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추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추력은 추진 시스템의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단위 추진제 질량당 생성되는 추력의 지속 시간을 의미한다. 로켓, 자동차, 항공기 등 다양한 추진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특히 로켓의 경우 노즐 효율과 연관되어 델타-v 및 질량 분율에 영향을 미친다. 비추력은 에너지 효율과는 다르며, 일반적으로 높은 비추력은 높은 에너지 소비를 동반한다. 비추력은 초(s) 단위로 측정되며, 유효 배기 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추진 엔진의 종류에 따라 비추력 값이 다르며, 화학 로켓, 핵열 로켓, 전기 추진 방식 등 다양한 기술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켓 연료 - 붕소
    붕소는 준금속 원소로 붕사나 붕산염 형태로 존재하며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높은 경도를 지니고, 두 가지 안정 동위원소를 가지며, 높은 중성자 흡수율로 원자력 산업과 암 치료에 사용되고, 다양한 화합물 형태로 여러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식물의 필수 영양소이지만 과량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
  • 로켓 연료 - 알루미늄
    알루미늄은 은백색의 가볍고 가공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열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합금 형태로 널리 사용되며, 보크사이트에서 추출되어 재활용 또한 활발히 이루어진다.
  • 로켓 추진 - 부스터
    부스터는 발사체의 초기 가속을 돕는 장치로, 고체 또는 액체 연료를 사용하며, 재사용 기술 개발을 통해 우주 발사 비용 절감 및 미사일 초기 가속에 기여한다.
  • 로켓 추진 - 하이브리드 로켓
    하이브리드 로켓은 액체 산화제와 고체 연료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로켓 추진 시스템으로, 기계적 단순성과 제어성이 장점이지만 연료 후퇴율과 재급유에 어려움이 있다.
비추력
비추력
정의연료 소비량당 추진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
개요
설명로켓 추진, 제트 엔진과 같은 추진 시스템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
연료의 질량 또는 무게당 발생하는 총 추력을 측정
연료 효율성로켓의 연료 효율성을 나타내는 척도
측정 단위초 (s) 단위로 측정하며, 질량 또는 무게 단위로 측정
질량 비추력
정의단위 질량당 연료를 소비할 때 발생하는 추력
연료 소비율에 따른 추력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값
수식Isp = 추력 / (g0 * 연료 소모율) 여기서 g0는 표준 중력
단위초 (s)
설명질량 비추력이 높을수록 동일한 연료를 사용하여 더 큰 추력을 얻을 수 있음
연료 효율성이 높음을 의미
로켓 엔진과 같은 추진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하는 데 사용
무게 비추력
정의단위 무게당 연료를 소비할 때 발생하는 추력
연료 소모율에 따른 추력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값
수식Isp = 추력 / 연료 소모율
단위초 (s)
설명무게 비추력이 높을수록 동일한 연료를 사용하여 더 큰 추력을 얻을 수 있음
연료 효율성이 높음을 의미
로켓 엔진과 같은 추진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하는 데 사용
일반적인 값
액체 로켓200~450초
고체 로켓200~300초
이온 추진기1000~10000초
비추력과 추진력
설명비추력은 추진력과는 다른 개념
추진력은 로켓이나 엔진이 밀어내는 힘의 양을 의미
비추력은 연료 효율성, 즉 연소된 연료의 양에 대한 추진력의 효율을 측정
역사
기원로켓 기술과 관련하여 20세기 초에 개발된 개념
로켓과 제트 엔진의 성능을 정량화하기 위해 도입됨
활용
로켓 추진로켓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로켓 엔진을 설계
제트 엔진제트 엔진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엔진을 설계
인공위성인공위성의 궤도를 수정하고 자세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추진 시스템 설계
기타
주의사항연료의 종류와 추진 시스템의 설계에 따라 비추력 값이 달라짐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른 비추력 값을 가짐
참고비추력은 로켓과 제트 엔진의 성능을 비교할 때 중요한 지표
Qualitative Reasoning Group
Ars Technica

2. 추진 시스템

추진 시스템은 비추력의 개념이 적용되는 다양한 방식을 보여준다.

추진 방식비추력(초)
고체연료 로켓200–300
액체연료 로켓300–460
램제트 엔진500–1500
터보제트 엔진2300–2900
왕복 엔진3500–5500
원자력 로켓최대 1000 (추정)
전기 추진수천–1만 (추정)
핵융합 추진수만 (추정)

[28]


  • '''로켓:''' 화학 로켓 엔진의 경우, 노즐의 효율이 운동량 전달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비추력은 속도와 동일한 단위를 가지지만, 실제 배기 속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로켓 노즐은 주변 압력이 낮을 때, 즉 대기보다 우주에서 더 잘 작동한다.[28]

  • '''자동차:''' 자동차 산업에서는 비추력을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연료 유량당 추력"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연비에 해당한다.

  • '''항공기:''' 항공기 엔진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연료를 연소시킨다. "연료 유량당 추력"으로 해석되는 비추력 수치는 로켓 엔진보다 훨씬 높지만, 반작용 질량의 유무와 같은 해석 차이로 인해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28]

2. 1. 로켓

화학 로켓 엔진의 경우, 운동량 전달 효율은 노즐의 효율에 크게 의존한다. 노즐은 반응물의 에너지(예: 열에너지 또는 압력 에너지)를 모두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운동량 흐름으로 변환하는 주요 수단이다. 따라서 노즐의 형태와 효율은 반응 질량에서 로켓으로의 총 운동량 전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28]

비추력은 속도와 동일한 단위를 가지지만, 실제 속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화학 로켓과 냉가스 로켓에서 노즐의 형태는 에너지-운동량 변환에 큰 영향을 미치며, 완벽하지 않고 손실과 비효율의 다른 원인도 존재한다(예: 이러한 엔진의 연소 세부 사항). 따라서 실제 배기 속도는 "유효 배기 속도", 즉 비추력이 시사하는 "속도"보다 높다. 일반적으로 로켓 노즐은 주변 압력이 낮을 때, 즉 대기보다 우주에서 더 잘 작동한다. 이온 엔진은 노즐 없이 작동하지만, 운동량 전달이 실제 배기 속도보다 낮은 다른 손실 원인이 있다.[28]

추진 방식비추력(초)
고체연료 로켓200–300
액체연료 로켓300–460
램제트 엔진500–1500
터보제트 엔진2300–2900
왕복 엔진3500–5500
원자력 로켓최대 1000 (추정)
전기 추진수천–1만 (추정)
핵융합 추진수만 (추정)

[28]

2. 2. 자동차

자동차 산업에서는 실제로 비추력을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이 값을 정의할 수 있으며 다른 엔진 유형과 비교하는 데 유용하다. 자동차 엔진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연료를 연소시키고 (바퀴를 통해) 지면에 반작용한다. 따라서 "비추력"을 해석하는 유일한 의미 있는 방법은 "연료 유량당 추력"이지만, 변속기 손실이 있으므로 크랭크축에서 측정된 힘인지 바퀴에서 측정된 힘인지도 명시해야 한다. 이러한 척도는 연비에 해당한다.

2. 3. 항공기

항공기는 자동차와 로켓 모두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항공기 엔진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지만, 자동차와 달리 엔진을 통과하는 유체(적용 가능한 경우 프로펠러 포함)에 대해서만 반작용한다. 따라서 "비추력"을 해석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연료 유량당 추력, 흡입 유량당 추력, 또는 "터빈 유량"(프로펠러/바이패스 팬을 통과하는 공기를 제외)당 추력으로 해석할 수 있다. 흡입되는 공기는 직접적인 비용이 아니며, 얼마나 많은 공기를 흡입할 것인지에 대한 엔지니어링적 여유가 넓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전통적으로 비용 효율성에 중점을 두고 "연료 유량당 추력" 해석을 선택한다. 이 해석에서 얻어지는 비추력 수치는 로켓 엔진보다 훨씬 높지만, 반작용 질량의 유무와 같은 해석의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 비교는 본질적으로 의미가 없다.

모든 종류의 엔진과 마찬가지로 비추력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엔지니어링적 선택과 절충안이 있다. 비선형 공기 저항과 빠른 연소 속도에서 높은 비추력을 유지할 수 없는 엔진의 한계는 연료 소비율에 대한 제한 요소이다.

종류비추력(초)
고체연료 로켓200–300
액체연료 로켓300–460
램제트 엔진500–1500
터보제트 엔진2300–2900
왕복 엔진3500–5500[28]
원자력 로켓최대 1000 (추정)
전기 추진수천 초–1만 초 (추정)
핵융합 추진수만 초 (추정)


3. 일반적인 고려 사항

비추력은 에너지 효율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고비추력 추진 시스템은 높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추력이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은 감소할 수 있다.[3]

비추력은 총 추력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추력은 엔진이 제공하는 힘이며, 비추력은 추진제 질량 유량 ''당'' 추력을 측정한다. 높은 추력과 높은 비추력은 상호 배타적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LH2/LO2 이원추진제는 RP-1/LO2보다 더 높은 비추력을 생성하지만, 더 낮은 추력을 생성한다. 이온 추진기는 화학 엔진보다 25~35배 더 좋은 비추력에 도달하지만 낮은 추력을 생성한다.[4]

비추력 계산 시, 사용 전 차량과 함께 운반되는 추진제만 계산되며, 이는 차량 운영 비용과 가장 잘 일치한다. 로켓의 경우, 추진제 질량은 연료와 산화제 모두를 포함한다. 비추력 최적화가 총 성능이나 총 비용 최적화와 같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로켓 기술에서, 더 높은 비추력을 가진 무거운 엔진이 더 낮은 비추력을 가진 가벼운 엔진보다 고도, 거리, 속도를 얻는 데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3. 1. 추진제 양의 단위

추진제의 양은 질량 또는 무게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질량을 사용하는 경우, 비추력은 질량 단위당 충격량이며, 이는 차원 분석을 통해 속도 단위와 동등함을 보여준다. 이 해석은 일반적으로 ''유효 배기 속도''로 표시된다. 힘 기반 단위계를 사용하는 경우, 추진제 무게로 충격량을 나누는데(무게는 힘의 척도임), 시간 단위가 된다. 양의 척도로서 무게는 추진제에 가해지는 가속도에 따라 달라지며, 엔진 설계와는 무관하게 임의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역사적으로 표준 중력은 무게와 질량 간의 변환 기준이었다. 그러나 기술 발전으로 지표면 전체에 걸쳐 지구 중력 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차이가 실제 공학 프로젝트(다른 태양계 천체의 과학 프로젝트는 말할 것도 없음)에서 차이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현대 과학과 공학은 가속도 의존성을 제거하기 위해 질량을 양의 척도로 사용하는 데 중점을 둔다. 따라서 추진제 질량으로 비추력을 측정하면 해수면의 자동차, 순항 고도의 비행기 또는 화성의 헬리콥터에 대해 동일한 의미를 갖게 된다.[4]

로켓에서 I를 단위로 측정하는 관습은 역사적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미터법 단위와 영국 단위는 시간 단위만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것이 국제적인 비교를 하는 가장 편리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기준 가속도 변환(g)의 선택은 임의적이며, 시간 또는 속도로 해석하는 것은 물리적 의미가 없다.[4]

4. 단위

비추력의 가장 일반적인 단위는 초(s)이며, SI, 영국 단위계, 미국 관습 단위에서 그 값은 동일하다. 거의 모든 제조업체는 엔진 성능을 초 단위로 표기하며, 항공기 엔진 성능을 지정하는 데에도 유용하다.[5]

미터 매 초 단위로 유효 배기 속도를 나타내는 것 또한 일반적이다. 미터 매 초는 뉴턴초 매 킬로그램(N·s/kg)과 수치적으로 동일하며, 비추력의 SI 측정값은 두 단위로 서로 바꿔 쓸 수 있다. 비추진제 소비량은 비추력과 반비례하며, g/(kN·s) 또는 lb/(lbf·h) 단위를 갖는다.[7]

다양한 등가 로켓 엔진 성능 측정 단위 (SI 단위와 미국 관습 단위)
rowspan=2 |비추력유효 배기 속도비추진제 소비량
중량 기준*질량 기준
SI 단위= s= 9.80665·N·s/kg= 9.80665·m/s= 101,972/g/(kN·s)
미국 관습 단위= s= lbf·s/lb= 32.17405·ft/s= 3,600/lb/(lbf·h)
*아래에 언급된 바와 같이, s·g0가 물리적으로 정확합니다


4. 1. 초 단위 비추력

비추력은 초(秒) 단위로 측정되며, 1kg의 추진제가 1kg의 추력을 얼마나 오랫동안 발생시킬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9] 좀 더 정확히 말하면, 특정 추진제가 특정 엔진과 결합되었을 때, 자체 초기 질량을 1g의 가속도로 얼마나 오랫동안 가속시킬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자체 질량을 더 오래 가속시킬수록 전체 시스템에 더 많은 ΔV(델타-V)를 제공한다.

이는 특정 엔진과 특정 추진제의 질량이 주어졌을 때, 비추력은 그 엔진이 추진제 질량을 완전히 연소할 때까지 지속적인 힘(추력)을 얼마나 오랫동안 가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에너지 밀도가 더 높은 추진제의 특정 질량은 엔진에서 연소하는 동안 동일한 힘을 가하는 덜 에너지 밀도가 높은 추진제보다 더 오래 연소될 수 있다. 동일한 추진제를 연소하는 서로 다른 엔진 설계는 추진제의 에너지를 효과적인 추력으로 전환하는 효율이 다를 수 있다.

모든 차량의 경우, 비추력(추진제의 지구 중량 당 임펄스)은 초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로켓 추진에서는 반응 질량이 추진제뿐이므로, 비추력은 다른 방법으로 계산하여 단위를 초로 나타낸다.[9]

I_\text{sp} = \frac{v_\text{e}}{g_0},

여기서

  • I_\text{sp}는 초 단위로 측정된 비추력,
  • v_\text{e}는 엔진 축을 따라 평균 배기 속도(m/s 또는 ft/s),
  • g_0는 표준 중력 가속도(m/s2 또는 ft/s2)이다.


로켓에서는 대기 효과로 인해 비추력이 고도에 따라 달라지며 진공 상태에서 최대값에 도달한다. 이는 배기 속도가 단순히 연소실 압력의 함수가 아니라, 연소실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의 함수이기 때문이다. 값은 일반적으로 해수면("sl") 또는 진공("vac")에서의 작동에 대해 제시된다.

4. 2. 유효 배기 속도

로켓의 비추력은 추력 대 추진제 질량 유량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유효 배기 속도 ''v''e와 같다.[10] 비추력의 두 가지 정의는 서로 비례하며,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 ''v''e = ''g''0 ⋅ ''I''sp

여기서,

  • ''I''sp는 초 단위의 비추력이다.
  • ''v''em/s로 측정된 비추력으로, 유효 배기 속도와 같다. (만약 ''g''0가 ft/s2 단위라면 ft/s 단위)
  • ''g''0는 표준 중력 가속도로, 9.80665 m/s2이다. (미국 관습 단위에서는 32.174 ft/s2)


이 방정식은 공기 호흡식 제트 엔진에도 유효하지만,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로켓에서는 대기 효과로 인해 비추력이 고도에 따라 달라지며 진공 상태에서 최대값에 도달한다.[9] 이는 배기 속도가 단순히 연소실 압력의 함수가 아니라, 연소실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의 함수이기 때문이다.

4. 3. 실제 배기 속도 대 유효 배기 속도

대기 중에서 엔진을 작동시키면 대기압에 의해 배기 속도가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비추력이 감소한다. 이는 진공 상태에서 달성한 실제 배기 속도와 대조되는 유효 배기 속도의 감소이다.[12] 가스 발생기 사이클 로켓 엔진의 경우, 터보펌프 배기 가스가 별도의 노즐을 통해 배출되므로 하나 이상의 배기 가스 흐름이 존재한다. 유효 배기 속도를 계산하려면 두 질량 흐름의 평균을 구하고 대기압을 고려해야 한다.[12]

특히 터보팬과 같은 공기 호흡식 제트 엔진의 경우, 실제 배기 속도와 유효 배기 속도는 몇 배나 차이가 난다.[13] 이는 여러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 공기를 반작용 질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상당한 추가 운동량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배기 가스의 연소 생성물은 연소된 연료보다 질량이 더 크다. 둘째, 대기 중의 불활성 가스는 연소에서 열을 흡수하고, 그 결과 발생하는 팽창을 통해 추가 추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터보팬 및 기타 설계의 경우 직접 연소되지 않는 흡입 공기를 밀어내어 더 많은 추력이 생성된다. 이러한 모든 요인이 공기 속도와 배기 속도 간의 더 나은 일치를 가능하게 하여 에너지/추진제를 절약하고 유효 배기 속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동시에 실제 배기 속도를 감소시킨다.[13] 다시 말해, 공기의 질량은 비추력 계산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배기 가스의 연료 성분 질량에 모든 추력 운동량을 귀속시키고 반작용 질량, 불활성 가스 및 구동 팬의 전반적인 엔진 효율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질적으로 엔진 배기의 운동량에는 연료보다 훨씬 많은 것이 포함되어 있지만, 비추력 계산은 연료만 고려한다. 공기 호흡 엔진의 유효 배기 속도는 실제 배기 속도와 관련하여 비논리적으로 보이지만, 이는 여전히 서로 다른 엔진의 절대적인 연료 효율을 비교하는 데 유용하다.

5. 밀도 비추력

밀도 비추력(Density Specific Impulse)은 때때로 밀도 추력(Density Impulse)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I_{sd}$로 약칭된다.[14] 비추력보다 중요도는 낮지만, 발사체 설계에서 중요한 척도이다. 낮은 비추력은 추진제를 저장하기 위해 더 큰 탱크가 필요함을 의미하며, 이는 발사체의 질량비에 악영향을 미친다.[15]

6. 비추력 연료 소비량

비추력은 추력 비추력 연료 소비량(SFC)과 반비례 관계를 가지며, SFC 단위가 kg/(N·s)일 때는 , SFC 단위가 lb/(lbf·hr)일 때는 의 관계가 성립한다.[4]

7. 출력(일률)

추력과 비추력의 곱은 우주선의 출력(일률)과 관련이 있다.[1]

8. 추진 엔진 작동 원리별 비추력



추진 엔진 종류비추력
고체연료 로켓200–300초
액체연료 로켓300–460초
램제트 엔진500–1500초
터보제트 엔진2300–2900초
왕복 엔진3500–5500초[28]
원자력 로켓최대 1000초 (추정)
전기 추진수천 초–1만 초 (추정)
핵융합 추진수만 초 (추정)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specific impulse? https://web.archive.[...] Qualitative Reasoning Group 2009-12-22
[2] 웹사이트 New F-1B rocket engine upgrades Apollo-era design with 1.8M lbs of thrust https://arstechnica.[...] 2013-04-14
[3] 웹사이트 Laser-powered Interstellar Probe (Presentation) https://web.archive.[...] null
[4] 웹사이트 Mission Overview http://www.explorema[...] exploreMarsnow null
[5] 웹사이트 Specific Impulse https://www.grc.nasa[...]
[6] 웹사이트 What is specific impulse? https://www.qrg.nort[...]
[7] 웹사이트 Specific Fuel Consumption https://www.grc.nasa[...] 2021-05-13
[8] 서적 Rocket Propulsion Elements, 7th Edition
[9] 웹사이트 Specific impulse http://www.grc.nasa.[...] NASA 2008-07-11
[10] 서적 Rocket Propulsion Element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6
[11] 서적 Aerospace Propulsion System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
[12] 웹사이트 Rocket Thrust Equations https://www.grc.nasa[...] 2024-12-11
[13] 저널 Research on Efficient Heat Transfer for Air Breathing Electric Propulsion https://doi.org/10.2[...] 2023-01-23
[14] 백과사전 Density specific impulse https://encyclopedia[...]
[15] 웹사이트 Rocket Propellants http://www.braeunig.[...]
[16] 웹사이트 SSME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11.6 Performance of Jet Engines http://web.mit.edu/1[...]
[18] 웹사이트 Dunn's readme https://web.archive.[...] 2001
[19] 웹사이트 Effective exhaust velocity | engineering https://www.britanni[...]
[20] 웹사이트 fuel - Where is the Lithium-Fluorine-Hydrogen tripropellant currently? https://space.stacke[...]
[21] 저널 4th Propulsion Joint Specialist Conference
[22] 보고서 Lithium-fluorine-hydrogen propellant investigation Final report https://archive.org/[...] NASA 1970-05-01
[23] 웹사이트 Space Propulsion and Mission Analysis Office https://web.archive.[...] null
[24] 비디오 Nuclear Propulsion in Space https://www.youtub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17-01-05
[25] 웹사이트 Characterization of a High Specific Impulse Xenon Hall Effect Thruster | Mendeley https://web.archive.[...] null
[26] 웹사이트 VASIMR® VX-200 MEETS FULL POWER EFFICIENCY MILESTONE https://web.archive.[...] Ad Astra 2010-11-23
[27] 일반 null
[28] 서적 ミサイル技術のすべて 防衛技術協会 2006-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