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송 영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종은 북송의 제5대 황제로, 본명은 조서이다. 1063년 송 인종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그의 사촌 조윤양의 아들로 태자 조서를 이어 즉위했다. 재정 회복을 위한 개혁을 시도했으나 반대 세력과 건강 악화로 실패하고 재위 4년 만에 사망했다. 영종은 인종에게 입양되었으나 생부 조윤양과의 관계를 둘러싼 논쟁을 겪었다. 그의 치세에는 베트남과의 관계, 사마광에게 중국 통사 편찬을 지시하는 등의 사건이 있었으며, 1066년 장남 조욱을 황태자로 책봉했다. 영종 사후에는 아들 조쉬가 신종으로 즉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67년 사망 - 산차 (11세기)
    11세기 레온 왕국의 공주 산차는 페르난도 1세와의 결혼으로 카스티야-레온 연합에 기여하고, 아들들에게 왕국을 분할 상속하는 데 역할을 했으며, 종교적 후원과 기독교 세력 확장에 공헌했다.
  • 1067년 사망 - 에리크와 에리크
    에리크와 에리크는 11세기 스웨덴의 기독교화와 관련된 인물로 브레멘의 아담 기록에 등장하며, 기독교 장려 왕과 이교 신앙 왕으로 묘사되지만 동일 인물인지 논쟁이 있고, 이 시기 에리크 7세와 8세 사망 후 혼란을 겪고 할스텐 스텐킬손이 왕위에 올라 안정을 추구했다.
  • 1032년 출생 - 정호
    정호는 북송 시대의 유학자로서 동생 정이와 함께 '이정'으로 불리며 신유학의 선구자로 여겨지고, 인을 중심 사상으로 성경의 마음가짐을 강조하며 우주의 이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후대 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032년 출생 - 요 도종
    요 도종은 요나라의 제8대 황제로, 초기에는 농업 장려와 학교 건설에 힘썼으나 후기에는 불교에 심취하고 간신에게 권력을 맡겨 국력을 쇠퇴시키고 요나라 멸망의 원인을 제공했다.
  • 북송의 황제 - 북송 진종
    북송의 제3대 황제인 진종은 문치주의 정책 추진, 과거 제도 정비, 황제 독재 권력 강화, 요나라와의 전연의 맹 체결, 참파 벼 도입, 도교 장려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 북송의 황제 - 북송 휘종
    북송 휘종은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으나 정치적 실정과 외교적 실패로 금나라에 포로로 잡혀 비참한 최후를 맞은 북송의 제8대 황제이다.
북송 영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영종의 초상화, 타이베이, 대만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영종의 초상화, 타이베이, 대만
조서 (趙曙)
다른 이름조종실 (趙宗實)
묘호영종 (英宗)
시호체건응력융공성덕헌문숙무예성선효황제 (體乾應歷隆功盛德憲文肅武睿聖宣孝皇帝) (1083년 추증)
능묘영후릉 (永厚陵, 현재의 궁이시, 허난성)
생애
출생일1032년 2월 16일
사망일1067년 1월 25일
재위
재위 기간1063년 5월 1일 ~ 1067년 1월 25일
즉위일1063년 5월 1일
이전 통치자인종
다음 통치자신종
연호치평 (治平; 1064–1067)
가족 관계
아버지조윤양
어머니임씨 부인
배우자선인황후 (1046년 결혼, 1067년 사망)
자녀신종
조호
조안
조운
화희공주
헌희공주
현덕공주
덕안공주
기타 정보
왕조송 (북송)
사후 칭호황제 체건 응력 융공 성덕 헌문 숙무 예성 선효 (體乾應歷隆功盛德憲文肅武睿聖宣孝皇帝) (1083년 추증)
가문
서명

2. 생애

1063년 인종이 후사 없이 붕어하자, 사촌 형인 조윤양의 13번째 아들 조서를 태자로 삼았다. 인종이 붕어하자 영종이 즉위하였다. 영종은 파탄 상태의 재정을 회복하기 위해 개혁에 착수하려고 했지만, 개혁에 반대하는 세력이 강하였고, 영종 자신도 병약하여 재위 4년 만에 병사하였기 때문에 개혁은 실패로 끝났다.[4][5]

1066년, 장남 조욱을 황태자로 책봉하고 다음 해 붕어하였다.

2. 1. 출생과 황태자 책봉

1055년 영종의 선대 황제인 인종은 아들들이 모두 요절하여 후계자가 없다는 것에 대해 걱정하기 시작했다. 신하들의 조언에 따라 인종은 두 명의 젊은 남성 친척을 궁으로 데려오기로 동의했는데, 그들 중 한 명이 미래의 영종이었다. 1062년 영종은 황태자로 선택되어 공식적으로 책봉되면서 이름을 "조서"로 바꾸었다.[1] 1063년 인종이 후사 없이 붕어하자, 영종이 즉위하였다.[1]

2. 2. 즉위와 개혁 시도

1063년 인종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사촌 형인 조윤양의 13번째 아들인 조서를 태자로 삼았다. 인종이 사망하자 영종이 즉위하였다. 영종은 파탄 상태의 재정을 회복하기 위해 개혁에 착수하려고 했지만, 개혁에 반대하는 세력이 강하였고, 영종 자신도 병약하여 재위 4년 만에 병사하였기 때문에 개혁은 실패로 끝났다.[4][5]

1066년, 장남 조욱을 황태자로 책봉하고 다음 해 사망하였다. 영종의 황후는 고황후였으며, 이는 인종 황제의 미망인이었던 조태후의 조카였다. 영종 황제는 즉위 직후 심각한 병에 시달렸기 때문에 조태후가 섭정을 맡았다. 그러나 조태후는 영종이 회복된 후에도 권력을 유지하다가 재상 한기가 조정 회의실의 가림막을 치우면서 조태후가 참석할 수 없게 되자, 영종에게 권력을 돌려주어야 했다.

영종의 치세는 황제가 그의 생부에게 어떤 의례를 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으로 유명하다. 영종 황제는 인종 황제에게 입양되었으므로 인종 황제가 명목상 영종의 아버지였다. 그러나 생물학적으로는 조윤양이 영종의 아버지였다. 일부 관리들은 영종 황제가 생부에게 "황숙"이라는 칭호를 부여할 것을 제안했지만, 황제는 구양수 등과 뜻을 같이하여 생부를 부모로 존경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효종의 치세에 더 많은 갈등이 발생할 조짐이었을 뿐만 아니라 명나라의 대례의와도 관련이 있다.

1063년 4월 7일, 영종은 인종이 쓴 서예 작품을 포함한 선물을 베트남 국왕 리 탄통에게 보냈다.[1] 이후, 탄 티에우 타이가 광남 서로를 약탈하자 지방 관리들은 영종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그는 그들을 무시하고 방어를 그들에게 맡겼다. 그는 탄 티에우 타이을 "무모하고 미친" 자로 규정했다.[2]

1065년, 영종 황제는 위대한 역사가 사마광(1019–1086)에게 그의 수석 보좌관 유서, 유반, 범조우 등 다른 학자들과 함께 중국의 통사 편찬을 지시했다.[3]

2. 3. 붕어와 후계

1063년 인종이 후사 없이 붕어하자, 사촌 형인 조윤양의 13번째 아들 조서를 태자로 삼았다. 인종이 붕어하자 영종이 즉위하였다. 영종은 파탄 상태의 재정을 회복하기 위해 개혁에 착수하려고 했지만, 개혁에 반대하는 세력이 강하였고, 영종 자신도 병약하여 재위 4년 만에 병사하였기 때문에 개혁은 실패로 끝났다.

1066년, 장남 조욱을 황태자로 책봉하고 다음 해 붕어하였다.

3. 치세의 주요 사건

영종의 치세는 생부인 복안의왕 조윤양에게 어떤 칭호를 주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으로 유명하다. 영종은 인종에게 입양되었기 때문에 인종이 법적인 아버지였으나, 생부인 조윤양과의 관계 또한 중요했다.

일부 관리들은 영종이 생부에게 "황숙"이라는 칭호를 줄 것을 제안했다. 하지만 영종은 구양수 등의 의견에 따라 생부를 부모로 존경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훗날 효종의 치세와 명나라의 대례의에서도 비슷한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선례가 되었다.

1063년 4월 7일, 영종은 베트남 국왕 리 탄통에게 인종이 쓴 서예 작품을 포함한 선물을 보냈다.[1] 이후, 탄 티에우 타이가 광남 서로를 약탈했을 때 지방 관리들이 영종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영종은 이를 무시하고 스스로 방어하도록 했다. 그는 탄 티에우 타이를 "무모하고 미친" 자로 불렀다.[2]

3. 1. 복안의왕 추존 문제

영종의 황후는 고황후였으며, 이는 인종 황제의 미망인이었던 조태후의 조카였다. 영종은 즉위 직후 심각한 병에 시달렸기 때문에 조태후가 섭정을 맡았다. 그러나 조태후는 영종이 회복된 후에도 권력을 유지하다가 재상 한기가 조정 회의실의 가림막을 치우면서 조태후가 참석할 수 없게 되자, 영종에게 권력을 돌려주어야 했다.

영종의 치세는 황제가 그의 생부에게 어떤 의례를 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으로 유명하다. 영종은 인종에게 입양되었으므로 인종이 명목상 영종의 아버지였다. 그러나 생물학적으로는 조윤양이 영종의 아버지였다. 일부 관리들은 영종이 생부에게 "황숙"이라는 칭호를 부여할 것을 제안했지만, 황제는 구양수 등과 뜻을 같이하여 생부를 부모로 존경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효종의 치세에 더 많은 갈등이 발생할 조짐이었을 뿐만 아니라 명나라의 대례의와도 관련이 있다.

3. 2. 대외 관계

1063년 4월 7일, 영종은 인종이 쓴 서예 작품을 포함한 선물을 베트남 국왕 리 탄통에게 보냈다.[1] 이후, 탄 티에우 타이가 광남 서로를 약탈하자 지방 관리들은 영종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그는 그들을 무시하고 방어를 그들에게 맡겼다. 그는 탄 티에우 타이를 "무모하고 미친" 자로 규정했다.[2]

4. 가족 관계

영종은 선인황후 고씨를 비롯하여 소의 포씨, 수용 장씨, 귀의 장씨, 재인 양씨 등의 후궁을 두었다.[6] 선인황후 고씨는 4남 4녀를 낳았는데, 아들은 조욱, 오영왕 조호, 윤왕 조안, 익단헌왕 조군이며, 딸은 혜화제희, 현혜제희(왕선과 혼인), 현덕제희(장돈례와 혼인), 동안제희(허각과 혼인)이다.

4. 1. 부모


  • '''증조부''' : 북송 제2대 황제 태종
  • '''조부''' : 상공정왕(商恭靖王) 조원빈(趙元份)
  • '''조모''' : 상공정왕부인(商恭靖王夫人) 이씨(李氏)
  • '''부친''' : 복안의왕(濮安懿王) 조윤양(趙允讓)
  • '''모친''' : 복안의왕부인(濮安懿王夫人) 임씨(任氏)

4. 2. 황후

선인성렬황후 고씨[6]1032년에 태어나 1093년에 사망했으며, 1065년부터 1067년까지 황후로 재위했다. 아버지는 초왕 고준범이고, 어머니는 조씨 부인이다. 영후릉에 묻혔다.

북송 영종의 황후
봉호시호이름(성씨)재위년도생몰년도국구(장인/장모)능묘
황후(皇后)선인성렬황후고씨(高氏)1065년 ~ 1067년1032년 ~ 1093년초왕(楚王) 고준범(高遵範)
부인(夫人) 조씨(曹氏)
영후릉(永厚陵)


4. 3. 후궁

북송 영종의 후궁
봉호시호이름(성씨)별칭생몰년도비고
수용(修容)귀의(貴儀)장씨(張氏)인수군군(仁壽郡君)? ~ 1111년
수용(修容)장씨(張氏)평창군군(平昌郡君)1053년 ~ 1130년
미인(美人)소의(昭儀)포씨(鮑氏)영가군군(永嘉郡君)? ~ 1102년
재인(才人)첩여(婕妤)양씨(楊氏)


4. 4. 황자

선인황후 宣仁皇后 高氏중국어 소생의 아들 4형제가 있었다.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자식비고
1황태자(皇太子)조중침
조욱
1048년 ~ 1085년14남 10녀[7] 제6대 황제 신종
2오왕(吳王)영(榮)조중규
조호
1050년 ~ 1096년4남 6녀[8]
3윤왕(潤王)조안[9] 조졸.
4익왕(益王)단헌(端獻)조중각
조군
1056년 ~ 1088년10남 7녀[10]


4. 5. 황녀

순서봉호(공주)봉호(제희)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부마비고
1위초국대장공주
(魏楚國大長公主)
혜화대장제희
(惠和大長帝姬)
혜화(惠和)? ~ 1085년진안군절도사(鎭安郡節度使)
왕사약[11]
2진형위국대장공주
(秦荊魏國大長公主)
현혜대장제희
(賢惠大長帝姬)
현혜(賢惠)1051년 ~ 1080년선인성렬황후 고씨소화군절도사(昭化軍節度使)
왕선[12]
3한위국대장공주
(韓魏國大長公主)
현덕의행대장제희
(賢德懿行大長帝姬)
1051년 ~ 1123년선인성렬황후 고씨웅무군절도사(雄武軍節度使)
장돈례[13]
4서국대장공주
(舒國大長公主)
빈주관찰사(賓州觀察使)
허각[14]


5. 존호, 시호, 묘호

1067년 1월에 체건응력문무성효황제(體乾膺歷文武聖孝皇帝)라는 존호를 받았다.

사후 시호는 헌문숙무선효황제(憲文肅武宣孝皇帝)이며, 신종 때인 1083년에 다시 시호를 가상하여 '''체건응력융공성덕헌문숙무예성선효황제'''(體乾應歷隆功盛德憲文肅武睿聖宣孝皇帝)로 추시되었다. 묘호는 '''영종'''(英宗)이며, 능은 영후릉(永厚陵)이다.

6. 재상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
순서이름재임기간칭호자(字)봉호시호
1한기1063년 ~ 1067년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상서우복야(尚書右僕射)
치규
(稚圭)
위군왕
(魏郡王)
충헌
(忠獻)
2증공량1063년 ~ 1067년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명중
(明仲)
노국공
(魯國公)
선정
(宣靖)


7. 기년

영종원년2년3년4년
서력1064년1065년1066년1067년
간지갑진을사병오정미
연호치평 원년2년3년4년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문서
[5] 웹사이트 Troubles in Paradise: the Shrinking Royal Family in Southern Song https://www.npm.gov.[...]
[6] 문서 황태후(皇太后)/태황태후(太皇太后)/보자궁태후(寶慈宮太后)
[7] 문서 광국공(光國公)/회양군왕(淮陽郡王)/영왕(潁王)
[8] 문서 낙안군공(樂安郡公)/기국공(祁國公)/동양군왕(東陽郡王)/창왕(昌王)/초왕(楚王)
[9] 문서 악왕(鄂王)/진왕(陳王)/연왕(燕王)
[10] 문서 대령군공(大寧郡公)/호국공(鄠國公)/낙안군왕(樂安郡王)/고밀군왕(高密郡王)/가왕(嘉王)/형왕(荊王)
[11] 문서 덕녕공주(德寧公主)/서국공주(徐國公主)/진국장공주(陳國長公主)/연국대장공주(燕國大長公主)/진국대장공주(秦國大長公主)/위국대장공주(魏國大長公主)
[12] 문서 보안공주(寶安公主)/서국장공주(舒國長公主)/촉국장공주(蜀國長公主)/월국장공주(越國長公主)
[13] 문서 수강공주(壽康公主)/기국장공주(祁國長公主)/위국장공주(衛國長公主)/기국대장공주(冀國大長公主)/진월초국대장공주(秦越楚國大長公主)
[14] 문서 덕안공주(德安公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