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빈프억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프억성은 베트남 남부에 위치한 성으로, 과거에는 프억롱성과 빈롱성으로 나뉘어 있었다. 1976년 송베성의 일부가 되었다가 1997년 송베성이 해체되면서 분리되었다. 월남전 당시 여러 차례의 전투가 벌어졌으며, 1975년 프억롱성의 성도 프억빈이 베트콩에 함락되었다. 현재는 동소아이 시를 포함한 1개의 시, 3개의 시사, 7개의 현으로 행정 구역이 구성되어 있으며, 임업이 중요한 산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동남부 지방 - 동나이성
    동나이성은 베트남 남동부에 위치하여 호찌민시와 인접하고 주요 국도와 철도가 통과하며 떤선녓 국제공항과 가까운 교통 요충지이자 풍부한 수자원과 자원을 보유한 주요 산업 및 농업 지역으로, 2개의 성급시와 9개의 군으로 구성되고 롱탄 국제공항 건설이 진행 중이며 환경 오염 문제를 안고 있다.
  • 베트남 동남부 지방 - 빈투언성
    빈투언성은 베트남 남중부 해안에 위치하며 과거 참파 왕국 판두랑가 공국 영토였으나 베트남에 편입, 투언하이성에 통합되었다가 다시 분리되었고, 산악 지형과 해안 평야가 공존하며 농업, 어업,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1개의 시, 1개의 시사, 8개의 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도는 판티엣이다.
  • 빈프억성의 지리 - 동쏘아이
    동쏘아이는 베트남 응우옌 왕조 시대에 "Đồn Xoài"로 불렸던 지역에서 유래되어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6개의 방과 2개의 사로 구성된 도시로, 뚜렷한 계절 변화와 함께 연평균 기온 26.6°C, 연간 총 강수량 2538.7mm 등의 기후 특징을 가진다.
  • 빈프억성의 지리 - 프억롱
    프억롱은 빈프억성에 위치한 시로, 동쑤아이시에서 북동쪽으로 47km 떨어져 있으며 신생대 마그마 분출 지질층에 위치하고 열대 몬순 기후 지역이다.
  • 베트남의 성 - 빈딘성
    빈딘성은 참파 왕국의 유적과 떠이선 왕조의 발상지이며, 꼰 강을 비롯한 여러 강이 흐르는 지역으로, 뀌년 항을 통해 해상 운송이 이루어진다.
  • 베트남의 성 - 동나이성
    동나이성은 베트남 남동부에 위치하여 호찌민시와 인접하고 주요 국도와 철도가 통과하며 떤선녓 국제공항과 가까운 교통 요충지이자 풍부한 수자원과 자원을 보유한 주요 산업 및 농업 지역으로, 2개의 성급시와 9개의 군으로 구성되고 롱탄 국제공항 건설이 진행 중이며 환경 오염 문제를 안고 있다.
빈프억성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바라 산에서 바라본 풍경
바라 산에서 바라본 풍경
별칭평화와 행복
국가베트남
지역동남부
대도시권호찌민 시 대도시권
성도동쏘아이
면적6,873.56 km²
인구 (2021년)1,214,933 명
인구 밀도176 명/km²
민족 구성베트남인
스티엥족
눙족
따이족
크메르족
짬족
GDP (2021년)VND 111조 3600억 (미화 46억 4천만 달러)
인간 개발 지수 (HDI) (2020년)0.709 (31위)
시간대ICT (UTC+7)
우편 번호830000
지역 번호271
ISO 3166-2VN-58
웹사이트빈프억 성 공식 웹사이트
정치
인민위원회 의장쩐 뚜에 히엔
인민위원회 서기응우옌 만 끄엉
인민위원회 의장후인 티 항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동쏘아이 시
부자op 시
빈롱현
보떤현
동푸현
동쏘아이현
록닌현
푸리엥현
푸옥롱현
후엉화현
기타 정보
과거 이름송베 성

2. 역사

빈프억성 지역은 과거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 시절의 프억롱성과 빈롱성이었다.[11][5] 1976년, 이 두 성은 빈즈엉성과 함께 송베성으로 통합되었으나, 1997년 송베성이 해체되면서 현재의 빈프억성으로 다시 분리되었다.[11][5] 월남전 기간 동안 이 지역은 여러 중요한 전투의 무대가 되었으며, 이는 베트남 현대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어 있다.[11][5]

2. 1. 베트남 공화국 시기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 시절, 현재의 빈프억성 지역은 프억롱성과 빈롱성으로 나뉘어 있었다.[11][5] 월남전 기간 동안 이 지역에서는 여러 중요한 전투가 벌어졌다. 1965년 5월의 송베 전투,[11] 1965년 6월의 동소아이 전투,[11][5] 1972년 4월의 록닌 전투,[11][5] 그리고 1974년 12월부터 1975년 1월까지 이어진 프억롱 전투가 대표적이다.[11][5] 결국 1975년 1월 7일 새벽, 프억롱성의 성도인 프억빈이 베트콩에게 함락되었는데, 이는 베트남 공화국 성도 중에서는 첫 번째 사례였다.[11]

2. 2. 베트남 전쟁 시기

빈프억 성 지역은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 시절에는 프억롱성과 빈롱성으로 나뉘어 있었다.[11][5] 이후 1976년 두 성은 빈즈엉성과 함께 송베성으로 통합되었다가, 1997년 송베성이 해체되면서 현재의 빈프억 성으로 다시 분리되었다.[11][5]

월남전 기간 동안 이 지역에서는 여러 차례 중요한 전투가 벌어졌다. 주요 전투로는 1965년 5월의 송베 전투, 1965년 6월의 동소아이 전투, 1972년 4월의 록닌 전투, 그리고 1974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이어진 프억롱 전투가 있다.[11] 특히 1975년 1월 7일 새벽, 프억롱성의 성도였던 프억빈이 베트콩에게 함락되었는데, 이는 베트남 공화국 성도 중에서는 첫 함락 사례였다.[11]

2. 3. 통일 베트남 시기

빈프억성은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 시기에는 프억롱성과 빈롱성이었다.[11][5] 1976년 두 성은 빈즈엉성과 함께 송베성의 일부가 되었다.[5] 그러나 1997년 송베성이 해체되면서 빈프억성이 다시 분리되어 나왔다.[11][5]

베트남 전쟁 당시 이 지역에서는 여러 중요한 전투가 벌어졌다. 1965년 5월 송베 전투, 1965년 6월의 동소아이 전투, 1972년 4월 록닌 전투, 그리고 1974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이어진 프억롱 전투가 대표적이다.[11] 결국 1975년 1월 7일 새벽, 프억롱성의 성도였던 프억빈은 베트남 공화국의 여러 성도 중 처음으로 베트콩에 의해 함락되었다.[11]

3. 지리

빈프억성은 대부분 지역이 해발 50m에서 200m 사이의 비교적 평평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동쪽으로 갈수록 해발 고도가 점차 높아져 중부 고원의 닥농성과의 경계 부근에서는 약 500m에 달한다. 가장 높은 지점은 성 중앙에 위치한 바라산(736m)이다.[6] 서쪽에는 높이가 약 200m까지, 남동쪽에는 300m까지 이르는 여러 언덕이 있다.[7]

성의 대부분의 강은 베강의 지류이며, 베강은 다시 동나이강의 지류이다.[6] 탁모호는 성 동쪽에 위치한 큰 인공 호수이다. 닥글룬, 닥냐우, 닥랄랍, 닥오아 등 중부 고원에서 발원한 여러 강이 이 호수로 흘러든다(북쪽에서 남쪽으로).[7] 이 호수는 빈프억성 중부 및 서부를 통과하는 베강의 발원지이다.

임야는 성 전체 면적의 49%인 337000ha를 차지한다.[8] 숲은 주로 성의 북동부와 남동부에 위치하며, 캄보디아와의 북부 경계와 떠이닌성과의 서부 경계를 따라 위치해 있다.[6] 나머지 지역 대부분은 영년성 환금 작물을 재배하는 데 사용된다. 총 농업 면적은 293700ha이다. 특별 용지 면적은 21900ha이고, 주거 용지 면적은 5700ha이다.[8]

'''빈프억성의 인접 행정 구역'''
방향접경 지역
북쪽캄보디아 (크라체주, 몬둘키리주)
동쪽닥농성, 럼동성
남쪽동나이성, 빈즈엉성
서쪽떠이닌성, 캄보디아 (캄퐁참주)


4. 행정 구역

베트남 최대의 도시인 호찌민 시 북쪽에 위치하며, 1개의 (thành phố), 3개의 시사(thị xã), 7개의 (huyện)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도(省都)는 동소아이 시이다.


  • (thành phố)
  • 동소아이 시 (Đồng Xoài|동쏘아이vie / 屯𣒱) - 성도

  • 시사 (thị xã)
  • 빈롱 시사 (Bình Long|빈롱vie / 平隆)
  • 쩐타인 시사 (Chơn Thành|쩐타인vie / 真誠)
  • 프억롱 시사 (Phước Long|프억롱vie / 福隆)

  • (huyện)
  • 부당 현 (Bù Đăng|부당vie / 蒲登)
  • 부돕 현 (Bù Đốp|부돕vie / 蒲𧎛)
  • 부자멉 현 (Bù Gia Mập|부자멉vie / 蒲家䏜)
  • 동푸 현 (Đồng Phú|동푸vie / 同富)
  • 혼꽌 현 (Hớn Quản|혼꽌vie / 漢廣)
  • 록닌 현 (Lộc Ninh|록닌vie / 祿寧)
  • 푸리엥 현 (Phú Riềng|푸리엥vie / 富萾)


이들 행정 구역은 다시 여러 개의 (社, xã)와 (坊, phường), 시진(市鎭, thị trấn)으로 세분된다.

4. 1. 시

동소아이 시( Đồng Xoài|동쏘아이vi / 屯𣒱)는 빈프억성의 성도(省都)이다. 면적은 167.3km2이며, 2018년에 시로 승격되었다. 인구는 162,700명이고, 인구 밀도는 897명/km2이다. 행정 구역은 6개의 방(坊)과 2개의 사(社)로 구성된다.

빈프억성 지도

4. 2. 시사


  • 빈롱 시사(Bình Long / 平隆|빈롱vi)
  • 쩐타인 시사(Chơn Thành / 真誠|쩐타인vi)
  • 프억롱 시사(Phước Long / 福隆|프억롱vi)

4. 3. 현

빈프억성에는 7개의 현(후옌)이 있다.

  • 부당 현(Bù Đăng|부당|蒲登vie)
  • 부돕 현(Bù Đốp|부돕|蒲𧎛vie)
  • 부자멉 현(Bù Gia Mập|부자멉|蒲家䏜vie)
  • 동푸 현(Đồng Phú|동푸|同富vie)
  • 혼꽌 현(Hớn Quản|혼꽌|漢廣vie)
  • 록닌 현(Lộc Ninh|록닌|祿寧vie)
  • 푸리엥 현(Phú Riềng|푸리엥|富萾vie)


현 이름면적 (km2)인구 (명)인구 밀도 (명/km2)하위 행정 구역설치 연도
부당 현1503km2135,090871 시진, 15 사1988
부돕 현377.5km252,6201201 시진, 6 사2003
부자멉 현1062km2150,480858 사2009
동푸 현935.4km290,200931 시진, 10 사1977
혼꽌 현663.8km2100,7901441 시진, 12 사2009
록닌 현854km2120,6501351 시진, 15 사1978
푸리엥 현675km295,3008710 사2015


5. 인구

2022년 빈프억성의 인구는 1,277,300명으로, 2000년의 684,600명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이러한 인구 성장은 다른 많은 성(省)들과 달리 주로 농촌 지역에서 이루어졌는데, 도시 지역 인구가 20,500명 증가한 데 비해 농촌 지역 인구는 118,500명 증가했다. 빈프억성은 인구의 15.4%만이 도시에 거주하는 등 주로 농촌 지역의 특성을 보인다. 인구는 2000년과 2005년 사이에 16.5% 증가했으나,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어 2006년에는 2.23%, 2007년에는 1%의 증가율을 보였다.

평균 인구 밀도는 1km2당 114.3명이다.

주민 구성은 다수를 차지하는 베트남인(킨족) 외에 스띠엥족, 눙족, 따이족, 크메르 크롬(캄보디아의 크메르인과 같은 계통), 참족 등 여러 소수 민족이 있다. 이들 소수 민족은 성 전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6. 경제

빈프억성의 가장 중요한 산업은 임업이다. 경제는 농업, 특히 캐슈넛과 고무와 같은 환금 작물 재배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2007년 기준 빈프억성의 국내총생산(GDP)은 9.5344조베트남 동으로, 1인당 GDP는 1158만베트남 동이다. 이는 베트남 전국 평균의 86% 수준이며, 동남부 지역의 다른 성들에 비해서는 상당히 낮은 수치이다. 하지만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14%에서 15% 사이의 높은 GDP 성장률을 기록했다.

2007년 상품 수출액은 3.255억달러로, 수입액 5740만달러를 크게 넘어섰다. 2000년 이후 수출은 거의 7배, 수입은 거의 10배 증가했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고무 라텍스, 껍질을 벗긴 캐슈넛, 후추 등이 있다.

경제 구조를 보면, 2007년 GDP에서 국영 부문이 41.5%를 차지했으며, 이는 2000년의 29.5%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가계 부문은 같은 기간 61.1%에서 49.2%로 감소했지만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민간 부문은 GDP의 7.7%로 비중이 작으며, 외국인 투자 역시 1.4%에 불과하여 매우 적은 수준이다.[8]

6. 1. 농업

빈프억성은 베트남에서 농업 생산성이 높은 지역 중 하나로, 특히 캐슈넛과 고무 같은 환금 작물 재배에 크게 의존한다. 2007년 기준으로 1인당 농업 국내총생산(GDP)은 703만 베트남 동으로 베트남 전체에서 가장 높았다. 반면, 1인당 산업 GDP는 170만 동으로 베트남 남부 지역 중에서는 산업화 수준이 낮은 편에 속한다. 같은 해 빈프억성의 전체 GDP는 9조 5,344억 동(1인당 1,158만 동)으로, 이는 베트남 전국 평균의 86% 수준이며 동남부 지역의 다른 성들에 비해서는 상당히 낮은 수치이다. 2000년부터 2007년까지 GDP 성장률은 연평균 14%에서 15% 사이를 기록했다. 2007년 빈프억성의 상품 수출액은 3.255억달러로, 수입액 5740만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2000년 이후 수출은 약 7배, 수입은 약 10배 증가했으며, 주요 수출 품목은 고무 라텍스, 껍질을 벗긴 캐슈넛, 후추 등이다.

빈프억성의 농업은 캐슈넛, 고무, 커피, 후추와 같은 다년생 작물이 주를 이룬다. 2007년 기준 4,458개의 농장 중 4,333개가 다년생 작물 농장이었다. 곡물 생산량은 상대적으로 적어 농업 면적과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다. 2007년에는 쌀 34200ton과 옥수수 19.7ton이 수확되었는데, 이는 각각 베트남 전국 생산량의 0.1%와 0.5%에 불과하다. 고구마와 카사바도 재배된다.

가장 중요한 환금 작물은 캐슈넛이다. 2007년 수확량은 156377ton으로 베트남 전체 생산량의 51.8%를 차지했으며, 이는 2006년의 110000ton, 2000년의 19000ton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캐슈넛은 주로 국도 14호선을 따라 성의 동부와 남부 지역에서 재배된다. 캐슈넛은 빈프억성뿐만 아니라 베트남 전체의 중요한 수출 품목으로, 2010년 수출액은 1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현재 베트남 내 캐슈넛 가공 능력이 국내 생산량을 초과하여 생 캐슈넛 수입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고무 역시 중요한 작물로, 2007년 생산량은 147520ton에 달해 전국 생산량의 24.5%를 차지했다. 이는 2000년 생산량(67000ton)의 두 배 이상이다. 고무는 주로 베강과 국도 13호선을 따라 성의 북부와 서부에서 생산된다. 후추 생산량도 전국 생산량의 상당 부분(24%)을 차지하며,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생산량이 두 배 이상 증가하여 21736ton에 이르렀다. 후추는 국도 13호선과 베강 사이의 빈롱 시사 및 쩐탄 현 지역, 즉 성의 남서부에서 주로 재배된다.

커피는 성의 북동부, 탁머 호수 북쪽 지역에서 재배된다. 2007년 수확량은 56148ton으로 전국 생산량의 5.8%를 차지했다. 이 외에도 코코넛(877ton), 사탕수수(28800ton), 땅콩(800ton), 면화(500ton) 등이 2007년에 수확되었다.

빈프억성의 주요 농작물 (2007년 기준)
작물생산량전국 비중주요 재배 지역
캐슈넛156377ton51.8%성 동부 및 남부 (국도 14호선 인근)
고무147520ton24.5%성 북부 및 서부 (베강, 국도 13호선 인근)
후추21736ton24%성 남서부 (빈롱 시사, 쩐탄 현)
커피56148ton5.8%성 북동부 (탁머 호수 북쪽)


6. 2. 산업

가장 중요한 산업은 임업이다. 빈프억성은 베트남에서 농업 생산성이 가장 높은 성 중 하나이며, 특히 캐슈넛과 고무와 같은 현금 작물에 크게 의존한다. 2007년 기준 1인당 농업 국내총생산(GDP)은 703만베트남 동으로 베트남 전체에서 가장 높았다. 반면, 1인당 산업 GDP는 170만베트남 동으로 베트남 남부 지역에서는 산업화가 덜 된 성 중 하나로 꼽힌다.

2007년 빈프억성의 전체 GDP는 9.5344조베트남 동 (1인당 1158만베트남 동)으로, 이는 베트남 전국 평균의 86% 수준이며 동남부 지역의 다른 성들에 비해서는 상당히 낮은 수치이다. 2000년부터 2007년까지 GDP 성장률은 연간 14%에서 15% 사이를 기록했다. 2007년 빈프억성의 상품 수출액은 3.255억달러으로, 수입액 5740만달러을 크게 넘어섰다. 2000년 이후 수출은 거의 7배, 수입은 거의 10배 증가했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고무 라텍스, 껍질을 벗긴 캐슈넛, 후추 등이 있다.

산업 및 건설 부문은 2007년 기준으로 빈프억성 GDP의 14.7%만을 차지하지만, 최근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대규모 농업 부문이 약 10% 성장한 반면, 산업 및 건설 부문의 성장률은 같은 기간 동안 각각 35.8%, 25.9%, 21.6%를 기록했다.[8]

빈프억성의 많은 산업은 농산물 또는 원자재를 기반으로 한다. 식품 가공 산업에서는 껍질을 벗긴 캐슈넛(연간 29200ton)과 카사바 전분(연간 78100ton) 생산이 이루어진다. 수작업 농기구를 생산하는 산업도 존재한다. 그 외 주요 산업으로는 건축 자재(돌, 벽돌) 생산과 임산물 가공(제재목, 종이) 등이 있다.[8]

7. 교통

2007년 9월, 남북 간선 철도의 일부로 디안에서 록닌까지 이어지는 철도 건설 계획이 검토되었다. 이 구간은 캄보디아 국경 근처를 지나며, 범아시아 철도의 일부로 고려되었다.

참조

[1] 간행물 Biểu số 4.5: Hiện trạng sử dụng đất vùng Đông Nam Bộ năm 2022 https://monre.gov.vn[...] 2023-10-18
[2] 웹사이트 Statistical Handbook of Vietnam 2014 http://www.gso.gov.v[...]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2015-07-06
[3] 웹사이트 Binh Phuoc ranks first in the Southeast in terms of growth rate https://dangcongsan.[...]
[4]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ex by province(*) by Cities, provincies and Year https://www.gso.gov.[...] 2024-09-28
[5] 웹사이트 Tiền thân của tỉnh Bình Phước là 2 tỉnh nào thời chính quyền Sài Gòn? https://danviet.vn/b[...] 2022-11-06
[6] 서적 Atlat Dia li Viet Nam NXB Giao Duc, Hanoi 2010
[7] 서적 Vietnam Administrative Atlas Cartographic Publishing House, Hanoi 2010
[8] 서적 Socio-economic Statistical Data of 63 Provinces and Cities, Vietnam Statistical Publishing House, Hanoi 2009
[9] 웹사이트 "Local cashew nut's export-import turnover may reach $1b. Intellasia {{!}} VOV. 19 October 2010" http://www.intellasi[...] 2010-11-10
[10] 간행물 Nghị quyết về việc chia và điều chỉnh địa giới hành chính một số tỉnh do Quốc hội ban hành https://thuvienphapl[...] 2018-12-08
[11] 웹사이트 Bình Phước Province infosite http://en.citizendi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