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산동 (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산동은 대구광역시 서구에 속하는 지역으로, 1895년 대구부 대구군 서중면 내비동/외비동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거쳤다. 현재 비산1동부터 비산7동까지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구서부경찰서, 대구서부소방서, 서대구우체국 등의 관공서와 여러 초등학교, 중학교, 금융 기관, 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또한, 다양한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국회의원 김상훈과 방탄소년단의 뷔가 이 지역 출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서구의 법정동 - 내당동
내당동은 대구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조선시대 대구부 달서면에 속했다가 일제강점기 달성군에 통합, 이후 대구부에 편입되어 해방 후 대구시 서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교육 및 금융 기관과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주거 지역인 내당1동, 내당2·3동, 내당4동으로 구성된다. - 대구 서구의 법정동 - 평리동 (대구)
평리동은 대구광역시 서구에 위치하며 과거 들말평야로 불렸고 현재는 관공서, 금융기관, 교육기관, 재래시장과 아파트 단지들이 위치하며 평리뉴타운 사업으로 주거 환경이 변화하는 지역이다. - 대구 서구의 행정 구역 - 상중이동
상중이동은 대구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1910년 대구부 달서면 일부에서 시작하여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98년 상리동, 중리동, 이현동이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렀으며, 대구의료원, 서부경찰서 이현지구대, 서대구역, 대구중리초등학교, 계성고등학교, 롯데캐슬, 상리그린빌 등 주요 기관, 학교, 주거 시설이 위치해 있다. - 대구 서구의 행정 구역 - 서구 (대구광역시)
대구 서구는 대구광역시 중서부에 위치하며 섬유, 염색, 기계공업 중심의 경제 지역이고 대구 도시철도 2, 3호선이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자 한국폴리텍6대학 본부대학이 위치한 곳이다. - 1965년 폐지 - 그리피스 스타디움
1911년부터 1965년까지 미국 워싱턴 D.C.에 존재했던 그리피스 스타디움은 워싱턴 세네터스의 구단주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경기, 미식축구 경기, 권투 시합 등 다양한 스포츠 및 문화 행사가 열렸으나 1965년에 철거되어 현재는 하워드 대학교 병원이 들어서 있다. - 1965년 폐지 - 가정동 (인천)
가정동은 인천 서구에 위치한 동으로, 과거 가신동에서 분리되었으며, 조선시대 정자가 많았던 것에서 유래되었고, 현재 루원시티 개발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으로 변화하고 있다.
| 비산동 (대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일반 정보 | |
| 법정동 | 비산동 |
| 비산1동 정보 | |
| 면적 | 0.64 |
| 세대 | 4,668 (2023년 11월 기준) |
| 인구 | 8765 (2023년 11월 기준) |
| 통 | 19 |
| 반 | 139 |
| 동주민센터 주소 | 대구광역시 서구 북비산로65길 18 |
| 홈페이지 | 비산1동 행정복지센터 |
| 비산2·3동 정보 | |
| 면적 | 0.49 |
| 세대 | 4,842 (2023년 11월 기준) |
| 인구 | 8474 (2023년 11월 기준) |
| 통 | 22 |
| 반 | 160 |
| 동주민센터 주소 | 대구광역시 서구 국채보상로81길 43 |
| 홈페이지 | 비산2·3동 행정복지센터 |
| 비산4동 정보 | |
| 면적 | 0.39 |
| 세대 | 4,574 (2023년 11월 기준) |
| 인구 | 9076 (2023년 11월 기준) |
| 통 | 18 |
| 반 | 135 |
| 동주민센터 주소 | 대구광역시 서구 국채보상로78길 29-4 |
| 홈페이지 | 비산4동 행정복지센터 |
| 비산5동 정보 | |
| 면적 | 0.28 |
| 세대 | 3,59 (2023년 11월 기준) |
| 인구 | 5470 (2023년 11월 기준) |
| 통 | 14 |
| 반 | 102 |
| 동주민센터 주소 | 대구광역시 서구 달서천로65길 17 |
| 홈페이지 | 비산5동 행정복지센터 |
| 비산6동 정보 | |
| 면적 | 0.27 |
| 세대 | 3,639 (2023년 11월 기준) |
| 인구 | 6964 (2023년 11월 기준) |
| 통 | 13 |
| 반 | 99 |
| 동주민센터 주소 | 대구광역시 서구 문화로67길 3 |
| 홈페이지 | 비산6동 행정복지센터 |
| 비산7동 정보 | |
| 면적 | 2.74 |
| 세대 | 5,194 (2023년 11월 기준) |
| 인구 | 8997 (2023년 11월 기준) |
| 통 | 23 |
| 반 | 173 |
| 동주민센터 주소 | 대구광역시 서구 서대구로 345 |
| 홈페이지 | 비산7동 행정복지센터 |
2. 역사
- 1895년 음력 윤5월 1일 대한제국 대구부 대구군 서중면 내비동/외비동이었다.[1]
- 1896년 8월 4일 13도제 실시로 대구부 대구군이 경상북도 대구군이 되면서 관할이 변경되었다.[2]
- 1910년 10월 1일 대구군이 대구부로 개칭되면서 관할이 변경되었고,[3]
-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달성군 달서면 비산동이 되었다.[4]
- 1938년 10월 1일 달성군 달서면 비산동이 대구부로 편입되었고,[5]
- 1938년 11월 2일 비산동이 대구부 서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6]
- 1949년 8월 15일 대구부가 대구시로 개칭되며 관할이 변경되었다.[7]
- 1963년 1월 1일 대구시 서구 설치와 함께 서구 관할이 되었으며,[8]
- 1965년 2월 1일에는 비산동이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비산4동으로 분동되었다.[9]
- 1970년 7월 1일 비산1동 일부가 비산5동으로,[10]
- 1975년 10월 1일 비산1동과 비산3동 각 일부가 비산6동으로,[11]
- 1979년 1월 1일 비산5동 일부가 비산7동으로 분동되었다.[12]
-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설치에 따라 관할이 변경되었고,[13]
- 1995년 1월 1일 대구직할시가 대구광역시로 개칭되며 관할이 변경되었다.[14]
- 1997년 1월 1일 비산2동과 비산3동을 비산2·3동으로 합동하였다.[15]
2. 1. 행정 구역 변천
1895년 음력 윤5월 1일 대한제국 대구부 대구군 서중면 내비동/외비동이었다.[1] 1896년 8월 4일 13도제 실시로 대구부 대구군이 경상북도 대구군이 되면서 관할이 변경되었다.[2] 1910년 10월 1일 대구군이 대구부로 개칭되면서 관할이 변경되었고,[3]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달성군 달서면 비산동이 되었다.[4]1938년 10월 1일 달성군 달서면 비산동이 대구부로 편입되었고,[5] 같은 해 11월 2일 비산동이 대구부 서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6] 1949년 8월 15일 대구부가 대구시로 개칭되며 관할이 변경되었다.[7] 1963년 1월 1일 대구시 서구 설치와 함께 서구 관할이 되었으며,[8] 1965년 2월 1일에는 비산동이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비산4동으로 분동되었다.[9]
1970년 7월 1일 비산1동 일부가 비산5동으로,[10] 1975년 10월 1일 비산1동과 비산3동 각 일부가 비산6동으로,[11] 1979년 1월 1일 비산5동 일부가 비산7동으로 분동되었다.[12]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설치에 따라 관할이 변경되었고,[13] 1995년 1월 1일 대구직할시가 대구광역시로 개칭되며 관할이 변경되었다.[14] 1997년 1월 1일 비산2동과 비산3동을 비산2·3동으로 합동하였다.[15]
3. 주요 시설
3. 1. 관공서
대구서부경찰서 관할 평산지구대(비산2·3동), 원대파출소(비산5동), 북비산치안센터(비산6동), 비산7동치안센터(비산7동)가 있다. 대구서부소방서 비산소방파출소(비산2·3동)가 있다. 서대구우체국 관할 비산동우체국(비산6동), 비산7동우체국(비산7동)이 있다.3. 2. 교육 기관
- 대구대성초등학교는 비산4동에 있다.
- 대구북비산초등학교와 대구비봉초등학교는 비산1동에 있다.
- 서대구초등학교는 비산7동에 있다.
- 대구서부초등학교는 비산2·3동에 있다.
- 대구인지초등학교는 비산5동에 있다.
- 대구청라중학교와 대구제일고등학교는 비산4동에 있다.
3. 3. 금융 기관
국민은행 비산동지점(비산4동), 기업은행 비산동지점(비산7동)이 있다. 농협은 서대구농협 만평지점(비산7동), 서대구농협 북비산지점(비산1동), 서대구농협 비산지소(비산2·3동)가 있다. iM뱅크는 북비산지점(비산6동), 팔달지점(비산5동), 팔달로출장소(비산7동)가 있다. 새마을금고는 날뫼새마을금고(비산2·3동), 비산새마을금고(비산2·3동), 비산1동새마을금고, 비산4동새마을금고, 비산5동새마을금고, 비산7동새마을금고, 서대구새마을금고(비산6동)가 있다. 신용협동조합은 비산7동신용협동조합, 비산천주교회신용협동조합(비산1동), 서대구신용협동조합(비산2·3동)이 있다. 신한은행 비산동지점(비산7동)이 있다.3. 4. 교통
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은 비산7동에 있다.4. 주거 시설
비산동에는 다양한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1979년 6월에 준공된 명보맨션(7동)과 비산 시영아파트(1동)를 시작으로, 1982년 9월에는 삼성 만평아파트(5동), 비산 양지아파트(5동), 한신 휴플러스아파트(4동)가 준공되었다. 1983년 10월에는 비산 보성아파트(7동)가 준공되었다.
2025년 7월에는 힐스테이트 서대구역 센트럴아파트(7동)가 준공될 예정이다.
5. 출신 인물
참조
[1]
칙령
칙령 제98호 지방제도 개정에 관하는 건
1895-05-26
[2]
칙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3]
조선총독부령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10-01
[4]
조선총독부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5]
조선총독부령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6]
부조례
부조례 제22호
[7]
법률
법률 제32호 지방자치법
1949-07-04
[8]
법률
법률 제1174호 대구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62-11-21
[9]
시조례
시조례 제387호
1965-01-27
[10]
시조례
시조례 제610호
1970-07-01
[11]
시조례
시조례 제919호
1975-07-01
[12]
시조례
시조례 제1144호
1978-12-29
[13]
법률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04-13
[14]
법률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일부개정
1994-12-20
[15]
구조례
구조례 제391호
1996-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