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게는 물리학에서 중력의 영향으로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의미하며, 질량과 구분되는 개념이다. 역사적으로 무게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논의를 거쳐,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뉴턴의 연구를 통해 질량과 분리된 개념으로 발전했다. 상대성 이론에서는 중력과 무게의 관계가 재조명되었다. 무게는 중력에 의한 정의, 작동적 정의, ISO 정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국제단위계(SI)에서 힘의 단위인 뉴턴(N)으로 측정된다. 일상생활에서는 질량과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며, 한국어에서는 "무게"가 질량과 힘 두 가지 의미로 모두 사용된다. 무게는 천체에 따라 달라지며, 사회적, 문화적으로도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추상적인 사물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2. 역사

무게와 가벼움(경량)에 대한 개념 논의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는 일반적으로 물체의 고유한 속성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작동하는 저울은 이보다 훨씬 더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다.[9]

2. 1. 고대 그리스 철학

플라톤은 무게를 물체가 자신의 종류를 찾으려는 자연적 경향으로 묘사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무게와 가벼움이 기본 원소인 공기, 흙, 불, 물의 자연 질서를 회복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그는 흙에는 절대적인 무게를, 불에는 절대적인 가벼움을 부여했다. 아르키메데스는 무게를 부력과 반대되는 성질로 보았으며, 이 둘의 충돌이 물체가 가라앉는지 뜨는지를 결정한다고 보았다. 유클리드는 무게를 "저울로 측정했을 때 다른 것과 비교하여 한 물체의 무거움이나 가벼움"으로 정의하여, 무게에 대한 최초의 작동적 정의를 제시했다.[2]

2. 2. 중세 시대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 시대부터 무게와 가벼움(경량)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중세 학자들은 낙하하는 물체의 속도가 시간에 따라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무게 개념을 변화시켰다. 그들은 무게를 "정지 무게" (pondusla)와 물체가 떨어질 때 변하는 "실제 중력" (gravitasla)으로 나누었다.[2] gravitasla의 개념은 장 부리당의 운동량 이론으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운동량의 전조였다.[2]

2. 3. 과학 혁명과 뉴턴

코페르니쿠스적 세계관의 부상은 천체 간의 인력 개념을 부활시켰다. 17세기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무게 개념에 있어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 그는 움직이는 물체와 정지해 있는 물체의 무게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했고, 무게가 물체의 물질량에 비례한다는 결론을 내렸다.[2]

뉴턴의 운동 법칙과 만유인력 법칙은 무게와 질량을 근본적으로 구분하였다. 뉴턴은 무게를 중력을 일으키는 다른 물체에 대한 상대적인 것으로 간주했다. 예를 들어, 지구의 무게는 태양에 대한 상대적인 무게로 표현할 수 있다.[2]

2. 4. 상대성 이론

20세기에 절대적 시간과 공간에 대한 뉴턴의 개념은 상대성 이론에 의해 도전받았다. 아인슈타인의 등가 원리는 움직이거나 가속하는 모든 관찰자를 동등하게 취급했다. 이는 중력과 무게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모호성으로 이어졌다. 가속하는 엘리베이터 안의 저울은 중력장 안의 저울과 구별할 수 없다. 따라서 중력과 무게는 본질적으로 좌표계에 의존하는 양이 되었다. 이는 물리학과 화학과 같은 기초 과학에서 불필요한 개념으로서 무게 개념을 버리도록 촉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개념은 물리학 교육에서는 중요하게 남아 있었다. 상대성 이론에 의해 도입된 모호성은 1960년대부터 교육계에서 학생들에게 무게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에 대한 상당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는데, 중력에 의한 힘으로서의 무게에 대한 명목적 정의와 측정 행위에 의해 정의된 조작적 정의 사이에서 선택해야 했다.[2]

3. 정의

'무게'에는 여러 가지 정의가 있으며,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다.[3][10][11][12] "무게"라는 단어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주로 두 가지 다른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 물질·물체에 고유한 질량 (물리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단위(SI 단위)는 킬로그램(kg))
  • 물질·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 즉 물질·물체의 질량에서 기인[29]하는 (마찬가지로 물리학에서의 단위는 뉴턴(N))[30]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구상에서(중력장이 거의 변하지 않는 환경) 일상생활을 하고 있으며, 질량과 중력(무게·중량)을 구별해야 할 필요성이 크지 않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의미는 특별히 구별 없이 사용되고 있다. 질량과 중력(무게·중량) 외에도 밀도압력까지도 "무게"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 등, 일상생활에서 "무게"라는 단어는 모호하게 사용되고 있다[31]. 1킬로그램의 질량을 가진 물체에 (지구 표면에서) 중력이 작용할 때, 그 무게를 "1킬로그램"이라고 말하기도 한다[32](힘으로 명확하게 나타낸다면, "1중량 킬로그램(kgf)"[33] 등으로 표현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교 과학교육에서는 무게와 질량의 차이와 관계를 단계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일본초등학교에서는 무게를 질량의 의미로 가르치고 있다[34]. 중학교 이상의 교육 과정에서는 무게는 힘(중력의 크기)이라고 가르치며, 이때 학생들은 질량과의 차이를 배우게 된다.[35]

일본에서 자주 사용되는 "무게"의 한자 표현은 "중량"이다. 중량도 마찬가지로 질량과 힘(하중)의 두 가지 의미가 모호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로 운송 차량법에서는 "차량 총중량"이라는 용어는 차량이 가진 전체 '''질량'''을 의미한다.[36] 또한, 전자제품에 표시되던 "중량"은 현재 물리학에 맞춰 "질량"으로 표기되고 있다.[37] 영어에서 무게나 중량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단어는 weight이지만, 질량과 힘(하중)의 두 가지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어 혼란스럽다는 지적이 있다.[38][39] 미국에서도 상업 용어와 일상 용어로는 여전히 weight라는 단어가 종종 모호한 의미로 질량(mass)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1901년 제3차 국제도량형총회(CGPM)는 "무게"라는 용어의 모호성을 제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성명을 발표했다.[42][43]

1. 킬로그램은 질량의 단위이며, 국제 킬로그램 원기의 질량과 같다.[44]

2. "무게"라는 용어는 "힘"과 같은 성질의 양을 나타낸다. 어떤 물체의 무게는 그 물체의 질량과 중력가속도의 곱이며, 특히 어떤 물체의 표준 무게는 그 물체의 질량과 표준 중력가속도의 곱이다.

3. 표준 중력가속도의 값은 980.665 cm/s2이며, 여러 국가의 법률에서 명시하고 있다.[45]

이 성명에 따라 질량과 무게의 각 용어 의미를 명확히 하였다.

3. 1. 중력에 의한 정의 (Gravitational definition)

입문 물리 교과서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무게의 정의는 중력이 물체에 작용하는 힘으로 무게를 정의하는 것이다.[1][12] 이는 종종 ''W'' = ''mg'' 공식으로 표현되는데, 여기서 ''W''는 무게, ''m''은 물체의 질량, ''g''는 중력 가속도이다.

1901년, 제3차 국제도량형총회(CGPM)는 이를 공식적인 '무게' 정의로 채택하였다.[16][14]

:단어 '무게'는 '힘'과 같은 종류의 양을 나타낸다. 물체의 무게는 질량과 중력 가속도의 곱이다.

이 결의안은 힘이 벡터량이기 때문에 무게를 벡터로 정의한다. 그러나 일부 교과서에서는 무게를 스칼라량으로 정의하기도 한다.[15]

:물체의 무게 ''W''는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 ''Fg''와 같다.

중력 가속도는 장소에 따라 다르다. 때로는 표준 중력 값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표준 무게를 제공한다.[16]

크기가 ''mg'' 뉴턴과 같은 힘은 '''m 킬로그램 중량'''(약칭 '''kg-wt''')으로도 알려져 있다.[17]

3. 2. 작동적 정의 (Operational definition)

작동적 정의에 따르면, 물체의 무게는 물체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측정되는 이며, '''지지대에 작용하는 힘'''이다.[10] ''W''는 지구 중심에 의한 물체에 대한 아래쪽 힘이며, 물체에 가속도가 없으므로 지지대가 물체에 작용하는 반대 방향의 같은 크기의 힘이 존재한다. 또한 이것은 작용과 반작용이 같은 수치와 반대 방향을 가지므로 물체가 지지대에 작용하는 힘과 같다. 세부 사항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유낙하하는 물체는 지지대에 거의 힘을 작용하지 않거나 전혀 작용하지 않으며, 이러한 상황은 일반적으로 무중력이라고 한다. 그러나 자유낙하 상태에 있어도 중력적 정의에 따른 무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작동적 정의는 때때로 물체가 정지 상태에 있어야 한다는 요구 사항으로 정제되기도 한다. 작동적 정의에 따르면, 지구 표면에 정지해 있는 물체의 무게는 지구 자전으로 인한 원심력의 영향으로 감소한다.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작동적 정의는 부력의 영향을 명시적으로 배제하지 않는다. 부력은 물체가 공기나 물과 같은 유체에 잠길 때 측정된 무게를 줄인다. 결과적으로, 뜨는 풍선이나 물에 뜨는 물체는 무게가 0이라고 할 수 있다.

3. 3. ISO 정의

ISO 국제 표준 ISO 80000-4:2006[18]은 역학에서 기본적인 물리량과 단위를 설명하며, '무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F_g = m g \,

:여기서 ''m''은 질량, ''g''는 국소 자유 낙하 가속도이다.

이 정의는 선택된 기준계에 따라 달라진다. 기준틀이 지구일 때는 국소 중력뿐만 아니라 지구 자전으로 인한 국소 원심력도 포함하며, 이 힘은 위도에 따라 변한다.[18] 지정된 기준틀이 지구 표면인 경우, ISO 및 중력에 따른 무게는 지구 자전으로 인한 원심력 효과만큼만 다르다.

4. 질량과 무게

현대 과학에서 무게와 질량은 근본적으로 다른 양이다. 질량은 물질의 내재적 특성인 반면, 무게는 중력이 물체에 작용하여 생기는 ''힘''이다. 즉, 중력이 물질을 얼마나 강하게 끌어당기는지를 측정한다.[8][21] 그러나 일상생활에서는 "무게"라는 단어를 "질량"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8][21]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사람들은 물체가 "1킬로그램 무게가 나간다"고 말하지만, 킬로그램은 질량의 단위이다.

많은 실용적인 목적에서 질량과 무게의 구분은 중요하지 않다. 지구 표면에서 중력의 세기가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균일한 중력장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무게)은 질량에 정비례한다. 예를 들어, 물체 A의 무게가 물체 B의 무게의 10배이면 물체 A의 질량은 물체 B의 질량보다 10배 더 크다. 즉, 물체의 질량은 무게로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일상적인 목적으로 무게 달기(저울 사용)는 질량을 측정하는 허용 가능한 방법이다. 마찬가지로, 저울은 측정된 물체의 무게를 알려진 질량의 물체와 비교하여 질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한다. 측정된 물체와 비교 질량은 거의 같은 위치에 있으므로 동일한 중력장을 경험하므로 중력의 변화는 비교나 결과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지구의 중력장은 균일하지 않고 위치에 따라 최대 0.5%까지 다를 수 있다.[22] (지구 중력 참조). 이러한 변화는 무게와 질량 사이의 관계를 변경하며, 질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려는 고정밀 무게 측정에서 고려해야 한다.

다음 표는 지구 표면의 여러 위치에서 중력 가속도(따라서 무게의 변화)의 변화를 보여준다.[23]

위치위도m/s2적도와의 절대 차이적도와의 백분율 차이
적도9.78030.00000%
시드니남위 33°52′9.79680.01650.17%
애버딘북위 57°9′9.81680.03650.37%
북극북위 90°9.83220.05190.53%



"질량" 대신 "무게"라는 역사적 용어가 일부 과학 용어에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화학에서 "원자량", "분자량", "화학식량"과 같은 용어는 "원자 질량"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중력장, 예를 들어 표면에서는 물체의 무게가 지구에서와 크게 다를 수 있다. 달 표면의 중력은 지구 표면 중력의 약 6분의 1이다. 1킬로그램 질량은 여전히 1킬로그램 질량이지만(질량은 물체의 내재적 특성이므로), 중력으로 인한 아래쪽 힘, 즉 무게는 지구에서의 무게의 6분의 1에 불과하다. 따라서 질량이 180 파운드인 사람은 달에서 약 30 파운드-힘의 무게만 나간다.

5. 무게 단위

대부분의 현대 과학 연구에서는 물리량을 SI 단위로 측정한다. SI 단위계에서 무게의 단위는 힘의 단위와 같으며, 뉴턴(N)이다.[21] 상업 및 일상적인 용도에서 "무게"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질량을 의미하며, 이 경우 적절한 SI 단위는 킬로그램(kg)이다.[21]

킬로그램중은 1킬로그램 질량이 표준 지구 중력(정확히 9.80665 뉴턴)에서 작용하는 힘으로 정의되는 SI 단위가 아닌 힘의 단위이다.

무게 및 질량의 측정 단위는 다음 표와 같다.

무게질량
뉴턴[49], 중량 킬로그램, 중량 그램[26], 중량 톤[26]킬로그램, 그램, 톤


6. 한국 사회에서의 무게 개념

한국어에서 "무게"는 일상적으로 질량중력(힘) 두 가지 의미로 모두 사용된다. "중량"이라는 한자 표현도 질량과 힘(하중) 두 가지 의미로 혼용된다. 학교 교육에서는 무게와 질량의 차이를 단계적으로 가르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34][35] 도로 운송 차량법 등 법률에서도 "차량 총중량"과 같이 질량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36] 과거에는 가전제품에 "중량"으로 표기되었으나, 현재는 물리학에 맞춰 "질량"으로 표기되고 있다.[37] 1901년 국제도량형총회(CGPM)는 "무게"라는 용어의 모호성을 제거하기 위해 질량과 무게의 정의를 명확히 했으나,[42][43] 일상생활에서는 여전히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7. 천체별 상대적 무게

지구와 다른 천체에서 물체의 무게는 중력 가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아래 표는 태양, 지구, , 그리고 태양계 행성들의 표면 중력 가속도와 지구 대비 무게 배율을 보여준다.

천체지구 중력의 배수표면 중력
(m/s2)
태양27.90274.1
수성0.37703.703
금성0.90328.872
지구1 (정의에 따름)9.8226[25]
0.16551.625
화성0.38953.728
목성2.64025.93
토성1.13911.19
천왕성0.9179.01
해왕성1.14811.28



표의 값은 행성 자전의 원심력 효과(그리고 거대 행성(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의 구름 꼭대기 풍속)를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극지방 근처에서 경험할 실제 중력과 유사하다. 여기서 "표면"은 거대 행성의 경우 구름 꼭대기를 의미하며, 태양의 경우 광구를 의미한다.

중력중력장의 크기에 비례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같은 질량의 물체라도 다른 천체 위에서는 다른 무게가 된다.[48]

8. 무게와 관련된 사회적, 문화적 함의 (중도 진보적 관점)

무게 개념은 단순히 물리적인 현상을 넘어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중도 진보적 관점에서 무게는 개인의 건강, 사회적 형평성, 지속 가능한 발전과 연결될 수 있다.

9. 파생된 의미

"무게"라는 단어는 추상적인 사물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무게 있는 발언", "역사의 무게"와 같이 쓰인다. 이러한 용법에서 "(위에서) 짓누르는"이라는 의미는 "무게"의 물리적 성질과 일치한다고 여겨진다. "중점"이라는 단어도 추상적인 사물에 대해 무게의 작용점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다.[1]

참조

[1] 논문 Weight and gravity - the need for consistent definitions 1999-01-01
[2] 논문 Weight versus gravitational force: histor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2001-10-01
[3] 서적 Standardization of Technical Terminology: Principles and Practice – ''second volume'' ASTM International 1988-01-01
[4] 서적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a Strategic Approach https://archive.org/[...] Addison–Wesley
[5] 서적 University Physics with Modern Physics McGraw Hill
[6] 서적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with Modern Physics Thompson
[7] 서적 Conceptual Physics https://archive.org/[...] Addison–Wesley
[8] 간행물 The National Standard of Canada, CAN/CSA-Z234.1-89 Canadian Metric Practice Guide 1989-01-01
[9] 웹사이트 Avery Weigh-Tronix Museum https://web.archive.[...] 2013-03-29
[10] 논문 Weight and weightlessness 1963-05-01
[11] 논문 On weightlessness 1995-02-01
[12] 논문 The importance of weightlessness and tides in teaching gravitation http://sites.huji.ac[...] 2003-01-01
[13] JCGM 200:2008 International vocabulary of metrology – Basic and general concepts and associated terms (VIM) – Vocabulaire international de métrologie – Concepts fondamentaux et généraux et termes associés (VIM) http://www.bipm.org/[...] BIPM 2008-01-01
[14] 서적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https://nvlpubs.nist[...] NIST 2019-01-01
[15] 서적 Fundamentals of Physics Wiley 2007-01-01
[16] 웹사이트 Resolution of the 3rd meeting of the CGPM (1901) http://www.bipm.org/[...] BIPM
[17] 서적 Mechanics George Allen & Unwin 1979-01-01
[18] 표준 ISO 80000-4:2006, Quantities and units - Part 4: Mechanics
[19] 서적 Principles of mechanics and biomechanics https://books.google[...] Stanley Thornes Ltd 1998-01-01
[20] 논문 Weight and gravity: teachers' ambiguity and students' confusion about the concepts 1993-01-01
[21] 논문 The NIST Guide for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ection 8: Comments on Some Quantities and Their Units http://physics.nist.[...] NIST 2010-03-03
[22] 서적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hemical Rubber Publishing Co. 1961-01-01
[23] 서적 Physical and Mathematical Tables Oliver and Boyd 1964-01-01
[24] 웹사이트 Common Conversion Factors, Approximate Conversions from U.S. Customary Measures to Metric https://www.nist.gov[...] NIST 2010-01-13
[25] 문서 This value excludes the adjustment for centrifugal force due to Earth’s rotation and is therefore greater than the 9.80665{{spaces}}m/s2 value of standard gravity.
[26] 웹사이트 質量と重さの違いって何? https://fanfun.jaxa.[...] 2023-10-19
[27] 문서 少なくとも古典力学における理解において、質量はどのような状態でも不変である。
[28] 문서 それぞれ重力場の大きさが異なる。月面上の重力場は地球上の概ね6分の1である。
[29] 문서 これをより厳密に説明するには、一般相対性理論の説明に踏み込む必要があるが、ここでは簡単の為に割愛する。
[30] 서적 理科の世界1 大日本図書 2020-03-02
[31] 논문 「質量」をどう教えるか : ニュートンの質量の定義に戻って https://hdl.handle.n[...] 新潟大学教育学部 2018-03-01
[32] 문서 キログラム#重量との関係も参照。
[33] 문서 もっとも、重量キログラム (kgf)を用いる重力単位系(上述)は特に公の場で使用されなくなりつつあり、重さの表記にあたっては、力の単位であるニュートン (N)の使用へと移行しつつある。この単位を用いるならば、1キログラムの質量の物体に(地球表面上で)はたらく重力、すなわち重さは概ね9.8ニュートンである。
[34] 서적 たのしい理科3年 大日本図書 2019-03-05
[35] 문서 このとき同時に、質量の単位はキログラム (kg)であり、重さの単位はニュートン (N)であるとも教えられ、学校教育では両者ははっきりと区別されるようになる。
[36] 문서 車両総重量の項
[37] 웹사이트 別表2 仕様の表示事項およびその表示基準 https://www.eftc.or.[...] 公益社団法人 全国家庭電気製品公正取引協議会
[38]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Second College E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1982
[39] 문서 Mass versus weight
[40] 웹사이트 NIST SP 330(SI)2019年版 https://nvlpubs.nist[...] NIST 2019
[41] 웹사이트 NIST SP330(1981) https://archive.org/[...] NIST 1981
[42] 서적 国際単位系(SI)第9版(2019)日本語版 https://unit.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計量標準総合センター 2020-03
[43] 문서 質量の単位と重量の定義に関する声明;gn の協定値 (CR, 70)
[44] 문서 SI基本単位の再定義 (2019年)
[45] 문서 重力単位系
[46] 문서
[47] 문서 計量法
[48] 문서 重力加速度
[49] 문서 法定計量単位
[50] 웹사이트 무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