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빅토르 추카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빅토르 추카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체조 선수였다. 그는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 개인 종합 금메달을 포함하여 6개의 메달을 획득했고,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 단체전과 개인 종합에서 우승하며 5개의 메달을 추가했다. 1954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는 단체전과 개인 종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57년에는 라리사 라티니나와 함께 선수로서는 최초로 레닌 훈장을 받았다. 1961년 아르메니아 체조 팀 코치를 역임했고, 1963년 리비우 체육 대학 조교수가 되었다. 1984년 사망했으며, 리비우의 한 거리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계 우크라이나인 - 예우헨 하체리디
    우크라이나 축구 선수 예우헨 하체리디는 중앙 수비수로 디나모 키예프에서 전성기를 보내며 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 등 여러 우승을 차지했고, 우크라이나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하며 UEFA 유로 2012에 참가했다.
  • 그리스계 우크라이나인 - 일랴 마테
    일랴 마테는 그리스인 아버지와 우크라이나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레슬링 선수로, 1980년 하계 올림픽 자유형 레슬링 100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 사업가로 활동했다.
  • 1952년 하계 올림픽 체조 참가 선수 - 오노 다카시 (체조 선수)
    오노 다카시는 1952년부터 1964년까지 올림픽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고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일본 체조 사상 첫 단체전 금메달을 이끌었으며 1964년 도쿄 올림픽 일본 선수단 주장을 맡는 등 일본 체조계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체조 선수이다.
  • 1952년 하계 올림픽 체조 참가 선수 - 켈레티 아그네시
    켈레티 아그네시는 헝가리 태생의 이스라엘 체조 선수로, 올림픽에서 10개의 메달을 획득하고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 여자 체조 최고령 금메달리스트 기록을 세웠으며, 홀로코스트 생존 후 이스라엘로 망명하여 체조 발전에 기여, 국제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56년 하계 올림픽 체조 참가 선수 - 오노 다카시 (체조 선수)
    오노 다카시는 1952년부터 1964년까지 올림픽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고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일본 체조 사상 첫 단체전 금메달을 이끌었으며 1964년 도쿄 올림픽 일본 선수단 주장을 맡는 등 일본 체조계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체조 선수이다.
  • 1956년 하계 올림픽 체조 참가 선수 - 라리사 라티니나
    라리사 라티니나는 소련의 전직 체조 선수로,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올림픽에서 18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오랫동안 최다 메달리스트 기록을 보유했고, 세계 선수권 대회와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도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에는 소련 체조 국가대표팀 코치를 역임하고 국제 체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빅토르 추카린
기본 정보
빅토르 추카린
본명빅토르 이바노비치 추카린
원어 이름langx: ru|Виктор Иванович Чукарин
langx: uk|Віктор Іванович Чукарін
출생일1921년 11월 9일
출생지크라스노아르메이스코예 마을, 도네츠 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사망일1984년 8월 25일
사망지리비우,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소속팀이스크라 리비우
부레베스트니크 리비우
종목남자 기계체조
올림픽 성적
올림픽 게임1952년 헬싱키: 금메달 (단체전), 금메달 (개인 종합), 금메달 (안마), 금메달 (도마), 은메달 (링), 은메달 (평행봉)
1956년 멜버른: 금메달 (단체전), 금메달 (개인 종합), 금메달 (평행봉), 은메달 (마루 운동), 동메달 (안마)
세계 선수권 대회 성적
세계 선수권 대회1954년 로마: 금메달 (개인 종합), 금메달 (단체전), 금메달 (평행봉), 동메달 (안마)

2. 어린 시절

추카린은 도네츠크 현 크라스노아르메이스코예 마을에서 돈 코사크 출신 아버지 이반 에블람피예비치 추카린과 폰토스 그리스인 어머니 크리스티나 클리멘티예브나 라미조바 사이에서 태어났다.[2][3] 1924년 그의 가족은 마리우폴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체조 훈련을 시작했다. 이후 추카린은 키예프의 체육 대학에서 공부했다.

1941년 독소 전쟁이 시작되자 그는 붉은 군대에 자원 입대했다. 그는 미하일 키르포노스 장군 휘하 부대에서 싸웠다. 추카린은 교전 중 부상을 입고 폴타바 근처(키예프 포위전)에서 나치 독일군에게 포로로 잡혀 산드보스텔의 포로 수용소로 보내졌다. 그는 17개의 포로 수용소를 전전했으며, 1945년 석방될 당시 그의 체중은 40kg에 불과할 정도로 극심한 고초를 겪었다. 전쟁 후 그는 키예프의 스포츠 대학에 다시 입학하지 못하고, 1946년 리비우 체육 대학에 들어가 4년 후에 졸업했다.[3]

3. 선수 경력

1941년 독소 전쟁이 발발하자 붉은 군대에 자원 입대하여 싸웠으나, 키예프 포위전 중 부상을 입고 포로가 되었다. 그는 산드보스텔을 포함한 17개의 포로 수용소를 거쳤으며, 1945년 석방 당시 체중이 40kg에 불과할 정도로 극심한 고초를 겪었다. 전쟁 후 키예프의 스포츠 대학에 복귀하지 못하고 리비우 체육 대학에서 학업을 이어갔다.[3]

전쟁의 후유증에도 불구하고 추카린은 체조 선수로 복귀하여 1946년 소련 전국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1948년에는 전국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1949년 소련 종합 선수권 대회에서 처음으로 우승한 뒤 1950년, 1951년, 1953년, 1955년에도 연달아 정상의 자리를 지켰다.[4] 그는 1952년 헬싱키 올림픽, 1954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멜버른 올림픽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세계적인 선수로 명성을 떨쳤다.[4]

1957년에는 동료 체조 선수인 라리사 라티니나와 함께 선수로서는 처음으로 레닌 훈장을 수여받는 영예를 안았다.[4][5] 그는 1955년 자신의 선수 경력을 담은 저서 ''정상의 길''(Путь к вершинам|풋 크 베르시남rus)을 출간하기도 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의 길을 걸어 1961년 아르메니아 체조팀 코치를 맡았고, 1963년에는 모교인 리비우 체육 대학의 조교수가 되었다.[1][4] 추카린은 1984년 사망하여 리비우의 리차키우 묘지에 안장되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리비우의 한 거리에는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3. 1. 올림픽

소련은 추카린이 30세였던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 처음 참가했다. 당시 추카린은 체중이 많이 늘어 체조 선수로서는 덩치가 크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 결과 그는 마루 운동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지만, 개인 종합에서 0.7점 차이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총 6개의 메달(금메달 4개, 은메달 2개)을 따내며 대회에서 가장 성공적인 선수로 기록되었다.[4]

4년 뒤 멜버른 올림픽에서는 단체전과 개인 종합에서 2연패를 달성했으며, 마루 운동 은메달을 포함하여 총 5개의 메달(금메달 3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을 추가로 획득했다.[4]

3. 2. 세계 선수권 대회

1954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소련 팀을 승리로 이끌었고, 단체 종합과 개인 종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4]

4. 은퇴 이후

1957년 라리사 라티니나와 함께 선수에게 수여된 최초의 레닌 훈장을 받았다.[4][5]

1961년에는 아르메니아 체조 팀의 코치를 맡았고, 1963년에는 모교인 리비우 체육 대학의 조교수가 되었다.[1][4]

1984년 르부프(현재의 리비우)에서 62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리차키우 묘지(Lychakiv Cemetery)에 묻혔다. 리비우의 한 거리는 그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5. 유산

추카린은 1955년 자신의 스포츠 경력을 회고하는 저서 ''Путь к вершинам|풋 크 베르시남ru''(정상의 길)을 출간했다.[1][4] 1957년에는 라리사 라티니나와 함께 선수로서는 최초로 레닌 훈장을 수여받는 영예를 안았다.[4][5] 은퇴 후에는 지도자의 길을 걸어, 1961년 아르메니아 체조 대표팀 코치를 맡았고, 1963년에는 리비우 체육 대학의 조교수가 되었다.[1][4] 그는 1984년 리비우에서 62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1] 리차키우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리비우의 한 거리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1]

참조

[1] Sports-Reference Viktor Chukarin https://www.sports-r[...]
[2] 웹사이트 Olympic Gold after a Camp Dust http://2003.novayaga[...] Novaya Gazeta 2007-08-04
[3] 간행물 Tragedy and Triumph of the Great Olympian http://bmsi.ru/doc/6[...] Physical Culture and Sport 2012-01-01
[4] 뉴스 «Ахиллесова пята» Виктора Чукарина. Как узник Бухенвальда выиграл Олимпиаду http://www.aif.ru/sp[...] Argumenty i Fakty 2014-09-18
[5] 서적 All about Olympic Games. Fizkultura i spor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