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차 (11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차는 11세기에 활동한 인물로, 레온의 알폰소 5세의 딸이자,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1세의 아내이다. 산 펠라요 수도원의 세속적인 여자 수도원장이었고, 카스티야의 가르시아 산체스와의 정략 결혼이 무산된 후 페르난도 1세와 결혼했다. 남편의 사망 후에는 아들들 사이의 평화를 유지하려 노력했으며,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서 산 이시도로 대성당에 십자가를 기증했다. 1067년 레온에서 사망하여 산 이시도로 성당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67년 사망 - 북송 영종
북송 영종은 인종의 후사 없이 입양되어 즉위한 북송의 제5대 황제로, 재정 회복 개혁 시도 실패, 《통사》 편찬 지시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생부 예우 문제 논쟁과 건강 문제로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1067년 사망 - 에리크와 에리크
에리크와 에리크는 11세기 스웨덴의 기독교화와 관련된 인물로 브레멘의 아담 기록에 등장하며, 기독교 장려 왕과 이교 신앙 왕으로 묘사되지만 동일 인물인지 논쟁이 있고, 이 시기 에리크 7세와 8세 사망 후 혼란을 겪고 할스텐 스텐킬손이 왕위에 올라 안정을 추구했다. - 복자 - 존 헨리 뉴먼
존 헨리 뉴먼은 19세기에 활동하며 옥스퍼드 운동을 이끌고 가톨릭교회로 개종하여 추기경이 되었으며, 종교, 교육, 철학 분야에 기여하고 1991년 존경받는 인물로, 2019년 시성되었다. - 복자 - 시복
시복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이 죽은 이의 덕과 기적을 인정하여 복자로 선포하는 절차로, 초기에는 지역 주교가 권한을 가졌으나 현재는 교황청 시성성에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진행되며, 시복된 이는 특정 지역이나 공동체에서 기념된다. - 왕태후 - 대부인 (백제)
대부인은 백제 무령왕의 부인으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유물과 은팔찌의 명문을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사후 태비 또는 왕태비로 추존되어 529년 무령왕릉에 합장되었다. - 왕태후 - 조반나 디 사보이아
이탈리아 공주이자 불가리아 왕비였던 조반나 디 사보이아는 이탈리아 국왕의 딸로 태어나 불가리아 왕과 결혼 후 왕비로 재임하며 자선 활동과 유대인 난민 지원에 헌신했다.
산차 (11세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칭호 | 카스티야 왕비 레온 왕비 |
![]() | |
배우자 | 페르난도 1세 |
자녀 | 우라카 산초 2세 엘비라 알폰소 6세 가르시아 2세 |
아버지 | 알폰소 5세 |
어머니 | 엘비라 메넨데스(Elvira Menéndez) |
출생일 | 1018년경 |
사망일 | 1067년 11월 8일 |
매장지 | 레온, 바실리카 데 산 이시도로 |
왕가 | 아스투리아스-레온 왕조 |
레온 왕비 | |
재위 | 1037년 – 1065년 |
배우자 | 페르난도 1세 |
카스티야 여백작 | |
재위 | 1032년 – 1065년 |
배우자 | 페르난도 1세 |
2. 생애
산차는 레온의 알폰소 5세와 그의 첫 번째 부인 엘비라 메넨데스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산 펠라요 수도원의 여자 수도원장이었다.[2]
1029년, 카스티야의 가르시아 산체스와 정략 결혼이 맺어졌으나,[3] 가르시아는 레온으로 가던 중 불만을 품은 가신들에게 암살당했다. 1032년, 산차는 가르시아의 조카이자 후계자인 11세의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1세와 결혼했다.[2]
1037년 타마론 전투에서 페르난도 1세는 산차의 오빠[4] 레온의 베르무도 3세를 죽이고,[5] 산차를 상속자로 만들어 페르난도 1세가 레온의 왕위에 올랐다. 산차는 "자신의 권리"로 레온 왕위를 계승했지만,[6] 여왕 섭정으로 언급되지 않았고, 페르난도 1세 사후에도 왕위는 아들에게 넘어갔다.[7]
1065년 페르난도 1세가 사망하고 왕국이 분할된 후, 산차는 아들들 사이에서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산차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으며,[8][9] 남편과 함께 산 이시도로 대성당에 십자가를 봉헌했다.[8][9]
1067년 11월 8일 레온에서 사망하여[2] 산 이시도로 성당 왕실 묘소에 안장되었다.[11]
2. 1. 초기 생애
레온의 알폰소 5세와 그의 첫 번째 부인 엘비라 메넨데스의 딸로 태어났다. 산 펠라요 수도원의 세속적인 여자 수도원장이었다.[2]1029년, 카스티야의 가르시아 산체스와 정략 결혼이 맺어졌으나,[3] 가르시아는 결혼을 위해 레온으로 여행하던 중 불만을 품은 가신들에게 암살당했다. 1032년, 산차는 가르시아의 조카이자 후계자인 11세의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1세와 결혼했다.[2]
2. 2. 결혼과 상속
알폰소 5세와 그의 첫째 부인 엘비라 메넨데스(Elvira Menéndez) 사이에서 태어났다. 산 펠라요 수도원의 세속적인 여자 수도원장이었다.[2]1029년, 카스티야의 가르시아 산체스와 정략 결혼이 맺어졌으나,[3] 결혼을 위해 레온으로 여행하던 중 가르시아는 불만을 품은 가신들에게 암살당했다. 1032년, 산차는 가르시아의 조카이자 후계자인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1세와 결혼했는데, 이때 페르난도 1세는 11세였다.[2]
1037년 타마론 전투에서 페르난도는 산차의 형제[4] 레온의 베르무도 3세를 죽였고,[5] 산차를 상속자로 만들어 페르난도가 스스로 레온의 왕으로 즉위할 수 있게 했다. 산차 자신의 레온 여왕으로서의 지위는 불분명하고 모순적이다. 그녀는 형제의 상속자로서, 그리고 "자신의 권리"로 레온의 왕위를 계승했지만,[6] 여왕 섭정으로 언급되지 않으며, 남편의 사후에도 그녀가 살아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왕위는 그녀의 아들에게 넘어갔다.[7]
페르난도 1세와의 사이에서 우라카, 산초 2세, 엘비라, 가르시아 2세, 알폰소 6세를 낳았다.
2. 3. 종교 활동
산차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다.[8][9] 남편 페르난도 1세와 함께 산 이시도로 대성당에 선물할 십자가 제작을 의뢰했다.[8][9]2. 4. 사망
산차는 1067년 11월 8일 레온에서 사망했다.[2] 산 이시도로 성당의 왕실 묘소에 부모, 오빠, 남편, 그리고 자녀 엘비라, 우라카, 가르시아와 함께 안장되었다.[11]
산차 여왕의 유해가 안치된 묘비에는 다음과 같은 라틴어 비문이 새겨져 있었다.[12]
> "H. R. SANCIA REGINA TOTIUS HISPANIAE, MAGNI REGIS FERDINANDI UXOR. FILIA REGIS ADEFONSI, QUI POPULAVIT LEGIONEM POS DESTRUCTIONEM ALMANZOR. OBIIT ERA MCVIIII. III N. M."
> "여기에 모든 스페인의 여왕이자 위대한 왕 페르난도의 아내인 산차, 그리고 알만조르의 파괴 이후 레온을 재건한 알폰소 왕의 딸이 잠들다. 1071년 5월 3일, 1108년 시대에 사망."
3. 자녀
참조
[1]
서적
Sancho III el Mayor: Rey de Pamplona, Rex Ibericus.
Marcial Pons Historia
2007
[2]
백과사전
Sancha Alfónsez
http://dbe.rah.es/bi[...]
Real Academia de la Historia
[3]
문서
[4]
서적
Historia de España
711-I038
[5]
서적
The Kingdom of León-Castilla under Queen Urraca, 1109–1126
http://libro.uca.edu[...]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2
[6]
서적
The Monstrous Regiment of Women
https://books.google[...]
[7]
서적
The Monstrous Regiment of Women
https://books.google[...]
[8]
서적
Mil Joyas del Arte Español
Instituto Gallach
1947
[9]
서적
Historia Universal del Arte: Románico/Gótico
Editorial Planeta
1988
[10]
서적
Alfonso VI: Imperator totius orbis Hispanie
Editorial Sanz Y Torres S.l.
2010-12-20
[11]
학술지
San Isidoro de León. Construcción y reconstrucción de una basílica románica
http://arqarqt.revis[...]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Universidad del País Vasco
2014-12-30
[12]
웹사이트
La inscripción como imagen de poder en la Edad Media. El caso de Fernando I de León y su esposa doña Sancha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León
[13]
웹사이트
Sancha Alfónsez
https://dbe.rah.es/b[...]
2022-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