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우디아라비아의 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우디아라비아의 총리는 1953년 사우드 국왕의 칙령에 의해 각료 회의와 함께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왕족 간의 권력 투쟁으로 인해 총리직이 불안정하게 운영되었으나, 이후 국왕이 총리직을 겸임하는 형태로 2022년까지 이어졌다. 2022년 살만 국왕이 무함마드 빈 살만을 총리로 임명하면서 국왕과 총리직이 분리되었으며, 현재 무함마드 빈 살만이 총리직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 아라비아의 성소수자 권리
    사우디 아라비아는 동성 간 성관계를 중대한 범죄로 처벌하며, 사형 규정이 존재하나 신체형, 투옥, 벌금형이 주로 적용되고, 리야드는 동성애자들에게 피난처 역할을 한다는 분석이 있다.
  • 사우디아라비아 - 알와타 미사일 기지
    알와타 미사일 기지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인근에 위치한 탄도 미사일 시설로, 중국산 DF-3 미사일을 운용하며 이란과 이스라엘을 겨냥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정치인 - 무크린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무크린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족이자 정치인으로,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의 아들이며 공군 조종사, 주지사, 정보청 장관 등을 역임했고 부왕세자에 책봉되었으나 왕세자 임명 후 3개월 만에 해임되었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정치인 - 술탄 이븐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족이자 정치인인 술탄 이븐 압둘아지즈 알사우드는 이븐 사우드 국왕의 아들이자 수다이리 세븐의 일원으로서, 국방 및 항공부 장관을 역임하며 사우디 군대 발전을 주도했고, 제2 부총리 및 왕세자를 지냈으며, 자선 사업과 과학 발전 후원에도 기여했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총리 -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왕(1953년~1964년)으로, 아버지의 통치 기간 동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왕세자 시절 외교 활동과 국내 개혁을 추진했으나, 재정난과 이복형제 파이살과의 권력 투쟁으로 퇴위당한 후 망명 생활을 하다 사망하여 그의 통치는 사우디아라비아 근대화 과정에서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총리 - 파흐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파흐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제5대 국왕으로, 교육부 장관과 내무장관을 역임 후 1982년 국왕에 즉위하여 걸프 전쟁 등 국제적 사건에 대처하고 "두 성지의 수호자" 칭호를 사용하며 이슬람적 권위를 강조하다 2005년 사망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총리
기본 정보
무함마드 빈 살만
무함마드 빈 살만
직책총리
국가사우디아라비아
관저알-야마마 궁전 (리야드)
알-살람 궁전 (제다)
임명권자국왕 (살만 빈 압둘아지즈)
스타일전하
정치
정치 체제사우디아라비아
임기 시작2022년 9월 27일
선임자공석
역사
설립일1953년 10월 9일
기타
구성각료평의회

2. 역사

사우디아라비아 총리직은 1953년 사우드 국왕의 칙령으로 각료 회의와 함께 창설되었다. 사우드 국왕은 이복동생인 파이살 왕세자를 초대 총리로 임명했으나, 둘 사이의 권력 투쟁으로 인해 1960년 파이살이 사임하고 사우드가 정부를 장악했다. 그러나 왕족 내부의 불만은 계속되었고, 결국 1962년 파이살이 총리로 복귀했다. 1964년 사우드가 퇴위하면서 파이살은 국왕에 즉위함과 동시에 총리직을 겸임하게 되었다.[2]

칼리드 국왕 시대부터는 국왕이 직접 업무를 수행하기 어렵거나, 1990년대와 2000년대에 들어 노인 정치 국가가 되면서 왕의 총애를 받는 사람들이 실질적인 총리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현재 총리직은 살만 국왕의 아들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맡고 있다.[2]

2. 1. 총리직 창설과 초기 권력 투쟁 (1953년 ~ 1964년)

사우드 국왕의 칙령에 의해 1953년 10월 9일 각료 회의와 함께 사우디아라비아 총리직이 창설되었다.[2] 사우드 국왕의 통치에 대한 왕족 내부의 불안으로 인해, 사우드는 이복동생인 파이살 왕세자를 총리로 임명해야 했다.[2] 두 사람 사이의 권력 투쟁은 1960년 파이살의 사임으로 이어졌고, 사우드는 정부를 다시 장악했지만, 불만이 계속되면서 1962년 파이살이 총리로 복귀했다.[2] 1964년 사우드의 퇴위 이후, 파이살은 국왕의 자리를 계승하면서 총리직을 유지했다.[2]

2. 2. 파이살 국왕의 총리 겸임과 국왕 중심 통치 (1964년 ~ 1975년)

1964년 사우드의 퇴위 이후, 파이살은 국왕의 자리를 계승하면서 총리직을 겸임했다. 파이살은 이미 1953년 사우드 국왕의 칙령에 의해 각료 회의와 함께 창설된 총리직에 임명된 적이 있었다. 이는 사우드의 통치에 대한 왕족 내부의 불안 때문이었다. 그러나 파이살과 사우드 간의 권력 투쟁으로 1960년 파이살이 사임했고, 사우드가 다시 정부를 장악했다. 하지만 불만이 계속되면서 1962년 파이살은 총리로 복귀했다.[2]

이후 살만 국왕이 무함마드 빈 살만을 총리로 임명하기 전까지 국왕과 총리직은 통합된 상태로 유지되었다.[2] 칼리드 국왕 통치 시기부터는 국왕이 업무를 수행하기 어렵거나, 1990년대와 2000년대에 들어 노인 정치 국가가 되면서 왕의 총애를 받는 사람들이 실질적인 총리 역할을 수행하는 권력을 얻게 되었다. 현재는 국왕의 최측근인 무함마드 왕세자가 그 역할을 하고 있다.

2. 3. 국왕 겸임 총리 시대 (1975년 ~ 2022년)

파이살 국왕은 1964년 사우드 국왕을 퇴위시키고 왕위를 계승하면서 총리직을 겸임했다. 이후 살만 국왕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총리로 임명할 때까지 국왕이 총리직을 겸임했다.[2] 칼리드 국왕 시대부터, 특히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사우디아라비아가 노인 정치 국가가 되면서, 국왕이 고령으로 인해 업무를 수행하기 어렵거나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인물들이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했다. 이들은 주로 국왕의 총애를 받는 인물들이었으며, 사실상 총리 역할을 수행했다.[12]

2. 4. 무함마드 빈 살만 총리 시대 (2022년 ~ 현재)

살만 국왕이 무함마드 빈 살만을 총리로 임명하기 전까지 국왕과 총리직은 통합되어 있었다.[2] 칼리드 국왕 통치 시기부터, 특히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왕국이 노인 정치가 되면서 국왕이 업무를 수행하지 않거나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다른 사람들이 실질적인 업무를 많이 수행했다. 왕의 총애를 받는 사람들이 실질적인 총리가 되는 권력을 얻었으며, 현재는 국왕의 최측근인 무함마드 빈 살만이 총리직을 맡고 있다.

3. 역대 총리 목록

(출생–사망)재임 기간비고취임퇴임재임 기간

126x126px
사우드
(1902 – 1969)
국왕 1953 – 19641953년 10월 9일1954년 8월 16일[3]사우드 국왕은 자신을 위해 총리직을 만들었고, 1954년에 파이살 당시 왕세자를 총리로 임명했다. 두 사람은 권력 투쟁을 벌였고, 결국 사우드의 퇴위와 망명으로 이어졌다.
파이살
(1906 – 1975)1954년 8월 16일1960년 12월 21일총리로 재임한 최초의 왕세자.사우드
(1902 – 1969)
국왕 1953 – 19641960년 12월 21일1962년 10월 31일두 번째 임기. 사우드 국왕은 파이살 왕세자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1964년에 퇴위해야 했다.파이살
(1906 – 1975)
국왕 1964 – 19751962년 10월 31일1975년 3월 25일두 번째 임기. 파이살 왕세자는 1964년 11월 2일에 국왕이 되었고, 1975년 3월 25일에 암살당했다.
파흐드
(1920, 1921 또는 1923 – 2005)
국왕 1982 – 20051975년 3월 25일1996년 2월 21일칼리드 국왕의 재위 기간(1975–1982) 동안 사실상 총리였고, 1996년에 뇌졸중을 겪을 때까지 자신의 재위 기간 동안 총리직을 수행했다. 임명 당시 국왕이 아니었던 두 번째 총리.
압둘라
(1924 – 2015)
국왕 2005 – 20151996년 2월 21일2015년 1월 23일압둘라 왕세자는 1996년 파흐드의 뇌졸중 이후 사실상 총리를 지냈고, 2005년 10월 9일부터 2015년 1월 23일까지 정식으로 총리직을 수행했다. 일부는 칼레드 알투와이리를 2005년 10월 9일부터 2015년 1월 23일까지 사실상 총리로 간주한다.
살만
(1935년 출생)
국왕 2015 –2015년 1월 23일2022년 9월 27일일상적인 국정 운영은 국왕의 아들 무함마드 빈 살만이 담당했다.
무함마드 빈 살만
(1985년 출생)2022년 9월 27일현직2017년부터 왕세자. 살만 국왕의 아들로서 2015-2022년 왕실 법원장, 국방부 장관.


4. 부총리

사우디아라비아의 부총리는 총리에 이은 두 번째로 높은 직위이다. 부총리는 총리를 보좌하며, 총리 부재 시 직무를 대행한다.

1965년부터 2022년까지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는 제1부총리를 겸임했다. 2022년 9월 27일,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총리로 임명되면서 제1부총리 겸임 관행은 종료되었다. "제2 부총리"라는 존칭은 왕위에서 제외되지 않은 최고위 왕족을 지명하기 위해 1967년에 처음 생겨났으며, 파이살 국왕에 의해 만들어졌다.[4]

역대 부총리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비고
칼리드 빈 압둘아지즈1962년 10월 31일 ~ 1975년 3월 25일
(왕이 됨)
이븐 사우드와 알 자우하라 빈트 무사이드 빈 질루위의 아들
파흐드 빈 압둘아지즈1967년 ~ 1982년 6월 13일
(왕이 됨)
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1975년 3월 25일 ~ 2005년 8월 1일
(왕이 됨)
이븐 사우드와 파흐다 빈트 아시 알 슈라임의 아들
술탄 빈 압둘아지즈1982년 6월 13일 ~ 2011년 10월 22일
(재임 중 사망)
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
나예프 빈 압둘아지즈2005년 8월 1일 ~ 2012년 6월 16일
(재임 중 사망)
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
살만 빈 압둘아지즈2012년 6월 16일 ~ 2015년 1월 23일
(왕이 됨)
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
무크린 빈 압둘아지즈2014년 3월 27일 ~ 2015년 4월 29일
(사임)
이븐 사우드와 바라카 알 야마니야의 아들
무함마드 빈 나예프2015년 1월 23일 ~ 2017년 6월 21일
(폐위)
나예프 빈 압둘아지즈 왕자와 알 자우하라 빈트 압둘아지즈 빈 무사이드 빈 질루위 알 사우드의 아들
무함마드 빈 살만2015년 4월 29일 ~ 2022년 9월 27일
(총리가 됨)
살만 국왕과 파흐다 빈트 팔라 빈 술탄 알 히슬라힌 알 아즈미의 아들


4. 1. 제1부총리 (1962년 ~ 2022년)

(왕이 됨)1913년 2월 13일 – 1982년 6월 13일이븐 사우드와 알 자우하라 빈트 무사이드 빈 질루위의 아들파흐드 빈 압둘아지즈--1975년 3월 25일 ~ 1982년 6월 13일
(왕이 됨)1921년 3월 16일 – 2005년 8월 1일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압둘라 빈 압둘아지즈--1982년 6월 13일 ~ 2005년 8월 1일
(왕이 됨)1924년 8월 1일 – 2015년 1월 22일이븐 사우드와 파흐다 빈트 아시 알 슈라임의 아들술탄 빈 압둘아지즈
술탄 빈 압둘아지즈
2005년 8월 1일 ~ 2011년 10월 22일
(재임 중 사망)1931년 8월 1일 – 2011년 10월 22일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나예프 빈 압둘아지즈--2011년 10월 22일 ~ 2012년 6월 16일
(재임 중 사망)1934년 8월 23일 – 2012년 6월 16일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살만 빈 압둘아지즈--2012년 6월 16일 ~ 2015년 1월 23일
(왕이 됨)1935년 12월 31일 ~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무크린 빈 압둘아지즈--2015년 1월 23일 ~ 2015년 4월 29일
(사임)1945년 9월 15일 ~이븐 사우드와 바라카 알 야마니야의 아들무함마드 빈 나예프--2015년 4월 29일 ~ 2017년 6월 21일
(폐위)1959년 8월 30일 ~나예프 빈 압둘아지즈 왕자와 알 자우하라 빈트 압둘아지즈 빈 무사이드 빈 질루위 알 사우드의 아들무함마드 빈 살만--2017년 6월 21일 ~ 2022년 9월 27일
(총리가 됨)1985년 8월 31일 ~살만 국왕과 파흐다 빈트 팔라 빈 술탄 알 히슬라힌 알 아즈미의 아들


4. 2. 제2부총리 (1967년 ~ 2017년)

"제2 부총리"라는 존칭은 왕위에서 제외되지 않은 최고위 왕족을 지명하기 위해 1967년에 처음 생겨났다.[4] 이 직위는 파이살 국왕에 의해 만들어졌다.

1965년 3월, 파이살 국왕과 사우드 가문의 압력으로 무함마드 왕세자는 사우디 왕위 계승자 자리에서 물러났다. 무함마드는 성격 문제와 음주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4][5][6] 그 결과 파이살 국왕은 칼리드 왕자를 왕세자로 임명했다. 하지만 칼리드는 1965년 3월까지 파이살 국왕이 왕세자로 임명하려는 제안을 여러 번 거절했다. 게다가 칼리드는 여러 차례 파이살 국왕에게 자신을 그 자리에서 해임해 달라고 요청했다. 칼리드 왕자가 왕위 계승자로 선택된 이유 중 하나는 그가 정치에 대한 선호가 부족했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있었다. 요컨대, 왕족은 그를 왕위 계승자로 선택함으로써 가족 내부의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7] 1967년, 칼리드 왕세자는 파이살 국왕의 요청에 반하여 각료회의를 주재하고 싶지 않다는 뜻을 밝혔고, 이로 인해 파흐드 왕자가 각료회의를 이끌 임무를 맡은 제2 부총리로 임명되었다.[8] 파흐드보다 나이가 많은 사드 왕자와 나시르 왕자는 경험이 부족하여 왕위에서 제외되었다.[9]

1975년 파이살 국왕이 암살당하자 칼리드 국왕은 파흐드 왕자를 왕세자로, 압둘라 왕자를 제2 부총리로 임명했다.

칼리드 국왕이 노령으로 병이 들자 압둘라의 후임 제2 부총리가 누가 될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더욱 시급해졌다. 압둘라 왕자의 뒤를 이어 술탄 왕자가 왕국의 실질적인 부총리가 되었다.

재임 기간이름출생-사망비고
1967년 ~ 1975년 3월 25일파흐드 빈 압둘아지즈1921년 ~ 2005년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
1975년 3월 25일 ~ 1982년 6월 13일압둘라 빈 압둘아지즈1924년 ~ 2015년이븐 사우드와 파흐다 빈트 아시 알 슈라이의 아들
1982년 6월 13일 ~ 2005년 8월 1일술탄 빈 압둘아지즈1931년 ~ 2011년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
2005년 8월 1일 ~ 2011년 10월 22일나예프 빈 압둘아지즈1934년 ~ 2012년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
2014년 3월 27일 ~ 2015년 1월 23일무크린 빈 압둘아지즈1945년 ~이븐 사우드와 바라카 알 야마니야의 아들
2015년 1월 23일 ~ 2015년 4월 29일무함마드 빈 나예프1959년 ~나예프 빈 압둘아지즈 왕자와 알 자우하라 빈트 압둘아지즈 빈 무사이드 빈 질루위 알 사우드의 아들
2015년 4월 29일 ~ 2017년 6월 21일무함마드 빈 살만1985년 ~살만 국왕과 파흐다 빈트 팔라 빈 술탄 알 히탈라인 알 아즈미의 아들


4. 3. 역대 부총리 목록

(왕이 됨)이븐 사우드와 알 자우하라 빈트 무사이드 빈 질루위의 아들파흐드 빈 압둘아지즈1975년 3월 25일 ~ 1982년 6월 13일
(왕이 됨)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압둘라 빈 압둘아지즈1982년 6월 13일 ~ 2005년 8월 1일
(왕이 됨)이븐 사우드와 파흐다 빈트 아시 알 슈라임의 아들술탄 빈 압둘아지즈2005년 8월 1일 ~ 2011년 10월 22일
(재임 중 사망)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나예프 빈 압둘아지즈2011년 10월 22일 ~ 2012년 6월 16일
(재임 중 사망)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살만 빈 압둘아지즈2012년 6월 16일 ~ 2015년 1월 23일
(왕이 됨)이븐 사우드와 하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무크린 빈 압둘아지즈2015년 1월 23일 ~ 2015년 4월 29일
(사임)이븐 사우드와 바라카 알 야마니야의 아들무함마드 빈 나예프2015년 4월 29일 ~ 2017년 6월 21일
(폐위)나예프 빈 압둘아지즈 왕자와 알 자우하라 빈트 압둘아지즈 빈 무사이드 빈 질루위 알 사우드의 아들무함마드 빈 살만2017년 6월 21일 ~ 2022년 9월 27일
(총리가 됨)살만 국왕과 파흐다 빈트 팔라 빈 술탄 알 히슬라힌 알 아즈미의 아들


5. 총리직의 권한과 역할

사우디아라비아의 총리직은 1953년 10월 9일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국왕에 의해 각료 평의회와 함께 창설되었다.[12] 사우드 국왕은 왕실 내 혼란으로 인해 이복동생인 파이살 왕세자를 총리로 임명해야 했다. 그러나 권력 투쟁으로 파이살은 1960년에 총리직을 사임했고, 사우드 국왕이 다시 정권을 잡았다. 하지만 불만이 계속되어 파이살은 1962년에 다시 총리에 취임했으며, 1964년 사우드 국왕이 퇴위하자 파이살이 총리직을 겸임하며 국왕에 즉위했다.[12]

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국왕 통치 시기 이후, 특히 1990년대부터 2000년대의 장로 지배 하에서는 국왕이 직무를 집행하기 어렵거나 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다른 인물이 국왕의 격무 대부분을 수행했다. 현재 총리는 왕세자 무함마드 빈 살만이다.

참조

[1] 웹사이트 Saudi Arabia's Crown Prince to become Kingdom's Prime Minister: Royal decree https://english.alar[...] 2022-09-27
[2] Youtube أرشيف-شاهد على العصر-الأمير طلال بن عبد العزيز ج1 https://www.youtube.[...] Al Jazeera 2016-07-31
[3] 웹사이트 Saudi Arabia http://www.worldstat[...] Ben Cahoon 2014-03-31
[4] 학위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tate in the Kingdom of Saudi Arabia https://central.bac-[...] 1982-08
[5] 뉴스 الفحولة وآل سعود... والشرف المراق على جوانبه الدم https://al-akhbar.co[...] 2014-12-16
[6] 웹사이트 Saudi Arabia and the United States: Perception and Gulf security https://www.research[...] Naval Postgraduate School 1984
[7] 논문 Political succession in Saudi Arabia
[8] 웹사이트 Saudi Arabia https://adst.org/wp-[...] Association for Diplomatic Studies and Training 2021-01-07
[9] 웹사이트 After King Fahd http://www.washingto[...] Washington Institute
[10] 웹사이트 日本外務省「各国の元首名等一覧表」 https://www.mofa.go.[...]
[11] 웹사이트 Saudi Arabia’s Crown Prince to become Kingdom’s Prime Minister: Royal decree https://english.alar[...] 2022-09-27
[12] Youtube أرشيف-شاهد على العصر-الأمير طلال بن عبد العزيز ج1 https://www.youtube.[...] Al Jazeera 2016-07-31
[13] 웹사이트 Saudi Arabia http://www.worldstat[...] Ben Cahoon 2014-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