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온 건축 공간을 의미한다. 고대 미노스 문명에서부터 다양한 유형의 방이 존재했으며, 침실, 부엌, 욕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방은 용도, 위치, 건축 기준에 따라 분류되며, 현대 사회에서는 다목적 방, 엔스위트 룸과 같은 형태도 나타난다. 한국 사회에서도 방은 중요한 생활 공간으로 인식되며, 다양한 관용구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 - 사우나
    사우나는 핀란드에서 유래한 뜨거운 방에서 증기욕을 즐기는 시설 또는 행위로, 건식과 습식으로 나뉘며 혈액 순환 촉진,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가 있어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핀란드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 방 - 스튜디오
    스튜디오는 예술, 미디어 제작, 교육, 훈련, 마스터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작업 공간 또는 시설을 의미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정의건물이나 다른 구조물 내에서 구획된 공간
설명방은 벽, 바닥, 천장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건물 내부의 기본적인 구성 단위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주거, 업무, 휴식 등 특정 활동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종류
주거 공간침실: 수면을 위한 공간
거실: 휴식, 사교, 오락을 위한 공간
부엌: 음식 준비를 위한 공간
식당: 식사를 위한 공간
욕실: 개인 위생을 위한 공간
화장실: 용변을 위한 공간
서재: 독서, 공부, 업무를 위한 공간
다용도실: 세탁, 수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공간
지하실: 주거 공간 외 창고, 작업실 등으로 사용되는 공간
다락방: 지붕 밑 공간을 활용한 공간
업무 공간사무실: 업무를 위한 공간
회의실: 회의, 토론을 위한 공간
연구실: 연구 활동을 위한 공간
상업 공간상점: 상품 판매를 위한 공간
식당: 식사를 제공하는 공간
카페: 음료, 디저트 등을 제공하는 공간
호텔 객실: 투숙객을 위한 공간
공공 공간도서관: 도서 열람, 학습을 위한 공간
강당: 강연, 공연 등을 위한 공간
체육관: 운동, 스포츠 활동을 위한 공간
병원 병실: 환자를 위한 공간
교실: 교육을 위한 공간
특징
기능특정 활동을 위한 공간 제공
사생활 보호
날씨,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
소음 차단
온도 조절
디자인크기, 모양, 색상, 재료 등 다양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가구, 장식품 등을 통해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
설비조명: 밝기 조절, 분위기 연출
난방: 실내 온도 유지
환기: 공기 순환
전기: 전력 공급
통신: 인터넷, 전화 연결
기타
관련 용어인테리어: 실내 장식
건축: 건물 설계 및 시공
부동산: 건물, 토지 등 재산

2. 역사

역사적으로 방의 이용은 적어도 기원전 2200년 미노스 문명 초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아크로티리 발굴지에서 특정 구조물 안에 나누어 구분한 방을 여러 개 발견했다.[13][14]

신석기 시대 방, 스카라 브레이, 오크니


캐슬 하워드, "레이디 조지아나의 드레스룸"


초기 건축물에서 다양한 유형의 방들은 침실, 부엌, 욕실, 벽장, 응접실, 그리고 기타 특수 용도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언급된 아크로티리 발굴을 통해 초기 방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1] 고대 로마는 실내 목욕을 위한 최초의 방의 예시를 포함하여 매우 복잡한 건축 형태를 나타냈다. 아나사지 문명 또한 북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초기 복합적인 방 구조를 개발했으며, 마야 문명은 서기 수백 년 이전에 매우 발전된 방 구성을 갖추었다. 적어도 한나라 초기(대략 기원전 200년)부터 종교적 및 공공의 목적으로 편안한 방과 복합적인 다층 건물 형태가 등장했다.

2. 1. 고대 사회의 방

역사적으로 방의 이용은 적어도 기원전 2200년경 미노스 문명 초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아크로티리 발굴지에서 특정 구조물 안에 나누어 구분한 방을 여러 개 발견했다.[13][14]

초기 건축물에서 침실, 부엌, 욕실, 벽장, 응접실, 그리고 기타 특수 용도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크로티리 발굴을 통해 계단으로 연결된 다른 방 위에 지어진 방, 세면대, 욕조, 변기와 같은 옥수 설비를 갖춘 욕실, 그리고 냉수와 온수를 위한 세라믹 파이프의 정교한 이중 배관 시스템이 드러났다.[1] 고대 로마는 실내 목욕을 위한 최초의 방의 예시를 포함하여 매우 복잡한 건축 형태를 나타냈다. 아나사지 문명 또한 북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초기 복합적인 방 구조를 개발했으며, 마야 문명은 서기 수백 년 이전에 매우 발전된 방 구성을 갖추었다. 적어도 한나라 초기(대략 기원전 200년)부터 종교적 및 공공의 목적으로 편안한 방과 복합적인 다층 건물 형태가 등장했으며, 이러한 디자인은 많은 방이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방의 수직적 연결을 포함했다.

2. 2. 중세 이후의 방

역사적으로 방의 사용은 적어도 기원전 2200년경 초기 미노아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산토리니의 아크로티리 발굴을 통해 특정 구조물 내에서 명확하게 구분된 방을 확인할 수 있다.[1][2]

초기 건축물에서 다양한 유형의 방들은 침실, 부엌, 욕실, 벽장, 응접실 및 기타 특수 용도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크로티리 발굴에서는 계단으로 연결된 다른 방 위에 지어진 방, 세면대, 욕조, 변기 등 옥수 설비를 갖춘 욕실, 냉수와 온수를 위한 정교한 이중 세라믹 파이프 시스템이 발견되었다.[1] 고대 로마는 실내 목욕을 위한 최초의 방을 포함하여 매우 복잡한 건축 형태를 보였다. 아나사지 문명 또한 북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초기 복합적인 방 구조를 개발했으며, 마야 문명은 서기 수백 년 이전에 매우 발전된 방 구성을 갖추었다. 적어도 한나라 초기(기원전 200년경)부터 종교 및 공공 목적의 편안한 방과 복합적인 다층 건물 형태가 등장했으며, 이러한 디자인은 많은 방이 있는 구조와 방의 수직적 연결을 포함했다.

3. 방의 종류

방은 그 용도와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용도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용도방의 종류
거주거실, 주방, 욕실, 침실, 벽장, 식당
작업작업실, 서재, 아이 방, 불당, 세이프룸, 감옥, 관리인실, 주방, 객실, 호텔 객실, VIP 룸, 병실, 무균실, 신생아실, 진찰실, 처치실, 수술실, 분만실, 집중 치료실
대기대기실, 분장실, 탈의실, 휴게실, 흡연실
회의 및 업무회의실, 응접실, 교실, 도서실, 부실, 보건실, 집무실, 교무실, 교장실, 취조실, 접견실, 실험실
기타방음실, 스튜디오, 클린룸, 경비실, 다코베야, 쇼룸, 숨겨진 방



위치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일본의 건축기준법에서는 "거주, 집무, 작업, 집회, 오락 기타 이에 준하는 목적으로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실"을 방으로 정의하며, 천장 높이, 채광, 환기 등에 대한 규정이 있다.[11]

3. 1. 용도에 따른 분류

일부 방은 부엌, 식료품 저장실, 저장 창고와 같이 음식 준비 및 보관을 위한 가사 작업을 지원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다.[3] 서재는 가사 서류 작업이나 외부 사업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재봉실은 재봉에, 세탁실은 세탁 및 다림질에 사용되는 등 일부 작업실은 의도된 활동에 따라 지정된다.

화장실욕실은 편안함과 청결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으로, 결합되거나 별도의 방에 있을 수 있다. 공공 시설은 화장실로, 일반적으로 변기와 손 씻는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보통 샤워나 욕조는 없다.

17, 18, 19세기에는 부유층들이 이러한 시설을 별도의 공간에 보관했다. 부엌은 화재 위험을 줄이고 열기와 냄새를 막기 위해 집의 주요 부분에서 분리되거나 지하실에 두었다.[3] 화장실은 별채나 뒷간에 두어 냄새와 해충을 막았다.

대형 홀은 과거 매우 큰 저택에 있던 방으로, 지역 토지 소유주나 그의 가문과 사업을 하는 사람들이 만나는 공공 장소였다. 가장 큰 방이므로 대규모 연회를 위한 식당이나 무도회장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응접실은 소유주의 가족과 친구들이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더 사적인 공간이었다.

거실, 리빙룸 또는 객실은 사교적인 방문과 오락을 위한 장소이다. 일부 대형 저택에는 서재, 홈 시어터, 당구장, 게임룸, 음악실 등 오락을 위한 특별한 방이 있다.

침실은 수면을 위한 방이다. 안방에는 전용 욕실이 있을 수 있다. ''게스트룸''은 하룻밤 손님을 위한 침실이다. 유아실은 아기 또는 어린 아이를 위한 침실이며, 놀이방과는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대저택에는 옷을 갈아입는 드레스룸이 있을 수 있다. 튜더 시대에는 침실에 기도와 사생활을 위한 별도의 옷장이 있기도 했다.[3]

영국에서는 많은 주택이 '''박스룸'''(box room)을 포함하도록 지어졌는데, 이 방은 작은 싱글 침실, 작은 아이 침실, 또는 창고로 사용된다. 다른 박스룸은 가정부가 사용하기도 했다. 전통적으로 박스룸은 상자, 여행 가방 등을 보관하는 용도였다.[4] 아일랜드에서는 ''리턴 룸''이 계단의 턴에서 층 사이에 추가된 박스룸이다.[5][6] 리턴 룸은 확장으로 추가되어 주방이나 욕실 등으로 개조되기도 한다.[7][8]

''병실''은 가족 구성원이 질병에서 회복하는 동안 격리될 수 있는 특수화된 방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용도의 방들이 존재한다.

용도방의 종류
거주거실, 주방, 욕실, 침실, 벽장, 식당
작업작업실, 서재, 아이 방, 불당, 세이프룸, 감옥, 관리인실, 주방, 객실, 호텔 객실, VIP 룸, 병실, 무균실, 신생아실, 진찰실, 처치실, 수술실, 분만실, 집중 치료실
대기대기실, 분장실, 탈의실, 휴게실, 흡연실
회의 및 업무회의실, 응접실, 교실, 도서실, 부실, 보건실, 집무실, 교무실, 교장실, 취조실, 접견실, 실험실
기타방음실, 스튜디오, 클린룸, 경비실, 다코베야, 쇼룸, 숨겨진 방



일본의 건축기준법에서는 "거주, 집무, 작업, 집회, 오락 기타 이에 준하는 목적으로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실"로 정의하고 있으며, 천장 높이, 채광, 환기 등의 규정이 있다.[11]

주택에서는 부엌, 식당, 거실, 침실, 개인실, 화실 등이 있다. 주택 외 건물이나 탈것 안의 특정 용도로 한정하여 마련된 공간에 "방"이라는 명칭이 붙는다. (예: 사무실, 집무실, 사장실, 조종실, 조타실, 객실, 영안실, 영사실, 회견실 등)

3. 2. 위치에 따른 분류

일부 방은 음식 준비 및 보관을 위한 부엌, 식료품 저장실, 저장 창고와 같이 가사 작업을 지원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다. 홈 오피스나 서재는 가사 서류 작업이나 외부 사업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재봉실은 재봉에, 세탁실은 세탁 및 다림질에 사용되는 등 일부 작업실은 의도된 활동에 따라 지정된다.[3]

화장실욕실과 같이 편안함과 청결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은 결합되거나 별도의 방에 있을 수 있다. 공공 시설은 화장실로, 일반적으로 변기와 손 씻는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보통 샤워나 욕조는 없다. 샤워는 탈의실이 있는 운동 시설이나 수영 시설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17, 18, 19세기에는 이러한 시설을 갖출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별도의 공간에 보관했다. 부엌은 화재의 위험을 줄이고 따뜻한 달 동안 요리의 열기와 냄새가 본채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집의 주요 부분에서 분리되거나 나중에 지하실에 두었다.[3] 화장실은 종종 단순한 구덩이 변소였으며, 냄새와 해충이 본채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별채나 뒷간에 두었다.

과거에는 매우 큰 저택에 종종 대형 홀이 있었다. 이 방은 지역 토지 소유주나 그의 가문과 사업을 하는 사람들이 만날 수 있는 공공 장소였다. 가장 큰 방이므로 대규모 연회를 위한 식당으로 사용되거나, 테이블을 치우고 음악을 제공하여 무도회장으로 바꿀 수도 있었다. 옆이나 집의 다른 부분에는 소유주의 가족과 친구들이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더 사적인 공간인 응접실이 있을 수 있다.

거실, 리빙룸 또는 객실은 사교적인 방문과 오락을 위한 장소이다. 일부 대형 저택에는 서재, 홈 시어터, 당구장, 게임룸 또는 음악실과 같이 오락을 위한 특별한 방이 있을 수 있다.

침실은 주요 목적이 수면인 방이다. 안방에는 전용 욕실이 있을 수 있다. ''게스트룸''은 주로 하룻밤 손님을 위해 사용되는 침실이다. 유아실은 아기 또는 어린 아이를 위한 침실이다. 아이들의 장난감이 보관되는 놀이방과는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침실은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대저택에는 옷을 갈아입는 드레스룸과 같은 다른 기능들을 위한 별도의 방이 있을 수 있다. 튜더 시대에는 침실에 기도하고 사생활을 위한 별도의 옷장이 있었을 수 있다.[3]

영국에서는 많은 주택이 '''박스룸'''(box room 또는 boxroom)을 포함하도록 지어졌다. 이 방은 작은 싱글 침실, 작은 아이 침실 또는 창고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다른 박스룸은 거주하는 가정부가 사용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박스룸은 상자, 여행 가방 등을 보관하는 용도였다.[4] 아일랜드에서는 ''리턴 룸''이 계단의 턴("return")에서 층 사이에 추가된 박스룸이다.[5][6] 리턴 룸은 확장으로 추가될 수 있으며, 때로는 주방이나 욕실과 같은 다른 기능으로 사용되거나 개조되기도 한다.[7][8]

''병실''은 가족 구성원이 질병에서 회복하는 동안 격리될 수 있는 공간이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방들이 위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3. 3. 일본 건축기준법상의 거실

일본의 건축기준법에서는 "거주, 집무, 작업, 집회, 오락 기타 이에 준하는 목적으로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실"로 정의되어 있다. 천장 높이, 채광, 환기 등의 규정이 있다[11].

주택에서는 부엌, 식당, 거실, 침실, 개인실, 화실 등이 있다.

3. 4. 주택 이외의 방

일부 방은 음식 준비 및 보관을 위한 부엌, 식료품 저장실, 저장 창고와 같이 가사 작업을 지원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다. 홈 오피스 또는 서재는 가사 서류 작업이나 외부 사업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재봉실은 재봉에, 세탁실은 세탁 및 다림질에 사용된다.

화장실욕실은 편안함과 청결을 위한 방이며, 합쳐지거나 별도의 방에 있을 수 있다. 공공 시설은 화장실로, 변기와 손 씻는 시설은 있지만 샤워나 욕조는 없는 경우가 많다.

17, 18, 19세기에는 부유층들이 이러한 시설을 별도의 공간에 보관했다. 부엌은 화재 위험과 더운 날씨에 열기와 냄새를 줄이기 위해 집의 주요 부분에서 분리되거나 지하실에 두었다.[3] 화장실은 구덩이 변소 형태로 별채나 뒷간에 설치하여 냄새와 해충을 막았다.

거실, 리빙룸 또는 객실은 사교 및 오락을 위한 장소이다. 일부 대저택에는 서재, 홈 시어터, 당구장, 게임룸, 음악실 등 오락을 위한 특별한 방이 있다.

침실은 수면을 위한 방이며, 안방에는 전용 욕실이 있을 수 있다. ''게스트룸''은 하룻밤 손님을 위한 침실이다. 유아실은 아기나 어린 아이를 위한 침실이며, 놀이방과 분리될 수 있다.

대저택에는 옷을 갈아입는 드레스룸이 있을 수 있으며, 튜더 시대에는 침실에 기도와 사생활을 위한 별도의 옷장이 있기도 했다.[3]

영국에서는 많은 주택에 작은 '''박스룸'''이 있는데, 작은 싱글 침실, 아이 침실, 창고 등으로 사용된다. 시골집과 1930년대까지 영국의 더 큰 교외 주택에서 박스룸은 상자, 여행 가방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4] 아일랜드에서는 ''리턴 룸''이 계단 사이에 추가된 박스룸이다.[5][6] 리턴 룸은 확장되어 주방이나 욕실로 사용되기도 한다.[7][8]

''병실''은 가족 구성원이 질병에서 회복하는 동안 간호받고 격리될 수 있는 특수한 방이다.

회사, 사업소에서는 사무실, 집무실, 사장실 등이 있다. 탈것에서도 조종실, 조타실, 객실 등이 있다. 그 외에 영안실, 영사실, 회견실 등이 있다.

회사, 사업소, 학교 등의 방 입구에는 실명찰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4. 현대 사회와 방

현대 사회에서 방은 다양한 용도와 형태로 나타난다. 소규모 주택에서는 여러 기능을 하나의 방에서 수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원룸이나 스튜디오 아파트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들 주거 형태는 주된 방 하나가 거실, 침실, 주방 등의 역할을 모두 담당한다.

'엔스위트 룸'은 개인 침실에 개인 세면실이 딸린 형태의 방으로,[9] 주로 학생 숙소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학습과 휴식을 위한 개인 공간을 제공한다.[10]

4. 1. 다목적 방

소규모 주택에서는 대부분의 방이 다목적실이었다. 원룸, 공동 아파트, 또는 스튜디오 아파트에서는 하나의 주요 방이 화장실과 욕실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목적실 유형에는 주방, 식당, 거실 사이의 대부분의 벽과 문을 제거하여 더 크고 열린 공간을 만드는 그레이트 룸이 있다.

어떤 곳에서는 여성의 부두아가 침실과 소수의 친구들을 접대하는 장소를 겸했다. 다른 곳에서는 부두아가 침실 앞의 대기실이었다.

4. 2. 엔스위트 룸

엔스위트 룸은 개인 침실, 개인 세면실, 공용 주방을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방이다.[9] 세면실에는 일반적으로 en-suite 샤워 시설, 세면대, 변기가 갖춰져 있다. "En-suite"는 특히 학생 숙소의 경우 개인 공간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학생들을 위한 엔스위트 룸은 학습 공간과 평화로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10]

5. 관용구


  • 소 방의 부키야(うしべやのふきや일본어) - 소 방에서 부키야를 잘못 불면, 소들이 흥분하여 무슨 짓을 할지 모르므로, 무슨 일을 할 때는 신중하게 행동해야 한다는 비유이다.
  • 방에 들어가 창을 휘두르다(しつにいりてほこをあやつる일본어) - 다른 사람의 방에 들어가 그 주민의 창을 사용하여 난폭한 짓을 하는 것이다. 전하여, 상대방의 주장을 역이용하여 공격을 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rchaeological Site of Akrotiri http://www.travel-to[...] Marinet Ltd 2009-11-23
[2] 문서 Oxford Dictionaries 2013
[3] 뉴스 The story of our rooms https://www.bbc.co.u[...] 2018-07-11
[4]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2003
[5] 학술 The North Inner Cit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1-17
[6] 웹사이트 Full Glossary for Dubliners https://www.cliffsno[...] CliffsNotes 2023-11-17
[7] 웹사이트 Housing (Gaeltacht) (Amendment) Bill, 1953—Second Stage. – Dáil Éireann (14th Dáil) – Wednesday, 25 Feb 1953 – Houses of the Oireachtas https://www.oireacht[...] Houses of the Oireachtas 2023-11-17
[8] 웹사이트 Building description ! Dublin City Council https://www.dublinci[...] 2023-11-17
[9] 학술 A microbiological survey of communal kitchens used by undergraduate students 2003
[10] 학술 Geographies of studentification and purpose-built student accommodation: Leading separate lives? https://www.research[...] 2009-01-01
[11] 웹사이트 居室(キョシツ)とは https://kotobank.jp/[...] 2018-10
[12] 웹사이트 へっぴり嫁(部屋の由来の話) https://www.town.kaw[...] 川俣町
[13] 웹인용 Archaeological Site of Akrotiri http://www.travel-to[...] Marinet Ltd. 2009-11-23
[14] 문서 Oxford Dictionaries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