STS-114는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사고 이후 디스커버리호가 우주왕복선 비행 재개를 알리고 국제 우주 정거장에 물자를 보급하며 우주왕복선 안전 기술을 시험 및 평가하는 NASA의 중요한 임무였다.
  • 2005년 우주 개발 - 타이탄 IV
    타이탄 IV는 미국 공군을 위해 개발된 대형 소모성 발사체로, 1989년부터 2005년까지 39회 발사되어 군사적 목적으로 정찰 위성 등을 발사했으며, 비용 문제로 인해 퇴역했다.
  • 소유스-FG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글로벌스타
    글로벌스타는 1991년 설립된 위성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로, 2002년 파산 보호를 신청했으나 구조조정을 거쳐 재상장되었고, 현재 아이폰 위성 긴급 SOS 기능을 지원하며 애플이 지분 20%를 인수할 예정이다.
  • 소유스-FG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마스 익스프레스
    마스 익스프레스는 유럽 우주국에서 발사한 화성 탐사선으로, 화성의 내부, 표면, 대기 및 환경을 연구하며 과거 마스 96 임무의 목표를 달성하고 외생물학 연구를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궤도선과 착륙선으로 구성되어 화성을 탐사하고 있다.
  • 2005년 발사한 우주선 - 선저우 6호
    선저우 6호는 2005년 10월 12일에 발사되어 두 명의 우주 비행사가 탑승, 궤도 비행을 수행하고 10월 16일에 성공적으로 착륙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유인 우주선이다.
  • 2005년 발사한 우주선 - STS-114
    STS-114는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사고 이후 디스커버리호가 우주왕복선 비행 재개를 알리고 국제 우주 정거장에 물자를 보급하며 우주왕복선 안전 기술을 시험 및 평가하는 NASA의 중요한 임무였다.
비너스 익스프레스
기본 정보
금성 익스프레스 궤도 진입
금성 익스프레스 궤도 진입
임무 유형금성 궤도선
운영 기관유럽 우주국
COSPAR ID2005-045A
SATCAT28901
웹사이트금성 익스프레스 공식 웹사이트
임무 기간계획: 2년, 최종: 2005년 11월 9일 - 2015년 1월 18일
제작 정보
제작사EADS 아스트리움
발사 질량1,270 kg
건조 질량700 kg
탑재체 질량93 kg
크기1.5 x 1.8 x 1.4 m
전력1,100 와트
발사 정보
발사 날짜2005년 11월 9일 03:33:34 UTC
발사 로켓소유스-FG/프레가트
발사 장소바이코누르 31/6
발사 계약자스타셈
궤도 정보
궤도 기준금성 중심
궤도 근지점460 km
궤도 원지점63000 km
궤도 경사90 도
궤도 주기24 시간
궤도 원점금성
임무 종료 정보
폐기 유형궤도 이탈
최종 교신2015년 1월 18일 15:01:55 UTC
붕괴 날짜2015년 1월/2월
임무 휘장
금성 익스프레스 임무 휘장
ESA 태양계 금성 익스프레스 임무 휘장

2. 역사

비너스 익스프레스 임무는 2001년에 화성 익스프레스의 설계를 재사용하는 방향으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금성의 환경에 맞춰 열 제어, 통신, 전력 등 여러 설계가 변경되었다.

유럽 우주국(ESA) 최초의 금성 탐사선인 비너스 익스프레스는 2005년 11월 9일 카자흐스탄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발사되었다. 금성 대기 및 표면 특성 연구와 금성 표면 온도의 전역 지도 작성을 목표로 하였다. 원래 계획된 임무 기간은 500 지구 일(약 2 금성 항성일)이었지만, 여러 차례 연장되어 2015년까지 임무를 수행하였다.

2014년 11월 28일, 비너스 익스프레스와의 통신이 두절되었고, 2014년 12월 16일, ESA는 임무 종료를 공식 발표했다. 우주선의 반송파 신호는 2015년 1월 18일에 마지막으로 감지되었다.[3]

2. 1. 개발 및 발사

Venus Express영어는 2001년에 화성 익스프레스 임무의 설계를 재사용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열 제어, 통신 및 전력 분야에서 설계가 변경되었다. 화성이 금성보다 약 두 배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Venus Express영어 우주선은 화성 익스프레스보다 4배 더 강한 복사열을 받는다. 또한, 이온화 방사선 환경이 더 가혹하다. 반면에, 더 강렬한 태양광 모듈의 조명은 더 많은 태양 전지 전력을 발생시킨다. Venus Express영어 임무는 로제타 우주선용으로 개발된 일부 예비 장비를 사용했다.

Venus Express영어의 발사 창은 2005년 10월 26일부터 11월 23일까지였으며, 발사는 처음에 10월 26일 04:43 UTC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프레갓 상단 단열재 문제로 인해 우주선에 부착된 작은 단열재 잔해를 검사하고 제거하기 위해 2주 연기되었다.[7] 결국 2005년 11월 9일 03:33:34 UTC에 카자흐스탄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소유즈-FG/프레갓 로켓으로 발사되어 지구 주차 궤도로 진입했으며, 발사 1시간 36분 후에 금성으로의 전이 궤도에 진입했다. 2005년 11월 11일에 첫 번째 궤도 수정 기동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의 궤도 애니메이션(2005년 11월 9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 ·  ·  ·

2. 2. 궤도 진입 및 임무 연장

2005년 11월 11일, 첫 번째 궤도 수정 기동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7] 2006년 4월 11일 금성에 도착하여 07:10:29에서 08:00:42 협정 세계시 SCET 사이에 주 엔진을 점화하여 속도를 줄여 금성의 중력에 의해 400by의 9일 궤도로 포획될 수 있었다.[8] 이 연소는 독일 다름슈타트에 있는 ESA의 통제 센터인 ESOC에서 모니터링되었다.

''비너스 익스프레스''가 금성 주위의 최종 작동 24시간 궤도에 도달하기 위해 주 엔진을 이용한 두 번과 로켓 엔진을 이용한 다섯 번의 총 7번의 추가 궤도 제어 기동이 필요했다.[8]

''비너스 익스프레스''는 2006년 5월 7일 13:31 UTC에 원지점에서 목표 궤도에 진입했으며, 이때 우주선은 지구로부터 151000000km 떨어져 있었다. 이 시점에서 우주선은 초기 궤도보다 행성에 실질적으로 더 가까운 타원 궤도에서 운행되었다. 극 궤도는 금성 상공 250km 에서 66000km 사이를 오갔다. 근지점은 북극(북위 80°) 거의 위에 위치했으며, 우주선이 행성을 한 바퀴 도는 데 24시간이 걸렸다.

''비너스 익스프레스''는 금성 대기와 구름, 플라스마 환경 및 궤도에서 금성 표면의 특성을 자세히 연구했다. 또한 금성 표면 온도의 전역 지도를 만들었다. 원래 계획된 명목 임무 기간은 500 지구 일(약 2 금성 항성일)이었지만, 이 임무는 5번 연장되었다. 처음에는 2007년 2월 28일부터 2009년 5월 초까지, 그 다음에는 2009년 2월 4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그 다음에는 2009년 10월 7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였다.[9] 2010년 11월 22일, 이 임무는 2014년까지 연장되었다.[10] 2013년 6월 20일, 이 임무는 최종적으로 2015년까지 연장되었다.[11]

2. 3. 임무 종료

2014년 5월, ''비너스 익스프레스''의 관측 운용이 종료되었다.[37] 2014년 6월 18일부터 7월 11일까지 금성 대기권 상층(고도 130km~135km)에서 에어 브레이킹 실험이 수행되었다.[38] 2014년 11월 28일, 임무 통제팀은 ''비너스 익스프레스''와의 통신이 두절되었다고 보고했다.[35] 2014년 12월 3일, 간헐적으로 통신이 재개되었으나, 추진제 고갈로 인해 우주선을 통제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35] 2014년 12월 16일, ESA는 ''비너스 익스프레스'' 임무 종료를 공식 발표했다.[6] 임무 관리자인 패트릭 마틴은 우주선이 2015년 1월 초에 150km 미만으로 고도가 낮아질 것이며, 1월 말이나 2월 초에 파괴될 것으로 예상했다.[12] 우주선의 반송파 신호는 2015년 1월 18일에 마지막으로 감지되었다.[3]

3. 과학적 성과

비너스 익스프레스는 금성 대기, 구름, 플라스마 환경, 표면 특성을 자세히 연구하고 금성 표면 온도의 전역 지도를 작성했다.

초기 행성계에서 비슷한 크기와 화학적 조성을 가지고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금성과 지구의 역사는 극적으로 갈라졌다. 비너스 익스프레스 임무에서 얻은 데이터는 금성의 대기 구조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현재의 온실 대기 상태를 초래한 변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이해는 지구의 기후 변화 연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21]

2006년, 이 연구의 결과는 금성과 지구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일상적인 기후 변화를 관찰하기 시작했다.[22] 비너스 익스프레스는 또한 금성 궤도에서 지구의 생명 징후를 관찰하는 데 사용되었다. 탐사선이 획득한 이미지에서 지구는 크기가 1픽셀 미만이었으며, 이는 다른 행성계의 지구형 행성에 대한 관찰을 모방한 것이다. 이러한 관찰은 이후 외계 행성의 생명 가능성 연구를 위한 방법 개발에 사용되었다.[23]

비너스 익스프레스의 관측을 통해 약 250만 년 전의 용암류가 금성에 존재했음이 밝혀졌다. 또한, 금성 대기에서 수소가 산소의 2배나 빠르게 빠져나가고 있음이 확인되어, 금성에는 과거에 대량의 물, 또는 지구와 같은 바다가 존재했음을 시사한다.[36]

4. 관측 장비

비너스 익스프레스에는 금성 대기, 플라스마 환경, 표면 특성 등을 연구하기 위한 다양한 과학 장비가 탑재되었다. 주요 관측 장비는 다음과 같다.


  • '''ASPERA-4''' (Analyzer of Space Plasmas and Energetic Atoms, 우주 플라스마 및 에너지 원자 분석기): 태양풍과 금성 대기의 상호 작용을 연구한다.
  • '''MAG''' (자력계): 금성의 자기장 세기와 방향을 측정한다.
  • '''VMC''' (Venus Monitoring Camera, 금성 관측 카메라): 금성의 전역 이미징을 수행한다.
  • '''PFS''' (Planetary Fourier Spectrometer, 행성 푸리에 분광계): 금성 대기의 수직 광학 측심을 수행한다.
  • '''SPICAV''' (Spectroscopy for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Atmosphere of Venus, 금성 대기 특성 연구 분광계): 적외선 및 자외선 파장에서 방사선을 분석한다.
  • '''VIRTIS''' (Visible and Infrared Thermal Imaging Spectrometer, 가시광선 및 적외선 열화상 분광계): 대기의 모든 층, 표면 온도 및 표면/대기 상호 작용 현상을 분석한다.
  • '''VeRa''' (Venus Radio Science, 금성 전파 과학): 전파를 이용해 금성의 전리층, 대기 및 표면을 분석한다.


이 장비들은 마스 익스프레스로제타 탐사선에 사용된 장비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지만, 금성의 환경에 맞게 개조되거나 최적화되었다. PFS는 배치 중 고장으로 인해 작동하지 않았다.

4. 1. ASPERA-4 (Analyzer of Space Plasmas and Energetic Atoms)

ASPERA-4는 "'''A'''nalyzer of '''S'''pace '''P'''lasmas and '''E'''ne'''r'''getic '''A'''toms"의 약자로, 태양풍과 금성 대기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장비이다. 플라스마 과정이 대기에 미치는 영향, 플라스마와 중성 기체의 분포, 고에너지 중성 원자, 이온 및 전자를 연구하고 금성 근처 환경의 다른 측면을 분석했다. ASPERA-4는 마스 익스프레스에 사용된 ASPERA-3 설계를 재사용했지만, 금성의 더 가혹한 환경에 맞게 개조되었다.[13]

4. 2. MAG (Magnetometer)

자력계(MAG)는 태양풍과 금성 자체의 영향을 받아 금성의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을 측정하도록 설계되었다. 3차원 고해상도로 자기권 꼬리, 자기권, 전리층 및 자기 장벽을 맵핑하고, ASPERA-4가 태양풍과 금성 대기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플라스마 영역 간의 경계를 식별하고, 금성 번개 탐지 및 특성화와 같은 행성 관측도 수행했다. MAG는 ''로제타'' 착륙선의 ROMAP 기기에서 파생되었다.[13][14]

측정 장치는 우주선 본체에 하나, 1m 길이의 붐(탄소 복합 튜브)을 펼쳐 본체에서 필요한 거리에 또 하나가 설치되었다. 두 개의 이중화된 폭발식 절단기가 얇은 로프의 한 루프를 잘라 금속 스프링의 힘을 해제했고, 구동 무릎 레버는 붐을 수직으로 바깥쪽으로 회전시켜 제자리에 고정시켰다. 우주선이 생성하는 장을 식별하기 위한 측정은 지구에서 금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이루어졌다.[13][14] 자기 청정성이 부족했던 이유는 자력계를 탑재하지 않은 ''마스 익스프레스'' 우주선 버스를 재사용했기 때문이다.[14] 두 지점의 동시 측정 데이터를 결합하고, ''비너스 익스프레스'' 자체에서 생성된 간섭을 식별하고 제거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자기적으로 깨끗한 우주선에서 생성된 것과 비슷한 품질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14]

4. 3. VMC (Venus Monitoring Camera)

'''V'''enus '''M'''onitoring '''C'''amera (VMC)는 광각, 다중 채널 CCD 카메라로, 금성의 전역 이미징을 위해 설계되었다.[15] 가시광선(VIS), 자외선(UV), 근적외선(NIR1 및 NIR2) 스펙트럼 범위에서 작동하며, 화산 활동 탐색, 대기광 모니터링, 구름 상단에서 알려지지 않은 자외선 흡수 현상 분포 연구, 기타 과학 관측을 위한 표면 밝기 분포 맵핑을 수행한다. ''마스 익스프레스''의 고해상도 스테레오 카메라(HRSC)와 ''로제타''의 광학, 분광 및 적외선 원격 이미징 시스템(OSIRIS)에서 일부 파생되었다.

카메라는 Kodak KAI-1010 시리즈, 1024 x 1024 픽셀 인터라인 CCD를 기반으로 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사전 처리하여 지구로 전송되는 양을 줄이는 FPGA를 포함했다.[18][16] VMC 담당 기관 컨소시엄에는 막스 플랑크 태양계 연구소, 독일 항공우주 센터의 행성 연구소,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의 컴퓨터 및 통신 네트워크 공학 연구소가 포함되었다.[17] ''마스 익스프레스''에 장착된 시각 모니터링 카메라와 혼동해서는 안 되며, 후자는 VMC의 진화된 형태이다.[18][19]

VMC 채널[18]
채널중심 파장스펙트럼 범위
VIS513 nm503 – 523 nm
NIR1935 nm900 – 970 nm
NIR21.01 μm990 – 1030 nm
UV365 nm345 – 385 nm


4. 4. PFS (Planetary Fourier Spectrometer)

PFS(Planetary Fourier Spectrometer)는 0.9μm에서 45μm 파장 범위의 적외선 분광계로, 금성 대기의 수직 광학 측심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대기 하부(구름 높이에서 100킬로미터까지)에서 3차원 온도장을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미량의 대기 성분을 탐색하며, 대기 입자를 분석하고, 표면과 대기 간의 교환 과정을 조사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 장비는 ''마스 익스프레스''의 분광계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비너스 익스프레스'' 임무에 맞게 성능이 개선되었다. 하지만 PFS는 배치 도중 고장이 발생하여 유용한 데이터를 얻지 못했다.[20]

4. 5. SPICAV (Spectroscopy for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Atmosphere of Venus)

SPICAV영어 ('''SP'''ectroscopy for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A'''tmosphere of '''V'''enus)는 적외선 및 자외선 파장에서 방사선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 이미징 분광계이다. 마스 익스프레스에 탑재된 SPICAM 기기에서 파생되었다. 그러나 SPICAV에는 SOIR ('''S'''olar '''O'''ccultation at '''I'''nfra'''r'''ed)로 알려진 추가 채널이 있었고, 이 채널은 적외선에서 금성 대기를 통해 태양을 관측하는 데 사용되었다.[20]

4. 6. VIRTIS (Visible and Infrared Thermal Imaging Spectrometer)

VIRTIS (Visible and Infrared Thermal Imaging Spectrometer)는 전자기 스펙트럼의 근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 부분에서 관측하는 이미징 분광계였다. 대기의 모든 층, 표면 온도 및 표면/대기 상호 작용 현상을 분석했다.[20]

4. 7. VeRa (Venus Radio Science)

VeRa ('''Ve'''nus '''Ra'''dio Science)는 우주선에서 전파를 보내 금성 대기를 통과시키거나 표면에서 반사시켜 지구에서 수신하는 방식으로 금성의 전리층, 대기 및 표면을 분석하는 전파 과학 실험 장비이다. ''로제타''의 Radio Science Investigation 장비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13]

참조

[1] 웹사이트 Venus Express Factsheet http://www.esa.int/O[...] European Space Agency 2014-06-01
[2] 서적 Beyond Earth: A Chronicle of Deep Space Exploration, 1958–2016 https://www.nasa.gov[...] NASA History Program Office
[3] 웹사이트 Venus Express: The Last Shout http://blogs.esa.int[...] European Space Agency 2015-01-23
[4] 웹사이트 Venturing into the upper atmosphere of Venus http://sci.esa.int/v[...] European Space Agency 2014-11-11
[5] 웹사이트 Operational Orbit http://sci.esa.int/v[...] European Space Agency 2012-12-14
[6] 웹사이트 Venus Express goes gently into the night http://www.esa.int/O[...] European Space Agency 2014-12-16
[7] 웹사이트 Venus Express preliminary investigations bring encouraging news http://www.esa.int/S[...] ESA 2005-10-25
[8] 웹사이트 Venus Express https://nssdc.gsfc.n[...]
[9] 웹사이트 Mission extensions approved for science missions http://sci.esa.int/s[...] ESA 2009-10-16
[10] 웹사이트 Europe maintains its presence on the final frontier http://sci.esa.int/d[...] ESA 2010-11-22
[11] 웹사이트 ESA science missions continue in overtime http://sci.esa.int/d[...] ESA 2013-06-20
[12] 뉴스 Out of Fuel, Venus Express Is Falling Gently to Its Death in Planet's Skie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4-12-17
[13] 웹사이트 IWF : VEX-MAG http://www.iwf.oeaw.[...] Iwf.oewa.ac.at
[14] 논문 Exploring planetary magnetic environments using magnetically unclean spacecraft: A systems approach to VEX MAG data analysis 2011-04
[15] 웹사이트 The Venus Express mission camera http://www.mps.mpg.d[...] Max Planck Institute for Solar System Research
[16] 웹사이트 Venus Monitoring Camera http://www.ida.ing.t[...] Technical University at Brunswick
[17] 웹사이트 The light and dark of Venus http://www.esa.int/e[...] ESA 2008-02-21
[18] 웹사이트 Venus Monitoring Camera for Venus Express https://www.mps.mpg.[...] Max Planck Institute for Solar System Research
[19] 웹사이트 Venus Express: Mission Definition Report http://www.lpi.usra.[...] European Space Agency 2001-10
[20] 뉴스 Venus Express PFS fails to respond to a swift kick https://www.planetar[...] The Planetary Society 2007-07-23
[21] 웹사이트 Atmospheric Dynamics of Venus and Earth http://www.lpi.usra.[...] Lpi.usra.edu
[22] 웹사이트 유럽 금성탐사선 '비너스 익스프레스', 금성궤도 선회 시작 (영문기사 첨부) https://www.voakorea[...] 2024-06-14
[23] 웹사이트 Venus Express searching for life – on Earth http://www.esa.int/e[...]
[24] 웹사이트 Successful Venus Express main engine test http://www.esa.int/S[...] European Space Agency 2006-02-17
[25] 웹사이트 Venus orbit insertion http://sci.esa.int/v[...] European Space Agency 2007-05-24
[26] 웹사이트 The new temperature map of Venus' southern hemisphere http://www.esa.int/s[...] European Space Agency 2009-07-14
[27] 논문 European mission reports from Venus http://www.nature.co[...] 2007-11-27
[28] 뉴스 Venus offers Earth climate clu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11-28
[29] 뉴스 Venus Express Provides First Detection of Hydroxyl in Atmosphere of Venus http://www.spacedail[...] SpaceDaily 2008-05-20
[30] 뉴스 Venus springs ozone layer surprise https://www.bbc.co.u[...] BBC News 2011-10-07
[31] 논문 A layer of ozone detected in the nightside upper atmosphere of Venus https://orbi.uliege.[...] 2011-11
[32] 웹사이트 A curious cold layer in the atmosphere of Venus http://www.esa.int/O[...] European Space Agency 2012-10-01
[33] 웹사이트 Surfing an alien atmosphere http://blogs.esa.int[...] European Space Agency 2014-05-16
[34] 웹사이트 Venus Express rises again http://www.esa.int/O[...] European Space Agency 2014-07-11
[35] 뉴스 Venus Express anomaly http://www.spacedail[...] SpaceDaily 2014-12-08
[36] 뉴스 8年間活躍の金星探査機、燃料切れでミッション終了へ ESA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4-12-18
[37] 뉴스 Venus Express gets ready to take the plunge https://www.esa.int/[...] ESA 2014-05-16
[38] 뉴스 Venus Express science mission ends; aerobraking experiment beginning http://www.planetary[...] Planetary Society 2014-05-16
[39] 뉴스 Venus Express goes gently into the night https://www.esa.int/[...] ESA 2014-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