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새끼두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끼두덩은 손바닥의 새끼손가락 뿌리 부분에 위치한 살이 불룩한 부위로, 세 개의 근육(새끼손가락 맞섬근, 짧은 새끼손가락 굽힘근, 새끼손가락 벌림근)으로 구성된다. 이 부위는 자신경 병변과 관련된 새끼두덩 위축, 혈관 폐쇄로 인한 새끼두덩 망치 증후군, 그리고 척골신경관 증후군과 관련이 있다. 또한 엄지두덩과 함께 한포, 즉 이한성 습진이 발생하기 쉬운 부위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손 - 엄지두덩
    엄지두덩은 손바닥 엄지 쪽에 위치한 융기 부위로, 엄지의 다양한 움직임을 담당하는 세 근육으로 구성된다.
  • 손 - 손 씻기
    손 씻기는 비누와 물 또는 손 소독제를 사용하여 손의 세균을 제거하는 행위이며, 감염병 예방에 기여하고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새끼두덩
근육 정보
이름새끼두덩
라틴어 이름eminentia hypothenaris
손목과 손가락 앞면 힘줄들의 윤활집. 새끼두덩은 그림의 오른쪽 중간에 그려져 있다.
손목과 손가락 앞면 힘줄들의 윤활집. 새끼두덩은 그림의 오른쪽 중간에 그려져 있다.
손목과 손가락의 단면. 새끼손가락의 근육은 그림의 오른쪽 위에 그려져 있다.
손목과 손가락의 단면. 새끼손가락의 근육은 그림의 오른쪽 위에 그려져 있다.
기시해당 정보 없음
정지다섯째손허리뼈와 새끼손가락의 몸쪽손가락뼈
혈액 공급자동맥
신경 지배자신경 깊은가지
작용새끼손가락의 움직임 조절
대항근해당 정보 없음

2. 구조

새끼두덩은 주로 안쪽에서 가쪽 순서로 다음과 같은 세 개의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 새끼손가락 맞섬근
  • 짧은 새끼손가락 굽힘근
  • 새끼손가락 벌림근


손의 고유 근육들은 "A OF A OF A" 연상 기법으로 기억할 수 있다. 이는 엄지두덩 근육 3개(Abductor pollicis brevis, Opponens pollicis, Flexor pollicis brevis)와 엄지 모음근(Adductor pollicis), 그리고 새끼두덩 근육 3개(Opponens digiti minimi, Flexor digiti minimi brevis, Abductor digiti minimi)를 의미한다.[2]

사람의 손바닥 제5손가락 뿌리 부분에는 살이 불룩하게 솟아 있는 곳이 있는데, 이곳이 새끼두덩이다. 이 부분의 피부 아래에는 제5손가락의 운동 등에 관련된 새끼두덩근이나, 척골신경의 말단부가 지나가는 곳으로 기욘관이라고도 불리는 Ulnar canal|척골신경관영어 등이 존재한다. 척골신경관이 어떤 원인으로 압박을 받으면, 예를 들어 제4손가락이나 제5손가락에 저림이 생기는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 척골신경관증후군을 발병한다.[4]

3. 임상적 중요성

새끼두덩은 여러 임상적 질환과 연관되어 있다. 새끼두덩은 엄지두덩과 함께 한포(이한성 습진)라고 불리는 피부병이 생기기 쉬운 부위로도 알려져 있다.[5]

3. 1. 척골 신경관 증후군 (기욘관 증후군)

척골 신경은 새끼두덩근을 지나가는 척골 신경관(기욘관)을 통해 손으로 이어진다.[4] 이 신경관이 압박을 받으면 약지나 새끼손가락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척골신경관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4]

3. 2. 새끼두덩 위축

새끼두덩 위축은 세 개의 새끼두덩 근육에 공급하는 자신경의 병변과 관련이 있다.[3] 자신경 손상은 외상, 압박, 신경 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손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새끼두덩 망치 증후군은 이 부위의 혈관 폐쇄이다.[3] 사람의 손바닥 제5손가락의 뿌리 부분에는 살이 불룩하게 솟아 있는 곳이 있는데, 이곳이 사람의 새끼두덩이다. 이 부분의 피부 아래에는 제5손가락의 운동 등과 관련된 새끼두덩근이나, 척골신경의 말단부가 지나가는 곳으로 기욘관이라고도 불리는 Ulnar canal|척골신경관영어 등이 존재한다. 척골신경관이 어떤 원인으로 압박을 받으면, 예를 들어 제4손가락나 제5손가락에 저림이 생기는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 척골신경관증후군을 발병한다.[4]

3. 3. 새끼두덩 망치 증후군

새끼두덩 망치 증후군은 이 부위의 혈관 폐쇄이다.[3] 사람의 손바닥 제5손가락 뿌리 부분에 있는 살이 불룩하게 솟은 곳이 새끼두덩이다. 피부 아래에는 제5손가락 운동 등에 관련된 새끼두덩근이나 척골신경 말단부가 지나가는 기욘관( Ulnar canal|척골신경관영어) 등이 있다. 척골신경관이 어떤 원인으로 압박받으면 제4손가락이나 제5손가락에 저림 등이 생기는 척골신경관증후군이 발병한다.[4]

3. 4. 한포 (이한성 습진)

사람의 신체 중 새끼두덩은 엄지두덩과 함께 한포(이한성 습진)라고 불리는 피부병이 생기기 쉬운 부위로 알려져 있다.[5]

참조

[1] 웹사이트 Intrinsic Muscles of the Hand - Wheeless' Textbook of Orthopaedics http://www.wheelesso[...] 2008-01-16
[2] 웹사이트 Medical mnemonics http://mc.lifehugger[...] LifeHugger 2009-12-19
[3] 논문 Hypothenar hammer syndrome: a discrete syndrome to be distinguished from hand-arm vibration syndrome
[4] 웹사이트 痛みと鎮痛の基礎知識 - Pain Relief http://www.shiga-med[...]
[5] 서적 汗の常識・非常識(汗をかいても痩せられない!) 講談社 1998-06-20
[6] 웹인용 Intrinsic Muscles of the Hand - Wheeless' Textbook of Orthopaedics http://www.wheelesso[...] 2008-01-16
[7] 논문 Hypothenar hammer syndrome: a discrete syndrome to be distinguished from hand-arm vibration syndrome
[8] 웹인용 Hypothenar hammer syndrome http://www.einterven[...] 2024-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