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새실젖거미아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실젖거미아목은 거미목의 아목으로, 대부분의 친숙한 거미 종을 포함한다. 이 아목의 거미는 좌우로 움직이는 협각과 머리가슴까지 이어진 독샘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한 쌍의 서폐를 갖는다. 실젖은 3쌍이며, 수컷은 촉지 기관을 통해 암컷에게 정자를 전달하고, 암컷의 생식기는 복부 아래쪽에 위치한다. 새실젖거미아목은 생태적으로 매우 다양하며, 거미줄을 치는 거미, 사냥하는 거미 등 다양한 생활 방식을 보인다. 이 아목의 분류는 생식기 구조, 사판 유무, 발톱 개수, 그물 형태 등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며, 계통 관계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거미가 이에 속하며, 해충을 잡아먹는 익충으로 간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새실젖거미아목 - 유령거미과
    유령거미과는 길고 가느다란 다리와 6~8개의 눈을 가진 거미로, 불규칙한 거미줄을 치고 거꾸로 매달려 생활하며 다른 곤충을 잡아먹고, 전 세계에 약 80속 1000여 종이 분포한다.
  • 새실젖거미아목 - 유령거미상과
    유령거미상과는 유령거미과, 디게티데과, 플렉트레우리데과를 포함하는 유령거미목의 분류군으로, 얇거나 털실 모양의 그물로 사냥하며 몸이 작고 다리가 긴 특징을 가진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새실젖거미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Nephila inaurata''
Nephila inaurata (Nephilidae)
학명Araneomorphae Smith, 1902
다양성95개 과
하위 분류
하위 분류군 계층아목
하위 분류군Filistatidae
Hypochilidae
Synspermiata (17개 과)
Leptonetidae
Austrochiloidea (2개 과)
Palpimanoidea (5개 과)
Entelegynae (68개 과)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거미강
거미목
아목후체아목
기타

2. 특징

새실젖거미아목의 거미들은 대부분 서로를 향하는 협각을 가지고 있어 먹이를 잡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향이 다양하다. 이들은 보통 한 쌍의 서폐를 가지며, 암컷은 일반적으로 1년 동안 생존한다.[3] 거미하목에 속하는 다른 거미들은 두 쌍의 서폐를 갖는 것과 대조적이다.

새실젖거미아목은 거미목에서 가장 큰 분류군으로, 다양한 거미줄을 치거나 걸어 다니며 먹이를 사냥하는 등 다양한 생태를 보인다. 이들은 을 뽑는 능력이 뛰어나 거미줄을 쳐서 먹이를 잡거나, 거미줄을 치지 않더라도 생활의 다양한 면에서 실을 이용한다.

2. 1. 협각



새실젖거미아목 거미의 협각(위턱)은 좌우로 움직이며, 끝의 이빨은 안쪽에 위치하여 수평 방향으로 움직인다.[11] 이는 먹이를 잡는 데 효율적인 구조로, 빗살꼬리거미아목이나 주머니거미하목 거미의 협각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과 구분된다. 독샘은 협각 내부가 아닌 머리가슴까지 이어진다.[12]

2. 2. 호흡 기관

새실젖거미아목에 속하는 거미는 보통 한 쌍의 서폐를 갖는다. 다른 거미 무리들은 두 쌍의 서폐를 갖지만, 새실젖거미아목에서는 앞쪽 쌍만 남고 뒤쪽 쌍은 기관(氣管)으로 변했다.[11] 기관은 곤충 등의 기관과는 발생 기원이 다르며, 서폐가 변화한 체상기관이라고 불린다. 기문은 앞쪽 쌍의 서폐와 실젖 사이에 있으며 좌우 한 쌍으로 늘어서거나, 좌우가 합쳐져 기관전실을 만들고 기문이 하나만 있기도 하다.[13]

유악거미과 등 일부 소형 종은 서폐가 없어지고 기관만 가지기도 한다.[13] 극히 일부는 두 쌍의 서폐를 가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들은 새실젖거미아목 중에서도 가장 원시적인 형질을 남긴 것으로 여겨져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4]

2. 3. 실젖

실젖(실을 생산하는 기관)은 복부 뒤쪽에 3쌍이 있는 것이 표준이다. 이는 빗살꼬리거미하목의 8쌍에서 앞쪽 안쪽 쌍이 퇴화한 형태이다.[15] 발생학적으로 보면 거미하목에서도 배아 단계에서는 앞쪽 안쪽 실젖이 존재하지만, 차츰 좌우의 앞쪽 안쪽 실젖이 유합하여 그대로 남거나, 혹은 퇴화하여 소실된다.[16] 따라서 새실젖거미아목에서 표준적인 것은 앞쪽 바깥 실젖, 뒤쪽 안쪽 실젖, 뒤쪽 바깥 실젖이 각각 2개씩이지만, 이를 각각 앞젖, 중간젖, 뒤젖이라고 부른다.[15] 또한 각각의 실젖에는 마디가 있지만, 주머니거미류 하목에서는 3~4마디, 진정거미류 하목에서는 1~2마디만 있다.[17]

퇴화한 앞쪽 안쪽 실젖에 해당하는 것은 일부 그룹에서는 판 모양의 사판이 되어 특수한 실관이 늘어서 있지만, 더 퇴화된 형태로 남아있는 경우도 있으며, 일부 그룹에서는 그 위치에 작은 돌기만이 남아있어, 이를 간혹이라고 한다.[15] 간혹에는 실샘이 없다.[17]

실젖에는 많은 실관이 늘어서 있고, 체내에는 여러 종류의 실샘을 가지고 있으며, 그 종류 수는 적은 그룹에서도 3~4종, 많은 그룹에서는 7종으로 분화되어 있다.[18]

2. 4. 생식 기관

수컷 거미는 생식공에서 낸 정자를 정자망이라고 불리는 실로 만들어진 작은 용기에 담아, 촉지 끝에 가져가 암컷의 생식공에 주입한다.[20] 수컷 성체의 촉지에는 정자를 저장하고 주입하기 위한 촉지 기관이 발달하며, 암컷 성체는 이 주입을 위한 암컷 생식기 구조가 발달한다.

수컷의 촉지 기관 주요 부분은 생식구라고 불리며, 내부에는 용정체라고 불리는 정자 저장 구조가 있고, 주위에는 정자를 내보내는 구조 등이 부수된다.[21] 내보내진 정자는 꽂이(이정침)라는 돌기 끝에서 암컷의 생식공으로 보내진다. 그 주위에는 다양한 융기나 홈 등이 발달하며, 이는 암컷의 외부 생식기와도 대응하여 분류학적으로도 중요한 특징으로 여겨진다.

암컷의 생식기는 복부 아래쪽 앞쪽에 있지만, 납작배거미아목, 깔때기거미하목은 그 부분에 수컷의 꽂이를 삽입하고 알이 나오는 생식공이 있으며, 외부에는 복잡한 구조가 없다.[22] 반면 새실젖거미아목에서는 꽂이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별도로 산란구가 형성되고, 그 바깥쪽에 키틴질화된 복잡한 외부 암컷 생식기가 형성된다.

2. 5. 기타 특징

촉수는 4쌍의 다리 앞에 있는 부속지로, 6개의 마디로 구성되어 있으며, 4쌍의 다리보다 1마디 적다.[23] 이 구조는 거미목의 진화 과정에서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새실젖거미아목에서는 대부분 다리보다 가늘고 짧으며, 일부에서는 암컷의 촉지가 퇴화된 것도 있다 (유아기거미과 등).

4쌍의 다리는 앞의 2쌍이 앞을, 뒤의 2쌍이 뒤를 향하는 것이 표준이며, 이를 전행성이라 한다. 새실젖거미아목에서는 많은 수가 전행성이지만, 모든 다리가 옆으로 뻗는 횡행성인 경우도 있으며, 게거미과나 애집거미과 등에서 볼 수 있다.[24]

눈은 기본적으로 8개이며, 거미목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새실젖거미아목에서는 눈의 배열이 머리 폭 전체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까지 다양하다. 많은 종들이 앞뒤 2열로 각각 4개의 눈이 나란히 있으며, 바깥쪽을 측안, 안쪽을 중안이라고 하며, 여기에 앞뒤의 위치를 더하여 전측안, 후중안 등으로 부른다. 눈의 배치는 분류의 다양한 단계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며, 예를 들어 유령거미과에서는 8개 중 6개가 좌우로 3개씩 뭉쳐서 배치되고, 사사거미과에서는 눈이 고리 모양으로 배치된다.

배는 대부분 타원형의 자루 모양이지만, 긴다리거미속이나 메다마거미과처럼 가늘고 길어진 것, 오니거미류처럼 역삼각형으로 앞쪽 등 양쪽에 어깨 모양 돌기를 가진 것 등도 있으며, 가시거미속에서는 표면이 굳어지고 양쪽에 뿔 모양 돌기가 튀어나오고, 또는 이소우로우거미류처럼 배 뒤쪽 끝이 비스듬히 뒤쪽으로 튀어나와 그것이 극단적으로 길게 뻗어 끈 모양이 된 꼬리거미 등, 훨씬 다양한 형태를 볼 수 있다. 꼬리거미에서는 뒤쪽으로 뻗은 부분을 거미 자신이 변형시킬 수 있다.

가늘고 긴 배의 예
메다마거미속의 일종(메다마거미과)


가늘고 긴 배의 예・다만 뻗은 것은 배 뒤쪽 등쪽의 돌기 부분
꼬리거미(애기거미과)

3. 생태

거미하목 거미는 지하, 지표면, 식물 위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굴을 파고 생활하는 종류는 적으며, 굴을 만들더라도 기질을 따라가는 관 모양의 둥지를 실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26] 거미줄을 쳐서 먹이를 잡는 종류(정주성)와 거미줄을 치지 않고 직접 먹이를 잡는 종류(배회성)로 나뉜다. 배회성 거미는 거미줄을 치는 거미에서 여러 차례 독립적으로 진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먹이는 주로 곤충 등 소형 무척추동물이며, 먹이를 잡을 때는 턱으로 물어뜯어 독을 주입한다.[31] 일부는 실을 감아 먹이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기도 한다.

4. 분류

과거 분류 체계에서 새실젖거미아목은 Hypochilidae만을 포함하는 *Hypochilae*와 *Neocribellatae* 두 계통으로 나뉘었다. Neocribellatae는 다시 Austrochiloidea와 Haplogynae 및 Entelogynae 두 계통으로 나뉘었고, 각 계통은 여러 상과를 포함했다.[4] 분자 계통학 연구에 따르면 특히 haplogynes는 단일 계통군이 아니다.[4]

이 군 내의 분류에서 특히 중시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생식기의 구조: 종이나 군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구조의 기본은 같다.[21] 거미류는 교미를 하지 않고, 수컷은 촉지 끝 부분에 정자를 저장하여 암컷에게 전달하기 위한 촉지 기관이 발달해 있으며, 암컷 쪽에서는 복부 아래쪽 앞쪽에 생식공이 열린다. 이 군에 속하는 것들 중에도 이러한 구조가 기본적으로 타란툴라아목의 것과 같은 것이 있으며, 이것들을 단성역류라고 한다.[32] 암컷의 생식기에서 삽입구와 산란구가 분화하고, 그 부분에 외음기가 발달하는 것을 완성역류라고 한다.
  • 사판: 사판(명주실젖)을 가진 것은 제4다리에 모사라고 불리는 촘촘한 털의 열을 가지며, 이것을 사용하여 사판에서 소사라고 불리는 특수한 점착성의 실을 낼 수 있다.[32] 사판을 가진 거미는 다양한 그물을 치는 타입이 많고, 원망을 치는 것도 포함된다. 사판을 가진 것을 사판류, 가지지 않은 것을 무사판류라고 한다.
  • 발톱의 수: 4쌍의 보각 끝에는 1쌍의 발톱이 공통적으로 존재하지만, 그 쌍 사이에도 또 하나의 작은 발톱을 가진 것과, 세 번째 발톱이 없는 것이 있다.[33] 두 개의 발톱을 가진 것을 두발톱류라고 한다.
  • 그물 모양: 거미의 그물 모양에는 거미의 계통 관계가 반영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 중에서 이 하목 전체를 가장 먼저 분할할 수 있는 특징은 사판과 생식기의 구조라고 생각되었다. 하지만 사판을 가진 것과 가지지 않은 것 모두 각각 단성역적인 것과 완성역적인 것이 포함된다. 현재는 생식기 구조의 차이가 계통의 차이를 반영하며, 단성역류와 완성역류는 다른 계통을 이룬다고 본다. 한편, 사판은 이 군의 공통 조상이 가진 형질이며, 거기에서 파생된 복수의 계통에서 독자적으로 퇴화했고, 그 퇴화한 것에서 새로운 계통이 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화석 연구에 따르면, 호박 속 화석에 의해 거미류의 다양화가 중생대 후기부터 신생대에 걸쳐 크게 진행되었고, 이것이 현화식물과 곤충의 폭발적인 다양화에 뒤따른 것으로 추정된다.[34]

현생 거미 하목 중에서 가장 원시적인 형태는 에보시거미과와 그에 근연한 군에서 나타난다. 이들은 이 하목에서는 예외적으로 두 쌍의 서폐를 가지고, 위턱이 움직이는 방향은 약간 비스듬하며, 이는 빗살거미류나 타란툴라류와 비슷하거나 같은 형질이다. 또한, 사판을 가지고, 세 개의 발톱이며, 단성역적이고 그물을 친다.

하지만 이 군 내의 계통에 관해서는 아직 정설이 없고, 유동적인 부분이 많다. 2020년 연구에서는 주요 그룹 간의 관계가 다음과 같다고 제시했다.[4]

  • 거미 하목에서 가장 기저에서 갈라진 군은 무카시보로아미그모상과(Austrochiloidea)로, 두 쌍의 서폐를 가지는 등 원시적 특징을 가진다.
  • 그다음으로 아고다치거미과 등을 포함하는 에구치거미상과(Palpimanoidea), 무사판 단성역류(Synspemiata), 그리고 완성역류(Entelegynea)가 각각 묶인 군을 이룬다. 완성역류에는 70과 정도가 포함된다.
  • 완성역류 중에서 RTA군(RTA clade)이라고 불리는 군이 묶여 있다. 이것은 수컷 촉지의 경절 뒤쪽 측면에 돌기를 가지는 것을 공통된 특징으로 하며, 하구모과, 꼬리거미과, 키시다거미과, 왕거미과, 게거미과 등 조망성이나 배회성의 다양한 거미 40과 정도를 포함한다.

4. 1. 하위 분류

새실젖거미아목에는 다양한 과(Family)가 속한다. 2022년 8월 기준으로 130여 개의 과가 있으며, 각 과는 다양한 속(Genus)과 종(Species)을 포함한다.[5]

분류 기준
1≥2≥10≥100
1–9≥10≥100≥1000



새실젖거미아목에 속하는 과의 자세한 목록은 하단의 '주요 과' 표를 참조하면 된다.

4. 1. 1. 주요 과

새실젖거미아목의 주요 과[5]
일반명예시
깔때기거미과 (Agelenidae)901366깔때기그물 거미호보거미
무덤거미과 (Amaurobiidae)50283엉킨 그물 거미Callobius claustrarius
Anapidae58232
Anyphaenidae58614anyphaenid sac spiders노란 유령 거미
접시거미과 (Araneidae)1843097거미줄 거미Zygiella x-notata
Archaeidae690펠리컨 거미Madagascarchaea gracilicollis
Archoleptonetidae28Archoleptoneta gertschi
Arkyidae238
Austrochilidae29태즈메이니아 동굴 거미
Caponiidae20139Diploglena capensis
Cheiracanthiidae
(동의어: Eutichuridae)
14363Cheiracanthium mildei
Cithaeronidae29
Clubionidae19662sac spidersClubiona trivialis
Corinnidae73824검은 sac spidersCastianeira sp.
Ctenidae48532열대 늑대 거미브라질 방황 거미
Cyatholipidae2358
Cybaeidae21303
Cycloctenidae880
Deinopidae367그물 치는 거미붉은 그물 치는 거미
Desidae60296간석지 거미Phryganoporus candidus
Dictynidae53475Nigma walckenaeri
Diguetidae215깔때기 거미
Drymusidae217거짓 바이올린 거미
Dysderidae25591쥐며느리 사냥 거미쥐며느리 거미
Eresidae9102벨벳 거미Eresus sandaliatus
Filistatidae19189틈새 거미남부 집 거미
Gallieniellidae541
Gnaphosidae
(동의어: Ammoxenidae)
1452430납작 배 바닥 거미Drassodes cupreus
Gradungulidae817큰 발톱 거미Carrai 동굴 거미
Hahniidae24353난쟁이 잎 거미
Hersiliidae16187나무 줄기 거미Hersilia savignyi
Homalonychidae12
Huttoniidae11Huttonia palpimanoides
Hypochilidae233갓 거미Hypochilus thorelli
Lamponidae23192흰꼬리거미
Leptonetidae22370이빨 동굴 거미
Linyphiidae6244724난쟁이/돈 거미Linyphia triangularis
Liocranidae35311liocranid sac spiders
늑대거미과 (Lycosidae)1272452늑대 거미Lycosa tarantula
Malkaridae1357방패 거미
Mecysmaucheniidae725
Megadictynidae22
Mimetidae8159해적 거미Oarces reticulatus
Miturgidae29141다리가 긴 sac spiders
Myrmecicultoridae11
Mysmenidae14158spurred orb-weavers
Nesticidae18285동굴 거미줄 거미Nesticella marapu
Nicodamidae727
Ochyroceratidae10177애기 바닥 거미Theotima minutissima
Oecobiidae6120원반 그물 거미Oecobius navus
Oonopidae1151888난쟁이 사냥 거미Oonops domesticus
Orsolobidae30188
Oxyopidae9443살쾡이 거미녹색 살쾡이 거미
Pacullidae438
Palpimanidae21165팔다리 거미
Penestomidae19
Periegopidae13
Philodromidae30535philodromid 게 거미Philodromus dispar
Pholcidae971893긴 다리 거미Pholcus phalangioides
Phrurolithidae20313
Physoglenidae1372
Phyxelididae1468
Pimoidae285Pimoa cthulhu
Pisauridae51353육아 그물 거미Pisaura mirabilis
Plectreuridae231
Prodidomidae23192
Psechridae261
Psilodercidae11224
Salticidae6656433깡충거미얼룩말 거미
Scytodidae4241뱉는 거미Scytodes thoracica
Segestriidae5152tubeweb spidersSegestria florentina
Selenopidae9262벽 거미Selenops radiatus
Senoculidae131
Sicariidae3172은둔 거미갈색 은둔 거미
Sparassidae951337사냥꾼 거미Avondale spider
Stenochilidae213
Stiphidiidae20125Tartarus mullamullangensis
Symphytognathidae1098난쟁이 orb-weaversPatu digua
Synaphridae313
Synotaxidae111
Telemidae16104긴 다리 동굴 거미
Tetrablemmidae27151갑옷 거미
Tetragnathidae46982턱이 긴 orb-weavers과수원 거미
Theridiidae1252538거미줄 거미붉은 배 거미
Theridiosomatidae20135ray spidersTheridiosoma gemmosum
Thomisidae1712167게 거미금잔화 거미
Titanoecidae556Goeldia obscura
Toxopidae1482
Trachelidae20263
Trachycosmidae20148
Trechaleidae17133
Trochanteriidae651
Trogloraptoridae11Trogloraptor marchingtoni
Udubidae415
Uloboridae19291hackled orb-weaversUloborus walckenaerius
Viridasiidae314
Xenoctenidae433
Zodariidae891251개미 거미Zodarion germanicum
Zoropsidae27182Zoropsis spinimana


4. 1. 2. 기타 과

거미아목 과[5]
일반명예시
깔때기거미과 (Agelenidae)901366깔때기그물 거미호보거미
무덤거미과 (Amaurobiidae)50283엉킨 그물 거미Callobius claustrarius
Anapidae58232
Anyphaenidae58614anyphaenid sac spiders노란 유령 거미
접시거미과 (Araneidae)1843097거미줄 거미Zygiella x-notata
Archaeidae690펠리컨 거미Madagascarchaea gracilicollis
Archoleptonetidae28Archoleptoneta gertschi
Arkyidae238
Austrochilidae29태즈메이니아 동굴 거미
Caponiidae20139Diploglena capensis
Cheiracanthiidae
(동의어: Eutichuridae)
14363Cheiracanthium mildei
Cithaeronidae29
Clubionidae19662sac spidersClubiona trivialis
Corinnidae73824검은 sac spidersCastianeira sp.
Ctenidae48532열대 늑대 거미브라질 방황 거미
Cyatholipidae2358
Cybaeidae21303
Cycloctenidae880
Deinopidae367그물 치는 거미붉은 그물 치는 거미
Desidae60296간석지 거미Phryganoporus candidus
Dictynidae53475Nigma walckenaeri
Diguetidae215깔때기 거미
Drymusidae217거짓 바이올린 거미
Dysderidae25591쥐며느리 사냥 거미쥐며느리 거미
Eresidae9102벨벳 거미Eresus sandaliatus
Filistatidae19189틈새 거미남부 집 거미
Gallieniellidae541
Gnaphosidae
(동의어: Ammoxenidae)
1452430납작 배 바닥 거미Drassodes cupreus
Gradungulidae817큰 발톱 거미Carrai 동굴 거미
Hahniidae24353난쟁이 잎 거미
Hersiliidae16187나무 줄기 거미Hersilia savignyi
Homalonychidae12
Huttoniidae11Huttonia palpimanoides
Hypochilidae233갓 거미Hypochilus thorelli
Lamponidae23192흰꼬리거미
Leptonetidae22370이빨 동굴 거미
Linyphiidae6244724난쟁이/돈 거미Linyphia triangularis
Liocranidae35311liocranid sac spiders
늑대거미과 (Lycosidae)1272452늑대 거미Lycosa tarantula
Malkaridae1357방패 거미
Mecysmaucheniidae725
Megadictynidae22
Mimetidae8159해적 거미Oarces reticulatus
Miturgidae29141다리가 긴 sac spiders
Myrmecicultoridae11
Mysmenidae14158spurred orb-weavers
Nesticidae18285동굴 거미줄 거미Nesticella marapu
Nicodamidae727
Ochyroceratidae10177애기 바닥 거미Theotima minutissima
Oecobiidae6120원반 그물 거미Oecobius navus
Oonopidae1151888난쟁이 사냥 거미Oonops domesticus
Orsolobidae30188
Oxyopidae9443살쾡이 거미녹색 살쾡이 거미
Pacullidae438
Palpimanidae21165팔다리 거미
Penestomidae19
Periegopidae13
Philodromidae30535philodromid 게 거미Philodromus dispar
Pholcidae971893긴 다리 거미Pholcus phalangioides
Phrurolithidae20313
Physoglenidae1372
Phyxelididae1468
Pimoidae285Pimoa cthulhu
Pisauridae51353육아 그물 거미Pisaura mirabilis
Plectreuridae231
Prodidomidae23192
Psechridae261
Psilodercidae11224
Salticidae6656433깡충거미얼룩말 거미
Scytodidae4241뱉는 거미Scytodes thoracica
Segestriidae5152tubeweb spidersSegestria florentina
Selenopidae9262벽 거미Selenops radiatus
Senoculidae131
Sicariidae3172은둔 거미갈색 은둔 거미
Sparassidae951337사냥꾼 거미Avondale spider
Stenochilidae213
Stiphidiidae20125Tartarus mullamullangensis
Symphytognathidae1098난쟁이 orb-weaversPatu digua
Synaphridae313
Synotaxidae111
Telemidae16104긴 다리 동굴 거미
Tetrablemmidae27151갑옷 거미
Tetragnathidae46982턱이 긴 orb-weavers과수원 거미
Theridiidae1252538거미줄 거미붉은 배 거미
Theridiosomatidae20135ray spidersTheridiosoma gemmosum
Thomisidae1712167게 거미금잔화 거미
Titanoecidae556Goeldia obscura
Toxopidae1482
Trachelidae20263
Trachycosmidae20148
Trechaleidae17133
Trochanteriidae651
Trogloraptoridae11Trogloraptor marchingtoni
Udubidae415
Uloboridae19291hackled orb-weaversUloborus walckenaerius
Viridasiidae314
Xenoctenidae433
Zodariidae891251개미 거미Zodarion germanicum
Zoropsidae27182Zoropsis spinimana


5. 계통 진화

거미하목 내의 계통 관계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유동적이다.[35] 거미하목에서 가장 원시적인 형태를 띠는 것은 에보시거미과와 그 근연군이다.[34] 이들은 두 쌍의 서폐, 약간 비스듬한 방향의 위턱 움직임 등 빗살꼬리거미아목이나 주머니거미하목과 유사한 형질을 가진다. 거미하목의 다양화는 중생대 후기부터 신생대에 걸쳐 크게 진행되었으며, 이는 현화식물과 곤충의 다양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34]

6. 인간과의 관계

거미하목은 거미목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사람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거미의 대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부분은 거미목 관련 항목을 참조하기 바란다.[10] 일부 거미는 인간에게 해를 끼치기도 하지만(예: 독거미), 대부분은 해충을 잡아먹는 익충으로 간주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생태계 보전과 해충 방제를 위한 천연 포식자로서 거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연구 및 보호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참조

[1] 서적 Spiders of North America: an identification manual American Arachnological Society 2008-10-12
[2] 웹사이트 NMBE - World Spider Catalog http://research.amnh[...] 2023-06-07
[3] 웹사이트 ABOUT SPIDERS http://www.publish.c[...] 2022-01-07
[4] 논문 The fossil record of spiders revisited: implications for calibrating trees and evidence for a major faunal turnover since the Mesozoic https://www.research[...] 2020-02
[5] 웹사이트 Currently valid spider genera and species https://www.wsc.nmbe[...] Natural History Museum Bern 2022-08-08
[6] 간행물 Order Araneae Clerck, 1757 https://doi.org/10.1[...] Magnolia Press
[7] 서적 クモ目の科の分類表 東海大学出版会
[8] 서적 第1章 系統と分類 東京大学出版会
[9] 논문 日本産真正蜘蛛類目録 https://doi.org/10.2[...] 東亜蜘蛛学会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문서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문서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プラトニック/西尾訳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